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만금호 유입하천의 수질과 유사 특성 (2008년)

        이흥수 ( Heungsoo Lee ),조영권 ( Youngkweon Cho ),류인구 ( Ingu Ryu ),정희영 ( Heeyoung Jeong ),정세웅 ( Sewoong Chu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새만금호 체절 이후 예상되는 유입 유사의 장기적인 퇴적변화와 관리대책 수립을 위해 하천 유입수의 수질과 유사 특성을 조사 중이며, 본 논문은 1차년인 2008년도 실험결과에 해당한다. 새만금호 내로 유입되는 부유사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만경강의 대천지점과 동진강의 신태인지점에서 강우시 1회(‘08년 8월 17-18일), 비강우시 3회(’08년 8월 5일, 10월 10일, 11월 10일)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조사지점의 단면을 등간격(좌안, 중앙, 우안)으로 나누어서 부유사 채취기(D-74)와 하이드로채수기를 이용하여 시료를 대표성 있게 채취하였고, 수온, DO, pH, 전기전도도, 염도 및 탁도는 다항목 수질자동측정기인 YSI 6600 meter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실험실에서 SS, VSS, CODMn, T-N, T-P 등의 항목을 수질오염공정시험법에 준하여 즉시 분석하였다. 비강우시 조사결과,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계절적 영향이 지배적인 수온의 범위(평균)는 각각 15.0~30.9℃(22.4℃), 14.4~26.4℃(20.1℃)로 만경강에서 평균 2.3℃ 높았고, DO의 평균값(범위)은 각각 8.4 mg/L(7.6~9.3 mg/L), 10.1 mg/L(8.3~12.8 mg/L)로 동진강에서 평균 1.7 mg/L 높았다.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pH의 평균값은 각각 7.5와 7.3으로 차이가 미미하였고, 탁도(SS 농도)의 평균값은 각각 3.5 NTU(7.7 mg/L) 및 18.6 NTU(20.6 mg/L)로 동진강에서 높았다.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수중에 용존되어 있는 이온들의 총량을 나타내는 전기전도도의 평균값은 각각 1,049.3 μS/cm, 202.8 μS/cm로 만경강이 동진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 5배정도 높았다. 이는 염도의 평균값이 각각 0.5 psu(practical salinity unit)와 0.1 psu로 만경강이 동진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 5배정도 높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유기물 농도의 간접지표인 COD를 평균값으로 비교하였을 경우, 만경강(12.6 mg/L)이 동진강(5.4 mg/L)에 비해 상대적으로 2.3배 높았다. 또한 영양염류인 T-N과 T-P의 농도도 만경강이 동진강에 비해 3배 높았고, 특히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T-P중 PO4-P가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80.9%, 24.0%로 만경강은 무기인, 동진강은 유기인의 함량이 풍부하였다. 만경강에서 용존상 무기인 비율이 높은 것은 전주, 익산에서 유입하는 하수처리 방류수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2001년 정부종합대책에서 제시된 침전지 등 만경수역의 유입부 수질관리 대책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판단된다. 강우시 조사결과, 만경강에서 유기물과 영양염류의 농도는 평균 2~3배 급감하였다. 동진강의 경우, 탁도와 SS(VSS) 농도의 평균값은 각각 77.6 NTU, 154.5 mg/L(16.2mg/L)로, SS가 높을수록 무기물의 함량이 많았다. 또한, 유기물과 영양염류의 농도는 평균 1.2~1.6배 증가하였다. 2008년 홍수기 동안 강우량이 적어 다양한 유량 조건에서 부유사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지 못하였으나, 2009년도의 다양한 유량 조건에서 부유사의 이화학적 특성자료를 분석하여 신뢰도를 높일 계획이다.

      • 새만금 유역 유입하천 하상퇴적물의 이화학적 분석

        한아원 ( Ahwon Han ),조영권 ( Youngkwon Cho ),이희선 ( Heeseon Lee ),이흥수 ( Heungsoo Lee ),정세웅 ( Sewoong Jeong ),조영철 ( Youngcheol Cho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호의 상류유역인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의 하상 퇴적물이 내부오염원으로서 새만금 수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이들 지역에 퇴적물 중 유기물과 총질소, 총인을 분석하여 오염정도를 파악하였다. 퇴적물 시료는 2008년 8월부터 11월까지 3회에 걸쳐 두 강의 상류와 중류, 하류에서 각각 채취하였으며, 각 지점에서 좌안, 중앙, 우안으로 구분하여 시료를 채취하였다. 만경강과 동진강의 상류와 중류에서 채취한 퇴적물의 토성은 모두 “sand"로 분류되었다. 하류 일부 지점에서 silt 입자의 비율이 0.78~89%의 범위로 지점 또는 채취시점에 따른 변이가 컸으며, 토성도 “sand", "loamy sand", "sandy loam", "silt loam" 및 ”loam"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만경강에서 채취된 퇴적물에서 강열감량은 상류와 중류에서 각각 평균 1.39±0.40, 1.30±0.62%로 측정되었으며, 하류에서는 평균 1.73±0.41%로 상류나 중류에 비해 약간 높은 값이 나타났다. 동진강의 경우 상류와 중류에서 일부 변이가 크게 나타나는 지점을 제외하고, 만경강과 거의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하류에서는 평균 4.13±2.09%로, 만경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만경강 상류, 중류, 하류 퇴적물 중 COD 평균값은 각각 0.54±0.27, 0.64±0.51, 0.64±0.47 mg/g-sediment이었으며, 동진강의 경우 각각 0.64±0.77, 1.01±1.36, 1.77±1.15 mg/g-sediment로 측정되었다. 두 지역에서 측정된 강열감량과 COD 결과는 한강 하류와 팔당호, 대청호 퇴적물의 준설 기준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만경강 퇴적물에서 측정된 총질소의 양은 1.21~1.94 mg-N/g-sediment로 나타났으며, 중류의 좌안 퇴적물에서 이상적으로 높은 값이 측정되었고, 하류로 내려갈수록 농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동진강의 경우에는 상류, 중류 및 하류 지점에서 각각 평균 1.25, 1.83, 2.63 mg-N/g-sediment로 나타났다. 이는 팔당호 퇴적물 준설 기준보다 대부분 상회한 것이며, 일부 지점에서는 한강 하류 퇴적물 준설 기준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만경강 퇴적물에서 총인의 농도는 상류, 중류, 하류 지점에서 각각 평균 0.07, 0.11, 0.21mg-P/g-sediment로 하류로 갈수록 총인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동진강의 경우에는 상류, 중류, 하류 지점에서 각각 평균 0.15, 0.20, 0.21 mg-P/g-sediment로 만경강 퇴적물과 큰 차이가 없었다. 두 강의 총인의 농도는 팔당호 및 한강 하류 퇴적물 준설 기준에 비해 매우 낮았다. 만경강과 동진강의 하상 퇴적물의 오염도를 분석한 결과, 현재 오염이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며, 만경강과 동진강의 하상퇴적물이 내부 오염원으로 새만금 수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새만금 방조제 체절로 인한 오염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만경강과 동진강 퇴적물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동진강 생태역사문화 자원의 현황과 활용

        김보국 ( Kim Boguk ),김상욱 ( Kim Sang Wook ),천정윤 ( Chun Joungyoon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건지인문학 Vol.- No.34

        지금까지 동진강에 대한 연구는 크게 환경과 역사, 문화, 농업 등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대부분의 연구를 차지하는 환경과 생태는 특정지역의 환경오염의 측정과 생태 환경 등에 집중되었고, 역사와 문화, 농업 역시 특정 주제를 세부적으로 다뤄왔던 반면에, 동진강의 생태환경과 역사문화를 전체적으로 조망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그리고 동진강 유역 주변의 생태환경과 역사문화를 통합하여 지역 발전 전략을 도출하는 연구가 부족하였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생태 환경과 역사·문화를 통합하여 이 지역을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장소로 만드는 작업의 밑그림을 그리고자 하였다. 따라서 동진강 유역의 생태와 역사, 문화 자원의 현황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동진강의 지역 여건에 특화된 생태 보전, 생태 복원, 생태 및 역사와 문화의 융합, 활용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훼손된 생태계와 문화의 복원, 자연과 인간이 공존공생하는 생태·문화 창출 그리고 생태와 문화를 현세대와 미래세대가 함께 누리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기본방향으로 설정하였다. UNESCO MAB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동진강이 핵심(환경보전), 완충(복원필요), 협력(환경이용)구역으로 구분하는 공간관리 방향을 정하였다. 생태자원이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면서 하천주변지역의 생태자원과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계획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거점공간으로 백산성~동진강 휴게소 구역 및 무성서원 구역을 선정하였다. 거점공간은 천연기념물인 황새를 비롯한 금개구리, 꼬리명주나비 등 다양한 생태자원을과 동학농민혁명, 무성서원 등 역사문화자원이 풍부한 지역들이다. UNESCO MAB 프로그램에 따라 거점공간들을 핵심지역, 완충지역, 협력구역으로 구분하였다. 핵심구역은 지역에서 출현하는 천연기념물이나 멸종위기종을 중심으로 깃대종을 선정하고 깃대종과 주요 생물종의 서식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완충구역은 핵심구역에 서식하는 생물종을 관찰, 체험, 교육 등 제한적 활동이 이루질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협력구역은 역사문화자원과 마을이 있는 공간으로 동진강에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생태와 역사문화를 적극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So far, the study on the Dongjin River has been focused on environment, history, culture, and agriculture. The environment and ecology that occupy most of the research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specific region, and history, culture, and agriculture have also dealt with specific topics in detail, in the specific region. but the research that looks at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culture of the Dongjin River as a whole is insignificant. And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to draw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by integrating ecologic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culture around the Dongjin River basin.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integrate ecological environment, history and culture to make this area a place where human beings and nature coexist. Therefor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ecology, history, and cultural resources of the Dongjin River basin was briefly reviewed and then the ecological conservation, ecological restoration, fusion of ecology and historical culture, and utilization plan of the Dongjin River were presented in detail according to local conditions. Restoring damaged ecosystems and cultures, creating ecology and culture in which nature and humans coexist, and establishing a sustainable future in which the current generation and future generations enjoy ecology and culture together. Based on the UNESCO MAB program, the direction was set to divide the Dongjin River into core area(environmental conservation), buffer area(recovery need), and transition area(sustainable use). The plan was designed to implement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plans by utilizing ecological resource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round rivers while maintaining biodiversity of ecological resources. The rest area of Baeksanseong-Dongjin River and Museongseowon area were selected as the main spaces. The main space is a region rich in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such as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Museong Seowon, focusing on various ecological resources such as Oriental stork, Gold-spotted Pond Frog, and Sericinus montela. According to the UNESCO MAB program, the main spaces were divided into core area, buffer area, and transition area. In the core area, representative species were selected among natural monuments and endangered species in the area, and the habitat was planned to be provided to representative species and major species. In the buffer zone, limited activities such as observ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 of species living in the core area were planned. In the transition area, people visiting the Dongjin River are planned to actively experience ecology and history culture.

      • LC-Orbitrap/MS와 통계기법을 이용한 만경·동진강 수계 오염물질 탐색기법 연구

        이혜리 ( Hyeri Lee ),김형섭 ( Hyoung-seop Kim ),서지원 ( Jiwon Seo ),전다래 ( Darae Joen ),홍선화 ( Seonhwa Hong ),김준우 ( Junwoo Kim ),최종우 ( Jong-woo Choi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국내 등록된 화학물질은 약 53,000 여종이 있으며, 이러한 화학물질은 다양한 산업활동 등에 따라 대기, 수질, 토양 등 환경매체로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오염물질을 Online-SPE가 연계된 LC-Orbitrap/MS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 기법을 통하여 해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점은 농업지역, 산림지역, 도심지역 및 축산단지 등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만경강과 동진강 수계에서 각각 9지점씩 총 18지점을 선정하였다. 분석대상물질은 농약류 315종 및 의약 물질 52종을 선정하였으며, 시료(1 mL)을 Hypersil Gold aQ 컬럼(20 × 2.1 mm, 12 μm)이 장착된 Online-SPE로 농축하여 LC-Orbitrap/MS(Q Exactive Plus with Dionex Ultimate 3000-Q)로 분석하였다. 수질시료 분석결과 농약류 35종과 의약물질 16종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농도는 정량한계 미만에서 최대 0.986 μg/L로 검출되었다. 분석대상물질 중 amisulbrom, carbendazim, chlorantraniliprole, metolachlor, propisochlor, tebuconazole, felbamate, naproxen이 10지점 이상에서 검출되었으며, alachlor(LOQ∼0.926 μg/L)와 amoxicllin(LOQ∼0.986 μg/L)는 검출빈도는 높지 않았으나 다른 지점에 비해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지점과 검출항목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heat map과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동진강 상류와 만경강 상류 지점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각 지천내 지점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PLS-DA를 이용한 주성분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이때 지점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출농도를 정규화(Normalization)하여 분석하였다. 정규화 방법은 대상물질의 검출농도와 검출농도 최소값 간의 차이를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정규화 전에는 뚜렷하지 않았던 지점간의 차이가, 정규화하여 주성분 분석을 한 결과, 동진강과 만경강 간의 구분이 뚜렷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진강에서는 농약류(metoxyfenozide, tebufenozide, fenoxanil 등)가 1.0 이상의 높은 VIP 값을 보였으며, 만경강에서는 의약물질(ketoprofen, carbamazepine, naproxen, bezafibrate 등)이 높은 VIP 값을 보여, 동진강과 만경강 유역이 각각 농업지역과 도심지역(전주시)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성분 분석시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농도 비교만으로 확인할 수 없었던 지점과 검출항목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기법을 통해 최근 많이 시도되고 있는 비표적 분석연구에서도 방대한 양의 결과를 해석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후보

        동진강 유역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선정을 위한 수질 변화 특성 연구

        강기철 ( Ki-cheol Kang ),김재승 ( Jae-seung Kim ),원찬희 ( Chan-hee Won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3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4 No.5

        본 연구에서는 동진강 유역 4대하천인 동진강, 정읍천, 고부천, 원평천 수계의 수질변화 특성을 파악하였다. 우선 수질측정망 측정지점을 기준으로 해당유역의 지목별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고, 해당유역의 배출부하량을 산출하였다. 이들을 토대로 측정망 수질자료를 활용, 수질변화를 분석하였다. BOD의 경우 대부분 농번기인 5~6월이 연평균보다 20~60 %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TN의 경우 건기인 11~2월에 높게 나타났다. 고부천의 경우 측정망 최상류지점인 GB1 유역이 수계 수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평천 WP1 유역의 경우 농경지 비율이 낮은 데도 불구하고 농번기의 BOD농도가 연평균 보다 60 %정도 높아 이 유역의 농경지 관리가 요구된다. GB1 및 WP1 유역의 경우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해 유역을 좀 더 세분하여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정읍천 및 동진강의 경우 수질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유역은 CW(천원천) 유역과 JE4 유역으로 나타났다. 동진강 유역의 BOD는 농경지가 주 요인이며, 농번기의 농경지 관리가 요구된다. BOD저감을 위한 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한 지역은 고부천 GB1 유역, 원평천 WP1 유역, 정읍천 CW 유역이다. TN의 경우 축산폐수 및 생활하수 등이 주 요인이며,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지역은 고부천유역과 정읍천의 JE4 유역이다. In four streams of Dongjin River basin, consisted of mainstream Dongjin-River, Jungeup-cheon, Gobu-cheon, Wonpyeong-cheon, changes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were researched. Based on the monitoring points of water quality monitoring newtwork, the effluent loads was calculated, and the water quality change was analysed. BOD was 20-60 % higher in busy farming season from May to June than in the annual average. TN was higher in the dry season from December to February than in the annual average. In Gobu-cheon basin, GB1 basin was shown in highest effect of water quality deterioration. In Wonpyeong-cheon basin, WP1 basin was shown that BOD was 60 % higher in the farming season than in the annual average. GB1 and WP1 basins is necessary for monitoring non-point source management specifically In Dongjin-river and Jeongeup-cheon basin, CW(Cheonwon-cheon) and JE4 basins was shown in highest effect of water quality deterioration. In Dongjin-river basin, agricultural land is a major cause of deterioration of BOD. So there is a need to manage agricultural land of the busy farming season. For BOD reduction, non-point source management of GB1, WP1 and CW basins is needed. Livestock wastewater and sewage is the main cause of deterioration of TN. For TN reduction, non-point source management of Gobu-cheon and JE4 basins is needed.

      • KCI등재

        하절기 새만금호 유입유사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오경희(Kyoung Hee Oh),정세웅(Se Woong Chung),조영철(Young Cheol Cho) 大韓環境工學會 2015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7 No.2

        만경강과 동진강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사가 새만금호의 오염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만경강과 동진강의 상류부터 새만금호 유입지점까지 각 4개의 유사 트랩을 설치하고 2009년 6월부터 9월까지 유사를 채집하여 유사의 침강률과 이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실험 기간 동안 단위 면적당 유입 유사의 침강률은 각각 0.01~5.06 kg/m2/day와 0.01~8.75 kg/m2/day 범위였다. 침강률은 하류에서 상류로 갈수록 높았으며, 강우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 났다. 유사 중 유기물의 농도는 하상 퇴적물에 비해 3.3~9.6배 높았으며, 홍수기 이후에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유역 내 비점 오염원으로부터 유입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질소와 총인의 오염도도 유기물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 과로부터 만경강과 동진강으로 유입되는 유사에서 유기물, 총질소, 및 총인의 오염도가 높았으며, 새만금호의 수질 관리를 위하여 유역 오염원에 대한 집중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o estimate the effects of suspended sediments flowing into the Saemangeum Reservoir on the extent of contamination of the reservoir, the suspended sediments were collected with sediment traps, which were installed from the upstream of the Mankyung and Dongjin Rivers to estuary of the reservoir, respectively, and the sedimentation rates an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ediments were analyzed. The sedimentation rates in the Mankyung and Dongjin Rivers were ranged from 0.01~5.06 and 0.01~8.75 kg/m2/day, respectively. Those were higher to the upstream of rivers, and were mainly affected by flood events.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s were from 3.3 to 9.6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stream sediments and were higher after flood season, indicating the contaminants come from the non-point sources on the basin. The concentrations of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in the suspended sediments showed the same trend with the organic matt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spended sediments from the basin of the Mankyung and Dongjin Rivers are highly contaminated and the countermeasures to manage the sources of contamination on the basin are required to maintain the water quality of the Saemangeum Reservoir.

      • KCI등재

        전북지역 마한·백제묘제의 양상과 그 의미

        최완규 ( Choi Wan-kyu ) 백제학회 2016 백제학보 Vol.0 No.18

        전북지역의 지형은 동고서저로서 금강하구·만경강·동진강 등 세 하천이 서해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이들 세 하천을 중심으로 선사시대부터 끊임없는 문화 활동이 이루어져 왔고, 마한에서 백제시대에 걸쳐 각기 다른 분묘 축조양상을 보이고 있다. 금강하구역은 백제 한성기부터 사비기에 이르기까지 대외관문으로서 교통의 요충지였을 것으로 백제 중앙으로부터 꾸준한 관리대상 지역이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기층문화라 할 수 있는 마한 분구묘가 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다른 지역과 달리 5세기 중엽부터 백제 석축묘가 축조되었음이 확인된다. 만경강을 중심으로 남과 북의 익산이나 완주·전주지역에서는 점토대토기와 흑도장경호가 부장되는 토광묘가 제의유적과 더불어 집중적으로 발견되고 있는데, 마한 정치체 성립의 주체세력으로 상정된다. 따라서 이 지역에는 마한문화의 전통이 다른 곳보다 강하게 유지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곧 백제 영역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마한 분구묘 축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전주 혁신도시의 발굴조사 결과, 백제 석축묘의 축조과정에서도 마한 분구묘의 주구굴착 전통이 횡혈식석실분에도 지속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동진강유역의 정읍 고부지역에는 운학리나 지사리와 같이 마한 분구묘가 제법 규모를 갖추고 있어 지배자 계층의 분묘로 추정된다. 이들 유적과 동일한 시간축에 있는 김제 벽골제는 강력한 경제적 기반이 되었고, 부안 백산성은 물류 거점과 같은 역할을 했을 것으로 발굴결과 확인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사비시대에 지방통치의 거점이 되는 백제 중방 고사부리성이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중방성의 치소는 고사부리성이며, 은선리 고분군을 비롯한 백제 횡혈식석실분이 집중적으로 축조되고 있는 점은 백제 중앙세력의 진출을 증명하고 있다. 특히 고창 오호리 3호 석실분에서 출토된 청동인장은 백제 지방행정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결국 전북지역의 백제문화는 강력한 마한문화 전통 위에서 금강하구·만경강·동진강 유역을 중심으로 각 각의 정치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전개되어 간 것으로 살필 수 있다. The geographical terrain of the Jeonbuk area is characterized by high elevation in the east and low elevation in the west, which allows for the flow of the Geumgang River, Mangyunggang River, and Dongjingang River into the Yellow Sea. Since prehistoric times, the area around the three rivers has been the center of cultural activities and from the Mahan Period until the Baekje Period, tomb construction methods went through varied degrees of changes. The estuary of the Geumgang River, serving as the external gate of the region was a strategic traffic point from the Hansung Baekje Period to the Sabi Baekje Period. Hence, the region must have been constantly under surveillance by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Baekje Kingdom. Consequently, Mahan mound tomb, which can be regarded as representative of the region`s basic culture, ceased to evolve and gave way in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o the stone chamber tombs of the Baekje Period. This wasn`t the case in other regions where Mahan mound tombs continued to be used. A series of pit tombs were discovered along with ritual relics in the areas south of the Mangyunggang River, north of this river in Iksan, and in Wanju and Jeonju areas. Inside these pit tombs were clay stripe potteries and black neck earthenwares and it is hypothesized that these tombs belonged to the ruling class that founded the Mahan Kingdom.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in these regions, Mahan traditions were maintained better than in other places. In fact, even after the Baekje domination of the region, Mahan tombs continued to be constructed. Furthermore, archaeological excavations carried out in the Jeonju Innovation City revealed that the Mahan tradition of digging ditches around the tombs continued well into the Baekje tomb construction process for tunnel style stone chamber tombs. The Mahan mound tombs that could be found in the Jeongeup Gobu region of the Dongjin River basin are speculated to be the tombs of the ruling class because of their considerable sizes. The Gimje Byeokgolje Reservoir, which belongs to the same historical period as these remains, was a strong economic base for the region. Excavations confirm that the Baeksan Fortress in Buan played the role of a distribution point. This served as the foundation on which the Baekje Kingdom`s Gosaburi Fortress was built - a site that would become the hub of regional rule in the Sabi Period. The main seat of power in the central castle was the Gosaburi Fortress. The concentration of Baekje tunnel style stone chamber tombs that have been excavated here and in Gobun-gun, Eunseon-ri, prove that the region was occupied by the main forces of Baekje. Particularly, the bronze seal found in the stone chamber excavated in Gochang, Oho-ri, provides a snapshot of regional administration during the Baekje Period. It can be said in conclusion that the Baekje culture of the Jeonbuk region was built on the foundations of Mahan cultural traditions and inspired separate polit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long the Geumgang River, the Mangyunggang River, and the Dongjingang River basins.

      • KCI등재

        홍수기 만경강 및 동진강 유입 유사량 특성분석

        김형산(Hyung San Kim)(金炯山),맹승진(Seung Jin Maeng)(孟昇辰),정세웅(Se Woong Chung)(鄭世雄),김태우(Tae Woo Kim)(金兌祐)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2 Crisisonomy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호 만경강유역의 대천 수위관측소 지점과 동진강유역인 신태인 수위관측소 지점에서 유량조사, 유사량 조사, 하상 퇴적물 조사 및 장기유출량 분석을 실시하여, 홍수재난 방지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인 새만금호내로 유입되는 총유사량과 비유사량을 유역면적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유사량은 수정 아인쉬타인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홍수기를 포함한 장기간 유입 유사량 산정을 위한 유출량 자료는 HSPF 모형을 사용하여 7년(2002~2008년)간 모의하였다. 2002년부터 2008년까지 모의된 장기유출량과 지점별 유량-총유사량 관계 곡선식을 이용하여 산정된 대천 수위관측소 지점의 7년 평균 유입 유사량은 141,923(ton/yr), 신태인 수위관측소 지점은 96,716(ton/yr)로 나타났다. 홍수기인 6월~8월까지의 평균 유입 유사량은 대천 수위관측소 지점에서 132,650.3(ton/yr), 신태인 수위관측소 지점에서 77,046.9(ton/yr)로 산정되었다. 대천과 신태인 수위관측소 지점실측자료를 바탕으로 개발된 유량-총유사량 관계식과 장기유출량 분석으로부터 산정된 새만금호의 비유사량은 276(ton/㎢/yr)이며, 유입 유사량은 연평균 916,005(ton/yr)로 추정되었다. 향후 홍수재난 방지대책 수립을 위해 새만금호 유입 유사량 특성분석은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대천 및 신태인 수위관측소 지점에서 조사된 총유사량 자료를 활용한다면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ischarge, sediment load, bed-material investigation, and long-term runoff analysis were performed at Daecheon water level station in Mangyeong River and Sintaein water level station in Dongjin River. Aim of this study estimates total sediment load and specific sediment yield entering Saemangeum Lake. The Modified Einstein Procedure was applied to estimate total sediment load and then a sediment rating curve was derived using sediment load data, as measured in this study and measured by other institutes in 2005. Runoff data for estimating long-term data on sediment load entering the lake are available for long-term runoff simulations. The HSPF model was applied to simultaneously perform water volume and quality simulations. The simulations were performed for a period of seven years, from 2002 to 2008. Using the simulated long-term runoff from 2002 to 2008 and the sediment rating curve at two water level stations, the mean sediment load entering the lake was estimated at 141,923(ton/yr) at the Daecheon water level station and 96,716(ton/yr) at the Sintaein water level station. Based on the long-term runoff analysis and the sediment rating curve obtained from data gathered from Daecheon and Sintaein water level stations, specific sediment yield at Saemangeum Lake was estimated at 276(ton/㎢/yr), while the sediment load entering the lake was 916,005(ton/yr). The utilization of land and rivers in these regions vary with time. Therefore, these sediment load and analysis data better reflect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rivers than previous data.

      • Wintering Waterbirds at Dongjin River Estuary

        Kim, Hwa-Chung,Yoo, Jeong-Chil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소 1997 연구보고 Vol.6 No.1

        본 조사는 전라북도에 위치한 동진강하구에서 1996년 10월부터 1997년 4월까지 매월 2회 조사한 결과이다. 동진강 하구는 약 12,000㏊에 이르는 광활한 간척지, 2개의 간척호와 조간대 지역이 있다. 조사 기간 중 관찰된 수조류는 총 57종(미확인 9종 포함), 최대 81,375개체였다. 수조류의 대부분은 기러기목 조류(41.6%)와 도요목 조류(19.2%)였다. 최대 관찰수에서 우점종은 청둥오리(30.0%), 민물도요(10.8%), 흑부리오리(3.1%)와 흰뺨검둥오리(2.2%) 순이었다. 본 지역은 월동하는 수조류의 휴식 및 취식 장소로 비교적 안정되어 있으므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습지가 될 것 이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during October 20, 1996 - April 26, 1997 at Dongjin river estuary in Chollabuk-do, Korea. Dongjin river estuary has about 12,000 ㏊ of rice field, two lakes and mudflat for wintering waterbirds. Forty eight species of waterbirds were observed and a maximum count of 81,375 individuals were found in this period. Most of waterbirds were waterfowl (41.6%) and shorebirds (19.2%). The dominant species were Mallard (30.0%), Dunlin (10.8%), Common shelduck (3.1%) and Spotbill duck (2.2%). Many waterbirds were wintering at Dongjin river estuary. This area has provided a suitable roosting and feeding place for waterbirds. Therefore Dongjin river estuary has potential as a wintering place for waterbirds and it may possibly become an internationally important wetland, evaluated by the Ramsar convention criteria. However, many parts of this wintering site are disappearing with the reclamation.

      • KCI등재

        새만금호 유입 하천 하상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오염도 분석

        오경희(Kyoung Hee Oh),유미나(Mi Na Yu),조영철(Young Cheol Cho) 大韓環境工學會 201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3 No.12

        새만금호로 유입되는 만경강과 동진강의 하상 퇴적물의 오염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퇴적물 중 강열감량, COD, 총질소, 총인 및 중금속(As, Cd, Cr, Pb, Zn)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강열감량, COD, 총인의 농도는 각각 평균 2.40 (±2.18)%, 2.97 (±3.06)mg/g sediment, 0.370 (±0.351) mg/g sediment이었으며, 이들 물질에 의한 퇴적물의 오염도가 높지 않았다. 하지만 2008년에 비해 2009년의 시료에서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퇴적물의 오염이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총질소의 경우에는 0.59~13.11 mg/g sediment로 채취 지점 및 채취 시기에 따라 변이가 컸으며, 국내 하천 및 호소의 퇴적물 준설 기준과 비교할 때, 질소 오염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새만금호의 수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만경강과 동진강의 질소오염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의 수립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중금속의 경우에는 크롬을 제외하고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지 않아 오염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크롬의 경우, 만경강 상류의 일부 지역에서 우려기준을 초과하는 높은 농도가 측정되어, 이에 대한 원인 분석과 대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tent of contamination of the sediments on the Mankyoung and Dongjin Rivers flowing into the Saemangeum Reservoir, the concentrations of ignition loss (IL), COD,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and heavy metals (As, Cd, Cr, Pb, Zn) were measured.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IL, COD, and T-P were 2.40 (±2.18)%, 2.97 (±3.06) mg/g sediment, 0.370 (±0.351) mg/g sediment, respectively, showing the extent of contamination is not serious.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these parameters in the samples taken in year 2009 were higher than those in year 2008, indicating the contamination of sediments goes on gradually. The concentrations of T-N were in the range of 0.59~13.11 mg/g sediment with variation of locations and seasons. It was determined that the T-N contamination is serious when the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with the dredging guidelines of sediments in the Korean freshwaters, indicating the countermeasures are required to maintain the water quality of the Saemangeum Reservoir.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except chromium did not exceed the worrisome level of soil contamination stipulated by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of Korea. The high concentration of chromium to be concerned in some samples from the upstream of Mankyoung River requires source analysis and countermeasure to control the cont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