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3장 안중근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09 민족사상 Vol.3 No.1

        The existing Studies on the political thought are very deficient. In this point, this thesis analyses the An Choon-Gun in terms of political thought. Above all things, premise of the study on the political thought of An Choong-Gun is the consideration on the her basic knowledge about human beings and state. His human viewpoint is pointed at the human dignity toward human being as the unit. And he stressed on the people‘s responsibility and role about state. Next, the state viewpont of An Choong-Gun is centering on the concrete will about state dependency. and he has a faith on the solidarity between I and state. With this basic human viewpoint and state viewpoint is stretched his political thoughts. First, the political thought of An Choong-Gun is expressed as the theory on the state building basing education. He stressed on the interrelations the national crisis and the education advancement. Secondly, he emphasized the theory of independent war. Thirdly, he laid down the theory of people’s sovereignty instead of the polity of kin. Finally, he has aserted the theory of oriental peace. The theory of oriental peace is the essence of his thoughts. 안중근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 있어서 정치사상적 차원에서의 연구는 비교적 미진한 편이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안중근의 사상을 정치사상이라는 차원에서 분석하고 있다. 안중근의 정치사상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안중근이 지니고 있는 인간과 국가에 대한 기본적 인식을 고찰해야 한다. 우선 안중근의 인간관은 개체로서의 인간의 존엄성을 추구하고 있다. 그리고 국민의 국가에 대한 의무와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다음으로 안중근의 국가관을 살펴보면 우선 국가의 존재성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지니고 있고 국가와 나 간의 연대성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인간관과 국가관을 가지고 그는 자신의 정치사상을 펼치고 있다. 첫째, 안중근의 정치사상은 교육입국론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는 나라의 위기를 교육의 증진으로 극복하려고 하였다. 즉 교육함양과 국난의 연계설을 주장하고 있다. 둘째, 그는 독립전쟁론을 강조하고 있다. 독립전쟁론은 일제라는 부당한 제국주의의 뿌리를 완전히 근절한다는 의미이다. 세 번째, 자유민권론이다. 그는 군주정을 비판하고 인민주권설을 주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동양평화론이다. 동양평화론은 그의 사상의 진수로 자신의 사상의 최종적 귀착지이다. 이러한 정치사상은 고립된 민족주의를 넘어 세계주의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편적 사상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강정인의 ‘동・서 통섭(通涉)’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상익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3

        Professor Kang Jung In became renowned for his specialty in Western political philosophy at the beginning. Later, for the consilience of East and West, he devoted himself to the study of the Eastern political philosophy with an endeavor for the recovery of its due respect. Especially he focused on the Confucian political thoughts that earned him two academic achievements. First, Prof. Kang conceptualized ‘the great consensus democracy’ by unearthing related materials. While previous literature has paid attention narrowly to the great consensus that appears in the Book of Rites, he noticed that ‘the great consensus(大同)’ appears in the Book of Document’s Hongbeom Chapter as well, and finally theorized the concept as a democratic model. Second, Prof. Kang found that Yulgok had renovated the Book of Rites’ concept of ‘the great harmony(大同)’ in his treatise, Seonghakjibyo (Collection and Summary of Sage Learning). Prof. Kang revealed the difference in conceptions of the great harmony between the Book of Rites and Seonghakjibyo, of which previously unaware by scholars. Although he was arbitrary in his interpret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to some extent, it is his contribution that the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ceptions came into our view. 강정인은 본래 서양 정치사상을 공부하여 입신(立身)하였으면서도, ‘동양과 서양의 통섭(通涉)’을 기치로 내걸고 동양 정치사상에 대해서도 열심히 공부하면서, 동양 정치사상에 대해 정당한 위상을 부여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강정인은 특히 유가 정치사상을 공부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 마침내 주목할 만한 연구 성과를 선보였다. 논자는 강정인의 유가 정치사상에 대한 연구 성과 가운데 특히 다음 두 가지를 높이 평가한다. 첫째는 서경 <홍범>의 ‘대동(大同, great consensus)’이라는 용어를 주목하고, 그와 관련된 자료들을 적극 발굴하여 ‘대동 민주주의의’라는 개념을 정립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자들은 ‘ 예기 의 대동’에만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는데, 강정인은 ‘ 서경 의 대동’을 주목하고 마침내 ‘위대한 합의(great consensus)로서의 대동 민주주의’라는 개념을 정립하게 된 것이다. 둘째는 율곡이 성학집요 <성현도통(聖賢道統)> 편에서 예기 의 ‘대동(大同, great harmony)’ 개념을 혁신했다는 사실을 간파해낸 것이다. 기존의 연구자들은 율곡의 대동에 대해서도 막연하게 기존의 대동 개념을 계승하는 것으로만 생각해왔을 뿐, 양자가 어떻게 다른지를 주목하지 않았었다. 그런데 강정인은 예기 의 대동 개념과 성학집요 <성현도통> 편의 대동 개념이 크게 다르다는 것을 간파하고, 그 차이를 정확하게 분석해낸 것이다. 다만 아쉬운 점은, 강정인이 이러한 논의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원전의 자료를 지나치게 작위적(作爲的)으로 해석했다고 느껴지는 경우도 없지 않다는 점이다.

      • KCI등재

        까우띨리-야(Kautilīya)와 한비

        고홍근(Kho Hong-Keun) 한국인도학회 2007 印度硏究 Vol.12 No.1

        아르트 샤-스뜨라와 한비자를 함께 읽은 사람이라면 전자에서는 교과서를 읽는 느낌을 받을 것이고 후자에서는 시사평론의 느낌을 받을 것이다. 바꾸어 말한다면 아르트 샤-스뜨라는 논리적으로 체계가 정연하지만 지루하고, 한비자는 산만한 느낌을 주지만 다양한 고사(故事)의 등장 그리고 현란한 문장으로 책에서 눈을 떼지 못하게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차이는 인도와 중국의 정치사상의 성격에서 비롯된다고 생각된다. 인도는 고대로부터 논리학과 수학이 발전하였고 사변적인 학문 풍조가 강했다. 인도에서 현존하는 고대 서적의 절대다수가 철학서, 명상서 등의 형이상학적 분야로 채워져 있다는 것도 이점을 잘 나타내고 있다. 반면 중국의 정치사상은 그 기본을 실천적 응용에 두어왔었다. 이런 목적을 가졌으므로 추상적 이론, 사상의 방법, 주장의 논리적 일관성, 혹은 개념화가 같으냐 다르냐의 문제에 관해서는 주의를 집중하지 않았던 것이다. 즉, 인도의 경우에 있어서는 지식자체의 정확성을 강조했고 중국은 실천을 더 중시했기 때문인 것이다. 이것이 아르트 샤-스뜨라와 한비자의 구조적인 차이를 낳게 했다고 생각된다. 까우띨리-야와 한비의 가장 큰 공통점은 전제군주제의 신봉자였다는 점이다. 그들은 전제군주제 이외의 정치제도에 대해서는 상상조차 하지 않았으며 모든 논의를 왕권의 강화와 안정에 집중하고 있다. 국토와 국민은 왕의 것이었고 국민의 희생을 바탕으로 한 부국강병도 왕자신 만을 위한 것이었고 국가는 왕의 야망을 실현시키는 도구에 지나지 않았다. 그들이 법치와 공정한 법 적용을 강조했지만 왕은 그 법의 적용대상에서 제외되었다는 점에서도 이 점이 잘 나타나고 있다. 단지 두 사람 사이에 차이가 있다면 까우띨리-야는 국가의 이익을 위해 왕이 봉사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졌던 반면 한비는 왕의 이익이 국가의 이익에 앞선다는 생각을 했다는 점이다. Kautilya and Han Fei were regarded as synonymous with unscrupulousness or crookedness and looked upon as something immoral. This shows a lamentable misapprehens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ir works. It is now widely recognized that the sinister reputations which have been their lot for centuries is thoroughly undeserved by them. Kautilya and Han Fei’s political philosophy are based upon their own experiences of affairs. They did not start with any preconceived notions about the nature of human beings and motive-springs of their actions. As a result of their actual experiences they found that politics cannot be regarded as a function of ethics. However, it is wrong to suppose that they disregards morality and ethics. The political ends which they regards as specially important are independence, security and well-ordered country. It is when they assert that in the political field the end justifies the means that their teachings are regarded as immoral and subversive. But it must not be forgotten that this doctrines is intended not for justifying an individual’s conduct as individual, but his conduct in political sphere.

      • KCI등재후보

        탄허(呑虛) 택성(宅成)의 경세학(經世學)과 요익행(饒益行) ― 유교적(儒敎的) 정치이상(政治理想)과 불교적(佛敎的) 국사자임(國師自任)의 회통(會通) ―

        권기완 ( Kwon Ki-wan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9 한국불교사연구 Vol.15 No.-

        본고는 탄허 택성(呑虛 宅成, 1913-1983)의 유교적 경세학(經世學)과 불교적 요익행(饒益行)의 회통(會通)이라는 측면을 중심으로 그의 현실 참여와 실천성을 중점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탄허는 유교의 전통적인 정치사상을 이상으로 삼아 현실적인 경세치용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불교적 요익중생을 실천하기 위해 국가 지도자의 국사(國師)나 왕사(王師)와 같은 역할을 자임(自任)하기도 했다. 지금까지 문헌으로 정리되지 않은 일화와 숨겨진 비화들을 발굴하여 정리함으로써 탄허의 현실참여의 면모를 직접 살펴볼 수 있게 했다는 점이 본고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탄허는 계룡산의 수도이전계획 등에도 적극 개입했는데 이는 그의 역학적 미래학에 입각한 것이었다. 그의 미래예지의 한 축을 형성한 김일부의 『정역』에 대한 해석은 후천세계에 대한 낙관적 인식과 민족불교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현재완료진행형으로 이어지고 있는 탄허의 미래학을 보다 깊이 분석하기 위해 정역팔괘에 나타난 십무극(十無極)과 수미도치(首尾倒置)의 분석을 통해 정음정양(正陰正陽)과 민본군말(民本君末)의 의미망을 고찰했다. 탄허가 남긴 미래학의 메시지를 더욱 선명하게 연구하기 위해서 한국의 불교학계는 앞으로 『정역』에 대해 보다 본격적이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anheo Taekseong(呑虛 宅成, 1913-1983)’s Interpenetration of the confucian view of governance and buddhistic beneficial service. Through this, I examined his perception of reality and its practical aspect. Tanheo had an active interest in practical use of East-asian Confucian political thought. In addition, he also took the role of a National teacher for national leaders in order to practice Buddhistic altruistic practice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we have unearthed anecdotes and hidden stories that have not been summarized in the literature so far, and through this, we can get a closer look at the actual participation of Tanheo. Tanheo has told the past presidents of Korea about their intuition and foresight about the future and has emphasized the optimistic future of Korea. They also informed them about the plans to relocate the capital to Gyeryongsan. These were all based on his original futurology. It was Kim Il-bu’s JeongYeok that formed an important part of his future foresight, which had the anticipation of the Posterior Grand Renewal and his nationalism.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gender equality and the inversion of upside and downside through the principle of Eight trigram of JeongYeok. The futurology of Tanheo can be said to be progressive. In order to more clearly study the message of future foresight by Tanheo, Korean Buddhist academics need to do a more thorough research on JeongYe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