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방정교회 신학의 생태학적 관련성

        이문균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1 장신논단 Vol.0 No.41

        동방정교회는 서방의 여러 교회와 함께 전체 기독교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오랜 세월을 서방 세계와 격리된 채로 지내는 동안 동방정교회는 서방교회와 다른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 동방정교회 신학은 서방교회 신학이 놓치고 있는 생태학적으로 매우 유용한 통찰을 지니고 있다. 동방정교회 신학의 생태학적 성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방정교회의 하나님 중심주의는 하나님 일방주의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공동체적 인격이신 하나님의 사귐 지향성을 통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동방정교회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은 단일한 하나의 신적 본질(substance)이 아니라 사랑의 사귐(koinonia)가운데 있는 공동체적 인격이다. 하나님은 홀로 있고자 하는 존재가 아니라 타자와 연합과 일치를 추구하는 사귐의 존재다. 이 세계는 상호 인격적 관계속에서 자신을 풍요롭게 하시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동방정교회의 사귐의 인격 존재론은 생태학적으로 풍부한 함의를 지닌다. 둘째, 동방정교회 신학에서 하나님과 자연의 관계는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로 끝나지 않는다. 자연 만물은 무로부터 창조되었지만 무로 떨어지기 위하여 잠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사귐의 인격이시고, 타자를 통해서 자신을 드러내시고, 타자를 허용하시는 분이시기 때문이다. 인간과 함께 자연 만물은 신화, 즉 하나님과의 연합을 향하여 나아간다. 하나님은 세계가 근본적으로 순환주기를 따라 존재하도록 보존하시는 분이 아니라 자신과의 연합 안에서 세계가 그 생명의 완성에 이르도록 부르시는 분이다. 셋째, 동방정교회의 인간 중심주의는 자연을 위한, 그리고 자연과 함께 하 는 인간중심주의다. 동방정교회에서 인간 중심주의는 결코 자연을 배제하지도 않고, 자연을 이용의 대상으로 삼지도 않는다. 동방정교회의 하나님, 인간, 자연으로 이어지는 위계질서는 단순히 다스림과 복종의 위계질서가 아니라 사귐을 통하여 연합에 이르는 사랑과 구원의 질서다. 동방정교회에서 창조된 세계는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선물인 동시에 인간이 성취해야 할 소명이다. 자연만물은 우주적 성전 안에서 신적 삶의 충만함에 참여하도록 창조되었다. 그 가운데서 인간은 만물을 위하여 창조세계의 예언자와 제사장으로 섬기도록 부름을 받았다.

      • KCI등재

        이스탄불 동방정교회의 종교교의에 따른 사원공간구성 연구

        임상규,강윤식,강훈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4

        동방정교회는 예수와 마리아와 황제를 매개로 구원하는 이념을 가진 종교이다. 따라서 각자 개인의 요구에 의해 교회는 여러 개의 교회가 연립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사원은 개인을 중심으로 형성되므로 소규모의 사원들이 규칙적 연립형으로 확장된다. 이스탄불의 비잔틴 건축의 구법인 사각형 지주 위에 펜덴티브 구법을 동방정교회가 계승하고, 주 돔을 중심으로 확장되는 공간은 바랠 볼트나 반원 돔, 아취 등으로 구성하였다. 펜덴티브 구법은 개인이 신과의 교류를 원하는 소규모의 공간의 전개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기독교의 기본형인 바실리카를 적용 가능하고, 동방정교회 아이콘의 적용이 무리 없이 가능하다. 마르마션 수도원은 중세 아르메니아 기독교 건축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파괴된 성벽 안에는 2개의 콤플렉스가 있고 2개의 수도원이 남아있다. 아르메니아 정교회의 사원들은 이스탄불의 동방정교회 사원과 다르면서도 많은 유사점이 발견된다. 이상에서 정리한 자료들을 정리해 보면 이스탄불의 동방 정교회는 기독교의 교리가 정립되기 이전에 절대자인 신과 인간이 직접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근본으로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원이 연립할 수 있는 것은 건축의 구성이 사각형의 구조를 기본으로 확장과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Since the Orthodox Church is a religion that saves Jesus and Mary through the emperor, the church is a phenomenon that is manifested in the form of the pluralism of the churches at the individual request. Because the temple is formed around the individual, the small-scale employees are expanded in a regular and simultaneous manner. The Eastern Orthodox Church inherited the Pendentive Old Law on the square of the Byzantine architecture of Istanbul, and the space expanded around the main dome consisted of the Vaulted Vault, the Semicircular Dome, and the Arches. The Pendentive method makes it possible to develop a small space where individuals want to interact with God. Basilica, the basic form of Christianity, can be applied, and the Orthodox icon can be applied without difficulty. The Marmons monastery ha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culture of Christian Armenian architecture in the Middle Ages. There are two complexes within the ruined walls and two monasteries remain. The Armenian Orthodox temples are different from the Oriental Orthodox Temple in Istanbul, but many similarities are found. In summary, the Eastern Orthodox Church in Istanbul is thought to be based on maintaining direct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 before the establishment of Christian doctrine. In addition, the temple can cooperate because the composition of architecture can expand and separate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square.

      • KCI등재후보

        동방정교회 영성의 고전 『필로칼리아-The Philokalia』에 나타난 무정념(apatheia)에 이르는 길

        김수천 한국실천신학회 2008 신학과 실천 Vol.0 No.16

        본 논문은 동방정교회의 필로칼리아-The Philokalia에서 제시하는 무정념(apatheia)에 이르는 네 가지의 주요 방법들을 신학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무정념이란 기도자가 묵상 기도를 할 때에 경험하는 욕심, 근심, 잡념, 과거의 기억의 활동들로부터 마음이 자유로와지고 나아가 마음의 고요와 정적에 이르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참된 기도와 관상을 위해 필요한 전 단계로서 이해 되었다. 무정념에 이르는 네 가지의 길 가운데 첫째는 예수 기도(The Jesus Prayer)를 통한 길이다. “예수여, 이 죄인을 불쌍히 여기소서!”라는 짧은 기도문을 반복함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고 나아가 잡념의 활동들로부터 벗어나 마음의 고요를 경험할 수 있다고 동방정교회의 영성가들은 강조한다. 둘째는 기도자가 자신의 죽음의 순간을 묵상하는 것이다. 자신의 죽음의 시간과 임종 장면을 자주 묵상할 때 기도자는 현실을 초월할 수 있고 그 현실로부터 야기된 욕심이나 근심과 같은 잡념들을 쉽게 극복할 수 있다. 셋째는 덕의 실천이다. 많은 덕 가운데 공통적으로 강조된 덕들은 절제, 인내, 사랑, 겸손을 들 수 있다. 넷째는 애통의 눈물이다. 애통의 눈물은 혼탁한 마음과 영혼을 정화해 잡념들로 인해 흐트러진 마음과 정신을 쉽게 집중하도록 도와 준다. 필자는 동방정교회의 이러한 영적 훈련이 현대인들에게 세 가지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는, 마음 수련에 관심이 있는 현대인들에게 선교를 위한 대화의 접촉점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목표는 다르지만 마음의 고요와 내면의 평화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기독교인들은 동방정교회의 훈련방법을 불신자들과 대화의 주제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깊은 묵상기도를 갈망하는 기독교인들에게 동방정교회의 훈련 방법은 하나의 좋은 방안을 제시한다. 깊은 기도를 위해서는 존재의 중심이자 성령이 임하시는 마음 중심에 이르는 것이 필수인데 바로 동방정교회의 영성 훈련 방법은 마음의 정적에 이르게 하는 하나의 길이 될 것이다. 끝으로, 진정한 변화를 위한 성화와 신적 지혜를 얻도록 도와 준다. 모든 기독교인들이 갈망하는 것은 예수님의 성품을 닮는 성화의 삶인데 동방정교회에서는 무정념의 상태를 통하여 신화(deification)라는 비젼을 추구하고 있다. 나아가 무정념의 상태에서 경험하는 명료한 사고의 활동을 통해 피조물의 본질과 성서적 진리를 깊이 사색하는 관상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ways to attain the stillness of mind in The Philokalia. The Philokalia in five volumes, compiled by two monks of the Eastern Orthodox Church in the eighteenth century, consists of the writings of thirty-five monks and priests who practiced spiritual discipline through out their life. The Eastern Orthodox Church has valued the book as a treasure for spiritual life. However, it was not known to the public of the Western world until the twentieth century. There are many ways in The Philokalia to reach a calmness of mind during a silent prayer called apatheia in Greek. The word apatheia means that the mind is free from distractions mainly caused by desires, concerns, random thoughts, and memories. This article focused on four ways for the stillness of mind which are common to most writers of the book: the Jesus Prayer, meditation of death, practice of virtues, and tears of lamentation. The Jesus Prayer is a repeated prayer focusing on calling the name of Jesus. The person praying is distracted by those activities of the thoughts in him and is encouraged to repeat that prayer for divine help: "Jesus, have mercy upon me, a sinner." When believers repeat this prayer continuously they would experience two spiritual benefits. First, it works as a semi-sacrament for them which functions as a means of grace like the holy communion. Second, it helps them overcome the distractions of the thoughts and reach stillness of mind. The writers of The Philokalia also suggest their readers meditate on their own death frequently. To meditate on death means to imagine the time and situation of their own death. Thishelps them transcend their desires and concerns in the present and be free from distractions related to those desires and concerns. Another way to reach tranquility of mind is to practice some virtues. The contributors of The Philokalia recommend practice four virtues: selfcontrol, patience, love, and humbleness. They believe that when the believer practices those virtues they will experience a peace of mind more easily. For instance, when a person tries to live a life of love, he wishes only good for others. This attitude will result ina simpler and more peaceful mind. Finally, the tears of lamentation work like washing water. They are not limited to tears of repentance for sin. All of the tears before God help purify the mind and soul of the believer,and as a result, his mind becomes freed from distractions of thought more easily.

      • KCI등재

        러시아정교의 민족주의에 관한 소고 - 모스크바

        정세진(Jung Se Ji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4

        본 논고는 러시아정교의 민족주의적 특성을 러시아정교의 제3로마이론과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에 러시아정교와 이슬람의 다양한 이념적 변화를 중심으로 규명하고 있다.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보는 내용은 러시아정교의 민족주의적 성격이다. 본고에서 제기한 러시아민족주의 이념으로서 러시아정교라는 콘텍스트는 포스트공산주의 시기에 여전히 내부에서 구동되는 동력기였다. 본 논고는 러시아정교의 민족주의에 관한 담론과 러시아정교의 전통적 민족주의적 특성과 역사성, 그리고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의 러시아정교성에 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러시아정교의 민족주의적 특성은 러시아사회내의 전통적인 구조였던 다민족, 다종교 사회의 다양한 요소 등과 결부되어있다. 그러므로 러시아정교의 민족주의적 특성은 그 역사적 기원으로 설명되어질 수 있지만, 여전히 다민족, 다종교 사회인 러시아에 있어서 러시아정교의 이념적, 정신적 향방은 러시아 이슬람과의 관계 속에서 면밀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즉 이러한 관점에서 다종교 문화와 소수 민족 그룹이 혼재된 러시아 사회의 정신적 이데올로기는 종교적 공존의 가능성과 동시에 개별적인 종교 정체성의 발전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검토될 때에 더 정확히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러시아정교회의 당면한 문제는 러시아정교회가 신비적이고 수행자적인 정교의 이념과 역사성을 회복할 것인가, 아니면 전세계를 향한 선교와 사회도덕을 주창해야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이다. 전자는 내부적 전통성이며, 후자는 외부로 움직이는 원심력 요소이다. 러시아정교회는 소비에트 시대에 정치적 이유로 다종교성과 수용성, 관용성을 갖추지 못했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은 바로 종교의 역사성과 이념, 기원, 그리고 분쟁과 공존의 패러독스 사이에서 그 생명력을 가지며 추진되어온 핵심적 정체성의 활동 무대라고 정의될 수 있다. This articles explores Russian Orthodox nationalism focused on Third Romism, relation between Russian Orthodoxy and Islam.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overview russian nationalism's diverse form through the russian's national identity and Russian Orthodox historical process and identity. Chapter Ⅱ review Russian Orthodox historical character- nationalism's role and its process. Chapter Ⅲ analyzes Third Romisms and Russian Orthodox nationalism. Chapter Ⅳ examines Russian Orthodox and Islam's religious nationalism in the postsoviet era. After presenting origins of the concept and its major interpretations in the past, this paper considers its reincarnations(Third Romisms) in Russian Orthodox nationalism, such as Orthodox Nationalism/Fundamentalism, its origins of Orthodoxy, Islam's historical concept and its historical process in the current Russian Federation. To summarise, historically there have been several major understandings of the concept with distinctive Russian Orthodox nationalism's ideals attached: its original meaning in Muscovy was primarily inward-looking, promoting ideals of a protective Orthodox empire.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identity in Russian nationalism's recognition through Islam's ideological process and current geopolitical concept.

      • KCI등재

        동방정교회 아야소피아사원이 오스만 제국시대 이슬람교 사원에 미친 건축적 영향에 관한 연구

        강훈,임상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4

        오스만제국시대 지어진 많은 이슬람 사원들은 비잔틴 동방정교회 소속 사원들의 영향을 받았다. 그중에서도 오스만왕조의 대표적 건축가 미마르 시난이 건축한 슐레이마니예 모스크는 부르사의 예실 모스크와 에드리네의 우치 세르페이 모스크, 그리고 동방정교의 아야소피아사원의 건축적 특징들을 혼합하고 절충하여 이스탄불에 건축한 새로운 형식의 이슬람교 사원건축 중 대표적인 것이다. 이렇게 기독교라는 특정한 종교적 표현의지가 비잔틴이라는 지역적, 장소적 맥락을 반영하여 변화하였고, 이러한 성공적 변화는 종교적, 이념적 차이를 넘어 새로운 건축적 지역성을 조성해 나간 것이다. 기독교와 이슬람교라는, 근본이 같은 종교지만 교리의 견해 차이로 반복과 갈등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두 종교의 현실에서 이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정교(콘스탄티노플과 로마)와 동방 단성론간의 정치·사회적 갈등

        최자영 ( Che Jayou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2 서양고대사연구 Vol.33 No.-

        단성론(monophysitismos)은 5세기경에 출현하여 동방(근동)의 이집트, 팔레스타인, 아르메니아 등에서 풍미했으며, 다소간 비잔티움 제국과 로마의 정교와 대립하게 된다. 이들은 451년 칼케돈 공회의의 결정에 반대하는 입장에 있었다. 그러나 정교와 단성론자들을 함께 껴안으려는 제논의 통일령이 482년 반포될 때까지만 해도 단성론자들은 독자적인 위계조직의 성직 및 교회를 구성하지 않았던 것으로 간주된다. 그런데 유스티니아누스가 등장하여 여러 게르만 종족들에게 빼앗겼던 지중해 연안의 땅을 다소간 회복(Reconquista)하면서 상황이 변화했다. 그는 제국의 정치적 통합을 위한 기반으로 정교를 이용하려했기 때문이다. 그와 함께 콘스탄티노플 수도에서는 배타적 성직자와 특권 귀족들의 야합이 이루어지고, 또 이들이 동방(오리엔트)의 고위성직을 차지하면서 토착민과의 갈등을 빚게 되었다. 뿐 아니라 수도 자체에서도 황제와 원로원 귀족 및 고위 성직자들 사이에 갈등이 일었다. 보편적 지배권을 확립하려는 비잔티움 황제는 운신의 폭을 넓히기 위해 정교와 단성론자들 간의 화합을 지향했으나, 특권을 지향한 콘스탄티노플의 원로원 귀족, 또 로마 및 콘스탄티노플 정교 성직자들은 배타적 입장에서 정교 이외의 다른 종파를 이단시했다. 또 황제가 단성론을 지지한 것도 참다운 종교의 자유보다는 보편적 지배 권력의 확립에 이용하여, 지역정권에 대한 정치적인 간섭 및 제반 경제적 착취를 수반하는 것이었다. 비잔티움 제국의 혹세정책과 정교의 강요는 아랍 이슬람 교도가 동방으로 진격할 즈음 동방의 단성론자들로 하여금 이슬람의 세력을 받아들이게 하는 주요 동인이 되었다. 단성론에 대한 박해는 보편적 로마-비잔티움 제국의 이념이 상대적으로 더 개방적인 것에서 배타적, 특권적 권력층의 것으로 변질되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런 변질은 기독교뿐 아니라 황제의 역할 및 제국의 이념 자체에서도 볼 수 있다. 즉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이교에 대한 관용이나 콘스탄티누스 대제 때 에우세비오스에게서 보이는 보편적, 평화적 로마제국 개념으로부터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및 그 이후에는 공격적, 군국적제국주의가 더 강화되어가는 것으로 변질되는 것이 그러하다. 보편적 기독교의 이념은 온 세계, 즉 이교도에 대한 전도까지를 포함한 것이며 헬레니즘-로마적 전통, 더 멀리는 더 멀리는 구약의 전통으로까지이어진다. 이 이념이 반드시 이교도와 이단의 박해나 갈등을 전제로 한 것이 아니다. 기독교 전도가 정치적 압박과 군사적 정복이 아니라 평화와 설득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보편적 기독교 이념은 이단뿐 아니라 이교에 대한 포용을 뜻한다고 하겠다. Monophysitism appeared in the 5th Century to spread widely in the Middle-Eastern area including Egypt, Palestine, Syria, Armenia, etc. After the Ecumenical Council of Chalcedon of 451 denigrated Monophysitism as a heresy, it took a stand more or less against the Orthodox doctrine of the Eastern as well as the Western Church. Until the period, however, when the ‘Enotinkon (Unification)’ was announced by the Emperor Zenon to put together the Orthodox and the Monophysites, the latter had not yet constituted a hierarchy of priests and churches. Then, the situation came to change due to the ‘Reconquista’ of Justitnian the Great who made an effort to gain the lost territory from the Goths around the Mediterranean Sea and beyond it. He took advantage of religion as a basis for political unification of the empire. And with this as a turning point, the exclusive priests and the prerogative aristocrats of Constantinople formed a coalition, and appropriated the high ranking officials in the Oriental provinces. This resulted in creating feud with the aborigines. In the Capital, Constantinople, itself, discord was bred between the emperors on the one hand, and the senatorial aristocrats and high ranking priests on the other. In order to establish ecumenical rule of power, the Byzantine emperors frequently depended on the conjugation of the Orthodox and the Monophysites, while the aristocrats and the Orthodox priests of Rome and Constantinople continued accusing the Monophysites of heresy. Moreover, even in cases where Monophysitism was tolerated, the covert purpose of the Byzantine emperors was never to allow the liberty of religion, but to take advantage of it for the enlargement of their rule of power, accompanying the political interference in and economic exploitation of the regional community. The heavy burden of tax as well as the Orthodox doctrine coerced by the Byzantine Empire motivated the Oriental Monophysites to surrender more or less readily to the invading Muslims. Persecution against Monophysitism definitely proves the transition of the Byzantine Empire from a relatively more open society to an exclusive, privileged one. This kind of degeneration is disclosed itself not only in the religion of Christianity, but in the concept of the emperor's or the empire's function. That is, Diocletianus' tolerance of Paganism and the concept of the ecumenical, peaceful Roman Empire advised by Eusebios in the period of Constantine the Great transformed gradually to intensify the trend of offensive, militaristic imperialism in the epoch of Justinian the Great and thereafter. The ecumenical Christian ideal refers to the evangelism of the whole word including the pagans and heretics. The ecumenical ideal of rule, peace, or philanthropy goes back to the Hellenistic-Roman tradition, and further to the Bible. The ideal of Christian universality does not necessarily premise a conflict with pagans or persecution against heretics, but tolerates both of them, pagans as well as heretics, regarding the point that the evangelical work should be carried forward by peaceful and philanthropic persuasion and not by political oppression and military attack.

      • KCI등재

        오리엔트정교회와 동방정교회의 에큐메니컬 대화

        임지연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3 장신논단 Vol.55 No.2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mporary ecumenical dialogue between the Eastern Orthodox Church and the Orient Orthodox Church. These two Orthodox Churches had experienced some 1500 years of separation from the time of Christological controversy in the Council of Chalcedon (451) until the recent past. Firs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bilateral dialogue is provided. Second, a series of unofficial theological dialogues as steps to reach the unity in Christology, which had in earnest started in the 1960s onwards are reviewed. This shows the procedure of this significant ecumenical dialogues between the Chalcedon and the so-called ‘Miaphysite’ Church. Third, the main texts of the agreed statement announced by the Second “Joint Commission of the (Eastern) Orthodox Church and the Oriental Orthodox Church” in 1989 are presented and analyzed. The aim is to look for the dogmatic factors in Christology that created a critical point for the successful result of producing the official agreed statement, while considering the practical perspective that there was a sincere openness of ecumenical attitude all alongside this road of ecumenical dialogue. The statement shows that the key to the unity is that both Churches recognize the formula of Cyril of Alexandria, Theotokos and the four formulae of Chalcedon. Furthermore, the neo-Chalcedon term “Synthetos Hypostasis” made the junction where the bilateral dialogues meet and complete the doctrinal debate to open a new chapter. 본고는 칼케돈 공의회(451)의 기독론 논쟁으로 입장이 갈라진 이후 1500여년 간 단절되었던 동방정교회와 오리엔트정교회 간에 이루어진 현대 에큐메니컬 대화를 살펴본다. 첫째로, 양자 간 대화의 역사적 배경을 제시한다. 둘째로, 기독론 일치 선언이라는 열매를 맺기까지 일련의 비공식 대화를 포함한 상호 간의 에큐메니컬 대화의 전개를 정리한다. 셋째로, 1989년 제2차 공동위원회가 발표한 공동선언문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분석한다. 교회사에서 괄목할 만한 연합과 일치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은 개방적이고 성실한 에큐메니컬 대화의 자세라는 실천적 관점을 염두에 두면서, 동방정교회와 이른바 단성론파 교회인 오리엔트정교회의 기독론 논쟁이라는 교리적 관점에서 양자가 발표한 공동선언문의 성과를 도출해 낸 요소들을 찾아본다. 공동선언문은 무엇보다 기독론 용어 사용의 차이는 본질적인 신앙의 차이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 그들이 공통의 신앙유산을 물려받았고, 일치하는 공통의 신앙을 지키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그것은 키릴로스의 정식을 기초로 하며, 테오토코스, 칼케돈의 네 가지 정식을 양자가 인정한다는 지점에서 드러난다. 그리고 “Synthetos Hypostasis”라는 신칼케돈적인 개념을 사용하여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결합을 설명하고 있는 지점이 양자간 대화에서 기독론적 일치를 완성할 수 있었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공동선언문의 발표는 교회 간의 뿌리 깊은 갈등과 오해를 낳은 교리 논쟁을 마무리하고 새로운 장을 여는 역사적이고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 KCI등재

        14C 헤시카즘 논쟁을 통해본 東方 正敎會의 神論 考察

        손명곤(Son Myung-Go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6

        The Dispute over Hesychasm mainly between st. Gregory Palamas and Barlaam the Calabrian in the middle of 14th century has an important meanning in the history of Eastern Orthodox Church, because it served as a momentun to authorize Hesychasm, the ancient practice of mental prayer. In the Dispute Gregory Palamas oriented his entire polemic against Barlaam the Calabrian on the issue of the 'Hellenic wisdom' which he considers to be the main source of Barlaam’s errors. Barlaam's views - that we cannot really know Who the Holy Spirit is exactly, that the light of the Transfiguration is something which is created and can be undone, that the hesychastic way of life (i.e. the purification of the heart and the unceasing noetic prayer) is not essential - are views which express a supra-scholastic and, subsequently, a secularised point of view of theology. St. Gregory Palamas, foreseeing the danger that these views held for Orthodoxy and through the power and energy of the Most Holy Spirit, drew a distinction between knowing God in his “essence”(Greek “ousia”) and knowing God in his “energies” (Greek “energeiai”). He maintained the Orthodox doctrine that it remains impossible to know God in His essence (to know who God is in and of Himself), but possible to know God in His energies (to know what God does, and who He is in relation to the creation and to man), as God reveals himself to humanity. Gregory further asserted that when Saint Peter, James, son of Zebedee and John the Apostle witnessed the Transfiguration of Jesus on Mount Tabor, that they were in fact seeing the uncreated light of God; and that it is possible for others to be granted to see that same uncreated light of God with the help of certain spiritual disciplines and contemplative prayer, although not in any automatic or mechanistic fashion. In 1351 the Council of Blachernae upheld the Orthodoxy of his teachings.

      • KCI등재

        시각 이미지와 초월성: 동방정교회의 ‘이콘 공경’을 중심으로

        이연호 ( Lee Yeon Ho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20 종교문화비평 Vol.37 No.37

        이콘(icon)은 예수 그리스도, 성모, 천사, 성인을 그린 이미지이며, 동방정교회의 신앙과 전례에서 빠질 수 없는 핵심 역할을 한다. 이콘은 원형(prototype)인 신의 모상(模像)이며, 신과 ‘닮음’의 관계에 있다는 점에서 그러한 관계가 없는 허상과 구별이 된다. 8~9세기의 이콘파괴운동을 극복한 동방정교회는 14세기에 금욕 수행과 자기 정화를 통해 신화(神化)를 추구하는 헤시카즘을 교리에 편입했다. 헤시카즘은 ‘정적주의’라고도 부르며, 헤시카시스트들은 신의 에너지인 ‘창조되지 않은 신성한 빛’을 내면화하기 위해 외부의 감각에서 떠나라는 요구를 받는다. 그렇다면 이미지를 멀리하는 헤시카즘과 동방정교회의 이콘 공경은 어떻게 양립할 수 있을까. 다마스쿠스의 요한은 이콘에 대한 공경은 그려진 대상인 원형으로 돌아간다고 했고, 성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는 헤시카스트들이 경험하는 빛이 타보르산의 현성용에서 신으로부터 나왔던 바로 그 빛, 즉 신의 에너지라고 주장했다. 인간은 신의 본질은 알 수 없지만, 지상에서 작용하는 신의 에너지에는 참여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인 빛을 봄으로써 끊임없이 추구해야 할 지상에서의 신화 과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렇다면 여기서 ‘본다’라는 감각의 주체를 육체라고 할 수 있을까. 성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는 인간이 수행을 통해 천사 혹은 신적인 형태라고 부를 수 있는 새로운 존재의 양식에 도달해야 신의 빛을 인식할 수 있다고 했고, 또한 몸과 영혼이 함께 일상적 활동으로 신의 의지를 실현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인간은 ‘몸과 영혼으로 함께’ 이미지를 보며, 다른 사람이 보기에 바울의 이콘과 대화를 하는 것 같았던 성 크리소스톰의 경우처럼, 수행을 통해 도달한 수준에 따라 이미지의 원형과 간접 혹은 직접으로 연결이 될 수 있다. 비록 수행자 혹은 신자가 도달해있는 ‘존재의 양식’에 따라 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신을 그린 이콘은 지상의 관점에서는 신의 모상이고 천상의 관점에서는 원형인 신 자체이기 때문에, 몸과 영혼이 함께 하는 ‘보는 감각’을 통해 죽을 수밖에 없는 인간을 초월의 세계와 연결해주고 그렇게 함으로써 인간이 신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지금 이곳에서 신처럼 되려는 과정 또는 신과 합일하려는 과정인 신화를 중심으로 하는 이콘의 초월성은, 지상에 발을 딛고 천상을 지향하는 초월성이라고 할 수 있다. Icon is an image of Jesus Christ, the Virgin, the Angel and the Saint, plays an integral role in the faith and the liturgy of the Eastern Orthodox Church. Icon is a likeness-making of God as the prototype, which distinguishes from a false image that has no such relations with God. Overcoming the iconoclasm in the 8th and 9th centuries, the Eastern Orthodox Church incorporated Hesychasm into the doctrine in the 14th century, which is in pursuit of deification through ascetic practice and purification of self. Hesychasm also called “Quietism”, and hesychast is asked to leave the senses to internalizes “The Uncreated Divine Light” as God’s energy. If so, how can hesychasm trying to stay away from images and veneration of icon of the Eastern Orthodox church be compatible? St. John of Damascus said that veneration of icon redounds to the original represented in a image, and St. Gregorius Palamas claimed that the light experienced by the hesychast was the very light as the energy of God that came from Christ in Transfiguration on Mount Tabor. Mortals can’t know the essence of God, but they can participate in God's energy that works on earth. And by seeing the light which is energy, one can benefit in the process of deification that must be pursued constantly in this world. Then, can the agent of the sense of ‘seeing’ be called the corporal? St. Gregorius Palamas said that mortals perceive the light of god only when they reach the new mode of being that can be called an angel or a divine form through practices, and that the body and soul together practice God's Will through common activities. So mortals see images with ‘the body and the soul together’, and can be connected original in the image indirectly or directly depending on the level reached by practice, as the case of St. John Chrysostom who seemed to be talking to icon of Paul. Even if there may be differences in strength depending on the “mode of being” reached by practitioner or believer, since the icon that represented God is the likeness-making from the earth's perspective and the prototype from the heavenly perspective, make possible mortals to connect the transcendental through ‘a sense of sight’ and by doing so helps them to become like god on earth. Thus, the transcendence of icon centered on deification which the process of becoming like God or uniting with gods here and now, is the transcendence that stand on this world with one’s foot and orientate towards heavenly world.

      • KCI등재

        조나단 에드워즈와 신화 : 원죄와 구원론의 관점에서

        조현진 ( Cho Hyun Jin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ACTS 신학저널 Vol.47 No.-

        이 연구는 조나단 에드워즈의 구원론이 동방정교회의 신화교리와 연관성이 있다는 일부 학자들의 주장에 대하여 그 유사성과 차별성을 검토하여 에드워즈의 개혁신학적 입장을 변호한다. 그들은 에큐메니칼 관심 속에서 신화교리를 “신적 속성의 전달”이나 “신적 인격들 사이의 관계에 참여”라는 관점에서 광의적으로 해석하여 에드워즈가 구원론에서 사용하는 “주입”, “실재적 연합”, “신적인 빛”과 같은 개념을 통해 신화교리와의 유사성을 주장한다. 하지만 이런 일부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동방정교회의 신화교리와 에드워즈의 구원론 사이에는 커다란 신학적 간격이 존재한다. 동방정교회 신화교리는 아담의 죄책이 계승되지 않았고 하나님의 형상이 보존되었다는 낙관적인 인간 이해에 근거하여 신성에 참여할 수 있으며 신인협동적 입장을 취한다. 하지만 에드워즈는 신화교리와 일부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신화교리와 충돌하는 원죄로 인한 하나님과 인간의 단절, 즉 전적 타락을 주장하며 칭의론에서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를 하나님과 연합의 기초로 제시하여 신성에의 참여에 대한 창조주와 창조물 사이의 구별을 명확히 드러낸다. 이처럼 양측은 서로 구별되는 신학적 입장을 가지고 있음에도 구원의 실재로서 성령의 사역을 강조하고 있음은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This paper examinesarguments that Jonathan Edwards' soteriology is associated to the Eastern Orthodox doctrine of theosis(Deification), and analyses them both. This study looks to defend Edwards' Reformed theological position. In ecumenical interest, the arguments interpret the Orthodox doctrine in a broad sense of “God’s communicable nature” and “creature’s relational participation to divinity.” These are supported by seeing similarities between Edwards’ and the doctrine’ use of the terms of “infusion,” “real union,” and “divine light.” However, the considerable theological gap between the doctrine of theosis and Edwards’ soteriology makes their association less tenable, especially in their views of original sin and the image of God. The Eastern Orthodox Church denies Adam’s guilt as being inherited by all humans, and argues for synergism based on an optimistic view of humans. In this process, the Eastern Orthodox highlights the work of the Holy Spirit. On the other hand, Edwards affirms the Reformed position on the disconnection of the Creator and humans due to original sin and their total depravity. In his doctrine of justification, Edwards affirms the Reformed forensic character that holds union with Christ based on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Although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t is notable that both side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s the reality of sal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