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구적 일상생활 프로그램이 회복기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 재활 동기,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최민경 대한통합의학회 2019 대한통합의학회지 Vol.7 No.3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on a patient with subacute stroke in the view of self-efficiency,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social support. Methods : Eight stroke patients who attended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at P hospital in Busan Metropolitan City from march 2018 to January 2019 were recruited.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was offered to 8 stroke patients 1 session (at least 1 hours) a day, 5 times a week, for 4~5 weeks. We evaluated self-efficacy, rehabilitation motivation, social support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iency, rehabilitation motivation, social support between before and after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p<.05).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strumental-activity of daily living program have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rehabilitation motivation, social support and suggests that self-efficacy is an important factor for returning to society. 목적 : 본 연구는 회복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도구적 일상생활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재활동기,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8년 3월부터 2019년 1월 까지 부산 소재의 P병원에서 도구적 일상생활프로그램을 8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도구적 일상생활프로그램은 1일 1회, 1시간 주 5회, 총 4~5주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중재 전-후 자기효능감, 재활동기,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 도구적 일상생활프로그램을 실시 후 자기효능감, 재활동기, 사회적 지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본 연구는 도구적 일상생활프로그램이 회복기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 재활동기, 사회적 지지에 효과적임을 보여주었고, 자기효능감이 사회복귀의 성패에 중요한 요인임을 제안한다.

      • KCI등재

        도구적 일상생활에 초점을 둔 복합인지중재 프로그램이 치매고위험군 노인에게 미치는 영향 : 예비연구

        박경영,신수정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도구적 일상생활에 초점을 둔 복합인지중재 프로그램이 치매고위험군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정도,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충북 G지역에서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실시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24명의 치매고위험군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재방법은 도구적 일상생활과 관련된 인지훈련 및 창조 적 활동을 적용하였고 중재 전후에 MMSE-DS, 주관적 기억감퇴 설문지, 단축형 우울척도, 삶의 질 평가를 실시하여 변화 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도구적 일상생활 초점의 복합인지중재프로그램 후 주관적 기억력 감퇴 정도와 삶 의 질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인지기능과 우울정도에는 변화가 없었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실제 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복합인지중재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다양한 도구적 일상생활 활동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ultimodal cognitive intervention focusing on instrumental daily life on th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high-risk of dementia.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4 elderly people with high-risk of dementia who participated in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rom March to June, 2018 in Chungbuk A region.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to cognitive training and creative activities related to instrumental daily life. MMSE-DS,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version and Geriatric quality of life – Dementia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e confirmed that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Quality of Life, but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is program which can affect the real life of the elderly can be usefully applied in the community.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utilizes more divers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 KCI등재

        복합중재 프로그램이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함민주,김수경,유두한,이재신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1

        목적 : 본 연구는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에게 인지활동을 중심으로 신체활동, 정서활동을 병행한 복합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시 대상자의 인지기능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약물치료 중인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 59명을 실험군 39명, 대조군 20명으로 무작위 배정 하였다. 실험군에는 복합중재 프로그램, 대조군은 비 중재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실험군에 8주 동안 주 2회, 회기 당 110분씩 총 16회기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후 비교를 위하여 치매선별용 간이정 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MMSE-DS), 노인용 전산화 인지평가도구(Computer Cognitive Senior Assessment System for Elderly; COSAS), 한국형 도구 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를 사용하였다. 결과 : 약물을 복용 중인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 59명 중 복합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비 중 재를 실시한 집단과 비교하여 인지기능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 다(p<.01). 결론 : 복합중재 프로그램은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유지 및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임을 제시하였다. Objectiv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ultimodal interventional program(MIP) that combined physical activity and emotional activities centering on cognitive activities on cognitive funct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in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Methods: A total of 59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were randomly assigned to a study group of 39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of 20 pati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multimodal intervention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ere applied for the non-intervention. MIP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8 weeks and for 110 minutes per session. In order to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ubjects, MMSE-DS, COSAS were used, and K-IADL was used to measure IADL. Results: Among the 59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who were taking medication, the group with MI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mpared with the group without non-intervention(p<.01). Conclusion: The multimodal intervention program is the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IADL in patient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