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자철학에서 ‘도’의 존재론적 지위

        윤천근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3

        The Tao is an important concept throughout the entire Chinese history of philosophy as well as in Taoism, the same can be said for for Confucianism. Chinese thought is not equipped with a structure of perfectly logical explanation, it is made up of words and actions with various arguments that are difficult to see as one in order to make conceptual consistency for the legitimate candidates that are important to put the at the center. This also goes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ao which should not be overlooked. I think that the meaning of Tao in Taoism and Confucianism have different centers of their concepts. The Tao of Taoism is more ontological, while in the case of Confucianism it has more features as a theory of action. In Confucianism, the theory of knowledge and the theory of mind will be based toward the act of the ‘great human’ following the Tao. In that point, Confucianism couldn't get from the human and the great man that which significantly expanded the human sense of self. The Tao of Taoism is concentrated on the ontology. Taoism split the world into two understandings: One is a world where the Tao is implemented as a whole, the other is a world where the Tao is non-implemented as a whole. In other words, which one person acts with intent, and the one person acts without any intent; these are the two contrasting views of the world in Taoism. The latter is the natural world. The former is the artificial world. The great man of Confucianism is placed in the artificial world. A great man of Taoism, named ‘DE_JONG_SA’大宗師, was a person trying to get the wisdom of the greatest limitlessly, he was only in the artificial world, absolutely not in the natural world. In the artificial world, the Tao can a guiding role through which people can realize the vanity of that knowledge of Tao. Throwing the Tao in the artificial world away he will cast away all artificial constraint, and will be led into the natural world, which everything is already implemented in Tao. Through a reversion to an ontological realm like this, although there is no knowledge, hope, or desire of the Tao he already exists in Tao. Already open to all areas that exist, but doesn’t feel anything of it, that’s the view of Tao in Taoism. ‘도’는 도가 뿐만 아니라 중국사상 전반에 걸쳐서 중요한 개념이다. 도가사상이나 유가사상의 경우에도 상황은 마찬가지이다. 중국사상은 완벽하게 논리적 설명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로 모아지기 어려운 다양한 주장과 언행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개념적 정합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중심을 어디에 가져다 놓느냐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개념의 적절한 이해를 위해서도 이 점은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나는 유가와 도가가 전제하고 있는 도 개념의 중심영역은 서로 다르다고 생각한다. 도가의 도는 무엇보다도 존재론적인 것인데 반하여 유가의 도는 무엇보다도 행위론적인 것이라고 보는 것이 나의 입장이다. 지식론, 심성론의 과정을 거쳐 성인의 행위의 도를 이루려는 것이 유가의 목표라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유가는 인간, 대아로서의 위대한 인간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도가의 도는 무엇보다도 존재론적인 것이다. 도가는 세계를 둘로 나누어 이해한다. 도가 구현되는 세상, 도가 구현되지 않는 세상, 무위의 세상, 유위의 세상으로 나누는 것이다. 유위의 세상은 인간의 세상이다. 무위의 세상은 자연의 세상이다. 유위의 세상은 도를 소망하는 자, 도를 숭상하는 자, 도를 배우려는 자, 도를 지식하는 자, 도를 구현하려는 자 등이 놓이는 영역이다. 이런 영역 속에 유가의 성인도 놓여진다. 장자의 대종사가 만약 스스로의 큰 도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자이고, 스스로의 큰 도를 자랑삼는 자라면, 그런 대종사도 이 영역의 시민일 따름이라 하겠다. 유위의 영역에서 도를 알고, 선망하고, 추구하는 것이 갖는 의미는 결국 자신이 도의 세상 속에 놓여있지 않다는 것을 자각하게 만들어 주는 기능으로 충분하다. 유위의 세상 속에서 그가 선망하는 도의 한계와 본질을 절절하게 자각한 존재는 그의 모든 지식과 의욕을 버리고, 자연존재 속으로 걸어 들어가게 된다. 그는 유위의 도를 가지고 이러한 ‘존재론적 전위’를 이루어 내는 것이 아니라 유위의 도를 버리고 무위의 도의 세상 속으로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유위의 세계 속에는 도가 없다. 도에 대한 지식, 소망, 의욕이 있을 뿐이다. 유위의 존재가 ‘존재론적 전위’를 이루어 무위의 존재로 환원되었을 때, 무위의 세계 속에도 도는 없다. ‘기-음양-만물’이 한 덩어리의 총체적 ‘존재의 망’ 속에 놓이는 무위의 자연 존재의 세계에서는 ‘똥 속에도 도가 있는’ 경지가 펼쳐지게 되므로, 특별히 도에 주목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 모니터링을 통한 도암호 유역의 우심소유역 선정

        우수민 ( Soomin Woo ),금동혁 ( Donghyuk Kum ),강태성 ( Taeseong Kang ),임경재 ( Kyoungjae Lim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도암호 유역은 강우시 다량의 토사가 유출되면서 수질오염 문제가 대두되었으며, 2001년 3월 도암댐의 발전방류가 중단되었다. 2017년 12월 도암호 유역을 대상으로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관리대책 종합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재지정 필요성이 규명되어 2018년 2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재지정 및 고시되었다. 2019년 1월 도암호 유역을 대상으로 비점오염원 관리대책이 수립되었으며, 2020년 7월 도암호 비점오염원 관리대책 시행계획 수립용역이 착수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도암호 유역에서 발생하는 흙탕물 문제는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에 위치한 송천과 수하리, 용산리, 차항리, 횡계리를 포함하는 도암호 관리지역을 대상으로 유역 내 기설치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지관리 상태 파악을 위한 정밀조사와 강우시 소하천별 흙탕물 모니터링을 통해 도암호 유역 내 우심소유역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2021년을 기준으로 도암호 유역에 설치된 532개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양호·보통·불량·손망실로 나누어 유지관리 상태를 조사하였다. 각 소유역에 설치된 비점오염저감시설은 갈골천 소유역이 135개로 가장 많았으며, 납작골천 소유역이 108개로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갈골천 소유역 47개(35%), 납작골천 소유역 27개(25%)의 비점오염저감시설이 불량 또는 손망실로 조사되어 유지관리상태가 다른 소유역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하천별 흙탕물 모니터링은 2019년과 2021년에 각각 1회 수행하였다. 2019년 도암호 유역의 소하천별 흙탕물 모니터링은 8월 15일 발생한 87.2 mm의 강우에 대해 48개 지점을 조사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횡계천의 평균 SS 농도는 1,056.9 mg/L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용산천 808.5 mg/L로 높게 나타났다. 횡계천은 하류의 고랭지밭으로부터 유입되는 탁수로 인해 농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용산천은 상동천 상류의 리조트와 고랭지밭에서 발생하는 탁수의 영향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용산천 상류 상동천의 평균 SS 농도는 1,167.5 mg/L로 용산천 전체의 평균농도보다 높았다. 2021년은 9월 1일 발생한 69.0 mm의 강우에 대하여 54개 지점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고랭지 경작지가 집중되어 있는 상동천의 평균 SS 농도가 4,358.3 mg/L로 _______용산천 본류의 평균 SS 농도 1,728.9 mg/L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과 2021년 소하천별 흙탕물 모니터링 결과, 납작골천과 솔봉천 유역으로 구성된 상동천 유역에서 지속적으로 고농도의 흙탕물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소하천별 강우시 모니터링 결과를 종합한 결과 납작골천 소유역이 우심 소유역으로 선정되었다. 납작골천 소유역은 고랭지 경작지가 집중되어 있어 다량의 흙탕물이 발생하였으며, 도암호 유역 내 두번째로 많은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나 관리 불량 비율이 높아 비점오염 저감능력이 다소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유역 내 설치되어 있는 저감시설은 대부분 우회수로, 개비온 등 흙탕물 발생후 관리 시설로 비점의 근본적인 저감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도암호 비점 저감을 위해 기설치된 비점오염저감시설 중 유지관리가 불량하거나 손망실된 시설에 대해 수리 및 재설치와 같은 조치를 실행하고, 구조적 저감사업뿐만 아니라 농민이 함께 참여하는 거버넌스나 발생원 관리를 통한 방안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율곡의「인심도심도설」- 人心道心과 四端七情의 통합적 설명

        손희욱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49 No.-

        This paper analyzes in detail about 「Illustrated Description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which contains Yulgok’s later year key opinions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and Four Beginnings and Seven Emotions and tries to focus on logical accuracy of integrated explanations and its meanings. For Yulgok, Four Beginnings and Seven Emotions are inclusion relation and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are independent relation, so his project is integrating and explaining the difference and make it same emotions(情). Accordingly, this paper first debates how Yulgok defines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and Four Beginnings and Seven Emotions, and How sets up logical inclusion relation in integrated explanations. And this paper investigates intention(意) which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debates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than debates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Emotions. Finally, This paper examines how well coincides with illustrations and explanations. In 「Illustrated Description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one sentence explains Four Beginnings are the Moral Mind and Heavenly Principle of the Human Mind, however, other sentence explains Four Beginnings are only the Moral Mind. According to the debate of sage man(聖人) also has the Human Mind, Four Beginnings also should include not only the Moral Mind but also Heavenly Principle(天理) of the Human Mind, so later sentence looks like wrong because of incorrect of Four Beginnings’ scope of concept. We may be able to get easy concept frame if this point is corrected. But more important thing is to do our best to practice preserving the Heavenly Principle and subduing Human Desires(人欲), and logical relation of concepts is considered means for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this. Yulgok considered the Human Mind as only Human Desires in 『Outline of the Learning of the Sages(聖學輯要)』, and later in 「Illustrated Description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he changed his perspective of the Human Mind into it containing the Heavenly Principle(天理). This perspective is that whole the Human Mind which occur for body should be considered not it need to be removed or blocked, but something need to be preserved, so Yulgok includes it in Four Beginnings which is important point in building character in 「Illustrated Description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본 논문은 인심도심에 관한 율곡 만년(晩年)의 종지(宗旨)가 담긴 「인심도심도설(人心道心圖說)」전체를 세밀히 분석하여, 율곡이 이 도설에서 논한 인심도심(人心道心)과 사단칠정(四端七情)을 통합한 설명이 논리적으로 정합성을 갖추고 있는지를 주로 논하고자 한다. 율곡에게 사단과 칠정은 포함 관계이고 인심과 도심은 상대적인 관계이어서, 이 차이를 같은 정(情)으로 통합하여 설명하는 것이 율곡이 하고자 한 과제였다. 그래서 율곡이 이 도설에서 사단과 칠정 그리고 인심과 도심의 개념을 어떠한 정의와 범위로 설정하였고, 그 개념들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면서 논리적 포함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였는지를 먼저 논의 내용으로 삼을 것이다. 그리고 사단칠정 논의에서는 잘 언급되지 않지만 심(心) 논의에서 중요한 의(意)에 대해 「인심도심도설」에서 어떻게 논의되었는지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글의 내용과 도설의 그림이 잘 부합되는지 살펴볼 것이다. 율곡은「인심도심도설」내에서 한 문장에서는 사단을 도심과 인심의 선한 부분이라고 하는데, 다른 문장에서는 사단과 칠정을 도심과 인심에 대거(對擧)하여 설명하며 사단을 진실로 도심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한다. 율곡의 「인심도심도설」에서의 성인(聖人)도 인심(人心)이 있다는 논의에 따르면, 사단 역시도 도심만이 아니라 인심의 선한 천리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보기 때문에, 사단은 진실로 도심이라고 한 문장은 사단의 개념 정의 범위가 부정확해 보인다. 이 부분을 바로잡으면 두 개념 쌍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용이한 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실천적으로 존천리거인욕(存天理去人欲)을 하는 것이고, 개념 간의 논리적 관계는 이를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한 방편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율곡은 이전 글인 『성학집요(聖學輯要)』에서는 인심을 오로지 인욕으로만 봤다가 「인심도심도설」에서는 인심에도 천리가 있다는 입장으로 바꾸었다. 이는 몸을 위해 생겨난 정(情)인 인심을 무조건 없애거나 막아야 할 것이 아니라 긍정할 수 있는 부분도 있어서 이를 사단에도 포함한 것으로, 이는 「인심도심도설」의 중요한 실천적 내용일 것이다.

      • KCI등재

        陶菴 李縡의 詩觀과 詩世界에 대한 일고찰 - 龍仁 隱居時期 詩作을 중심으로 -

        이승용(Lee, Seung-yong)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4 No.-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poetry view and the poetry world of Doam Lee Jae(1680~1746) during his seclusion period in Yongin. Lee Jae is a core figure of the 18th century Noron faction. He was regarded as a leading scholar of the moral philosophy in the present age, and since his middle life, he had secluded in the Hancheon, Yongin and devoted himself to the moral philosophy out of office in his lifetime. In the previous studies so far, the realities of Doam and Doam s poetic literature have been clarified to a certain extent, but in relation to Doam s Chinese poetry, what his understanding on the poetry was like, what poem he made a classic and what poem he aimed at in his actual poem writing were not discussed in detail.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in this article, focusing on “Analects of Doam” which was left by his literary men after the death of Doam, I studied his understanding on the poetry and literature and his poetry view, and I classified and examined the life of the seclusion period in Yongin which became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living his life as a moral philosopher and the poem writing at that time into three broad categories. And based on this, I tri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etry view Doam pursued and the poetry world during the seclusion period in Yongin. First of all, the works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thinking in moral philosophy and the orientation towards self-reflection” were mostly the poems manifested of his spirit and earnest meanings accumulated in the inner side of Doam due to the cultivation of his nature rather than the form such as rhythm or style. This is a part that coincides with the poetry orientation that Doam pursued, and in the large category, i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traditional view of poetry and literature of Confucianism aimed at the education of public morals as well as the author s personal protection of conscience and cultivation of nature rather than the pursuit of pure literary value and utility. Next, in the works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the communion of the external objects and the self and allegorical message”, there were many works which were consistent with his view of poetry and literature that avoided narrow and tight poems and made the faithful and generous poems of the Book of Odes as a classic. This is caused by the fact that Doam made poems of the Book of Odes as a classic, but I think that in addition to this, the cultivation of nature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he accomplished during the seclusion period in Yongin were melted into his poem writing. Finally, in the works we saw in “the pastoral daily life and the pleasure of self-satisfaction”, the taste of unworldliness and the emotion of free and easy daily life consist of main images unlike the works which consist mainly of thinking in moral philosophy, and this was consistent with the orientation manifested in Doam s early poem writing. Although the works which connote the thinking in moral philosophy and consciousness of Neo-Confucianism consist mainly in the poetic world after the seclusion period in Yongin, it seems that while the seclusion he longed for in his early days appeared no more a wish, but a reality, unworldly, free and easy atmosphere he pursued in his early days was naturally harmonized with the poem writing of the seclusion period, and it formed another axis in the poetic world of Doam. It is a indisputable fact that Doam was a moral philosopher, and especially, the poems of moral philosophical tendency occupy much part in his poetic world since Yongin seclusion when he was immersed in moral philosophy. However, seen through “Analects of Doam”, it is true that Doam adhered to his own clear poetry view, and he was a figure who tried to write his own individual poetry through criticism and reflection on the harmful effect of the poetical circles of the time. Looking at these facts, it seems that reevaluation of Doam mu 이 글은 龍仁 隱居時期 陶菴 李縡의 詩觀과 詩世界에 관한 연구이다. 李 縡(1680~1746)는 18세기 老論界의 핵심인물이다. 당세에 道學의 巨擘으 로 손꼽혔던 인물로, 辛壬士禍로 인해 仲父 李晩成(1659~1722)이 죽음을 당한 뒤로는 주로 龍仁의 寒泉에 은거하며 의리를 내세워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평생 재야에서 道學에 전념하였다.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에서 도암과 도암 시문학의 실체가 어느 정도 규명되었지만 도암의 漢詩와 관련하여 그의 詩認識이 어떠했는지, 어떤 詩를 典範으로 삼았는지, 또 실제 作詩에서 어떤 시를 지향하였는지는 상세히 논의되지 않았다. 이 점에 주목하여 이글에서는 도암 死後에 그의 門人이 남긴 陶菴語錄 을 중심으로 그의 詩文認識과 詩觀에 대해 살펴보고, 그가 도학자로의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전환점이 된 용인 은거시기의 삶과 그 시기의 詩作을 ‘道學的 思惟와 자아성 찰의 指向’, ‘物我의 交感과 寓意的 傳言’, ‘전원의 일상과 自適의 興趣’라는 세 영역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도암이 추구했던 詩觀과 용인 은거시기 詩世界의 상관관계를 규명해 보았다. 먼저 ‘道學的 思惟와 자아성찰의 指向’의 범주에 속하는 작품은 대부분 聲律과 辭致와 같은 외면적인 형식보다는 性情의 함양으로 인해 도암의 내면에 축적된 氣像과 절실한 의미가 발현된 시였다. 뿐만 아니라, 이는 도암의 추구했던 詩持向과 일치하는 부분이며, 큰 범주에서 보자면 詩文 자체에서 순수한 문학의 가치와 효용을 찾기보다는 詩文을 통해 작가 개인의 存心 養性은 물론 風敎를 목적으로 하는 儒家의 전통적 詩文觀과 일맥상통한다. 다음으로 ‘物我의 交感과 寓意的 傳言’의 범주에 속하는 작품에서는 편협하고 촉박한 시를 지양하고 忠厚한 詩經 의 시를 전범으로 삼았던 그의 詩觀과 맥이 닿아 있는 작품들이 많았다. 이는 도암이 詩經 의 시를 전범 으로 삼은데 기인한 것이지만 그에 더하여 용인 은거시기에 그가 이룩했던 심성수양과 학문적 성취가 그의 詩作 속에 녹아든 결과라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전원의 일상과 自適의 興趣’에서 살펴보았던 작품들은 道學 的 思惟가 중심을 이루는 작품들과 달리 脫俗的인 취향과 소탈한 일상의 情懷가 주된 심상을 이루었는데, 이는 도암의 初期 詩作에 드러난 지향점과 그 맥이 닿아있었다. 용인 은거 시기 이후의 시세계에서 道學的 思惟와 性理學的 의식이 내재된 작품이 중심을 이루고 있지만, 그가 초년기에 염원 했던 은거가 더 이상 염원이 아니라 현실로 다가오면서 초년기 詩作에서 추구했던 탈속적이고 소탈한 분위기가 자연스레 은거시기의 詩作에 융화되어 도암의 시세계에 있어 또 다른 하나의 축을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도암이 도학자이며 특히 도학에 침잠했던 용인 은거이후 그의 시세계에서 도학적 성향의 시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 다. 그러나 陶菴語錄 을 통해 본 도암은 자기만의 뚜렷한 詩觀을 견지하고 있었으며, 당시 詩壇의 폐해에 대한 비판과 반성을 통해 개성적인 시를 쓰려고 노력했던 인물임에 틀림이 없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도학자로서의 면모 뿐 아니라, 文人으로서 도암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CFD를 활용한 도로 재비산 먼지의 이동경로 예측

        이경란,노정훈,김종화,이명훈,정의진,육세진 한국도로학회 2014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9

        대기 공기질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포장도로나 비포장도로에서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 생하는 도로 재비산 먼지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로 재비산 먼지의 농도 와 특성을 조사 및 관측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로 상에 분포되어 있는 미세먼지는 각종 차량의 주 행에 의해 재비산되어 대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재비산 먼지의 농도를 실시간으 로 측정하여 도로의 정비와 청소의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로 재비산 먼지를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도로 재비산 먼지의 측정 효율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측정차량의 속도, 샘플링 유량, 그리고 측정을 위한 샘플링 입구의 위치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상황에 따른 측정차 량의 다양한 속도를 고려하여 도로 재비산 먼지가 효과적으로 흡인되도록 하는 샘플링 입구의 위치 선정 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CFD 해석을 위한 상용 코드인 FLUENT를 사용하였고, 도로 재비산 먼지의 측정에 실제 사용되고 있는 측정차량을 모사하여 측정차량 주위의 공기 유동을 해석하였다. 차량의 주행 속도를 고려하여 차량 전면 부로부터 일정한 속도의 기류가 불어오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moving boundary 조건의 설정을 통 해 차량의 주행에 따른 바퀴의 회전과 도로면의 차량에 대한 상대적 이동을 구현하였다. 회전하는 바퀴 주변의 압력계수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하여 이를 기존 문헌의 실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채택한 시뮬레이션 방법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FLUENT에 내장되어 있는 DPM(Discrete Phase Models) 코드를 사용하여 도로 재비산 먼지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였다. 측정차량의 주행에 따른 바퀴와 도로면의 마찰에 의해서 도로상의 먼지 또는 타이어 마모 먼지가 비산되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차량의 바 퀴와 도로면의 마찰부에서부터 입자가 어떠한 경로로 공기 중에서 이동하는 지 파악하였다. 도로 재비산 먼지의 이동 경로 해석 결과로부터 도로 재비산 먼지가 가장 많이 지나가는 위치를 파악하 고, 이를 토대로 하여 도로 재비산 먼지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샘플링 입구의 위치를 제안하였다. 추후에 실험을 진행하여 제안된 샘플링 위치가 적절한 지 여부에 대해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여 보완 할 예정이다.

      • KCI등재

        도(道) 개념의 인지적 주석, 그리고 그 너머

        이향준(Hyangjoon, Lee) 한국동양철학회 2015 동양철학 Vol.0 No.43

        이 글은 개념적 은유(Conceptual Metaphor)의 관점에서 도(道)의 은유적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이 낱말의 배후에는 「경로도식」 및 「인생은 여행」, 「X는 인간」이라는 하나의 영상도식(Image Schema)과 두 개의 개념적 은유가 전제되어 있다. 이들의 종합은 「 X는 경로를 따르는 의인화된 여행자」라는 개념적 은유로 표현할 수 있다. 이 영상도식과 은유들은 걷기와 여행, 삶 그 자체에서 유래하는 많은 경험의 양상들로부터 자양분을 흡수한다. 도의 내용을 풍부하게 만드는 것은 이들을 기초로 하는 다양한 개념혼성(Conceptual Blending)의 반복이다. 개별적인 사유의 분기는 이러한 세 가지 원초적 요소들의 특징을 어떻게 부각하고 은폐하는지에 달려 있다. 나아가 추가적 요소의 도입을 통해 변형 재창조하는 것에도 달려 있다. ‘되돌아오는 여행’의 이미지, ‘도의 의인화’, ‘길 없는 길 가기’ 등은 이렇게 해서 나타나는 도의 주요 특징이다. This article is to analyze of Tao(道)’s metaphorical meaning in terms of conceptual metaphors. One Image Schema that 「Path schemes」ㆍ「Life is a Journey」, 「X is a Human being」 and two conceptual metaphors are included in this word. Their synthesis is the conceptual metaphor of 「X anthropomorphic travelers along the path」. This Image Schema and metaphors absorb nutrients from aspects of much experience that comes from walking and traveling, life itself. Enriching Tao’s content is a repetition of various Conceptual Blending which based on these. Diverging individual thought depends on how highlight and conc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hree primal elements. Further, depends on how transform and recreate them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dditional elements. Image of ‘backtracking travel’, ‘ personification of Tao’, ‘Going the way with no way’, etc. are main features of Tao that appear in this way.

      • KCI등재

        玄卿駿의 작품을 통해 본 國境都市 圖們

        최낙민(Choi Nack Min)(崔洛民) 대한중국학회 2017 중국학 Vol.61 No.-

        도문은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시와 마주한 간도의 국경도시이다. 1932년 만주국의 신경과 도문을 연결하는 경도선철도건설공사의 착공과 함께 성장한 도문은 이후 ‘북조선 삼항(청진, 웅기, 나진)’의 배후도시, ‘중계 국경역’으로 발전하였다. 현경준은 일제강점기 도문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조선족 소설가이다. 1937년 일제의 문화동화정책을 피해 만주로 이주한 현경준은 국경도시 도문에 거주하면서 현지에서 생활하는 조선인의 삶과 ‘밀수’라는 사회문제에 천착하였다. 현경준은 작품을 통해 살아가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밀수를 할 수밖에 없었던 현지 조선인들의 삶을 변호하고, 그들을 ‘타락’으로 이끈 일본제국주의의 침탈을 간접적으로 비판하였다. 또한 현경준은 도문역을 통해 북만주로 이주하는 조선인의 모습을 작품 속에 담았다. 그는 국경도시 도문역을 배경으로 일제의 식민정책으로 자기의 고국에서 못살고 타국으로 쫓겨 가는 인민들, 이민자들에게 아무런 도움도 제공하지 않는 이민보도소 관리, 그들의 배후에서 기생하는 인신매매업자 등의 다양한 군상들을 통해 도문이란 국경도시가 갖는 의미와 함께 일본제국주의의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내었다. Tumen(圖們) is the border city of Gando(間島), facing Namyang(南陽) City of Onsung County, North Hamkyung Province, across the Tumen River. In 1932, Tumen began to develop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Jing-Tu Line Railway(京圖線) Corporation, which connects the capital city of Manchuria and Japan. Since then, Tumen has developed into the back city of North Korea s Third Ports(Cheongjin, Ungki, Najin) & Border Station . Hyun Kyung-joon(玄卿駿) is a representative Korean-Chinese novelist who work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1937, he moved to Manchuria to avoid the cultural assimilation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Hyun Kyung-joon was attention to the life of Korean residents living in the border cities and the social problems of smuggling . Hyun Kyung Jun defended the local Koreans who were forced to become smugglers through novels, and indirectly criticized the invasion of Japanese imperialism that led them to corruption . In addition, Hyun Kyung-jun included the image of the Korean who migrated to North Manchuria through Tu-Men Station. He depicted the Korean people who were being thrown out at Mother land by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the border city Tu-men. Hyun Kyung - joon showed the resistance to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meaning of the border city through various groups.

      • KCI등재

        도서·벽지교육진흥법에 의해 지정된 도서·벽지 지역의 변화에 관한 연구

        심승희(Seung Hee Sh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 역사 지리 Vol.21 No.2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도서·벽지교육진흥법에 의해 지정된 도서·벽지라는 지표를 통해, 우리나라 도서·벽지 지역의 시기별 변화를 살펴보는 일종의 지역연구를 시도하였다. 1985년부터 2007년까지 도서·벽지 지역의 변화를 살펴보면, 도서·벽지 지역으로 지정된 리가 2,499곳에서 759곳으로 대폭 감소했다. 하지만 도서 지구, 벽지 지구, 접적 지구별 감소폭은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이 같은 도서·벽지 지역의 감소는 전반적인 지역 환경의 개선 때문이지만, 2000년 도서·벽지 지정 기준이 개정된 원인도 컸다. 둘째 도서·벽지교육진흥법에 의한 도서·벽지 학교의 지정이라는 교육행정 행위가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도서·벽지 학교의 지정을 통해 교육 환경과 지역이 보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례지역인 충북 단양군의 경우 벽지 지역이 감소한 가장 큰 원인은 학교의 폐교였다. 이 같은 도서·벽지 학교의 폐교는 지역 및 교육 환경의 악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도서·벽지교육진흥법의 제정 취지에 맞는 도서·벽지 학교의 지정 기준을 새롭게 정비하여 지정함으로써 교육소외지역이 없도록 해야 한다. The enactment of island & remote rural area education promotion law has been legislated in 1967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insufficient education environment for schools in remote areas. The one purposes of this study is the regional studies on the periodical change of the Korean remote areas designated by the enactment. From 1985 to 2007, the number of the island & remote rural areas has decreased. Such a decrease accoun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island & remote rural areas. Besides, the one of causes of the decrease is the changes of standard for designation of the island & remote rural areas. The second purpose is the studies on how the designations of the island & remote rural areas by the enactment have affected on the regions. The active closure of small schools in the island & remote rural areas since 1982 have a possibility of undermining the environments of the regions and their schools. Therefore the standard for designation that is independent of the school closure targeting on the economic efficiency should be established newly and prudently.

      • KCI등재

        민사판결문을 통해 본 근대 한국의 도지권 분쟁과 처리

        이승일(Lee, seung-il) 한국역사연구회 2013 역사와 현실 Vol.- No.89

        Analyzed in this study are the DOJI(賭地)-related rulings, issued from the period of the Dae’han Empire through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n order to investigate legal disputes over the DOJI(賭地) rights, and to ascertain how the Koreans’ traditional properties were formed and later disappeared. In Korea, the DOJI(賭地) custom was to pay for labor and costs invested by the peasants. A DOJI(賭地) could be permanently handed over, and the tenancy could be inherited. During the Dae’han empire period, lawsuits against DOJI(賭地) were filed with the landowners’ intention to increase personal gains and deny the DOJI(賭地) custom. The landowners’ intention was blocked by the peasantry’s backlash and the Korean Court. However, Koreans’ DOJI(賭地) rights were liquified with new legal relations made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According to Article 12 of the Civil code that was made by Japan and imposed upon Korea in 1912, recognition was given to realty rights stipulated in the Japanese Civil Law as well as to ones recognized by custom. The ownership was protected by the Japanese Civil Law and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Act that was made by Japan and imposed upon Korea, whereas the DOJI(賭地) rights were retained in the form of a customary law. The Joseon Governor General office did not take particular measures for public notice of the DOJI(賭地) rights and also did not enact the Statue law regarding DOJI(賭地) rights.With the cadastral survey, landowners began to be protected by the Joseon Governor General office and as a result the DOJI(賭地) rights were constricted. The DOJI(賭地) rights particularly began to be extinguished with changes in the tenancy policy in 1930. The Joseon Governor General office made a coordinating committee adjust disputes over DOJI(賭地). Instead of extending the tenancy period, it extinguished the DOJI(賭地) rights or helped DOJI(賭地) rights be relinquished to landowners. In 1933, the Joseon High Court broke the precedent, and ruled that unregistered DOJI(賭地) rights cannot fight against the third party, forfeiting the rights of DOJI(賭地) right holders in many cases.

      • 모니터링을 통한 도암호 유역의 우심소유역 선정

        우수민 ( Soomin Woo ),금동혁 ( Donghyuk Kum ),강태성 ( Taeseong Kang ),임경재 ( Kyoungjae Lim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도암호 유역은 강우시 다량의 토사가 유출되면서 수질오염 문제가 대두되었으며, 2001년 3월 도암댐의 발전방류가 중단되었다. 2017년 12월 도암호 유역을 대상으로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관리대책 종합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재지정 필요성이 규명되어 2018년 2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재지정 및 고시되었다. 2019년 1월 도암호 유역을 대상으로 비점오염원 관리대책이 수립되었으며, 2020년 7월 도암호 비점오염원 관리대책 시행계획 수립용역이 착수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도암호 유역에서 발생하는 흙탕물 문제는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에 위치한 송천과 수하리, 용산리, 차항리, 횡계리를 포함하는 도암호 관리지역을 대상으로 유역 내 기설치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지관리 상태 파악을 위한 정밀조사와 강우시 소하천별 흙탕물 모니터링을 통해 도암호 유역 내 우심소유역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2021년을 기준으로 도암호 유역에 설치된 532개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양호·보통·불량·손망실로 나누어 유지관리 상태를 조사하였다. 각 소유역에 설치된 비점오염저감시설은 갈골천 소유역이 135개로 가장 많았으며, 납작골천 소유역이 108개로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갈골천 소유역 47개(35%), 납작골천 소유역 27개(25%)의 비점오염저감시설이 불량 또는 손망실로 조사되어 유지관리상태가 다른 소유역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하천별 흙탕물 모니터링은 2019년과 2021년에 각각 1회 수행하였다. 2019년 도암호 유역의 소하천별 흙탕물 모니터링은 8월 15일 발생한 87.2 mm의 강우에 대해 48개 지점을 조사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횡계천의 평균 SS 농도는 1,056.9 mg/L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용산천 808.5 mg/L로 높게 나타났다. 횡계천은 하류의 고랭지밭으로부터 유입되는 탁수로 인해 농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용산천은 상동천 상류의 리조트와 고랭지밭에서 발생하는 탁수의 영향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용산천 상류 상동천의 평균 SS 농도는 1,167.5 mg/L로 용산천 전체의 평균농도보다 높았다. 2021년은 9월 1일 발생한 69.0 mm의 강우에 대하여 54개 지점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고랭지 경작지가 집중되어 있는 상동천의 평균 SS 농도가 4,358.3 mg/L로 _______용산천 본류의 평균 SS 농도 1,728.9 mg/L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과 2021년 소하천별 흙탕물 모니터링 결과, 납작골천과 솔봉천 유역으로 구성된 상동천 유역에서 지속적으로 고농도의 흙탕물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소하천별 강우시 모니터링 결과를 종합한 결과 납작골천 소유역이 우심 소유역으로 선정되었다. 납작골천 소유역은 고랭지 경작지가 집중되어 있어 다량의 흙탕물이 발생하였으며, 도암호 유역 내 두번째로 많은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나 관리 불량 비율이 높아 비점오염 저감능력이 다소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유역 내 설치되어 있는 저감시설은 대부분 우회수로, 개비온 등 흙탕물 발생후 관리 시설로 비점의 근본적인 저감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도암호 비점 저감을 위해 기설치된 비점오염저감시설 중 유지관리가 불량하거나 손망실된 시설에 대해 수리 및 재설치와 같은 조치를 실행하고, 구조적 저감사업뿐만 아니라 농민이 함께 참여하는 거버넌스나 발생원 관리를 통한 방안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