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밀성의 위기를 넘어 동양사회사상의 바다로

        정승안 ( Jung¸ Seung-an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1

        사람은 누구나 미래를 궁금해하며 꿈꾸기 마련이다. 한국에서 사회학하는 사람들 중에는 청년기에 사회변혁을 꿈꾸었던 사람들이 많았다. 우리시대의 바로 앞을 걸어갔던 사회학자들은 대부분 이러한 계몽의 시대적 기획을 통해 각성되었으며, 변혁의 시대를 고민했던 세대들이다. 세계화와 정보화를 주된 키워드로 하는 오늘날의 시대에서 우리 사회학자들에게 2세대 선배들의 은퇴를 보는 감회는 새롭다. 그러나 이들은 우리동양사회사상학회와 같이 새로운 정체성을 통해 등장하는 작은 학회나 세대들에게는 오히려 새로운 길을 처음으로 열어가는 1세대에 가깝다. 한 인물과 그 세대에 대한 평가나 분석의 글이 지니는 위험성을 알면서도 조심스럽게 이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을 시도하는 이유이다. 선배교수의 은퇴에 비추어 우리 동양사회사상학회의 새로운 주춧돌로 삼고자 함이다. 건암 정학섭 선생은 1985년부터 현재까지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해왔다. 90년대 초반까지는 한국사회의 변혁운동의 흐름과 함께하며 지역의 노동운동 시민사회운동에 헌신하셨다. 이후 동양사상과 사회학의 만남을 주제로 하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2011년부터는 7년간 동양사회사상학회의 회장을 맡아 사회학적 관심의 동양사상적 지평의 확장에도 기여했다. 최근에는 현대사회의 위기의 다양한 양상에 대해 퇴계사상을 접목한 ‘친밀성’과 ‘성찰성’의 사회학을 화두로 하는 연구를 지속해왔다. 은퇴는 새로운 시작을 알린다. Gray세대와 함께 걸어가고자 하는 우리 학회 회원들의 마음을 담아 미래를 위한 자산이 되기를 바라며 글을 시작한다. Everyone dreams, wondering about the future. Many of the sociologists in Korea dreamed of social change in their youth. Most of the sociologists who walked right in front of our time were awakened through these enlightenment period projects, and were concerned about the era of transformation. In today's era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as the main keywords, it is refreshing to see the retirement of second-generation seniors. However, they are more like the first generation to open a new path for small institutions and generations that emerge through new identities, such as the Association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This is why they carefully attempt a sociological analysis of a person and his generation, knowing the dangers of writing about them and their generation. In light of the retirement of senior professors, we want to make it a new cornerstone of the Association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Gunam Jeong Hak-seop has been a professor of sociology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since 1985. Until the early 1990s, he devoted himself to the labor movement and civil society movement in the region, along with the transformation movement of Korean society. Since then, he has conducted various studies on the theme of the encounter between East Asian social thoughts and sociology. Since 2011, he has served as the president of the Association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for seven years,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the Oriental thoughts horizon of sociological interest. Recently, research has continued to be focused on the sociology of 'friendliness' and 'reflection', which incorporate Toegye ideas on various aspects of the crisis in modern society. Retirement marks a new beginning. I start writing with the hope of becoming an asset for the future with the hearts of our academic members who want to walk with the Gray Generation.

      • KCI등재

        지속과 변화: 표준사회학적 인식과 동양사회사상적 상상력의 융합

        정학섭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4

        Over the past 20 years, The Association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has been tried to cover the classics and the philosophy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along wit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Standard Sociological tradition. In this study, I’m trying to show how we can move forward based on those thoughts. This research orientation of The Association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is the work of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new thinking systems and academic frameworks. In the meantime, Korean sociology is confined to the context of the United States, Europe, China and Japan. It is also a reflection of the fact that it was immersed in the so-called discourse of modernity and failed to develop the method of reading the classics. For those reasons, The Association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has been reflected on ‘In what context are we confined?’. The academic research or cultivation of The Association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are trying to go beyond the category of western centered ‘study as a profession’ at least. This attempt is simply acquiring knowledge and reaching the point that is off the discussion of the existing production-consumption theory. On the basis of such cultivation and orientation, we intend to thoroughly study and analyze the western-centered standard sociological framework. At the same time, as studying and reinterpreting ‘Asian Value’ or the philosophy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academic universality and global standard that are integrating both sides should be measured. As discovering and developing specific research topics and tasks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 from our perspective, it should interpret and set up the new outline through sociology or the social science’s objective concept, grammar and framework. There is no need to deny the strictness of the western standard sociological framework. There is also no need to contradict the so-called “The law of game” against the discourse system of philosophy and ideology, which is hardly followed in Western theoretical frameworks.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so-called “Invented Tradition” that is not inherent in the original value system, philosophy, and ideology of the East Asian Social Thoughts and its derived discourses, and move on to new reflective planning. 이 글에서는 표준사회학적 전통의 이론틀과 함께 동양사회사상의 철학 및 사상, 그 상상력의 틀을 아우르고자 하는 동양사회사상학회의 지난 20여 년의 궤적을 성찰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갈 지평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동양사회사상학회의 이러한 연구 지향(orientation)은 새로운 사유체계와학문적 틀을 구상하고 실행하는 작업이다. 그동안의 한국사회학이 미국과 유럽, 중국과 일본 등의 문맥에 갇혀 있고, 이른바 근대성(modernity)의담론에 몰입함으로써 동양사회사상의 고전에 대한 정독법(正讀法)을 학습하고 훈련하지 못했던 데 대한 반성 작용이며 문제제기이기도 하다. 동사학회는 최소한 ‘우리가 어떠한 문맥에 갇혀 있는가’를 정직하게 성찰하고자 했던 것이다. 동사학회의 학술 연구 내지 수양공부는 최소한 서구중심적 ‘직업으로서의 학문’ 범주를 뛰어넘어 보려 시도한다. 단순한 지식 습득과 교육전수의 기존의 생산소비론의 논의를 벗어나는 지점에 다다르려고 하는것이다. 이같은 수양공부와 지향의 터전 위에서 우리는 서구 중심의 표준사회학적 이론틀을 철저하게 학습하고 분석하면서 이와 함께 ‘아시아적 가치(Asian Value)’ 내지 동양사회사상의 철학 및 사상을 학습하고 재해석함으로써 양측면을 통합 내지 융합하는 학문적 보편성과 세계적 표준(global standard)을 가늠해야 한다. 동양사회사상 특유의 연구 주제와 과제를 우리의 시각에서 발견하고 전개하여 사회학 내지 사회과학의 객관적 개념, 문법, 이론틀을 통해 해석하고 새로운 틀을 정립해 나가야 한다. 서구의 표준사회학적 이론틀이 지니는 분석적 엄밀성을 부정할 필요가 없다. 서구적 이론틀에 경도된 철학 및 사상의 담론체계와 대척하는 이른바 ‘게임의 법칙’에 대립각을 세울 필요 또한 없다. 동양사회사상의 본래적 가치체계와 철학 및 사상 고유의 것이 아닌, 이른바 ‘만들어진 전통(Invented Tradition)’과 그에 파생한 담론들을 극복하여 새로운 성찰적기획(reflexive planning)으로 나아가야 하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기이론과 체계이론의 종합을 통한 새로운 사회학의 모색: 동양사회사상학회의 정체성 찾기의 한 사례

        유승무,김보경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1

        본 연구는 동양사회사상학회의 정체성 찾기의 한 사례로서 불교의 연기이론과 체계이론의 종합을 통한 새로운 사회학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동양사회사상학회는 지금까지 동양사상에 대한 철학적 연구와 사상적 연구를 넘어 사회학적 연구를 시도하였고, 한국학을 통한 한국사회의 특수성을 사회학적으로 해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대사회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문명 대안을 모색하였으며, 동양사상적 개념들과 한국사회의 고유한 개념들을 활용하여 한국사회의 사회현상에 유관 적합한 사회이론을 모색하였다. 학회는 위와 같은 네 가지의 관점에서 정체성을 찾아왔다. 그럼에도 불구하는 동양사회사상학회는 동양사회사상의 개념과 이론적인 자원을 활용하여 기존의 고전 사회학자들 및 현대 사회학자들의 /사회이론을 발전시키거나 극복하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불교의 연기이론과 루만의 사회적 체계이론 사이의 유상성뿐만 아니라 차이성을 각 이론의 인식대상과 인식론(방법론)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했으며, 그 구체적 차이에 기초하여 양자의 사회이론적 종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불교의 연기이론과 루만의 사회적 체계이론은 인식론적 차원에서 실체론을 부정하고 조건적 발생론(구성주의)를 채택하고 있다는 유사성을 지닌다. 다만 이 둘은 연구대상 설정 문제와 인식론 문제에서 결정적으로 다르다. 불교에서는 연구대상을 무아(無我)와 무상(無常)의 속성을 가진 공(空)한 존재로서의 인간에 두었지만, 루만은 인간을 배제하고 사회적 체계에 두었다. 단지 인간은 체계의 환경으로 설정한 것이다. 그러나 이 둘의 차이는 동시에 이 둘의 구조적 연동성이나 상호 의존성을 이론적으로 상정할 수 있게 하며 서로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한다. 인식론에서도 불교의 연기이론은 ‘만남(결합)의 인식론’으로, 루만의 체계이론은 ‘구별(차이)의 인식론’으로 볼 수 있는데, 각각이 지닌 특징이 방법론적 상보성을 가지게 한다. 이상은 동양사상과 서양사상의 대화, 동양의 특수한 사회현상과 어느 정도 일반화된 사회이론과의 대화를 통해 보편이론의 완성을 지향하려는 동양사회사상학회의 또 하나의 정체성으로 자리해 나가기를 기대하며 연구한 사례이다.

      • KCI등재

        일상생활사회학과 동양사회사상의 접목 : 유교 사상을 중심으로

        이동일(Lee, Dong Il)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사회사상과 문화 Vol.25 No.1

        사회적 삶 특히 구체적 삶으로서 일상은 언제나 유동적이고 복잡하다. 사회 속의 개인은 언제나 상황 구속적 존재로 인식되어왔고, 구조의 측면에서 설명 가능하다고 보였다. 자본, 권력에 의한 설명은 명확하고 단순하다. 단순성은 인간의 행위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그러나 이러한방법은 실제 일상이라는 구체적이고, 다양하고, 변덕스러운 삶을 포착하는 데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다. 일상은 언제나 거대 구조에 의해 지배받는 것으로, 개인은 수동적이며 소외된 존재로 보여진다. 그러나 일상은 자본과 권력에 대항한다. 개인은 자율성을 가진 존재라는 점은 사회변화에서의 역할, 일상의 혁명성에서 잘 나타난다. 인간은 구조에 의한 수동적 존재만은 아니다. 동양사회사상에서 통일체적 관점은 동양사회사상의 통찰력을 보여준다. 통일체적 사회관과 세계관은 주체와 객체의 분별, 대상과 주체의 분열이라는 서양철학의 관점과 그 궤를 달리하고 있다. 전체는 개별과, 개별은 전체와 분리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의 시작은 곧 동양과 서양이라는 시공간의 차이를 넘어서는 방법론이자 인식론이다. 부분과 전체, 개인과 사회 간의 통일에 대한 관점은 일상과 구체적인 삶을 포착하는데시사점을 제시해준다. 인간은 욕구의 존재다. 욕구를 삶의 전제로 보는입장과 인간 본성 그 자체로 보는 것은 서로 다른 관점을 제시해 준다. 그래서 오히려 일상의 관점과 인간과 사회, 개체와 전체를 하나로 보는 관점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구체적인 삶을 더 잘 포착하게 해준다. 사회적 불평등, 권력에 의한 지배, 사회적 갈등은 개인과 구조, 개체와 주체 간의 분열을 당연시한다. 개인의 빈곤은 곧 사회적 빈곤의 원인이자 그 결과이다. 거대 구조에 의한 일상의 지배는 언제나 인간의 삶을이분법으로, 이중적으로 파악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일상은 언제나거대 구조, 권력, 자본에 저항하면서 구조를 바꾸고, 권력에 저항해왔다. 이것이 곧 통일체적 관점과의 연결점이다. 일상생활사회학과 동양사회사상은 방법론, 인식론에서 더 많은 접점과 연관성을 갖는다. Social life, specifically, daily life, is always fluid and complex. Individuals in society have always been recognized as context-binding and seemed explainable. The explanation of personal life by capital and power is clear but simple. Its simplicity is useful in explaining human behavior. However, this method has no choice but to reveal limitations in capturing a specific, diverse, and fickle life of real life. Everydaylife always begins with criticism of the individual as a being dominated by a huge structure. However, the fact that daily life is against capital and power and has its own autonomy is also evident in social change and daily revolution. Humans are not only passive beings by such structures. In East Asian social thought, the viewpoint of the unified view of world perspective shows the insight of Eastern thought. The social view of the unified view of world and the world view the viewpoint of the unified view of world differ from the perspective of Western philosophy of discrimination between subjects and objects, and division between objects and subjects. The whol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individual. The beginning of this perspective is a methodology and epistemology that goes beyond the difference between time and space between the East society and the West society. The perspective of separation and discrimination and the perspective of unification between parts and whole, individuals and society have fundamental differences in capturing daily and specific lives. Humans are also the existence of needs, but recognizing that desire as a prerequisite for life and seeing it as a human being itself present different perspectives. Therefore, the daily perspective and the perspective of seeing humans, society, and individuals as one who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llow them to better capture specific lives. Social inequality, domination by power, and social conflict are taken for granted in the division between individuals and structures, and individuals and subjects. Individual poverty is the cause and result of social poverty. You always commit the error of grasping human life in a dichotomy and dual way through the domination of everyday life by a huge structure. Daily life has always changed its structure and resisted power while resisting huge structures, power, and capital. This emphasizes the need for a unified perspective. Therefore, sociology of everdaylife and East Asian social thought have more contact points and associations in methodology and epistemology.

      • KCI등재

        청년 이주민의 종교별 차별경험과 생활만족도 : 무슬림 차별에 대한 사회적 맥락효과 탐색

        이민정(Lee, Min-jeo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사회사상과 문화 Vol.25 No.1

        이 연구는 청년 이주민의 종교에 따른 차별경험이 한국생활 만족도에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2018년과 2020년 시기별 효과를 살펴본다. 세계화시대의 청년은 초국가적 이동성이 높은 동시에 사회적응 과정에서 유연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간다. 그럼에도 이 연구는 청년 이주민이 사회적맥락 안에서 차별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한국에서 외국인 차별 이슈가 발생한 대표적인 시기로 2018년은 제주도에 입국한 예맨 난민수용과 관련하여, 한국사회와 이질성이 큰 인종과출신국가, 종교적 배경으로 인해 이슬람교에 대한 혐오가 급격히 확산되었다. 또한 2020년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종차별이 증가한 시기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시기별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여 청년 이주민이 인종이나 종교 등으로 타자화되고 차별 이슈가 부각된 2018년과 2020 년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자료는 법무부와 통계청이 공동 조사한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 조사표』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표본은 2018년에는 5,010 명, 2020년은 6,767명이다. 종교는 기독교, 불교, 이슬람/힌두교, 종교없음으로 분류하여, 이주민의 차별경험과 한국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종교별로 상이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2018년과 2020년 모두 청년 이주민의 차별경험은 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어 첫 번째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또한 이러한 양상은 2018년 이슬람/힌두교 집단에서 더욱 두드러져, 청년 이주민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차별경험과 이슬람/힌두교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고 두 번째 연구가설이 채택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슬람에 대한 강한 반감이 조성되었던 2018년 당시한국의 사회적 맥락에 주목하여, 무슬림 청년 이주민의 차별경험을 줄이고 생활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youth migrants’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based on religion on their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by period in 2018 and 2020. Considering the social context of each period in which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ers occurred, the year 2018 marked the period of an influx of Yemen refugees on Jeju Island, which led to a rapid spread of anti-Islamic sentiment. In 2020,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resulted in an increase in racial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ers. Therefore this study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in the years 2018 and 2020 by considering the social context of the respective periods. Specifically, the impact of immigrants’ religious affil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examined after categorizing their religious affiliation into “Christianity,” “Buddhism,” “Islam/Hinduism,” and “No relig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n both 2018 and 2020,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mong young migrant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us supporting the first research hypothesis. In addition this negative effect was more prominent in the Islam/Hindu group in 2018, the second hypothesis was selected.

      • KCI등재

        기본소득과 전통사상의 관계 연구 : 동학, 천도교를 중심으로

        박세준(Park, SeiJoon)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사회사상과 문화 Vol.25 No.1

        이 연구는 최근 한국에서 논의가 한창인 기본소득에 대한 것이다. 한국의 기본소득 논의는 아직 진행 중이다. 학계에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중에 있고, 사회에서는 찬성과 반대의 논란이 일고 있다. 다양한 논의를통해 많은 이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결론으로 나올 수 있도록 다양한“담론”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천도교의 사상과 기본소득의 정당성 연결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서구에서 논의가 시작한 기본소득의 핵심 정신을 살폈다. 그 결과 기본소득의 개념은 서구 문화 규범 속에서 이미 있었던 내용이다. 단지 그 맥락이 이동했다. 그리고 그 핵심정신은 서구 문화의 뿌리인 기독교 정신에서 파생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까닭에 종교와 기본소득의 정당성 연결에 대한 보편성을 확보했다. 다음으로는 나는 한국의 전통사상인 동학/천도교와 기본소득을 정당성차원에서 연결할 수 있는 고리를 알아봤다. 그 결과 동학/천도교의 교리, 교정쌍전과 기본소득 모두 “제도롤 통해 고통받는 사람을 줄이는 것”, 즉 “불평등 해소”가 핵심 사상인 것을 확인했다. 교정쌍전은 종교와 정치가 함께 발전한다라는 뜻이다. 동학/천도교는 이러한 사상 배경을 가지고 실천에 옮겼다. 이 실천 사례들은 기본소득의 정의인 “누구나 아무조건없이 일정한 금액을 개별적으로” 받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핵심 정신인 “제도를 통해 고통받는 사람을 줄이는 불평등 해소”는 공유함을 확인했다. 서양 개념인 기본소득을 한국전통사상으로 살펴보고 설명하고자 함은서양 못지 않게 한국 전통사상도 훌륭하다라는 주장하고자 하는 것이아니다. 또한 서구사상으로는 한국사회를 설명하기 어려우니 이를 배척하고 전통사상을 추구하자는 것도 아니다. 이는 서구사상과 한국 전통사상 모두 인류를 생각하는 보편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즉 서구 사상이든 한국 전통 사상이든, 기본소득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무언가”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무언가”은 결국 “불평등 해소”다. 따라서 기본소득은 복지나 시혜가 아니라 불평등 완화를 목적으로 한다. 기본소득의 정당성 부분에서 종교와 동양사상의 교리가 도울수 있으리라 본다. “신 앞에 모두가 평등”인 서양의 기독교나 “개개인이각자 안에 신이 있는” 동양의 천도교는 모두 평등함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is about universal basic income, which has recently been under discussion in South Korea. Discussions on universal basic income in Korea are still underway. There is a lot of research underway in academia, and controversy over pros and cons in society. Through various discussions, I would like to play a role in providing various “discourses” so that they can come to conclusions that many people can ac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nk the justification of Donghak/Cheondogyo’s ideas and universal basic income. To achieve this purpose, I first looked at the core spirit of universal basic income that the Western discussion began. As a result, the concept of universal basic income has already existed in Western cultural norms. Just the context shif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e spirit was derived from the Christian spirit, the root of Western culture. For this reason, universality has been secured for the connection between religion and universal basic income. Next, I looked into the link between Donghak/Cheondogyo, a traditional Korean idea, and universal basic income in terms of legitimac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reducing the number of people suffering through institutional roll” is a key idea for both Donghak/Cheondogyo doctrine, “교정쌍전(Gyojeongssangjeon)” and universal basic income. “교정쌍전(Gyojeongssangjeon)” means that religion and politics develop together. Donghak/Cheondogyo was put into practice with this background of thought. These practice cases do not “individually receive a certain amount of money without any conditions” which is the definition of universal basic incom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e spirit, “Let’s reduce the number of people suffering through the system,” was shared. In other words, it is resolving inequality. To examine and explain the universal basic income, which is a Western concept, as a Korean traditional idea, is not to argue that Korean traditional ideas are as good as Western one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explain Korean society with Western ideas, so it is not to reject them and pursue Korean traditional ideas. This is to confirm that both Western and Korean traditional ideas have the universality of thinking about humanity. In other words, whether it is Western or Korean traditional ideas, it is to confirm the “something” that is intended to be implemented through universal basic income. And that “something” is, in the end, “resolving inequality.” Therefore, universal basic income is not for welfare or benefits, but for the purpose of alleviating inequality. In terms of the legitimacy of universal basic income, I think the doctrine of religion and Eastern thought can help. This is because Western Christianity, where “everyone is equal in front of God,” and Eastern Cheondogyo, where “individuals have God in each of them,” all value equality.

      • KCI등재

        ‘인간너머’ 자연의 권리와 지구법학: 탐색과 전망

        김왕배(Kim, Wang-bae)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사회사상과 문화 Vol.25 No.1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생태위험은 인류의 파국을 알릴 만큼 심각하게인식되고 있다. 일군의 학자들은 인간의 개입으로 인해 지구의 지질 경로가 바뀌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 세기를 ‘인류세’라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아래 세계 곳곳에서는 인간을 넘어 비(非)인간 자연에게 그 고유의 권리를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나오고 있다. 비인간 종(種)에게도 도덕적 권리를 넘어 법적 권리를 부여해야 한다는 이른바 지구법학운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구법학의 사회철학 원리는 최근 사회과학계에 일고 있는 신유물론, 관계론적 실재론, 종-횡단적 사유와 존재론적 평면성, 수평적 존재론 등의 주장과도 일맥상통하고 있다. 지구법학은 자연을 바라보는 인간중심 패러다임의 급진적 전회를 통해 기존 환경법의 한계를 넘어설 것을 주장한다. 지구법학은 모든 생명체는 인간이아닌 지구행성의 피조물로서, 존재의 권리와 서식의 권리 그리고 분화와역할 수행의 권리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여전히 넘어서야 할 많은 과제가 놓여있다. 예컨대 나무나 동물, 숲과 강에도 그와 같은 법인격을 부여할 수 있다면 그 근거는 무엇이고, 어떤 내용을 어떤 식으로부여해야 하는가? 동식물 혹은 자연을 참여시키는 새로운 정치체계와 거버넌스는 가능한가? 나는 이 글에서 지구법학의 사상적 내용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향후 과제와 전망을 논의해 볼 것이다. 지구법학의 역사가매우 짧은 만큼, 구체적인 내용이나 특수한 쟁점을 심도 있게 다루기보다 전반적인 내용을 요약한 후, 전망을 탐색해 볼 것이다. 이 글은 크게세 파트로 나뉘어 전개될 것이다. 첫째는 자연의 권리의 근거와 생태적 책임윤리의 문제로서, 지구법학의 대전제인 모든 생명의 권리는 존재로부터 나온다는 사상을 종(種)의 권리로 파악했던 테일러의 논의를 통해 그 확장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리고 미래세대 책임에 대한 논의를 시도해 본다. 두 번째는 과연 ‘자연의 권리 범주는 어디까지인가?’ 라는 문제를 다룰 것이다. 지구법학이 모든 존재를 대상으로 도덕적, 법적인격을 부여할 것인가, 아니면 생물체로 제한 할 것인가? 생물체 중에서도 인간의 생활에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종(種)으로 국한할 것인가? 신유물론자들이 주장하는 로봇과 같은 무생물체를 포함할 것인가? 이러한 쟁점은 아직 생경스러운 지구법학의 현실 적용가능성과 연관되어 있다. 셋째로 이 글에서 나는 생명주의정치 혹은 새로운 민주주의와 거버넌스체제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지구법학에서도 이미 새로운 민주주의 정치체제를 제시하고 있지만, 신유물론자들의 상상력과 토의 내용이 풍부하게 도입될 필요가 있다. 더구나 기존의 다양한 환경생태에 관한 논의들, 예컨대 녹색당강령, 마르크스주의 생태학, 생태민주주의, 생태법인제도, 생태시티즌십 그리고 국내외의 환경법과 거버넌스에 대해 주목할 것을 요청한다. Global Warming and Climate Crisis have been seriously touched with the discourse aabout Aptocalyso of Earth’s extinction. Some prefers to call this era “Anthropocene” in which the human being has hugely intervened in many ways, especially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to influence the path of Earth geology. Under this situation, recently the Earth Jurisprudence or Earth Law movement have been organized in various countries over the world, arguing that the lawful qualification should be endowed with even the non-human being (nature). These are closely related with newMaterialism involving a prepositions of inter-species thinking, ontological flat, horizontal ontology etc. Earth Jurisprudence has insisted that all creatures have possessed their own right; a. being, b. habitating c. differentiation and performing their own role. In this paper, I have reviewed the content of Earth Jurisprudence, tracing it’s geneology, and have attempted to make an analysis of several controversial themes; the ground of right of nature, the ecological ethic, biocracy and governance etc.

      • KCI등재

        정신장애인 복지의 패러다임 전환으로서 ‘당사자주의’ :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함의와 사상적 체계화의 방향 설정을 중심으로

        오세근(Oh, Se-guen),이명호(Lee, Myoung Ho)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사회사상과 문화 Vol.25 No.1

        우리나라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사회생활의 어려움에 대한 국제기구의 문제 제기, 국내 학계와 정신장애인 운동단체의 정책 제안에 대한 종합적인 법제도적 응답이 2017년 ‘정신건강복지법’이다. 그렇지만 현실은‘정신건강복지법’ 시행 이후에도 정신장애인 복지의 틀은 격리와 입원 치료라는 이전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 않다. 정신장애인을 격리해서치료하는 방식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과 인권 침해에 대한 사회적 반성은 정신장애인 복지의 새로운 체계 구상과 실천을 요구한다. 이 글은 정신장애인 복지 패러다임 전환의 가능성과 그 근거를 베델의 집의 ‘당사자주의’라는 현실적 모델을 통해 살피는 것이다. 먼저 패러다임으로서 ‘당사자주의’가 제기하는 새로운 메시지와 그 의미를 명확히가늠하기 위해 기왕의 주류적 정신장애인 복지 패러다임인 ‘생의학 모델’ 과 ‘사회 모델’의 주요 내용과 패러다임의 변화 과정을 개관한다. 이어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당사자주의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와 내용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당사자주의가 정신장애인복지 실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자리매김하는 데 긴요한 사상적 체계화의 방향을 생각해 본다. 당사자주의 패러다임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생의학 모델의 격리 입원치료 방식이나 사회 모델의 정책, 제도, 서비스 체제로서 탈시설화와 지역사회 보호를 넘어선 지점에 있다. 정신장애인이 사회복지 서비스의 대상으로부터 일상생활을 향유하는 시민으로서 지역사회 경제활동에 참여하면서 사람과 연결되고, 사회적 역할을 통해 자신의 말을 세상에 능동적으로 발신하면서 자신의 고통을 들여다보고, 자신이 들여다보지 못한내밀한 정신의 심연을 친밀한 사람과 함께 어루만져 가면서 정상화와사회통합을 체현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정신장애인 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당사자주의는 정신장애인 당사자의 생활 가운데서 생성된실천 모델이며, 당사자 활동 경험의 지속과 축적에서 생겨난 자조(정신장애인 스스로 돕고 격려함)와 자치(정신장애인 스스로가 결정하고 돌보며 치료함) 활동에서 산출된 지식과 생활양식 그 자체를 가리킨다.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2017 was a comprehensive institutional response to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problem-posing regarding the difficulties in social life experienced by the mentally disabled and policy proposals by domestic academia and activist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even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the framework of welfare for the mentally disabled is not far from the previous method of isolation and hospitalization treatment. It requires that the new concept and practice of welfare for the mentally disabled be based on doub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isolation and treatment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social reflection on human rights violations. This article examines the basis and possibility of a shift in the paradigm of mental health services for mental disorders through Bethel House’s self-directed research model. First, to clearly present the new message and its meaning raised by ‘self-directed research model’ as a paradigm, it will be introduced to the paradigm change process of the mainstream welfare paradigms for the mentally disabled, ‘biomedical model’ and ‘social model’. Then, the self-directed research model’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contents are reviewed as a new paradigm. Finally, we consider the direction of ideological systematization, which is essential for the self-directed research model to establish itself as a new paradigm in the practice of mental health services for mental disorders. The paradigm is beyond deinstitutionalization and community care. As citizens who enjoy daily life, mentally disabled people are connected to people while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in the community, actively communicating with others through their social roles and looking into their pain. It embodies normalization and social integration by touching the inner spirit’s pains that have not been explored with close people. In this regard, as a new paradigm for mental health services for mental disorders, the self-directed research model is a practical model created in the lives of the mentally disabled. Also, it refers to the knowledge and lifestyle itself, which are produced from self-help (helping and encouraging themselves) and autonomy (making their own decisions and treating themselves) activities.

      • KCI등재

        한국의 송대사 연구 동향

        李瑾明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29 No.-

        在??的中?史?究中最薄弱的是宋史。在????主攻中?史的?究人?有四百余名,其中在各大?主攻中?史的??亦有150人左右。?些人每年?表的?文亦有四百余篇。其中,主攻宋史的?究人???30名上下,大??授不?10余人。?便是?其范??大至?金元史,其人?也不?增加多少。每年?表的?文亦不?40篇上下。??的宋史乃至宋?金元史?究在整?中?史?界所占比重??十分之一左右。宋史在整?中?史中所占据的重要性,或同中?及日本?界的??相比,其所占比重亦不能不?是非常?憾的。而且如果考察其?部的人??成,便???其存在的??更??重。在??的中?史?界,?先秦秦?史至魏晋隋唐史、明淸史、近代史、?代史,均有引??界的?者分布,而且他?的名?在海外?界亦有相?大的知名度。?此相反,?事宋史?究的大多??究者集中于40?的年?段,而且?无可以代表???界的人物。宋史?究的起步就比其??代史要?,??最早?表有?宋史的?文是在1960年前后。??,有?位?究者?始?表有?宋朝的?文。他?的?究活?在?大程度上依?日本?界的?究成果,而且???究也是????地偶有?文?表。活?于二十世?六十年代的?究者中,最引人?目的是金庠基。他?少年?代????,且??于早稻田大?,??光?后便在?城大?史?系任?授。起步?段的??的中?史?究不可避免地受到日本?大的影?,而且因?是由在日本?秀大?受?的?究者主?,所以其?究水平亦?到了?高程度。其?,金庠基?表于1960年前后的有關宋史的?文?便是在今天看?依然是?人?服。?入七十年代,宋史?究?域出?了新的面孔。他?便是申采湜和高奭林。二人均自六十年代中期?始?展?究活?,他?正式?表?究?文始于七十年代。??在他?之前,???界?有???究宋史的?究者。?管?歇性地有宋史?究?文?表,但是均?主攻??史?究者的?究?域向宋朝有些??展,或由部分?究者偶??表一?篇有?宋史的?文而已。?此相反,申采湜和高奭林均明??立了?攻宋史?究的目?,而且以端正的姿??行持??究?表了一?串的?究成果。除了申采湜和高奭林之外,七十年代相?在??的中?史?界登?的?有?究太?的卓用?、?究宋?金和高?之?的?系的金渭?、?究?适思想的??元等人。?入八十年代之后,?又有?持?究?事??的安俊光、?究南宋初期民?叛?史和政治史的金容完、努力重??北宋正??王安石至南宋之思想史?向的李范?等人相?登?。大?至八十年代中期,??的宋史?究?管?促却也?到了可以?部?行??的??。通????程,?八十年代后期至九十年代中期,?究人?的?量出?了?越性的增?。??登上史?界的?究者接近20人。他?均?年?在45?上下的?究者,目前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