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과 변화: 표준사회학적 인식과 동양사회사상적 상상력의 융합

        정학섭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4

        Over the past 20 years, The Association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has been tried to cover the classics and the philosophy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along wit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Standard Sociological tradition. In this study, I’m trying to show how we can move forward based on those thoughts. This research orientation of The Association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is the work of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new thinking systems and academic frameworks. In the meantime, Korean sociology is confined to the context of the United States, Europe, China and Japan. It is also a reflection of the fact that it was immersed in the so-called discourse of modernity and failed to develop the method of reading the classics. For those reasons, The Association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has been reflected on ‘In what context are we confined?’. The academic research or cultivation of The Association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are trying to go beyond the category of western centered ‘study as a profession’ at least. This attempt is simply acquiring knowledge and reaching the point that is off the discussion of the existing production-consumption theory. On the basis of such cultivation and orientation, we intend to thoroughly study and analyze the western-centered standard sociological framework. At the same time, as studying and reinterpreting ‘Asian Value’ or the philosophy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academic universality and global standard that are integrating both sides should be measured. As discovering and developing specific research topics and tasks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 from our perspective, it should interpret and set up the new outline through sociology or the social science’s objective concept, grammar and framework. There is no need to deny the strictness of the western standard sociological framework. There is also no need to contradict the so-called “The law of game” against the discourse system of philosophy and ideology, which is hardly followed in Western theoretical frameworks.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so-called “Invented Tradition” that is not inherent in the original value system, philosophy, and ideology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and its derived discourses, and move on to new reflective planning. 이 글에서는 표준사회학적 전통의 이론틀과 함께 동양사회사상의 철학 및 사상, 그 상상력의 틀을 아우르고자 하는 동양사회사상학회의 지난 20여 년의 궤적을 성찰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갈 지평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동양사회사상학회의 이러한 연구 지향(orientation)은 새로운 사유체계와학문적 틀을 구상하고 실행하는 작업이다. 그동안의 한국사회학이 미국과 유럽, 중국과 일본 등의 문맥에 갇혀 있고, 이른바 근대성(modernity)의담론에 몰입함으로써 동양사회사상의 고전에 대한 정독법(正讀法)을 학습하고 훈련하지 못했던 데 대한 반성 작용이며 문제제기이기도 하다. 동사학회는 최소한 ‘우리가 어떠한 문맥에 갇혀 있는가’를 정직하게 성찰하고자 했던 것이다. 동사학회의 학술 연구 내지 수양공부는 최소한 서구중심적 ‘직업으로서의 학문’ 범주를 뛰어넘어 보려 시도한다. 단순한 지식 습득과 교육전수의 기존의 생산소비론의 논의를 벗어나는 지점에 다다르려고 하는것이다. 이같은 수양공부와 지향의 터전 위에서 우리는 서구 중심의 표준사회학적 이론틀을 철저하게 학습하고 분석하면서 이와 함께 ‘아시아적 가치(Asian Value)’ 내지 동양사회사상의 철학 및 사상을 학습하고 재해석함으로써 양측면을 통합 내지 융합하는 학문적 보편성과 세계적 표준(global standard)을 가늠해야 한다. 동양사회사상 특유의 연구 주제와 과제를 우리의 시각에서 발견하고 전개하여 사회학 내지 사회과학의 객관적 개념, 문법, 이론틀을 통해 해석하고 새로운 틀을 정립해 나가야 한다. 서구의 표준사회학적 이론틀이 지니는 분석적 엄밀성을 부정할 필요가 없다. 서구적 이론틀에 경도된 철학 및 사상의 담론체계와 대척하는 이른바 ‘게임의 법칙’에 대립각을 세울 필요 또한 없다. 동양사회사상의 본래적 가치체계와 철학 및 사상 고유의 것이 아닌, 이른바 ‘만들어진 전통(Invented Tradition)’과 그에 파생한 담론들을 극복하여 새로운 성찰적기획(reflexive planning)으로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 KCI등재

        연기이론과 체계이론의 종합을 통한 새로운 사회학의 모색: 동양사회사상학회의 정체성 찾기의 한 사례

        유승무,김보경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1

        본 연구는 동양사회사상학회의 정체성 찾기의 한 사례로서 불교의 연기이론과 체계이론의 종합을 통한 새로운 사회학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동양사회사상학회는 지금까지 동양사상에 대한 철학적 연구와 사상적 연구를 넘어 사회학적 연구를 시도하였고, 한국학을 통한 한국사회의 특수성을 사회학적으로 해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대사회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문명 대안을 모색하였으며, 동양사상적 개념들과 한국사회의 고유한 개념들을 활용하여 한국사회의 사회현상에 유관 적합한 사회이론을 모색하였다. 학회는 위와 같은 네 가지의 관점에서 정체성을 찾아왔다. 그럼에도 불구하는 동양사회사상학회는 동양사회사상의 개념과 이론적인 자원을 활용하여 기존의 고전 사회학자들 및 현대 사회학자들의 /사회이론을 발전시키거나 극복하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불교의 연기이론과 루만의 사회적 체계이론 사이의 유상성뿐만 아니라 차이성을 각 이론의 인식대상과 인식론(방법론)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했으며, 그 구체적 차이에 기초하여 양자의 사회이론적 종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불교의 연기이론과 루만의 사회적 체계이론은 인식론적 차원에서 실체론을 부정하고 조건적 발생론(구성주의)를 채택하고 있다는 유사성을 지닌다. 다만 이 둘은 연구대상 설정 문제와 인식론 문제에서 결정적으로 다르다. 불교에서는 연구대상을 무아(無我)와 무상(無常)의 속성을 가진 공(空)한 존재로서의 인간에 두었지만, 루만은 인간을 배제하고 사회적 체계에 두었다. 단지 인간은 체계의 환경으로 설정한 것이다. 그러나 이 둘의 차이는 동시에 이 둘의 구조적 연동성이나 상호 의존성을 이론적으로 상정할 수 있게 하며 서로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한다. 인식론에서도 불교의 연기이론은 ‘만남(결합)의 인식론’으로, 루만의 체계이론은 ‘구별(차이)의 인식론’으로 볼 수 있는데, 각각이 지닌 특징이 방법론적 상보성을 가지게 한다. 이상은 동양사상과 서양사상의 대화, 동양의 특수한 사회현상과 어느 정도 일반화된 사회이론과의 대화를 통해 보편이론의 완성을 지향하려는 동양사회사상학회의 또 하나의 정체성으로 자리해 나가기를 기대하며 연구한 사례이다.

      • KCI등재

        친밀성의 위기를 넘어 동양사회사상의 바다로

        정승안 ( Jung¸ Seung-an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1

        사람은 누구나 미래를 궁금해하며 꿈꾸기 마련이다. 한국에서 사회학하는 사람들 중에는 청년기에 사회변혁을 꿈꾸었던 사람들이 많았다. 우리시대의 바로 앞을 걸어갔던 사회학자들은 대부분 이러한 계몽의 시대적 기획을 통해 각성되었으며, 변혁의 시대를 고민했던 세대들이다. 세계화와 정보화를 주된 키워드로 하는 오늘날의 시대에서 우리 사회학자들에게 2세대 선배들의 은퇴를 보는 감회는 새롭다. 그러나 이들은 우리동양사회사상학회와 같이 새로운 정체성을 통해 등장하는 작은 학회나 세대들에게는 오히려 새로운 길을 처음으로 열어가는 1세대에 가깝다. 한 인물과 그 세대에 대한 평가나 분석의 글이 지니는 위험성을 알면서도 조심스럽게 이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을 시도하는 이유이다. 선배교수의 은퇴에 비추어 우리 동양사회사상학회의 새로운 주춧돌로 삼고자 함이다. 건암 정학섭 선생은 1985년부터 현재까지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해왔다. 90년대 초반까지는 한국사회의 변혁운동의 흐름과 함께하며 지역의 노동운동 시민사회운동에 헌신하셨다. 이후 동양사상과 사회학의 만남을 주제로 하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2011년부터는 7년간 동양사회사상학회의 회장을 맡아 사회학적 관심의 동양사상적 지평의 확장에도 기여했다. 최근에는 현대사회의 위기의 다양한 양상에 대해 퇴계사상을 접목한 ‘친밀성’과 ‘성찰성’의 사회학을 화두로 하는 연구를 지속해왔다. 은퇴는 새로운 시작을 알린다. Gray세대와 함께 걸어가고자 하는 우리 학회 회원들의 마음을 담아 미래를 위한 자산이 되기를 바라며 글을 시작한다. Everyone dreams, wondering about the future. Many of the sociologists in Korea dreamed of social change in their youth. Most of the sociologists who walked right in front of our time were awakened through these enlightenment period projects, and were concerned about the era of transformation. In today's era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as the main keywords, it is refreshing to see the retirement of second-generation seniors. However, they are more like the first generation to open a new path for small institutions and generations that emerge through new identities, such as the Association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This is why they carefully attempt a sociological analysis of a person and his generation, knowing the dangers of writing about them and their generation. In light of the retirement of senior professors, we want to make it a new cornerstone of the Association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Gunam Jeong Hak-seop has been a professor of sociology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since 1985. Until the early 1990s, he devoted himself to the labor movement and civil society movement in the region, along with the transformation movement of Korean society. Since then, he has conducted various studies on the theme of the encounter between East Asian social thoughts and sociology. Since 2011, he has served as the president of the Association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for seven years,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the Oriental thoughts horizon of sociological interest. Recently, research has continued to be focused on the sociology of 'friendliness' and 'reflection', which incorporate Toegye ideas on various aspects of the crisis in modern society. Retirement marks a new beginning. I start writing with the hope of becoming an asset for the future with the hearts of our academic members who want to walk with the Gray Generation.

      • KCI등재후보

        동서양 사회복지 사상과 노인복지

        허철행 ( Ghul Hang Heu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6 동양문화연구 Vol.23 No.-

        서양의 사회복지 사상은 복지국가를 위한 제도적 장치와 물질적인 요건을 갖추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노인을 복지의 대상으로 객체화시키며, 사회가 감당해야 할 부담으로 치부하여 노인의 삶은 사회적으로나 노인 스스로도 부정적으로 인식된다. 서양의 복지사상이 한국노인복지 발전을 위한 시사점은 첫째, 서구복지의 박애주의는 한국노인복지의 외연을 확장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의 사회복지는 국가차원에서 충분한 수준으로 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노인복지의 수준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편은 박애주의에 근거한 민간 복지기구나 노인복지를 위한 사회단체, 또는 사회복지 기부 문화의 확장 등이다. 둘째, 자유주의의 현대적 재판이라고 할 수 있는 ‘신자유주의’는 한국형 노인복지의 구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셋째, 페이비언 주의, 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등은 노인복지체제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동양사상에 입각한 복지관련 철학은 서구의 복지사조의 한계를 보완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유교에서 노인은 지혜로운 사회의 스승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유교의 효와 경노사상을 근거로 노인들을 공경하는 사회적 분위기과 노인들의 지혜와 경륜을 활용하는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교에서의 노인의 이상적인 삶은 늙음을 자연스러운 변화로 수용하여 삶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불교 역시 죽음에 저항하지 말고 수용하면서 고행수련을 지속하면 득도의 순간에 삶의 고통에서 빠져 나올 수 있다고 하고 있다. 서양의 복지사상과 동양의 복지사상을 조화롭게 고려한 한국형 노인복지 패러다임의 방향으로 첫째, 노인복지의 물질적 조건이나 복지국가를 위한 제도적 장치에 있어서는 서구의 사회복지사상에 의한 운용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이상적인 노인상에 대해서는 동양의 복지사상이 강조되어야 한다. 노인들이 노인복지 정책형성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노인들이 그간 수련되었던 경륜과 지혜를 자신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사업이나 프로그램의 형성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동양사상에서 바라보는 이상적인 노인상은 늙어가는 과정을 삶의 당연한 일부로 기꺼이 수용하여 노년을 즐길 줄 아는 존재이다. 넷째, 동서양 복지사상의 융합에 의한 개선된 노인복지를 구현하기 위한 실질적인 수단으로 ‘노인공동체’ 건설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Eastern and Western welfare thoughts on the elderly welfare to probe better welfare policies for the aged. The Western welfare ideology provided the material condition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But, it holds negative perspectives on the elderly, considering the aged both the object of welfare and the burden of community and nation. Meanwhile in Eastern social welfare thoughts, the aged were wise mentors with maturity and experience. Through comparing Eastern and Western thoughts on the elderly welfare, this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hile Western welfare ideology is still necessary as long as it supports material condition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Eastern welfare ideology needs to be applied to address problems of the existing policies. Eastern thoughts suggests that more opportunities needs to be allowed for the elderly to participate in the welfare policy processes, various services needs to be provided for them to enjoy the livies and feeling of old. This study suggests “Senior Community” as a way improve the Elderly welfare through a fusion of Eastern and Western thoughts.

      • KCI등재

        일상생활사회학과 동양사회사상의 접목 : 유교 사상을 중심으로

        이동일(Lee, Dong Il)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사회사상과 문화 Vol.25 No.1

        사회적 삶 특히 구체적 삶으로서 일상은 언제나 유동적이고 복잡하다. 사회 속의 개인은 언제나 상황 구속적 존재로 인식되어왔고, 구조의 측면에서 설명 가능하다고 보였다. 자본, 권력에 의한 설명은 명확하고 단순하다. 단순성은 인간의 행위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그러나 이러한방법은 실제 일상이라는 구체적이고, 다양하고, 변덕스러운 삶을 포착하는 데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다. 일상은 언제나 거대 구조에 의해 지배받는 것으로, 개인은 수동적이며 소외된 존재로 보여진다. 그러나 일상은 자본과 권력에 대항한다. 개인은 자율성을 가진 존재라는 점은 사회변화에서의 역할, 일상의 혁명성에서 잘 나타난다. 인간은 구조에 의한 수동적 존재만은 아니다. 동양사회사상에서 통일체적 관점은 동양사회사상의 통찰력을 보여준다. 통일체적 사회관과 세계관은 주체와 객체의 분별, 대상과 주체의 분열이라는 서양철학의 관점과 그 궤를 달리하고 있다. 전체는 개별과, 개별은 전체와 분리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의 시작은 곧 동양과 서양이라는 시공간의 차이를 넘어서는 방법론이자 인식론이다. 부분과 전체, 개인과 사회 간의 통일에 대한 관점은 일상과 구체적인 삶을 포착하는데시사점을 제시해준다. 인간은 욕구의 존재다. 욕구를 삶의 전제로 보는입장과 인간 본성 그 자체로 보는 것은 서로 다른 관점을 제시해 준다. 그래서 오히려 일상의 관점과 인간과 사회, 개체와 전체를 하나로 보는 관점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구체적인 삶을 더 잘 포착하게 해준다. 사회적 불평등, 권력에 의한 지배, 사회적 갈등은 개인과 구조, 개체와 주체 간의 분열을 당연시한다. 개인의 빈곤은 곧 사회적 빈곤의 원인이자 그 결과이다. 거대 구조에 의한 일상의 지배는 언제나 인간의 삶을이분법으로, 이중적으로 파악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일상은 언제나거대 구조, 권력, 자본에 저항하면서 구조를 바꾸고, 권력에 저항해왔다. 이것이 곧 통일체적 관점과의 연결점이다. 일상생활사회학과 동양사회사상은 방법론, 인식론에서 더 많은 접점과 연관성을 갖는다. Social life, specifically, daily life, is always fluid and complex. Individuals in society have always been recognized as context-binding and seemed explainable. The explanation of personal life by capital and power is clear but simple. Its simplicity is useful in explaining human behavior. However, this method has no choice but to reveal limitations in capturing a specific, diverse, and fickle life of real life. Everydaylife always begins with criticism of the individual as a being dominated by a huge structure. However, the fact that daily life is against capital and power and has its own autonomy is also evident in social change and daily revolution. Humans are not only passive beings by such structures. In East Asian social thought, the viewpoint of the unified view of world perspective shows the insight of Eastern thought. The social view of the unified view of world and the world view the viewpoint of the unified view of world differ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philosophy of discrimination between subjects and objects, and division between objects and subjects. The whol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individual. The beginning of this perspective is a methodology and epistemology that goes beyond the difference between time and space between the East society and the West society. The perspective of separation and discrimination and the perspective of unification between parts and whole, individuals and society have fundamental differences in capturing daily and specific lives. Humans are also the existence of needs, but recognizing that desire as a prerequisite for life and seeing it as a human being itself present different perspectives. Therefore, the daily perspective and the perspective of seeing humans, society, and individuals as one who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llow them to better capture specific lives. Social inequality, domination by power, and social conflict are taken for granted in the division between individuals and structures, and individuals and subjects. Individual poverty is the cause and result of social poverty. You always commit the error of grasping human life in a dichotomy and dual way through the domination of everyday life by a huge structure. Daily life has always changed its structure and resisted power while resisting huge structures, power, and capital. This emphasizes the need for a unified perspective. Therefore, sociology of everdaylife and East Asian social thought have more contact points and associations in methodology and epistemology.

      • KCI등재

        동양사상과 탈현대 대안사회의 구상

        홍승표(Hong Seung-Pyo)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7 No.-

          오늘날에 이르러서 현대사회 위기는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전면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그런데 문제의 심각성은 위기가 현대적인 의미에서 발전을 추구하고 달성함에 따라서 증폭된다는 점에 있다. 즉, 위기의 근원에는 현대문명의 토대인 근대적 세계관이 자리 잡고 있다.<BR>  그러므로 현대사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세계관 구성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동양사상에 의거하여 새로운 세계관을 구성하고자 한다. 새로운 세계관 구성에 있어서 이 글이 동양사상에 의거하는 이유는 동양사상이 새로운 세계관 구성에 있어서 가치 있는 자원을 풍부하게 담고 있기 때문이다.<BR>  이 글은 동양사상의 바탕 위에서 통일체적 세계관이라고 명명한 새로운 세계관을 구성하고, 통일체적 세계관의 바탕 위에서 탈현대 대안사회를 구상하고자 한다. 탈현대 대안사회에서는 삶의 구조와 목표의 혁명적인 전환이 일어난다. ‘노동과 소비’가 중심이 되는 삶에서 ‘수행修行과 낙도樂道’가 중심이 되는 삶으로 변화한다. 사회 성원들은 자신과 세계를 깊이 존경하며, 모든 행위 주체들이 사랑으로 맺어진다. 세계 정부가 출현하고, 세계 공용어가 사용되며, 탈중심적인 사회구조가 보편화된다. 가족, 경제, 정치, 교육 등 모든 사회제도와 일상생활도 통일체적 세계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재조직된다.<BR>  마지막으로 탈현대 대안사회에 이르는 방법을 간단히 서술했다. 현대사회가 투쟁과 경쟁 등과 같은 현대적인 방법으로 건설되었듯이, 탈현대사회는 평화와 사랑 등과 같은 탈현대적인 방법으로 건설된다. ‘인간의 자기변화를 통한 세계변화’라는 것이 탈현대 대안사회에 이르는 방법의 요체이다.   The recognition of the crisis of modern society began in Europe in 1920s. Nowadays the crisis of modern society has been accelerated widely across the board. And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lies in the fact of that the crisis is the inevitable result of pursuing and achieving development in modern sense. Namely, the crisis of modern society comes from the modern world that is the foundation of modern civilization.<BR>  Therefore, a new world view is needed to overcome the crisis of modern society. In this paper, a new world view based on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is constructed. The reason this paper is constructed based on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is that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includes after-modern elements fluently.<BR>  In this paper, the unified world view is constructed based on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And a after-modern alternative society is explored based on the unified world view. In the after-modern alternative society, the structure and goals of life are fundamentally changed. In essential, the structure and goals of life are changed from life centered in "labor and consumption" to life centered in "practice of austerities and enjoying the Tao". In the after-modern alternative society, everybody respects himself and/or herself and the world. Everybody is combined with love. World government appears and world common language is used. All the social institutions including family, economy, politics, education and everyday life are reorganized in the way to realize the idea of the unified world view.<BR>  Finally, the way how to reach the after-modern alternative society is described simply. The modern society is constructed by the modern ways such as struggle and competition. In the same way, the after-modern society is constructed by the after-modern ways such as peace and love. The essence of the way to reach the after-modern alternative society is "the change of world through the change of self".

      • KCI등재

        동양사상과 탈현대 대안사회의 구상

        홍승표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7 No.-

        The recognition of the crisis of modern society began in Europe in 1920s. Nowadays the crisis of modern society has been accelerated widely across the board. And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lies in the fact of that the crisis is the inevitable result of pursuing and achieving development in modern sense. Namely, the crisis of modern society comes from the modern world that is the foundation of modern civilization. Therefore, a new world view is needed to overcome the crisis of modern society. In this paper, a new world view based on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is constructed. The reason this paper is constructed based on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is that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includes after-modern elements fluently. In this paper, the unified world view is constructed based on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And a after-modern alternative society is explored based on the unified world view. In the after-modern alternative society, the structure and goals of life are fundamentally changed. In essential, the structure and goals of life are changed from life centered in ‘labor and consumption’ to life centered in ‘practice of austerities and enjoying the Tao’. In the after-modern alternative society, everybody respects himself and/or herself and the world. Everybody is combined with love. World government appears and world common language is used. All the social institutions including family, economy, politics, education and everyday life are reorganized in the way to realize the idea of the unified world view. Finally, the way how to reach the after-modern alternative society is described simply. The modern society is constructed by the modern ways such as struggle and competition. In the same way, the after-modern society is constructed by the after-modern ways such as peace and love. The essence of the way to reach the after-modern alternative society is ‘the change of world through the change of self’. 오늘날에 이르러서 현대사회 위기는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전면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그런데 문제의 심각성은 위기가 현대적인 의미에서 발전을 추구하고 달성함에 따라서 증폭된다는 점에 있다. 즉, 위기의 근원에는 현대문명의 토대인 근대적 세계관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사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세계관 구성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동양사상에 의거하여 새로운 세계관을 구성하고자 한다. 새로운 세계관 구성에 있어서 이 글이 동양사상에 의거하는 이유는 동양사상이 새로운 세계관 구성에 있어서 가치 있는 자원을 풍부하게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동양사상의 바탕 위에서 통일체적 세계관이라고 명명한 새로운 세계관을 구성하고, 통일체적 세계관의 바탕 위에서 탈현대 대안사회를 구상하고자 한다. 탈현대 대안사회에서는 삶의 구조와 목표의 혁명적인 전환이 일어난다. ‘노동과 소비’가 중심이 되는 삶에서 ‘수행修行과 낙도樂道’가 중심이 되는 삶으로 변화한다. 사회 성원들은 자신과 세계를 깊이 존경하며, 모든 행위 주체들이 사랑으로 맺어진다. 세계 정부가 출현하고, 세계 공용어가 사용되며, 탈중심적인 사회구조가 보편화된다. 가족, 경제, 정치, 교육 등 모든 사회제도와 일상생활도 통일체적 세계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재조직된다. 마지막으로 탈현대 대안사회에 이르는 방법을 간단히 서술했다. 현대사회가 투쟁과 경쟁 등과 같은 현대적인 방법으로 건설되었듯이, 탈현대사회는 평화와 사랑 등과 같은 탈현대적인 방법으로 건설된다. ‘인간의 자기변화를 통한 세계변화’라는 것이 탈현대 대안사회에 이르는 방법의 요체이다.

      • KCI등재

        동양 사상 속의 행복 개념과 한국 사회의 '행복' 현상

        유승무(Lew, Seung-mu) 한국이론사회학회 2009 사회와 이론 Vol.15 No.-

        이 글에서는 최근 한국 사회의 행복 현상과 동양 사상 속의 행복 개념의 관계를 사회학적 시각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양 사상 속의 행복 개념이 최근 한국 사회의 행복 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최근의 행복 열풍이 향후 동양 사상 르네상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논의해보았다. 그 결과, 우리는 한국 사회의 이중 문화적 성격 때문에 동양 사상의 행복 방정식의 공식은 연속성을 지니기도 하지만 동시에 단절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근 행복 열풍으로 인한 동양 사상 르네상스도 근대성에 대한 반동(Anti-movement)이기보다는 한국 사회 속에 내재하는 동양 사상적 요소가 최근의 기능적 요구에 부응하여 재발견되거나 재창조된 결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행복 현상의 한국적 특수성을 해명하는 의의를 갖는 것은 물론 현대성 및 탈현대성과 관련된 논쟁에도 적지 않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relation between the recent happiness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and happiness concept in East Asian thought from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More specifically, it discusses how the concept of happiness In East Asian thought has influenced the current happiness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and how this late happiness craze would influence the revival of East Asian though in the future What has been discover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s, the formula of happiness in East Asian thought does not only tend to be continuous but also disconnected simultaneously, due to bi-cultural nature of Korean society Moreover, we’ve found the late renaissance of East Asian thought has been borne out of the innate elements of East Asian thought in Korean society, then repackaged according to recent functional needs, rather than it has been an anti-movement to modernity Such discoveries, we conclude, can explain Korean peculiarities in happiness phenomenon, as well as provide quite a few implications in the debate on modernity and post-modernism

      • KCI등재

        최석만의 삶과 사회학 사상

        홍승표(Hong Seung Pyo)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4

        이 글은 최석만 선생님의 정년퇴임을 맞아서 그의 삶과 사회학 사상을 회고해보고자 하는 뜻에서 쓰여졌다. 최석만 선생님은 유교적인 군자의 모습과 도가적인 도인의 모습을 겸비하고 있는 보기 드문 분이다. 동양사회사상학회 초대부터 10년 간 회장을 역임하면서, 한국적인 어른 리더십으로 학회를 잘 이끌어온 분이기도 하다. 그는 많은 덕성을 갖고 있는데, 관용, 중용, 겸 손, 솔선수범 등이 대표적인 덕목이다. 또한 그는 뛰어난 사회학자이기도 하다. 최석만 선생님의 사회학 사상을 네 가지로 분류해서 정리해보았다. 유가의 사회윤리, 유가 가족관의 사회학적 함의, 별유천지, 새로운 기술과 미래 사회 등이 그것이다. 첫 번째 논의는 유가사상이 사회윤리의 새로운 기초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근대 이래로 서구사상은 사회와 분리된 추상적인 개인을 상정하기 때문에, 사회윤리의 근거를 확보하는 작업이 근원적으로 곤란하다. 이로 인해서, 현대사회는 심각한 사회무질서의 문제를 겪고 있다. 유가사상은 출발점에서부터 사회적인 인간을 상정하며, 인간관계를 중시한다. 그래서 유가사상에 의거 하면 사회윤리의 굳건한 기초를 발견할 수 있다. 두 번째 논의는 보편적 세계 인식 원리로서의 가家에 대한 것이다. 서양철학에서는 가족에 대한 논의가 전체적으로 빈곤하다. 그러나 유가사상에서는 가족이 철학적인 논의의 중심에 있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로 요약되는 수신에서 평천하로 확대되는 과정에서의 핵심 고리로 가족이 있다. 유교의 가족은 결코 외부 세계에 닫혀 있는 집단이 아니라 평화로운 세계 건설을 위한 교두보이다. 이런 유가의 가족관은 범세계적으로 공유될 수 있는 새로운 가족관이 될 수 있다. 세 번째는 별유천지라는 사회학 역사상 가장 독특한 형태의 사회학적 저술에 대한 것이다. 이 책은 풍부한 사회학적 상상력과 문학적인 표현력이 결합된 특이하면서도 대단한 저술이다. 현대사회와 현대적인 삶, 그리고 지식인 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과 풍자가 이 책에 담겨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새로운 삶의 의미와 목적, 새로운 유토피아 사회에 대한 모색을 이 책에서 읽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기술과 미래사회 연구라고 하는 최석만의 최근 연구관심 분야를 다룬다. 이것은 그의 사회학이 현재도 진행 중임을 보여주는 증거임과 동시에 시대적으로 중요한 연구분야이기도 하다. 바이오테크놀로지와 사물인터넷을 축으로 하는 기술혁신이 인류의 삶과 사회를 혁명적으로 재구성할 것이 분명하며, 사회학자에게는 새로운 기술적 하부구조 위에서 새로운 삶과 문명을 디자인해야 하는 임무가 부여되어 있다. 최석만 선생님의 최근 논문은 이런 시대적 요청에 대한 응답이며, 향후 동양사상과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문명 디자인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고 기대한다. This paper is written to review Choe Sug-Man s life and sociological thoughts. Choe Sug-Man is a very special man who combines features of the Confucian noble man and ascetic. He had been the president of the Association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for ten years. He lead the association very well by the Korean style leadership. He has many virtues like generosity, moderation, modesty. In this paper, Choe Sug-Man s sociological studies are distributed to four categories. These are Confucian social ethics, Confucian view of family, literature-style sociology, and new technology and future society. The first discussion is about that Confucian thought can be a new basis of social ethics. Modern western thoughts assumes individual who is separated from societ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foundation of social ethics. In the other hand, Confucian thought assumes human being in society and emphasizes human relations. Therefore, it is easy to secure the foundation of social ethics. The second discussion is about that Confucian view of family can be the universal model of family. Western philosophy usually doesn t concern to family. But family is the center of philosophical discussion in Confucian thought. Family is the main bridge to reach to peaceful society in Confucian thought. This kind of Confucian view of family can be common to world-wide. The third is about the very special kind of sociological work Beyl-Rue-Chun-Ji . In this book, he criticizes the modern life and society and shows the new meaning of life and new utopian society. The fourth is about the new technologies and future society. This is very recent research concern of Choe. The new technologies will restructure the life and society fundamentally. And he tries to design a new society based on the new technologies.

      • KCI등재

        최승희 동양사상을 통한 동양무용 발달 연구

        이영란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5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1 No.1

        본 연구는 최승희가 격동의 시기를 겪으며 전 세계를 무대로 자기예술을 구축해 나가는 동안 표현된 동양무용 을 중심으로 동양사상의 형성 배경과 영향을 심층적으로분석하고자 한다.이를 통해 예술가의 사상이 작품으 로 어떻게 승화되었는지 살펴볼것이다.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최승희 글,최승희 좌담,최 승희평전,최승희 저서,세계 공연작품 및 평 등이 기본 자료로 활용되었다. 최승희의 사상은 ‘조선의 것’에서 출발하여 동양사상을 아우르고 그것을 통해 동양무용의 총체를 획득한다.최 승희의 동양무용 발전 단계는 민족무용 각성기,동양무용자각기,동방무용예술 정립의 시기를 거친다.이것은 민족전통무용과 서구의 무용을새롭게 접목하여 한국적인 것과 동양적인 춤의 균형을 찾아낸 각성기,서구에 대한 대항의식으로 동양무용을 창출하여 동양무용예술을 세계에 알린 동양무용 자각기,중국문화와 예술을 섭 렵하고 동남아 무용까지 아우르면서 동방무용을 집대성한 정립기로설명할 수 있다.그 과정에서 서구무용의 극복과 동양적 가치를 넘어선 민족 무용의세계화를 추구 완성해 나간다.따라서 최승희 예술세계의 의미는 민 족무용의 부흥 발전을 넘어서고 동양사상을 토대로 하여 서양무용과 조화를 이루는 동양무용의 정립에있다. 이것은 야나기무네요시의 “조선적인 것”에서 동양적인 가치에 관한 사상이 최승희의 동양무용으로 표현되고 집약되었다.대표 작품으로 「보살도」,「추심」,「옥적의곡」,「즉흥무」,「무혼」,「명비곡」,「장한가」,「신전의 춤」,「칠석 의 밤」등이 있다.또한 최승희의 동양무용으로 무용시 , 무용 조곡 , 무용극 대본집 , 조선 민족 무용기본 이 그 의 사상이 집약된 책이다.최승희는 자신의 춤의 예술적 가치를 개인을 초월한 민족적 차원에서 표현하였다.또 한 예술가로서 자신의 표현적 기회와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는 점에서 독보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술가의 사상이 작품으로 어떻게 승화되는지를 살핌으로써,이를 통해 무용예술 이론 및 무 용창작의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making an in-depth analysis the formation background & influence of Oriental thought with focus on the Oriental dance expressed by Choi, Seung-hee while she constructed her art around the globe in the midst of the period of turbulence. Through this, this study is going to look into how an artist’s thought was sublimated in works. This study conducted this research with focus on literature review, and used Choi, Seung-hee’s writings, Choi, Seung-hee’s talks, Choi, Seung-hee’s critical biography, Choi, Seung-hee’s books, and Choi, Seung-hee’s performance works & review, etc. as the basic data. Choi, Seung-hee’s thought embraced Oriental thought by starting from ’Things Korean’, and acquired the whole of Oriental dance. Choi, Seung-hee’s developmental stages of Oriental dance went through the national dance awakening period, Oriental dance self-awareness period, and Eastern art of dance establishment period. It can be explained in detail as the awakening period when Choi, Seung-hee found out the balance between things Korean and Oriental dance by integrating the nation’s traditional dance with the Western dance, the Oriental dance self-consciousness period, during which Choi, Seung-hee made the Oriental art of dance known to the world by creating the Oriental dance based on counter-consciousness against the West, and the establishment period for integrating the Oriental dance while Choi, Seung-hee ranged over Chinese cultures and art and embraced even the Southeast Asian dance. In the process, Choi, Seung-hee pursued and gradually completed the conquest of the Western dance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national dance beyond Oriental value. Accordingly, the significance of Choi-Seung-hee Art World lies in the establishment of Oriental dance which achieves harmony with the Western dance on the basis of Oriental thought beyond the level of revival & development of national dan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dance, the thought on Oriental value from Yanagi Muneyoshi’s things Korean is expressed and integrated by Choi, Seung-hee’s Oriental dance. Choi, Seung-hee’s representative works include 「Bosaldo」(Bodhisattva’s Path), 「Chushim」(Late Autumn), 「Okjeokuigok」(Music of Jade Pipe), 「Jeukeungmu」(Impromptu Dance_, 「Muhon」( Dance Soul), 「Myeongbigok」, 「Changhen ge」, 「Dance of Temple」, and 「Night of July 7th」, etc. In addition, Muyongsi (Dance Poetry), Dance Suite, Dance Drama Script Collection, and Basics of Joseon people’s Dance, which are integrated by Choi, Seoung-hee’s Oriental Dance, are the books integrating her thought. Choi, Seung-hee expressed the artistic value of her own dance at a transpersonal national level. In addition, Choi, Seung-hee is unrivaled in that she made full use of her expressional opportunity and carried out her social responsibility as an artist. Accordingly, this observed how an artist’s thought is sublimated in works , through which this study hopes this research data could contribute the development of dance art theory and dance creation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