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자로서의 도시, 도시시학의 가능성 : 도시인문학의 이론적 기초

        김동우(Kim Dong-woo) 한국근대문학회 2011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2 No.2

        이 글은 국문학 연구의 한계를 넘어 학제간 연구인 도시인문학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하나의 시론(試論)으로서, 도시를 문자 텍스트로 상정하는 통섭적 관점에서 도시시학의 가능성을 탐구한 것이다. 기존의 국문학 연구는'민족-국가-국민'이라는 근대 네이션(nation) 체제에 기반하고 있었다. 그러나 지식의 정보화와 자본의 지구화는 이러한 체제를 붕괴시키고 도시와 지역(local) 단위로 세계를 재편시켰다. 요컨대 시장 권력이 국가 권력을 대체하면서 정치, 경제, 문화의 흐름이 도시와 지역을 거점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한 학문적 응전으로서 도시시학이 가능한 근거를 제시하고, 실제의 도시 공간인 청계천의 사례를 통해 그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도시시학의 근거는, 도시 주체에게 도시가 다양한 기호와 문자, 이야기와 경험으로 이루어진 의미체라는 사실에 토대를 둔다. 그것은 도시 주체에게 도시고유의 심상지리를 형성하는데, 바로 이와 같은 은유 구조가 도시시학이 가능한 근거가 된다. 실제의 도시 공간과, 그 공간에 대한 텍스트, 그리고 이들에 대한 도시 주체의 심상지리는 문학 작품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은유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한 예로'청계천=자연' 또는'청계천=인공'이라는 환상의 도식은 청계천이 문화화된 자연이면서 문화 너머의 자연이라는 잉여적 자질을 통해 이중으로 부정되며, 이를 통해 도시시학이 도시 주체를 반성케 하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편 도시시학은 문학 속의 도시뿐 아니라 문학 밖의 도시도 텍스트로 삼기때문에, 도시에 관한 인간의 상상(문학)과 기억(역사), 사유(철학)를 두루 아우르는 학제간 연구 또는 통섭적 연구를 지향함으로써 인문학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n essay on preparation of theoretical basis for urban humanities,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rban poetics from integrative perspective which introduces cities as letters of text. Existing studies on the Korean literature were based on modern nation system composed of'nation-state-citizens.' However, transition of knowledge to information and global expansion of capital resulted in collapse of such system and reorganized the world based on city or local units. In short, replacement of government power by market power led to formation of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flow with cities and local areas as the ba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opose an evidence for possibility of urban poetics as an academic challenge against such changes and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through the case of an actual urban space, Cheonggyecheon. Grounds for urban poetics are rooted in the fact that cities are composed of various symbols, letters, stories and experiences to urban subject. A unique imagined geography of the city is created for the urban subject, and such metaphorical structure is the basis for possibility of urban poetics. Actual urban space, texts about this space, and imagined geography about the actual space by urban subject form a certain metaphorical structure as in literary works. For example, an imaginary formula of'Cheonggyecheon = Nature' or'Cheonggyecheon= Man-made' creates a double negative through surplus characteristic of Cheonggyecheon that it is a culturalized nature and nature over culture at the same time. This shows possibility of urban poetics for leading the urban subject to self-reflection. On one hand, since urban poetics considers cities both in and outside the literature as text, the author attempts to contribute to expansion of humanities studies by aiming for an interdisciplinary or integrative study embracing human imagination(literature), memory(history) and reason(philosophy) on cities.

      • KCI등재

        1930년대 모더니즘과 도시시학

        김동우(Kim Dong-Woo) 국어국문학회 2008 국어국문학 Vol.- No.149

        This essay intends to explain the meaning of Korean modernism poetry and the poetics focusing on the urban space in which the modern age and modernity are realized and exhibited concrete place. This discussion generally has two subjects which are the poetic perception for urban and of the issue of the expression. The main point of Intellectualism, a branch of Korean modernism, is having a scientific and intellectual attitude for understanding the modern society. This has a positive meaning. Because of aiming the modern attitude of understanding the world and more definitely functioning a instrumental tool for perception and criticism of urban civilization which develops complicatedly. This is significant to understand the life-style of the urbanites objectively, considering city dwellers feel at over-sensitiveness that makes intellectualization of urban life eventually by reason of the own doublefaced character of urban and its complex artificial mechanism. But, on occasion that the attitude of perception changes to the issue of the expression the limit is revealed clearly. Because the liberated practice of intellectualized life is obtained in the opposite factor of it instead. In that respect Kywang-Kyun Kim‘s poetic art of formation attracts an attention. He was good at forming the urban image and lyric. The favorable comments for his commanding the image and unfavorable ones for his expressing the excessive feeling were the dominant existing criticisms. But, in relation to urban life, the lyric of his poems doesn't melted into the images fully call forth tragic beauty that stimulate alienation and sorrow of urbanite more strongly. For this reason Kywang-Kyun Kim's poem should be newly evaluated. And the synesthesia expressions reveal a new respect in connection with segmentalized and fragmental urban life-style. After all, his poem helps to recover man's totality through the integration of sense.

      • KCI등재

        ’90년대 한국미술의 새로운 좌표 모색 - 《태평양을 건너서》전과 《’98 도시와 영상》전을 중심으로

        기혜경 미술사학연구회 2013 美術史學報 Vol.- No.41

        The following dissertation intends to locate the current stance of Korean contemporary art by examining the two exhibitions Across the Pacific and ’98 Seoul in Media Exhibition: Food, Clothing, Shelter. Both held in the 90s, the exhibitions embody the shift that took place in Korean art at the time. Since the postmodernist era, exhibition as practice has formed visual culture, whereby the confines of an exhibition itself provide a reflection of the art scene and the time period. When Across the Pacific was held in the early 90s, the Korean art scene was still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the then-waning theoretical discourse of the 80s. Putting theory above practice, Lee Young-chul’s curatorial direction for Across the Pacific posited multi-culturalism within the logical frame of cultural imperialism, thereby reaffirming the difference of cultural hierarchy and practice that exist between the post-colonial center and its periphery. From this, one can observe the clash between the existing grand narrative and the newly absorbed theories along with the emerging gap between reality and the new discourse. The new set of discourses and interpretations that the exhibition has stirred reflect the shift of paradigm and expose the hierarchical and practical discrepancy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ultimately offering a façade of the early 90s Korean art scene. On the other hand, ’98 Seoul in Media Exhibition attempted to decode the urban life through multimedia by focusing on individualism, the ordinary, and individual experience while keeping its distance from the elements of the grand narrative, such as multi-culturalism, cultural imperialism, ethnicity, history, and identity. ’98 Seoul in Media Exhibition was a biennale-type of exhibition that became widely popular since the opening of Gwangju Biennale, a triumphant result of municipal politics. The exhibition was first of its type to grant full authority to the curator in charge. The spatial organization and display method of the exhibition reflected the multi-cultural society, opened up a critical dialogue on the artworks, and emphasized the viewer’s individual interpretation, consequently shif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n artwork vs. artwork, artwork vs. artist, artwork vs. curator, curator vs. artist, and artwork vs. its audience. Furthermore, the exhibition served as a touchstone that marked the change from a period of critic-infested discourse to a new era of exhibition as the discourse-generator. Such visions of ’98 Seoul in Media Exhibition indicate that the Korean art scene by then had situated itself with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art practice. As marked by the two exhibitions, Across the Pacific from the early 90s and ’98 Seoul in Media Exhibition from the late 90s, the Korean art scene of the 90s saw a shift from the grand narrative to the small (localized) narrative and the everyday, and from critiques and reviews based on artworks to a larger discourse generated by exhibitions. Through this paradigm shift, Korean art proceeded towards contemporary art, solidly positioning itself in the niche after the 2000s. 본 논문은 90년대 우리 미술의 상황을 제시한 《태평양을 건너서》와 《’98 도시와 영상》전을 통해 90년대 이루어진 우리 미술의 좌표변동을 살피고, 그를 통해 우리미술의 위치를 점검하고자 하였다. 이는 전시라는 관행이 근대 이후 시각문화를 형성해 온 주요한 방식이자, 전시의 틀을 한정하는 것 조차도 미술계와 시대를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태평양을 건너서》전이 개최된 90년대 전반기의 화단은 80년대를 관통하여왔던 거대 담론이 힘을 잃어가고 있는 상황 속에서도 여전히 화단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영철은 전시를 큐레이팅함에 있어 실제의 전시보다는 담론를 우위에 둠으로써 다문화주의를 문화제국주의의 논리로 해석하였으며, 이는 후기 식민주의 상황에서 중심과 주변의 문화적 위계와 실천이 얼마나 다를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러한 상황을 통해, 당시는 새롭게 받아들인 이론과 기존의 거대담론이 충돌하고 있었으며, 새롭게 받아들인 이론이 적용되는 과정에서 이론과 실제 사이에 괴리현상이 노정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태평양을 건너서》가 준비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여러 담론과 그것의 해석, 그리고 그에 따른 전시의 실행과정은 패러다임의 전환기에 나타나는 현상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자 중심과 주변의 문화적 위계와 실천의 차이를 노정하는 것으로써, 90년대 초반 우리 미술계의 상황을 살필 수 있게 한다. 한편, ‘98년 《도시와 영상》전은 다문화주의나 문화제국주의, 민족, 역사, 정체성과 같은 거대서사에 좌우되지 않고 개인성과 일상, 개별적인 삶의 경험에 집중하여 도시에서의 삶을 멀티미디어적 속성을 통해 풀어나가고자 한 전시였다. 지방자치제도의 결실이라 할 수 있는 《광주비엔날레》 개최 이후 신설된 다양한 비엔날레 전시방식을 따르고 있는 《도시와 영상》전은 비엔날레급 전시로서는 처음으로 기획자에게 전권을 부여하였던 전시였다. 전시장 공간의 구성 및 디스플레이 방식을 통해 다원화된 사회를 반영하고, 작품에 대한 열린 해석을 가능하게 하며, 관객으로 하여금 스스로 생각하게 한다는 측면에서, 이 전시는 작품과 작품, 작품과 작가, 작품과 큐레이터, 큐레이터와 작가 및 작품과 관객 사이에 형성되는 많은 관계의 구조를 변화시킨 전시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미술계의 담론을 평론가나 비평가가 주도하던 시대에서 전시를 통해 새로운 담론을 제시하는 시대로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시금석이 된 전시였다. 《도시와 영상》이 보여주는 이러한 특징들은 우리 미술계가 동시대 미술계와 같은 맥락 속에 위치하고 있는 전시임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90년대 전반기의 《태평양을 건너서》와 90년대 후반 개최된 《도시와 영상》전을 통해 살펴본 90년대 전·후반의 우리 화단은 거대담론의 시대에서 소서사와 일상이 중시되는 시대로, 그리고 미술계의 담론이 작품에 대한 비평이나 평론을 통해서보다는 전시와 그것이 드러내는 시학을 통해 제시되기 시작하는 시기로 이행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패러다임의 전환과 더불어 90년대 우리 미술은 동시대 미술로 좌표를 이행하여 갔으며, 2000년대 이후 동시대 미술과 같은 자장 속에 위치한 시기였음을 살필 수 있었다.

      • KCI등재

        ‘작품 없는 예술’과 ‘도시의 시학’ - 『회상(Mémoires)』과 상황주의자 인터내셔널 초기 실험행동의 함의

        강정석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0 한국예술연구 Vol.- No.28

        This study takes as its subject Guy Debord and Asger Jorn’s Mémoires with the purpose of reconsidering the implications of the experimental behaviors in the early period of the Situationist International, and the concepts of “art without works” and “poetics in the urban.” As a collaborative piece between Debord and Jord, Mémoires as a text reveals the issues of the Situationist International as a collective avantgarde. Secondly, it describes the initial goals of the Situationist International, and summarizes their construction of the situation and unitary urbanism. The task of the avant-garde was to transform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physical condition of art creation, not just to create new art. Situationists tried to intervene in the everyday life in the city with experimental behaviors conceptualized as dérive, psychogéography, and détournement. This was an attempt to re-appropriate the urban environment captured by exchange value and exhibition value in the context of use value. This study re-examines the unrealized possibilities in the experimental behaviors of Situationists, focusing on Mémoires, which contains the historical memories of the emergence of main problematics of Situationist International. 이 연구는 드보르와 야스거 요른이 공동 제작한 『회상(Mémoires)』의 내용을 ‘작품 없는 예술’과 ‘도시의 시학’으로 개념화하여 검토함으로써 상황주의자 인터내셔널 초기의 예술과 도시를 둘러싼 사유와 전용이라는 실험행동에 깃든 실천적 함의를 조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가 『회상』에 주목하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회상』은 드보르와 요른의 공동 작품이라는 점에서 상황주의자들의 집단적 아방가르드의 문제 틀을 구현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둘째, 『회상』은 상황주의자 인터내셔널의 창립 강령인 「보고서」에 망라된 목표와 실천 방침들이 생성된 발생사적 맥락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상황주의자 인터내셔널의 전반적인 문제의식을 이해하는 핵심적인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셋째, 『회상』의 텍스트적구조는 상황주의자들의 실험 행동의 본령인 전용을 철저하게 구현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충분히 다뤄지지 않은 텍스트인 『회상』에 분석의 초점을 맞춤으로써 상황주의자 인터내셔널의 예술과 도시를 둘러싼 사유와 실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악의 꽃』 미시독서: 「태양 Le Soleil」(87)에 나타난 ‘구더기’(vers)와 ‘시 구절’(vers)의 중의성(ambiguï̈té)

        김종기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23 프랑스문화연구 Vol.58 No.1

        『악의 꽃』에서 구더기를 의미하는 어휘들의 분포특성에 주목한 앞선 연구에서, 이들이 시 혹은 예술과 관련된 문맥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더기가 시와 예술의 은유라는 문맥을 시집 시작부분에서부터 형성하기 위함이라 추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철자와 음성이 구더기 복수형 ‘vers’와 동일한 시 구절 ‘vers’의 문맥이 각운과 시를 비롯한 언어적 대상물임을 확인한다. 그런데 여러 문맥을 고려하더라도 구더기(vers)와 시 구절(vers) 사이의 중의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시 텍스트의 음성, 통사, 시법, 의미를 관통하는 미시독서를 통하여 이를 다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태양」 10행의 ‘vers’는 시 구절이 아닌 구더기로 해석하는 것이 『악의 꽃』에 담긴 도시의 시학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게 해준다. 「태양」에 나타난 ‘vers’의 중의성을 살피고, 그 결과 10행의 ‘vers’를 ‘구더기’로 해석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A l’étude précédente, j’ai commencé par les caractéristiques de la distribution des vocables(vermine, vermisseau, helminthe, larve), sémantiquement liés au ‘ver animal’ dans Les Fleurs du Mal. De cela j'ai pu confirmer qu’ils formaient un contexte lié à la poésie et à l'art poétique. Les cinq poèmes contenant ces vocables étaient cependant limitées juste au début du recueil(de 「Au Lectieur」(0) jusqu’au 「Vempire」(31)). Je pouvait en déduire : ces vocables au début du recueil, ils ont été utilisés pour la métaphore de la poésie avec le ver au plan purement sémantique, pour exclure la moindre possibilité de l’ambiguî̂té entre ‘le ver animal’ et ‘le vers poétique’. A partir de ce raisonnement, cette étude portera sur l’ambiguï̈té entre le ver animal et le vers poétique. Le ‘ver’ animal et le ‘vers’ poétique partageant la même orthographe ‘ver’, les prononciations sont identiques comme [vεːʀ]. Cependant, le ver dont l'orthographe du pluriel ‘vers’ est le même que le ‘vers’ poétique. Il faut donc examiner à part le contexte du ‘vers’ poétique pour avoir une repère qui peut permettre de prendre mesure un ‘vers’ comme vers ‘poétique’ plutôt qu’un ver ‘animal.’ Dans les cinq pièces, le contexte de vocable ‘vers poétique’ peut être confirmé par ‘nombreux’, ‘mots’, ‘rime’, ‘vers poétique’, des objets langagières et des intertextualités historico-poétiques de la Renaissance. L’ambiguï̈té entre des ‘vers’(forme plurielle du ver animal) et le ‘vers’ poétique correspond également à la sillepse, présupposée évidemment par la polysémie. Il sera donc difficile, en pareil cas, de préciser un sens, même en tenant compte du contexte donné. Cet exemple est bien illustré dans 「Le Soleil」(87) où ‘les vers’ au vers 10 peut être interprété comme ‘vers poétique’ ou ‘vers animaux’ selon l’interprétation du contexte, tandis que ‘des vers’ au vers 8 s’avère juste comme ‘vers poétiques.’ La première et la deuxième strophe représentent respectivement l'image du Soleil. Mais les critiques les interprètent comme non seulement oppositionnelles mais contradictoires. En comprenant cela, de ma part, comme une allégorie générée par la parataxe entre deux strophes, je peux dire que la relation entre les deux soleils n'est pas contradictoire mais transformationnelle. Le ‘soleil cruel’ de la première strophe, c'est finalement pour la richesse des ‘villes et champs’ de la deuxième strophe et c'est donc une allégorie pour manifester la puissance des ‘des vers’ au vers 8. En fait, le vers 17 de la troisième strophe(‘Il ennoblit le sort des choses les plus viles,’) se fonctionne justement comme une interprétation de l'allégorie du vers 10 : ‘Éveille dans les champs les vers comme les roses’. Et cela pourra expliquer pourquoi Baudelaire a placé cette pièce dans 《Tableaux Parisiens》 à l'édition de 1861. C’est parce que la poétique des 《Tableaux Parisiens》 étant une poétique urbaine, ces deux vers montrent le plus spécifiquement ‘l'alchimie poétique’ des Fleurs du Mal, en unifiant ‘chimiquement’ la ville et la poésie.

      • KCI등재
      • KCI등재

        크리스타 볼프의 『천사의 도시 또는 프로이트 박사의 오버코트』에서 ‘회상’의 시적 함의와 기능

        김인순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9 독일언어문학 Vol.0 No.86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ist es, die poetische Bedeutung und die Funktion der ‘Erinnerung’ im Roman Stadt der Engel oder The Overcoat of Dr. Freud(2010) von Christa Wolf zu untersuchen. Für Christa Wolf ist die Literatur ‘das einzige Erprobungsfeld für die Vision von ganzheitlichen menschlichen Wesen’. Dafür muss das Unterdrückte im unbewussten Bereich, das nicht Zugelassene, von früh an Ausgeschlossene ausgegraben und in uns vereinigt werden. Nur dann ist eine wahre Selbstbegegnung möglich. Auf diesem Weg zur Selbsterkenntnis zeigt die Erinnerung ihre besondere Funktion als Lotse, der zu den vielen schlummernden Gedächtnissen im Unterbewusstsein führt. Besonders im Roman Stadt der Engel oder The Overcoat of Dr. Freud erkundet Christa Wolf ihr wahres Selbst, indem sie bis auf ihre Kindheit zurückblickt und dabei historische und gesellschaftliche Ereignisse des Vergangenen rekonstruiert. Folglich ist dieser Roman im Großen und Ganzen ein Durchspiel von Erinnerungen. Die Erinnerungen übernehmen die Rolle, die Objekte der Reflexionen hervorzurufen und sie in ein ästhetisches ‘Gewebe der Literatur’ zu verknüpfen. Darüber hinaus führt die erinnernde Reflexion zur kritischen Beleuchtung der Vergangenheit aus der heutigen Sicht und ruft die Selbsterkundung der Autorin hervor. 본 논문의 목적은 크리스타 볼프의 소설 천사의 도시 또는 프로이트 박사의 오버코트(2010)에 나타난 ‘회상’의 시적 의미와 기능을 심층적으로 연구 분석하는 데 있다. 크리스타 볼프에게 문학은 총체적인 인간 존재의 가능성을 시험할 수 있는 유일한 현장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의식 깊이 억압된 것, 일찍부터 배제된 것, 용인되지 못한 것을발굴해내어 우리 존재에 통합해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는 우리의 진정한 자아와 마주할수 있다. 이러한 자아인식의 도정에서 무엇보다도 회상은 많은 기억들이 묻혀 있는 무의식으로 인도하는 주요한 기능을 발휘한다. 특히 천사의 도시 또는 프로이트 박사의오버코트에서 크리스타 볼프는 어린 시절까지 거슬러가는 회상을 통해 자신의 지난 삶의 배경을 이루는 역사적, 사회적 사건들을 재구성하고 자신의 진실한 자아를 탐색한다. 그러므로 이 소설은 그 자체로 회상의 형식을 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회상은 주요테마들을 성찰의 대상으로 불러내어 하나의 치밀한 ‘문학의 조직’으로 엮어내는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한다. 나아가 회상하는 사유는 현재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지난 역사를고찰하고 작가가 자아를 탐색하고 인식하도록 유도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