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위 대퇴골 골절 분류의 신뢰성

        이상욱 ( Sang Wook Lee ),고상봉 ( Sang Bong Ko ),조명래 ( Myung Rae Cho ),이호형 ( Ho Hyoung Lee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1

        목적: 고관절 부위 대퇴 경부와 대퇴 전자부 골절의 분류 (Garden 분류와 Boyd와 Griffin 분류)를 비교, 분석하여 재현성과 정확성, 관찰자 간, 관찰자 내의 오차에 대하여 조사해서 그 신뢰성과 의의에 대하여 조사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대퇴 경부 골절 56예, 대퇴 전자부 골절 60예를 대상으로 고관절 전문의, 정형외과 전문의, 정형외과 전공의가 각각 3회에 걸쳐 각 질환을 분류하였는데, 대퇴 경부 골절은 현재 많이 이용되는 Garden 분류 방법에 따라 분류하였고 대퇴 전자부 골절은 골절 부위의 양상과 분쇄 정도에 따른 Boyd와 Griffin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tata 7.0을 이용하여 관찰자 내, 관찰자간의 kappa 값을 구하여 일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대퇴 경부 골절군의 Garden 분류법의 경우 관찰자 내 일치성은 적절한 일치성을, 관찰자간 일치성은 약간 낮은 일치성을 보였다. 대퇴 전자부 골절군의 Boyd와 Griffin 분류법의 경우 관찰자 내 일치성은 높은 일치성을, 관찰자간 일치성은 적절한 일치성을 보였다. 결론: 대퇴 전자간 골절의 Boyd와 Griffin 분류는 적절한 일치성 이상을 보였으나 대퇴 경부 골절의 Garden 분류는 낮은 일치성을 보여 그 분류는 낮은 일치성을 보여 그 분류 방법에 신뢰성과 이용에 문제점이 제기된다. Purpose: The Garden classification by which femur neck fracture is classified and the Boyd-Griffin classification by which trochanteric fracture is classified are studied on the reproducibility, repeatability, interobserver`s and intraobserver`s reliability and then reli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56 cases in femoral neck fracture and 60 cases in trochanteric fracture who were operated from May 1999 to December 2003 were classified by three observers who are hip surgeon, orthopaedic surgeon and senior residentship doctors three times. Femur neck fracture was classified by Garden`s method which used commonly and trochanteric fracture was classified by Boyd-Griffin method which is classified by the pattern of fracture and degree of comminution. We got the interobserver`s and intraobserver`s Kappa score using the Stata 7.0 statistically.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made by Stata 7.0. Results: Garden classification in femur neck fracture showed moderate agreement in intraobserver reliability and fair agreement in interobserver reliability. Boyd-Griffin classification in trochanteric fracture showed substantial agreement in intraobserver reliability and moderate agreement in interobserver reliability. Conclusion: Boyd-Griffin classification showed over moderate agreement but Garden classification showed fair agreement, so using Garden classification in femur neck fracture has some problem in reliability and application.

      • KCI등재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타곤 근위 대퇴정과 압박고 나사를 이용한 치료 결과의 비교

        유기형 ( Kee Hyung Rhyu ),채우영 ( Woo Young Chae ),한계영 ( Kye Young Han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4

        목적: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치료로서 타곤 근위 대퇴정 내고정군과 압박고 나사 내고정군 간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5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타곤 근위 대퇴정 또는 압박고 나사를 이용하여 치료하였던 대퇴골 전자간 골절 중 6개월이상 추시된 환자를 대상으로, 타곤근위 태퇴정으로 치료한 47례를 제1군, 압박고 나사로 치료한 46례를 제2군으로하여 두 군의 수술시간, 수혈빈도, 통증 분석, 체중부하 시기, 수술후 활동능력 및 합병증을 조사하였으며, 방사선학적으로는 대퇴 경간각의 변화, 대퇴골 간부의 내측 전위, 지연나사의 활강 정도, 유합 시기 및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임상적으로 수술시간, 수혈빈도, 자가 보행이 가능할 때까지 걸린 시간에 있어 제1군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양호한 임상결과를 보였으며, 최종 추시 시 통증 정도, 활동도, 회복 기간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방사선학적 결과에서는 대퇴골 간부의 내측 전위, 지연나사의 골두 천공 및 골절의 불유합 등의 합병증 발생이 타곤 근위 대퇴정을 이용한 내고정군에서 적었다. 결론: 대퇴 근위 전자부 골절에 있어 타곤 근위대퇴정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압박고 나사를 이용한 술식에 비하여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We wanted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using compression hip screws with those of using Targon proximal femoral nails for the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01 to December 2005, we reviewed 93 patients who suffered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 and they had a minimum follow up for 6 months (47 cases of Targon(R) proximal femoral nail (Group 1) and 46 cases of compression hip screw (Group 2)) Both groups were compared with regard to the operation time, the number of transfusions, pain as analyzed by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the timing of maximum tolerable weight-bearing and the complications. Radiological assessment was directed toward the time of boney union, and we also assessed the changes observed betwee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roentgenograms and final follow-up roentgenograms according to various parameters Results: Group 1 had significantly better clinical results for the mean operation time, the number of transfusions and the mean time to self ambulation. Radiologically, there were fewer complications such as a medially displaced femoral shaft, cut out of the lag screw and nonunion in Group1 Conclusion: Better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can be achieved with using Targon proximal femoral nails compared with that of using compression hip screws for the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 KCI등재

        대퇴 전자간 골절 환자에 있어 근위 대퇴골 골수정의 골두 천공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이동영(Dong-Yeong Lee),황선철(Sun-Chul Hwang),정순택(Soon-Taek Jeong),오진영(Jin-Young Oh),김동희(Dong-Hee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4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 후 근위 대퇴골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골두 천공(cut-out)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월부터 2016년 3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에서 대퇴 전자간 골절을 진단 받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은 151명의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퇴 전자간 골절 후 근위 대퇴골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 중 최소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는 76명, 여자는 75명, 평균 나이는 73.7±12.1세로 나타났다. 골두 천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학적 요소와 골다공증, 대퇴 경간각(≤130° or >130°), tip-apex distance (TAD) (≤25 mm or >25 mm), lag screw의 대퇴 골두내에서의 위치와 같은 다양한 인자들이 고려되었으며,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에서의 odds ratio (OR)를 계산하였다. 우선 모든 인자를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인자를 이용하 여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전체 환자 중 골두 천공의 발생은 14명(9.3%)에서 관찰되었으며, 단변량 분석 결과 AO/OTA 분류에 따른 골절양상 (p=0.045), 대퇴 경간각(p<0.001), 그리고 lag screw의 대퇴 골두 내 위치(quadrant) (p=0.001)가 골두 천공의 발생의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TAD는 골두 천공의 발생과 관계가 없었다(p=0.886).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인자들을 이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대퇴 경간각(OR, 12.291; 95% CI, 2.559-59.034; p=0.002)과 대퇴 골두 내 lag screw의 위치(OR, 7.194; 95% CI, 1.712-30.303; p=0.007)만이 골두 천공 발생과 관련된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대퇴 전자간 골절 후 근위 대퇴골 금속정을 이용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 있어 수술 시 외반 정복과 대퇴 골두 내 적절한 위치에 lag screw를 고정하는 것이 기계적 합병증인 골두 천공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인자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for the occurrence of cut-out of proximal femoral nail by a lag screw as the treatment for intertrochanteric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51 patients (76 males and 75 females; mean age, 73.7±12.1 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11 and March 2016, with a follow-up of at least for 6 months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Various risk factors, such as demographic data, osteoporosis, collodiaphyseal angle (CDA) (≤130˚ or >130˚), tip-apex distance (TAD) (≤25 mm or >25 mm), and the position of lag screw in the femur head (quadrant)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cut-out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strength of association for each factor was determined through the calculation of the odds ratio (OR), with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CI). First, we performed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for all variables; then, we performed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only the significant variables that had resulted from the univariate analysis. Results: Among the 151 cases, the occurrence of cut-out was observed in 14 cases (9.3%). In a univariate analysis, the fracture patterns based on the AO/OTA classification (p=0.045), CDA (p<0.001) and the position of lag screw in the femur head (quadrant) (p=0.001)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occurrence of the cut-out. However, TAD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ut-out (p=0.886). Various factors, which were significant in univariate analyses, were included in multivariate analyses. In multivariate analyses, CDA (OR, 12.291; 95% CI, 2.559-59.034; p=0.002), and quadrant (OR, 7.194; 95% CI, 1.712-30.303; p=0.007)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ut-out. Conclusion: Valgus reduction and proper position of lag screw were critical for the prevention of occurrence of cut-out when treating intertrochanteric fracture using proximal femur nail.

      • KCI등재

        대퇴 전자간 골절의 근위 대퇴 골수정과 근위 대퇴 골수정A를 이용한 치료 결과의 비교

        박정호 ( Jung Ho Park ),박종웅 ( Jong Woong Park ),왕준호 ( Joon Ho Wang ),이재욱 ( Jae Wook Lee ),이정일 ( Jung Il Lee ),김재균 ( Jae Gyoon Kim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2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을 근위 대퇴 골수정과 근위 대퇴 골수정A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근위 대퇴 골수정A의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본원에서 근위 대퇴 골수정 또는 근위 대퇴 골수정A로 수술을 받은 환자 총 34예 중에서 사망한 2예를 제외하고 각각 19예, 13예를 대상으로 하여 수술 시간, 출혈량, 골유합까지의 기간, 보행 시작 시기, 대퇴 경간각 변화, 수술 후 합병증 및 환자에 대한 술 전 및 술 후의 일상 생활 능력 및 보행 능력을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근위 대퇴 골수정 및 근위 대퇴 골수정A로 치료한 군의 평균 수술 시간은 각각 86분, 79분이었다. 수술 시 평균 출혈량은 각각 478 ml, 322 ml였으며, 4개월 이내 골유합은 각각 14예, 11예에서 얻을 수 있었다. 체중 부하 시작 시기는 각각 평균 1.2개월과 1.1개월이었고, 대퇴 경간각의 변화는 각각 4.2도, 3.2도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근위 대퇴 골수정A 군에서 social function score 및 mobility score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좋은 결과를 보였고, 합병증도 적었다. 결론: 대퇴 전자간 골절에 있어서 근위 대퇴 골수정A를 이용한 수술법은 근위 대퇴 골수정에 비해서 수술 후 환자의 기능 및 활동에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합병증도 적어, 근위 대퇴 골수정에 비해 좋은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fracture fixation between using Proximal Femoral Nail and using Proximal Femoral Nail A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roximal femoral nail A.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32 patients who suffered from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our hospital, which were 19 cases of PFN and 13 cases of PFNA. Retrospectively we evaluated mean operation time, amount of bleeding, beginning of ambulation, average union period, changes of neck shaft angle and complication on set of telephone interview and GPD. We also evaluated postoperative capability of function and mobility using `Social function score` and `Mobility score`. Results: PFNA showed shorter mean operation time, less bleeding, shorter average union period, earlier ambulation and less change of neck shaft angle than PFN. Although they didn`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postoperative capability of function and mobility showed statistical and mathematical difference on each group. Conclusion: PFNA showed better results of postoperative function and mobility and less complications than PFN. So treatment using PFNA is better method than that of PFN.

      • KCI등재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금속정 고정술 시행결과 : 감미정과 근위 대퇴정의 비교 Comparision Gamma Nail and proximal Femoral Nail

        고상봉,조명래,김태훈,장일웅 대한골절학회 2004 대한골절학회지 Vol.17 No.4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감마정과 근위 대퇴정으로 내고정을 시행하고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 및 합병증을 비교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2년 2월까지 대퇴 전자간 골절로 감마정과 근위 대퇴정을 이용하여 고정한 환자 중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으로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3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감마정군이 31예, 근위 대퇴정군이 32예이었다. 연령, 골절의 형태와 안정성에 따른 분류, 동반 질환, 골다공증의 정도, 환자의 활동 능력 등이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평가방법으로는 두 군 사이의 수술시간, 출혈량, 안정정복 획득의 감입 정도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시간은 감마정군은 평균 103±40분, 근위 대퇴정군에서 101±28분으로 통계적인의미는 없었으며 (p=0.801), 수술 중 출혈량은 근위 대퇴정군에서 적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p=0.601). 술 후 골절의 안정성 획득 여부는 감마정군 30%, 근위 대퇴정군 31%에서 안정 정복을 얻어 사용기구에 따른 고정의 안정성 획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934), 술 후 내반 고정의 빈도와 골절부위의 1.28단계의 보행능력 감소를, 근위 대퇴정군에서 평균 0.86단계의 보행능력 감소를 보여 역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383). 결론: 대퇴 전자간 골절치료에 있어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인 결과에서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근위 대퇴 골수정이 수술시간, 출혈량 등의 수술 수기의 측면에서 조금 더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the fracture using the Proximal Femoral Nail(PFN) or Gamma nail in patient with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9 to February 2002, we reviewed 63 patient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including 31 patients managed with Gamma nail and 32 patients with PFN. In variate analysis of age, the pattern and stability of fracture, bone density(Singh index), preoperative patient activit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e evaluated the operation time, blood loss, stable reduction rate and varus reduction rate as operation-related factors, and radiologically investigated union, time, the frequency of delayed union and nonunion, failure of fixation, status of the fracture line and complications.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by the possibility of early ambulation, ambulation ability at last follow up, and the pre and postoperative difference of ambulatory ability. Results: Mean operation time was 103±40 minutes in Gamma nail group 101±28 minutes in PFN group.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801). Even though intraoperative blood loss was less in PFN group, it was significant(p=0.601). Postoperative stable reduction rate was 31% in Gamma nail group and 30% in PFN group(p=0.934), suggesting not significant. Postoperative varus reduction and impacted amount of the fracture ling was not significant. Delayed union developed in one case of Gamma nail group and 2 cases of PFN group. Mean loss of ambulation ability was 1.28 grade in Gamma nail group and 0.86 grade in PFN(p=0.383).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use of Student T test and Chi-square test. Analyses resulting in a p value of <0.05 were considered to show significance. Conclusion: Generally, th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re comparable for the PFN group and Gamma nail group. Even 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FN group had superior results in operation time blood than Gamma nail group for the fixation of the patients with interchanteric fracture.

      •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

        문도현,최장석,김건범,김진원,김기태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2

        목 적: 최근 개발된 근위 대퇴 골수정 (proximal femoral nail)을 이용한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 후 단기 추시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하여 수술적 내고정을 시행한 47예를 대상으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와 합병증을 평가 하였고,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76.8세 (62~96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약 15개월(12~24개월)이었다. 결 과: 술 후 보행능력은 타인의 도움 없이 보행대를 사용하여 혼자 걸을 수 있는 정도를 만족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전체 47명 중 43예 (91.5%)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고, 최종 추시상 모든 예에서 골 유합을 얻었으며, 대퇴 경부 나사의 활강은 평균 3.0㎜활강을 보였고, 대퇴골의 대퇴 경간각의 변화는 평균 2.6도를 보였다. 술 후 합병증으로 1예(2.1%)에서 대퇴 경부 나사의 대퇴 골두 천공 (cut-out)을 보였고, 슬부 표재성 국소 감염이 1예(2.1%), 대퇴 전자부의 통증을 호소한 경우가 1예(2.1%) 있었다. 결 론: 근위 대퇴 골수정은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시 내고정 장치와 관련된 합병증이 다른 내고정 장치에 비해 적고 술기 또한 간단하여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시 좋은 내고정 장치로 사료된다. Purpose: To review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the treat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emoral fractures with a proximal femoral nail(PFN). Material and Methods: We reviewed 47 unstable intertrochanteric femoral fracture cases that had been treated with a PFN operatively.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an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The mean age was 76.8 years old(62~96 years old) and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15 months(12~24 months). Results: The postoperative walking ability was regarded as satisfactory when the patient could walk alone using an walking frame without other aids and satisfactory results was achieved in 43 cases(91.5%). In all cases the radiologic bone change of neck-shaft angle was 2.6 degree. There were three cases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which were including 1 case of cut-out of femoral neck screw, local superficial in 1 case and pain complaints over trochanteric area in 1 case. Conclusion: The PFN is an useful implant for the treat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emoral fracture because of the simplicity of the surgical technique and the low level of the complications encountered.

      • KCI등재

        불안정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치료시 근위 대퇴정(Proximal femoral nail)과 압박 고 나사(Dynamic hip screw)의 후향적 비교

        임군일 ( Gun Il Im ) 대한고관절학회 2007 Hip and Pelvis Vol.19 No.1

        목적: 대퇴 전자간 불안정 골절을 근위 대퇴정과 압박 고나사 고정술로 치료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퇴 전자간 골절의 AO 분류상 불안정성 골절(A22,23형)이 있는 환자들 중 근위 대퇴정과 압박 고 나사 고정술로 치료한 100명(근위 대퇴정 50명, 압박 고 나사 5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나이, 성별, 수술 전의 상태, 수술 중 자료(마취 종류, 수술 시간, 수혈량, 삽입물의 위치) 수술 후 경과와 합병증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수술시간은 근위대퇴정군에서 유의하게 짧았고(P=0.03) 수술중 수혈양은 큰 차이가 없었다. 수술중 합병증으로 근위대퇴정군에서 대퇴간부골절 1례, 수술후 합병증으로 지연나사의 이탈과 골두천공으로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였던 경우가 근위 대퇴정과 압박고나사 군에서 각각 1례씩 있었으며 압박고나사군에서 고정의 소실로 근위 대퇴정으로 치환한 경우가 1례 있었다. 환자의 기능 지표로 사용된 Parker and Palmer 운동 지수는 수술 전 큰 차이는 없었지만 수술후 근위 대퇴정을 시행한 환자들에게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 또 다른 지표로써 사용된 Jensen의 사회 기능 지수는 추시 기간 중 두 군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결론: 근위 대퇴정의 사용은 압박 고 나사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 볼 때 대퇴 전자간 불안정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환자의 전반적인 경과를 개선하지는 못하지만 수술시간의 단축과 술후 운동능력의 향상에 있어서는 장점을 가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retrospectively analyze and compare the results of proximal femoral nail (PFN) and dynamic hip screw (DHS) in the treatment of A22, 23 AO/OTA intertrochanteric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Out of 100 patients who had an A22,23 unstable intertrochantericfractures, 50 patients were treated with DHS (Group I) and 50 patients were treated with PFN (Group II). The age, gender, preoperative morbidity, intraoperative data (type of anesthesia, duration of surgery, the amount of blood transfusion, the position of implant) and postoperative functional status and complications of both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The mean surgical duration was shorter in the PFN group than in the DHS group (P=0.03) but the amount of transfusion was comparable. The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encountered were a femoral shaft fracture in the PFN group, cut-through of the lag screws in one patient from each group, and a loss of reduction in one hip in the DHS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nion time, postoperative morbidity or mortality. The mobility score was higher in the PFN group than in the DHS group (P=0.02) even though the social function score was similar. Conclusion: The use of PFN has the advantage of a shorter operative time and a better mobility of patients without altering the overall course of patients` recovery.

      • KCI등재

        고령의 대퇴전자간 분쇄골절 치료 시 내고정술과 인공관절 반치환술간의 임상결과 비교

        문창윤 ( Chang Yun Moon ),지종훈 ( Jong Hun Ji ),박상은 ( Sang Eun Park ),김영율 ( Young Yul Kim ),이세원 ( Se Weon Lee ),김원유 ( Weon Yoo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4

        목적: 고령 환자의 불안정성 대퇴전자간 골절에서 무작위로 전향적으로 시행한 내고정술과 고관절 부분 치환술간의 연령별 임상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2월까지 70세 이상 고령에서 대퇴 전자간 불안정성 골절로 내고정이나 고관절 부분 치환술을 시행한 62예에 대해 최소 12개월(12개월~36개월) 추시 관찰하여 SF-36을 통해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내고정을 시행한 군은30명, 부분 치환술을 시행한 군은 32명이다. 임상 결과 분석은 SF-36을 이용하였으며 SPSS를 통해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70대에서는 동통, 파행, 보조기 사용 여부 항목에서 부분 치환술 군이 유의하게 좋은 결과를 보였고, 80대에서는 파행 항목에서만 부분 치환술 군이 좋은 결과를 보였으나(P<0.05), 나머지 항목에서는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내고정군에서 고정물 실패가 4예 있었고, 부분 치환술 군에서 감염에 의한 실패가 2예, 탈구로 인한 재치환술이 2예 있었다. 결론: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 시 내고정술보다 초기 안정성으로 동통이 적고 조기 기동이 가능한 고관절 부분 치환술이 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We wanted to analyze the clinical outcomes of prospectively randomized surgeries between internal fixation and hemiarthroplasty for treating unstable intertrochanteric hip fracture i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7, 62 cases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that underwent internal fixation or hemiarthroplasty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for the clinical outcomes with using the SF-36. Thirty cases were treated with internal fixation and 32 cases were treated with hemiarthroplasty. The clinical outcomes, as assessed by using the SF-36,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using SPSS for Windows. Results: Hemiarthroplasty show a better result than internal fixation for pain, limping and the support scales in the 70~79 years old group, and the limping scale was also better in the over 80 years old group (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age. Four cases of internal fixation failed due to loss of fixation (3) and nonunion (1), and 4 cases of hemiarthroplasty failed due to infection (2) and revision for dislocation (2). Conclusion: Primary hemiarthroplasty should be more beneficial than osteosynthesis, such as performing internal fixation, for treating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elderly patients because of the reduced pain and early ambulation that are due to the early stabilization.

      • KCI등재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서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과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이용한 압박 고 나사의 비교

        노재영 ( Jae Young Rho ),김상범 ( Sang Bum Kim ),허윤무 ( Youn Moo Heo ),조성진 ( Seong Jin Cho ),채동식 ( Dong Sik Chae ),이우석 ( Woo Suk Lee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2

        목적: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과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병용한 압박 고 나사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수술 후 1년 이상 추시되었던 환자 중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으로 치료한 28예 (1군)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병용한 압박 고 나사로 치료한 38예 (2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양 군에서 수술시간, 출혈량, 골유합 기간, 대퇴 경간각의 변화, 골절부 활강, 합병증, 수술 후 통증 및 사회 기능 지수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 1군에서 수술시간과 출혈량은 2군에 비해 적었으나 (p<0.05), 골유합 기간, 대퇴 경간각의 변화, 골절부 활강, 수술 후 통증점수와 기능 지수는 양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p>0.05). 수술 후 합병증은 1군에서 불유합과 동반된 나선형 날의 골두 천공이 2예 있었으며, 2군에서는 불유합과 동반된 압박 고 나사의 골두 천공 1예,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의 파손 1예, 금속판 나사못의 이완 1예가 있었다. 결론: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은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병용한 압박 고 나사에 비해 임상적 결과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덜 침습적인 방법으로 노인환자에서 더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and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treatments i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with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PFNA) and compression hip screw with trochanter stabilizing plate (CHS with TSP).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sults of 66 cases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treated with PFNA (Group I) and CHS with TSP (Group II) which could be followed up for minimum a year. We evaluated several comparative factors such as operation time, blood loss, time to bone union, changes in neck-shaft angle, sliding of screw (or blade), complications, postoperative pain, social-function score of Jensen, and mobility score of Parker and Palmer. Results: Group I showed shorter operation time and less blood loss with significance than group II (p<0.05),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mean time to bone union, changes in neck-shaft angle, sliding of screw (or blade), complications, postoperative pain, and social-function score of Jensen (p>0.05). Two cases of cutting out of the blade through the femoral head were found in group I. One case of cutting out of the screw, one case of the breakage of the plate, and loosening of the plate were found in group II as complications. Conclusion: We think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FNA and CHS with TSP in view point of radiologic and clinical outcomes i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but PFNA is less invasive device than CHS with TSP, therefore it may be useful device in elderly patients.

      • KCI등재

        대퇴 전자간 역사상 골절에서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이용한 압박 고 나사의 치료 결과

        민병우 ( Byung Woo Min ),이경재 ( Kyung Jae Lee ),김교욱 ( Gyo Wook Kim ),배기철 ( Ki Cheor Bae ),이시욱 ( Si Wook Lee ),김두한 ( Du Han Kim ) 대한골절학회 2014 대한골절학회지 Vol.27 No.2

        목적: 대퇴 전자간 역사상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이용한 압박 고 나사의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대퇴 전자간 역사상 골절로 인해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이용한 압박 고 나사로 수술한 환자들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골유합까지 기간, 대퇴 경간각의 변화, 지연 나사의 활강 정도, 술 후 합병증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 총 33예 중 28예에서 만족할 만한 정복을 얻었다. 만족스럽지 못한 정복을 얻은 5예에는 기구 파손이 1예, 15 mm 이상의 과도한 활강이 2예, 10도 이상의 내반변형이 1예, 내회전 변형이 1예가 있었다. 수술 시 10도 이상의 내반변형이 있었던 1예와 내회전 변형을 보인 1예에서 추후 교정 절골술을 시행하였으며 과도한 활강을 보였던 1예에서는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하였다. 29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까지 기간은 평균 19.2주였다. 결론: 대퇴 전자간 역사상 골절에서 전자부 안정화 금속판을 이용한 압박 고 나사는 유용한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골절의 정복과 적절한 위치에 기구의 삽입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se of a compression hip screw with a trochanter stabilizing plate for treatment of reverse oblique intertrochanteric fractures.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results of 33 cases of reverse oblique intertrochanteric fracture treated with a compression hip screw with a trochanter stabilizing plate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2 which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one year. We evaluated postoperative bone union period, change of neck-shaft angle, sliding of hip screw, and other complications.Results: Of 33 patients, satisfactory reduction was achieved in 28 patients. Five patients had an unsatisfactory reduction, with two cases of excessive screw sliding, one of broken metal, one of varus deformity, and one of internal rotation deformity. We performed corrective osteotomy in varus and internal rotation deformity and partial hip replacement in a case of ex-cessive screw sliding. Bone union was achieved in 29 patients, and the average bone union period was 19.2 weeks.Conclusion: We consider that a compression hip screw with a trochanteric stabilized plate is a good option for treatment of reverse oblique intertrochanteric femoral fractures. However, adequate fracture reduction and ideal implant placement are a basic necessity for successful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