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캐나다 미술치료학회지의 연구동향(1985-2019) : 논문 제목에 대한 동시출현단어 분석기법을 중심으로

        김도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0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하여 캐나다에서 축적된 미술치료학 연구의 주요 연구 영역과 세부내용을 식별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캐나다 미술치료학회 (CATA/ACAT)에서 출판하는「Canadian Art Therapy Association Journal」에 게재된 195편(1985-2019)의 논문이다. 수집된 문헌은 SEMI, COOC, WNET, NodeX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동시출현단어 분석은 전체 문헌의 제목에서 2회 이상 출현한 단어 117개의 개별출현빈도와 동시출현빈도를 바탕으로 단어 간 유사도 값을 산출하고, 단어 간 연결패턴을 시각화하는 절차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캐나다 미술치료학의 지식구조는 ‘아동 미술치료’, ‘청소년 미술치료’, ‘성인 미술치료’, ‘노인 미술치료’ ‘미술치료 이론’, ‘표현예술치 료’, ‘투사적 그림 검사’, ‘이미지와 해석’, ‘미술치료사의 전문성’의 9가지 연구영역으로 구분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캐나다에서 축적된 미술치료학 분야의 지식이 미술치료를 구성하는 내담자, 창조적 과정, 작품, 치료자의 네 가지 요소와 미술치료의 효과에 대한 내용으로 구 성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계량정보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미술치료학이 갖는 학 문 체계를 규명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끝으로 한국, 미국, 영국, 캐나다에서 축적된 미 술치료학의 지식구조를 비교하고, 국내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areas and details of art therapy conducted in Canada through co-word analysis. The included literature were 195 papers published between 1985 and 2019 in the Canadian Art Therapy Association Journal from the Canadian Art Therapy Association (CATA/ACAT). The collected papers were analyzed with SEMI, COOC, WNET, and NodeXL programs. Co-word analysis was used to compute similarity values between words based on individual and simultaneous appearance frequencies of 117 words that appeared at least twice in titles of the literature. Co-word analysis visualizes networks of connection patterns between words. As a result, the knowledge structure of Canadian art therapy was classified into “child art therapy,” “adolescent art therapy,” “adult art therapy,” “elderly art therapy,” “art therapy theory,” “expressive arts therapy,” “projective drawing test,” “image and interpretation,” and “professionalism of art therapists.” The results show that the knowledge accumulated regarding art therapy in Canada consists of four factors (client, creative process, artwork, and therapist) and their effect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established an academic structure of art therapy through informetrics. The knowledge structure of art therapy accumulated in Korea,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and Canada was compared and the implications for domestic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한 미국 미술치료학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김도희 한국예술치료학회 2017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하여 미국에서 수행된 미술치료연구의 지적구조를 규명함으로써 미국 미술치료학의 주요 연구영역과 그 세부내용을 식별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미국미술치료협회(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AATA)에서 출판하는 「Art Therapy」의 첫 호부터 34권 1호(1983년~2017년)까지에 게재된 681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주요어휘 1,107개를 추출하였으며 그 중 출현빈도가 3회 이상인 213개의 단어를 추린 다음, 각 어휘의 출현빈도와 문헌 간 동시출현빈도를 바탕으로 유사도 계수행렬을 구하고 이를 시각화하였다. 그 결과, 미국 미술치료학의 지적구조는 미술치료의 임상적 실천에 관한 지식을 중심으로 한 연구영역과 내담자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 연구영역 및 미술의 치료와 진단적 유용성을 중심으로 한 연구영역이 각기 연결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으로 41가지 주제에 대한 연구군집이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문헌정보학적 분석기법을 통하여 미국 미술치료 분야의 지식체계 를 객관적으로 도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국내 미술치료학의 지적구조와 비교함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structure of the American art therapy field through co-word analysis, identifying the major research areas of art therapy in the United States. To this end, 1,107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681 articles in 「Art Therapy」 published by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AATA), from its first issue to Volume 34, Issue 1 (Years 1983~2017). After 213 words appearing 3 or more times were further selected, a similarity coefficient matrix was obtained based on the frequency of each word and the co-occurrence frequency across the literature, and this matrix was visualized. Results indicate that the knowledge structure of art therapy in the United States consists of three main interconnected areas: research focusing on knowledge regarding the clinical application of art therapy, research focusing on the diverse cultural background of the clients, and research focusing on the treatment and diagnostic utility of art. A more detailed analysis identified research clusters distributed around 41 topics.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objectively reveal the knowledge structure of the American art therapy field through methods of analysis from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is discussed by comparing it with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korean art therapy.

      • KCI등재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한 국내 미술치료학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김도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하여 국내 미술치료학의 지적구조를 규명함으 로써 미술치료학 분야의 구체적인 연구영역을 식별하고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미술치료연구」에 게재된 854편의 논문에서 추출된 1,136개의 단어 중에서 상위 고빈도 단어인 175개 단어에 대한 유사도 행렬을 작성하고, 계층적 군집분석 과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적 학문인 미술 치료학의 지적구조를 분석하는 데에는 군집 분석보다 네트워크 분석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미술치료학 지적구조는 ‘미술치료 이론’, ‘검사 및 척도’, ‘미술치료 임상사 례’, ‘미술치료 동향’, ‘미술치료사 훈련’의 다섯 가지 연구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었 다. 둘째, 미술치료는 작품 안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특성을 살펴보고 심리학과 미술을 기 반으로 그것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도구로서, 다른 학문 분야와 구별되는 지적구조가 형성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계량정보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국내 미술치료 학 분야의 지적구조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규명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areas of art therapy in detail and establish its academic identity by analyzing co-occurrences of key words, and investigat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Korean art therapy. Thus, a similarity matrix was developed including the 175 most frequently used words among 1,136 words, which were extracted from 845 research paper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and a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Consequently,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network analysis is more appropriate for analyz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r therapy which is a practical study than cluster analysis, a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Korean art therapy consists of the five research areas of “art therapy theory”, “testing and scales”, “clinical cases of art therapy”, “art therapy trend”, and “training for art therapists”. Second, it confirmed that art therapy as a tool to examine on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a work and change them based on psychology and art, has an intellectual structure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studies. This study explore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Korean art therapy in a systematic and scientific way by utilizing an informetric method.

      • KCI등재

        저자동시인용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의료정보학 저널의 지적구조 분석

        허고은,송민 한국정보관리학회 2013 정보관리학회지 Vol.30 No.2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convergence of various disciplines has been fostered. Accordingly, interdisciplinary studies have increasingly been expanded by integrating knowledge and methodology from different disciplines. The primary focus of biblimetric methods is on investigat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a field,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zation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is overlooked. In this study, we aim to identify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field of medical informatics through author co-citation analysis and co-word analysis by the representative journal “IEEE ENG MED BIOL.” In addition, we examine authors and MeSH Terms of top three representative journals for further analysis of the field. We examin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medical informatics field by author and word clusters to identify the network structure of medical informatics disciplines. 학문과 기술의 발달이 전개되면서 학문 간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학제적 성향을 띠는 학문이 더욱 등장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계량정보학적 방법으로 학문 분야의 지적구조를 파악한 연구는 있었지만 학제적인 학문의 특성을 규명하여 지적구조를 분석한 시도는 적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제성을 띠는 의료정보학(Medical Informatics) 분야의 저널 중 IEEE ENG MED BIOL 저널을 선정하여 저자동시인용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해 본 저널의 지적구조를 파악하였다. 또한 상위 3개 대표 저널의 저자 및 MeSH Term을 추출하여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의료정보학 분야의 융합된 학문들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의료정보학의 학문적 성향을 분석했다.

      • KCI등재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한 한국어교육에서의 챗봇 연구 방향 탐색-교육 분야 챗봇 관련 연구 동향 분석을 기반으로-

        허영수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8

        본 연구는 교육 분야에서 진행된 챗봇과 관련된 연구의 연구 동향을 살펴 한국어 교육에서의 챗봇 활용 및 연구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챗봇 관련 논문 148편을 선정하여, 동시출현단어와 네트워크 분석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논문 제목 기준 고빈도 단어 확인 결과 국내 챗봇 연구는 빌더 등을 사용한 ‘개발’ 연구보다 기존 상용화 챗봇을 이용한 ‘활용’ 연구가 더 많은 것으로나타났으며, 동시출현단어 분석에서는 국내 교육 관련 챗봇 연구가 ‘초등학생의영어 말하기 수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을 통해 논문 제목에서 고빈도로 나타났던 ‘영어, 초등, 활용’과 더불어‘정의’와 ‘어휘’도 핵심어임을 확인하였고, 서브그룹 분석에서는 ‘영어’를 중심으로하나의 그룹이, 그리고 ‘한국어’를 중심으로 또 다른 그룹으로 총 두 개의 서브그룹으로 분류가 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챗봇 연구 방향에 관해 제안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육 챗봇 연구에서는 상용화 챗봇을 활용하는 것보다는 챗봇빌더를 이용하여 개별적인 과업이나 학습자 상황에 맞는 목적형 챗봇을 개발하고 그 챗봇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다. 둘째, 말하기 영역에서 챗봇 활용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학습자들의 발음 관련해서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쓰기 기능에 대해서도 다양한 시도를 통해 챗봇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도출하는 연구를진행해야 한다. 넷째, 한국어 교육 챗봇 연구에서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관한분야에서도 좀 더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use of chatbots andrelated research direc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examiningchatbot related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this end,148 papers related to chatbots were selected and examined usingco-word and network analysis methods. First, by examining high-frequency words in paper titles, we wereable to determine that domestic chatbot research was conducted morethrough utilizing existing commercial chatbots than through theso-called “development” research using builders, etc. Additionally,through co-word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domestic chatbotresearch in the education domain primarily revolves around“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speaking classes.” Next, throughnetwork centrality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ffective” and“vocabulary,” in addition to “English,” “elementary,” and “utilization,”were key words in thesis titles. In the subgroup analysis, two distinctsubgroups were identified: one centered around “English” and the otheraround “Korean.” Based on these analyses, the following proposals can be made regarding chatbot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in the research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tbots, it ismore meaningful to develop purpose-specific chatbots using chatbotbuilders for individual tasks or tailored to learner situations, rather thanrelying on existing commercial chatbots, and to derive ways toeffectively utilize the chatbots. Second, relatively numerous studieshave already been conducted on the use of chatbots in the speakingdomain,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concerning learners’pronunciation-related issues. Third, for the writing function, researchshould be conducted using various means to derive effective ways ofutilizing chatbots. Fourth, more proactive research is also needed in thefield of learners’ affective domai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chatbot research.

      • KCI등재

        프로파일링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분석

        강범일,박지홍 한국정보관리학회 2013 정보관리학회지 Vol.30 No.4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domain by using journal profiling and co-word analysis in comparison with the relevant and adjacent domains. Firstly, by extracting and comparing topic terms, we calculate the similarity of academic journals of the three domains, KFL, teaching Korean as a Native Language (KNL), and Korean Linguistics (KL). The result shows that the journals of KFL form a distinct cluster from the others. The profiling analysis and co-word analysis are then conducted to visualize the relationship among all the three domains in order to uncover the characteristics of KFL. The findings show that KFL is more similar to KNL than to KL. Finally, the comparison of knowledge structures of these three domains based on the co-word analysis demonstrates the uniqueness of KFL as an independent domain in relation with the other relevant domains. 이 연구에서는 프로파일링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해 인접 학문과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어교육학, 국어교육학, 국어학 학술지의 논문에서 추출한 주제어를 기반으로 저널 프로파일링 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한국어교육학 분야의 학술지들이 하나의 독립된 군집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문 분야 프로파일링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해 학문 분야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교육학이 국어학보다 국어교육학과 더 큰 유사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해 세 학문 분야의 지적 구조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학에서만 출현한 주제들을 확인함으로써 인접학문들과의 관계 속에서 한국어교육학이 드러내는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한 국내외 정보학 학회지 연구동향 파악

        김하진,송민 한국정보관리학회 2014 정보관리학회지 Vol.31 No.1

        This paper carried out co-word analysis of noun and noun phrase using text-mining technique in order to grasp the research trend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articles. It was conducted based on collected titles and articles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KOSIM) and Journal of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JASIST) from 1990 to 2013. By dividing whole period into five publication window, this paper was organized into the following processes: 1) analysis of high frequency co-word pair to examine the overall trends of both information science articles 2) analysis of each word appearing with high frequency keyword to grasp the detailed subject 3) focused network analysis of trend after 2010 when distinctively new keyword appear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KOSIM has considerable portion of studies conducted regarding topics such as library, information service, information user and information organization. Whereas, JASIST has focused on studies regarding information retrieval, information user, web information, and bibliometrics. 이 연구는 국내외 정보학 분야 학회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0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정보관리학회지와 국외 JASIST의 논문 제목과 초록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한 명사, 명사구 동시출현 분석을 수행하였다. 전 기간을 5구간으로 나누고 전체적인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고빈도 동시출현단어를 분석하였으며, 세부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 상위 키워드와 동시에 출현하는 단어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과거와 다르게 새로운 키워드가 등장하는 2010년 이후 동향을 중점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국내의 경우 정보관리학회지는 도서관, 정보 서비스, 정보 이용자, 정보 자료 조직 주제 분야가 많이 차지하고 있었고 JASIST는 정보 검색, 정보 이용자, 웹 관련 정보학, 계량 정보학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 KCI등재

        가상현실(Virtual reality)관련 관광학 분야의 연구동향 분석 : 온라인 학술정보저널 SCIENCEDIRECT(1995-2019)에 대한 동시출현 단어분석

        이금실,이인주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학 분야의 가상현실 관련 연구초기부터 최근까지의 글로벌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관광학 분야에서 가상현실 분야에 대한 지식구조 체계를 수립하고자 하는 것으로, 가상현실 관련 연구의 주제 간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온라인 학술저널 플랫폼인 SCIENCEDIRECT를 대상으로 1995년부터 2019년까지 기간에 대한 가상현실 관련 논문을 수집하였고, 이를 위한 방법론적 도구로 동시출현단어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가상현실을 주제로 한 연구들의 구현대상 및 환경이 문화유산, 마케팅, 게임기반 교육, 가상박물관 분야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특히 가상현실 관련 연구는 고고학, 건축학 등의 학문분야, 문화유산의 복원 및 복원을 위한 디지털 문서화 과정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가상현실 연구의 주제간 연관성에 있어서는 ‘가상현실(virtual-reality)’, ‘가상(virtual)’, ‘가상경험(virtual experience)’, ‘박물관(museum)’ 등이 전체 연구 네트워크의 의미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또한 가상현실 분야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한 방법론 도구인 동시출현단어분석의 효과성을 입증해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을 확대하고 있는 관광산업분야의 상황을 학문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관련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학문분야와 산업분야 간의 동반적 성장이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는 가상현실에 대한 학문적⋅실무적 분야에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을 기대한다.

      • KCI등재

        토픽모델링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2002~2021

        장성희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mprehensive insights on the current research trends in entrepreneurship based on topic modeling and keyword co-occurrence analysis. This study queried Web of Science database with ‘entrepreneurship’ and collected 14,953 research articles between 2002 and 2021. The study used R program for topic modeling and VOSviewer program for keyword co-occurre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keyword co-occurrence analysis, 5 clusters divided: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cluster, entrepreneurship education cluster, social entrepreneurship and sustainability cluster, enterprise performance cluster, and knowledge and technology transfer cluster. Second, as a result of the topic modeling analysis, 12 topics found: start-up environ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venture capital, government policy and support, social entrepreneurship, management-related issues, regional city planning and development, entrepreneurship research,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inally, the study identified two hot topics(venture capital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and a cold topic(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ful to understand current research trends in entrepreneurship research and provide insights into research of entrepreneurship. 본 연구는 토픽모델링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하여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 동향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에서 ‘entrepreneurship’을 기본검색어로 설정하고, 2002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한 14,953편의 기업가정신 논문의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VOSview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하였고, 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토픽모델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시출현단어 분석 결과, 기업가정신과 혁신 클러스터, 기업가정신 교육 클러스터,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지속가능성 클러스터, 기업성과 클러스터, 그리고 지식 및 기술이전 클러스터 등 5개의 클러스터로 구분되었다. 둘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창업환경 및 경제발전, 국제 기업가정신, 다양한 기업가정신, 벤처기업과 자본조달, 정부정책 및 지원, 사회적 기업가정신, 경영관련 이슈, 지역도시계획 및 개발, 기업가정신 교육, 기업가의 혁신과 성과, 기업가정신 연구, 기업가의 창업의도 등 12개의 토픽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시기별 토픽변화 추이 분석결과, 벤처기업과 자본조달과 기업가의 창업의도에 대한 토픽은 상승토픽으로 나타났고, 국제 기업가정신은 하강토픽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가정신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할 뿐만 아니라, 기업가정신 연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프랑스어 교육 분야의 연구동향 분석 - 동시출현단어분석을 중심으로 -

        배진아 ( Jinah Bae ),이준구 ( Jungoo Lee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2 프랑스어문교육 Vol.78 No.-

        본 연구는 한국의 프랑스어 교육 관련 연구들이 어떤 주제어들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이들이 어떠한 지식 구조를 이루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언어네트워크분석에서 많이 활용되는 동시출현단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지난 20년간 이루어진 한국의 프랑스어 교육 관련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KCI에 등재된 프랑스어 교육 관련 논문들 253편의 주제어를 추출하고 이들을 동시출현 단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프랑스어 교육 관련 연구는 크게 FLE, 의사소통접근방법, 의사소통능력, 프랑스어권, 교육과정, 언어학적 접근, 읽기 및 쓰기, 문법교육의 8개 영역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결중심성 및 군집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의사소통능력은 의사소통접근방법과 구분되는 하나의 독립된 영역을 형성하며 비중 있게 연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20년간 한국의 프랑스어 교육연구에 있어서 의사소통접근방법은 행위중심접근법 보다 비중 있게 연구되어 온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프랑스어 교육 연구 자료들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에 인공지능 기반의 데이터 마이닝 및 언어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여 분석했다는 데에 의의를 가지며, 이와 같은 다양한 분석도구를 사용하는 후속 연구들에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ette étude analyse les tendances des études liées à l'enseignement du français en Corée depuis les années 2000 en utilisant la technique d'analyse des co-occurrences. Pour l'analyse, les mots-clés choisis ont été extraits de 253 articles enregistrés dans l'index de citation coréen (KCI). À la suite de l'analyse, il a été constaté que les études en enseignement du français sont axées sur huit domaines : le FLE, l'approche communicative, les compétences de communication, la francophonie, le curriculum, l'approche linguistique, la lecture et l'écriture, et l'enseignement de la grammaire. Il a été également constaté que les compétences de communication formaient un domaine, qui est indépendant de celui des approches communicatives. De plus, nous avons pu percevoir que l'approche communicative exerçait une influence plus grande que l'approche actionnelle dans l'enseignement du français en Corée. Cette étude pourrait servir de tremplin pour des études ultérieures faisant appel à la technologie d'exploration de données de l'intelligence artificiel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