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이 각막 두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박혜원,김태훈 대한시과학회 2019 대한시과학회지 Vol.21 No.1

        Purpose : The literature about the effects of pregnancy on corneal thickness was selected, and through meta-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nd the effect size were identified and determined. Methods : The search date ranged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17, and search terms were ‘Pregnancy’, ‘Pregnant women’ and ‘Pachymetry’, ‘Corneal thickness’. The searching is done throug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base with no restriction for study type and language. Results : A total of 7 literatures was selected. The difference between corneal thickness pre-pregnancy and during pregnancy had an effect size of 1.013[95% CI: 0.743~1.282], and corneal thickness is shown to increase. The difference between corneal thickness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had an effect size of -0.539[95% CI: -0.746~-0.332], indicating that corneal thickness is shown to decrease. Conclusion : Since corneal thickness can be affected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the pregnancy, careful attention is a need for fitting the contact lens. 목적 : 임신이 각막 두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헌들을 선별하여 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 크기를 확인하였다.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외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어를 ‘임신’, ‘각막 두께’, ‘Pregnancy’, ‘Pregnant women’, ‘Pachymetry’, ‘Corneal thickness’하였으며, 연구 종류와 언어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결과 : 총 7편의 문헌이 선정되었으며, 임신 전과 임신 중 각막 두께 변화에 대한 효과 크기는 1.013[95% CI: 0.743~1.282]이며, 각막 두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중과 출산 후 각막 두께 변화에 대한 효과 크기는 -0.539[95% CI: -0.746~-0.332]이며, 각막 두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임신으로 인해 각막 두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임신 전, 후 각막 두께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콘택트렌즈 피팅 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SM520C-TMC 강재의 피로강도에 대한 두께효과

        김경남,정인수,황낙연,정경섭,Kim, Kyoung Nam,Jung, In Su,Hwang, Nak Yeon,Jung, Kyoung Sup 한국강구조학회 2004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6 No.6

        피로설계에 대한 기준, 시방서 또는 추천안 등은 일반적으로 두께 10~30mm의 강판으로 만든 실험체의 피로실험을 통해 얻은 피로강도곡선을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강판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서 피로강도가 감소하게 될 가능성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고, 파괴역학적 방법에 의한 분석과 강재 용접에 따른 영향을 근거로 하여 강판의 두께에 따른 영향이 상당히 클 수도 있다고 지적되었다. 기존의 몇몇 피로실험 결과로부터 얻은 피로강도곡선으로부터 강판 두께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피로강도를 수정하는 식이 제안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두께 80mm까지의 국내생산 SM520C-TMC 강재에 대한 피로강도시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로부터 강재의 두께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강판 두께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피로강도를 수정하는 제한적인 시편에 대한 수정식을 제공하고, 이를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로서, 두께에 따른 강도감소효과는 기존의 연구와 유사한 경향을 갖고 감소하나 그 정도는 적어지고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criterion or specification on fatigue design has been generally based on fatigue strength curve derived by tests on specimens with varying thickness (10-30mm). Making the plate thicker, however, also decreases fatigue strength. It has been noted from the test results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y fracture mechanics that the effect of thickness cannot be bypassed. From the several fatigue strength curves of specimen tests, modification of fatigue strength on plate thickness has been proposed. In this study, fatigue tests on SM520C-TMC were carried out, and the effects of thickness were evaluated. Finally,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the modification of fatigue strength was derived. Comparing the results of this paper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an outline of the behavior obtained is similar to previous ones, but the rate of decrease is smaller.

      • KCI등재

        The Effect of Pregnancy on Corneal Thickness: A Meta-Analysis

        Hye-Won Park,Tae-Hun Kim 대한시과학회 2019 대한시과학회지 Vol.21 No.1

        목적 : 임신이 각막 두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문헌들을 선별하여 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 크기를 확인하였다.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외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어를 ‘임신’, ‘각막 두께’, ‘Pregnancy’, ‘Pregnant women’, ‘Pachymetry’, ‘Corneal thickness’하였으며, 연구 종류와 언어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결과 : 총 7편의 문헌이 선정되었으며, 임신 전과 임신 중 각막 두께 변화에 대한 효과 크기는 1.013[95% CI: 0.743~1.282]이며, 각막 두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중과 출산 후 각막 두께 변화에 대한 효과 크기 는 -0.539[95% CI: -0.746~-0.332]이며, 각막 두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임신으로 인해 각막 두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임신 전, 후 각막 두께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콘택 트렌즈 피팅 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Purpose : The literature about the effects of pregnancy on corneal thickness was selected, and through meta-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nd the effect size were identified and determined. Methods : The search date ranged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17, and search terms were ‘Pregnancy’, ‘Pregnant women’ and ‘Pachymetry’, ‘Corneal thickness’. The searching is done throug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base with no restriction for study type and language. Results : A total of 7 literatures was selected. The difference between corneal thickness pre-pregnancy and during pregnancy had an effect size of 1.013[95% CI: 0.743~1.282], and corneal thickness is shown to increase. The difference between corneal thickness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had an effect size of -0.539[95% CI: -0.746~-0.332], indicating that corneal thickness is shown to decrease. Conclusion : Since corneal thickness can be affected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the pregnancy, careful attention is a need for fitting the contact lens.

      • KCI등재

        판재 Al 2024-T3 합금재료에서 나타나는 두께별 피로균열진전지연거동에 관한 △K 환산법의 정량적분석

        김승권(Seung Gwon Kim),이억섭(Ouk Sub Lee) 대한기계학회 2011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5 No.11

        운송기계구조물의 제작에 사용되는 판재 알루미늄 합금재료는 일정한 피로응력조건하에서 두께에 따라 균열진전속도의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두께효과는 판재 알루미늄합금의 주요한 피로파괴특성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정한 피로응력조건하에서 실시한 후판 및 박판 Al 2024-T3 합금재료의 피로 시험을 통하여 두께효과를 파악하고, 이를 형상인자인 두께비, Rt 및 하중인자인 두께별 등가유효응력 확대비, Ut<SUP>equ</SUP> 에 의한 상호관계식, Ut<SUP>equ</SUP> = f(Rt) 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두께효과에 의한 후판 대비 박판시험편의 균열진전 지연거동을 ?K 환산법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두께효과의 경향을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두께감소율(DoT)과 응력확대계수범위, ?K 의 감소율(DoS) 등의 값을 구하여 이들의 상호관계를 규명하였다. Sheet aluminum alloys used in manufacturing of machine structures for transportation show the difference of crack growth speed depending on thickness under the constant fatigue stress condition. The referred thickness effect is a major fatigue failure property of sheet aluminum alloys. In this work, we identified the thickness effect in fatigue test of thick plate and thin plate of Al 2024-T3 alloy under the constant fatigue stress condition, and presented the thickness effect to a correlative equation, Ut<SUP>equ</SUP> = f(Rt) which is determined by the shape factor, thickness ratio, Rt and the loading factor, equivalent effective stress intensity ratio depending on thickness, Ut<SUP>equ</SUP> . And we analyzed quantitatively the crack growth retardation behavior in thin plate compared to thick plate by the thickness effect using ?K conversion method. We obtained such values as decrement of thickness(DoT), decrement of stress intensity factor range, ?K (DoS) and identified the relation between them to present the nature of thickness effect in this work.

      • KCI등재후보

        고강도 콘크리트 인장부재의 인장강화효과와 균열거동

        김지상(Jee-Sang Kim),박찬혁(Chan Hyuk Park)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8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6 No.1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와 철근의 상호 합성 작용에 대한 많은 정보가 필요한데, 균열폭 및 균열간격의 평가는 두 재료의 상호작용인 인장강화효과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이 논문에서는 압축강도 80MPa 및 100MPa의 고강도 콘크리트에 D13 철근을 사용한 인장부재를 제작하여 직접인장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고강도 콘크리트의 인장강화 효과를 파악하였고 보통강도 콘크리트의 실험결과에 근거한 현행설계기준의 인장강화효과 평가가 부적절함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고강도 콘크리트 콘크리트의 특성을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는 실험계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균열거동을 통해서 균열간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고강도 콘크리트의 인장강화효과에 따른 철근변형률과 콘크리트 변형률 차이에 따른 균열폭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의 인장강화 효과를 연구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erification of serviceability of concrete structures requires more informations on the composite behaviors between concrete and reinforcement. Among them, the investigation of crack widths and spacings is based on the tension stiffening effects. In this paper, the tension stiffening effects of high strength concrete members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80 and 100MPa a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design code which is based on the tests of normal strength concrete may not describe the tension stiffening effects in high strength concrete correctly. The coefficient that can appropriately reflect the tension stiffening effects in the high strength concrete was proposed. Also, the crack spacing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cracking behaviors and the crack width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strains in steel and concrete was estimated. The results of this paper may be used to examine the tension stiffening effects of high strength concrete members.

      • 鐘形셀의 두께變化 및 非對稱效果에 따른 振動모우드 解析에 관한 硏究

        정석주,공창덕,염영하 대한기계학회 1986 대한기계학회논문집 Vol.10 No.3

        본 논문에서는 이들 기본모우드형태가 검토되었고 또한 두께효과와 비대칭성 효과에 따른 고유진동주파수, 모우드형태, 울림주파수의 변화를 수치적 해석과 실험 적 해석방법에 의해 비교검토되었다. 수치해석방법은 유한요소법으로 이용된 프로그 램은 NASTRAN 프로그램이고 모우드의 형태는 Tectronics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하여 나타 내었다. 실험적방법은 충격햄머법과 F.F.T. 분석장치(Fast Fourier Transformation Analyzer)를 이용하였다. Mode shapes and natural frequencies of the bell type shell are analyzed numerically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impulse hammer method and the Fast Fourier Transform analyzer are used for the experimental test. All types of mode shapes are expressed by the computer graphics. Numerical solutions are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sustaining sound of the typical bell-type shell depend upon the first flexural mode (0-2 mode) and the second flexural mode (0-3 mode), and their mode shapes are independent upon thickness Dangjwas, holes, and added mass effects. Asymmetric effects by Dangjwas, holes and added mass give rise to beat frequencies, and the added mass is found to be most effective.

      • KCI등재후보

        장기간 굴절교정렌즈 착용자에서 연령군 별 굴절교정효과 비교

        문미영,이군자 한국안광학회 2008 한국안광학회지 Vol.1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e in the response to long-term overnight orthokeratology (OK) lens wearing. Methods: Among volunteers, ninety-five healthy subjects who had no eye diseases and could wear OK contact lens at least for 8 hours every da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hildren, youngsters and young adults. Unaided logMAR visual acuity, refractive error, apical corneal radius, corneal asphericity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were measured with different period; before and after one day, one week, two weeks, one month, three months and six months of OK lens wear. Paired student t-test, ANOVA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used with a critical p value of 0.05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ll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improvement in unaided visual acuity, a trend for flattening in the apical corneal radius, decrease in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less prolate after OK lens wear. The child group showed significantly rapid change (p<0.001) in visual acuity, and apical corneal radius showed that they reached the targeted refractive change earlier compared with youngster and adult groups. The visual effect of OK lens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change in central corneal thickness after long-term OK lens wear, especially in child and youngster group,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targeted refractive change. Conclusions: Visual acuity change is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the central corneal thickness change, which is highly correlated with targeted refractive change in the long-term orthokeratology and younger lens wearers showed a rapid response to OK lens wear, suggesting a reduced epithelial response with increasing age. The results found this study extends our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in the long-term orthokeratology. 목적: 장기간의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자에서 연령에 따라 나타나는 굴절교정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각막굴절교정술을 원하는 지원자 중 안과 질환이 없으며 하루에 최소 8시간 이상 렌즈를 착용할 수 있는 대상자 95명을 어린이군, 청소년군 및 성인군으로 세분하였다. 각막굴절교정렌즈를 피팅한 후 렌즈 착용 전 , 렌즈 착용 1일, 7일, 14일, 1개월, 3개월 및 6개월 후에 나안시력, 굴절이상도, 중심부 각막곡률반경, 각막비구면도 및 각막중심두께를 각각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Paired Student t-검정 및 ANOVA 분석, Perason correlation을 이 용하였고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모든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군에서 나안시력은 개선되었고(p<0.001), 각막중심부 두께가 감소하였으며 각막중심부는 편평해지고 각막은 구형으로 변형되었다. 어린이군에서는 청소년군 및 성인군과 비교하여 시력 및 각막중심부 곡률변화가 빠르며(p<0.001), 굴절력 감소 목표값에 일찍 도달하였다. 장 기간 각막굴절교정렌즈 착용 후 나타나는 시력 변화는 각막중심부 두께 변화량과 상관성이 높았으며 특히 어린이 및 청소년군에서 더 높았고, 각막중심부 두께 변화량은 굴절력 감소 목표값과 상관성이 높았다. 결론: 각막굴절교정 렌즈 장기착용 후 나타나는 시력 변화는 각막중심두께 변화와 관계되고 이것은 굴절력 감소 목표값과 상관성이 높 으며 나이가 어린 착용자에서 빠른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것은 착용자의 나이가 많으면 각막굴절교정렌즈에 의한 상피조직의 반응이 느려지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본 연구결과는 각막굴절교정술에서 나타나는 여러 임상적인 증상 을 이해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롤투롤 인쇄전자 시스템에서 인쇄패턴의 두께와 표면조도에 관한 통계적 분석

        이창우(Chang Woo Lee),김남석(Nam Seok Kim),김창완(Chang Wan Kim) 대한기계학회 2013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7 No.3

        롤투롤 인쇄전자 시스템은 높은 생산성과 낮은 원가를 이점으로 인쇄전자 산업에서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인쇄기술 중 하나이다. 이러한 롤투롤 인쇄전자 시스템에서 인쇄패턴의 특성은 인쇄물의 기능적 성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쇄패턴의 특성을 결정짓는 주요 인자들이 특별히 인쇄패턴의 두께와 표면 조도에 미치는 영향성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다. 실험계획법을 적용하여 인쇄패턴의 두께와 표면조도에 대한 각 인자의 주효과 및 교호작용 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고, 분산분석을 통해 유의한 인자를 찾아내었다. 또한 이에 따르는 통계적 모델이 주요 인자의 함수로서 개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롤투롤 전자인쇄 시스템의 특징에 따라 요구되는 인쇄패턴의 특성을 얻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oll-to-roll (R2R) printed electronics system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technologies for the printed electronics industry because of several advantages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cost. In the R2R printed electronics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nted patterns are an important issue that determines the functional quality of the printed matter. This study analyzed how several main factors may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printed patterns, especially the thickness and surface roughness. The statistical model for estimation of the printed pattern was developed as a function of the main factors using the design of experiment (DOE) methodology.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R2R printed electronics system can be designed to control the characteristics of printed patterns.

      • KCI등재

        긴장을 가한 보강 플레이트로 보강된 RC 보의 휨보강 효과

        하상수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3 No.1

        Fiber-reinforced polymer (FRP) composites have proved to be reliable as strengthening materials. Most of existing studies used single types of FRP composites. Therefore, in this experimental study, carbon FRP sheet, aramid FRP sheet, and hybrid FRP plate including glass fibers were fabricated, and the effect of pre-stressed FRP composites on flexural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RC) beams was investigated. In total, eight RC beam specimens were fabricated, including one control beam (specimen N) without FRP composites and seven FRP-strengthened beams. The main parameters were type of FRP composite, the number of anchors used for pre-stressing, and thickness of FRP plates. As a result, the beam strengthened with pre-stressed FRP plate showed superior performance to the non-strengthened one in terms of initial strength, strength and stiffness at yielding, and ultimate strength. As the number of anchors and thickness of FRP plate (i.e., amount of FRP plates) increased, the strengthening effect increased as well. When hybrid FRP plates were pre-stressed, the strengthening effect was higher in comparison with pre-stressed single type FRP plate. 본 연구는 탄소섬유시트, 아라미드섬유시트, 그리고 유리섬유시트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FRP 플레이트를 제작하였으며, 제작한 보강 플레이트를 보강한 후, 최대한의 휨 보강 효과가 발생되도록 다시 보강 플레이를 긴장시켜 RC보의 휨 보강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긴장시키는 보강방법을 제시하는 동시에 무보강 실험체에 비해 보강효과가 어느 정도 되는지 실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실험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8개의 RC 보 부재를 동일하게 제작하여 1 개의 실험체(N 실험체)를 제외한 7 개의 실험체는 보강재 종류, 단부 정착 앵커 개수, 보강재 두께 등을 주요 변수로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휨 거동을 보이는 실험체에 긴장을 가한 FRP 플레이트로 보강하면, 보강하지 않은 실험체에 비해 우수한 휨거동(초기강도, 항복시 강도 및 강성, 최대강도 등)보여 주었으며, 단부정착 앵커의 개수가 많고, 보강재의 두께(보강량)가 클수록 보강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긴장시킨 보강재는 단일 FRP 플레이트에 비해, 하이브리드 FRP 플레이트를 적용했을 때 보강효과가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시편두께 및 균열깊이 영향을 고려한 비표준시편의 J 시험법 및 구속효과의 정량화

        김진수,조수만,김윤재,김영진,Kim, Jin-Su,Cho, Soo-Man,Kim, Yun-Jae,Kim, Young-Jin 대한기계학회 2003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7 No.9

        This paper compiles solutions of plastic $\eta$ factors and crack tip stress triaxialites for standard and nonstandard fracture toughness testing specimens, via detailed three-dimensional (3-D) finite element (FE) analyses. Fracture toughness testing specimens include a middle cracked tension (M(T)) specimen, SE(B), single-edge cracked bar in tension (SE(T)) and C(T) specimen. The ligament-to-thickness ratio of the specimen is systematically varied. It is found that the use of the CMOD overall provides more robust experimental J estimation than that of the LLD, for all cases considered in the present work. Moreover, the J estimation based on the load-CMOD record is shown to be insensitive to the specimen thickness, and thus can be used for testing specimen with any thickness. The effects of in-plane and out-of-plane constraint on the crack tip stress triaxiality are also quantified, so that when experimental J value is estima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recommended in this paper, the corresponding crack tip stress triaxiality can be estimated. Moreover, it is found that the out-of-plane constraint effect is related to the in-plane constraint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