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제해결식 전화상담이 치매노인 가족간호제공자의 상황평가와 대처기전에 미치는 효과

        이해정(Hae-Jung Lee),김기련(Ki-Ryeon Kim),김주성(Ju-Sung Kim),신재신(Jae-Shin Shin)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oblem-solving telephone counseling on appraisal and coping in family caregivers of the older adults with dementia. Using a computer system, a random assignment of subjects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October, 2002 in Pusan. A total of 53 family caregive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21 caregivers received telephone counseling once a week for 12 weeks and 32 caregivers received general information about caring older adults with dementia. Measures were included Appraisal of Caregiving Scale and Coping Strategies Inventory. T-test were used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appraisal and coping after telephone counseling. 2)when the effects of telephone counseling were compared separately for spouse and child caregivers, spouse caregivers under the telephone counseling utilized problem focused coping more often than the comparison group at the post-test. However, telephone counseling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n appraisal and coping for child caregivers. The study partially supported the effects of the problem-solving telephone counseling to improve the coping strategies, and these finding suggest the need for screening most vulnerable subgroups of caregivers first and then applying adequate and effective interventions for the subgroups.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해결식 전화상담이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간호제공자의 간호제공상황평가와 대처기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2002년 1월부터 10월까지 P시에 거주하며 치매노인을 돌보고 있는 가족간호제공자를 무작위 추출하여(실험군 21명, 대조군 32명), 12주간의 문제해결식 전화상담을 실시한 후 집단간의 간호제공상황평가와 대처기전의 변화를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문제해결식 전화상담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간호제공상황평가와 대처기전에 대한 점수변화에서 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문제해결식 전화 상담은 자녀간호제공자의 간호제공 상황평가와 대처기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배우자간호제공자의 경우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문제중심적 대처기전을 전화상담중재 후 유의하게 높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간호제공자를 위한 문제해결식 전화상담은 활용자원이 제한되어 있고 취약한 특성을 가진 가족간호제공자에게 더 효과적일 수 있으며 간호중재의 모색에서 그 적용대상자의 특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가족관계 유형별 치매노인 가족의 간호제공 상황평가, 소진 및 대처유형

        김주성(Kim, Ju-Sung),이해정(Lee, Hae-Jung),김기련(Kim, Ki-Ryeon)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4

        목적 : 치매노인 가족간호제공자의 가족관계유형에 따른 간호제공 상황평가, 소진경험 및 대처유형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 2002년 1월부터 6월까지 B시 15개 보건소와 7개 복지관, 1개의 대학병원 신경과에 등록되어 있는 치매노인들 돌보는 가족간호제공자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67명을 대상으로 직접 면담을 통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 :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간호제공자의 간호 제공 상항에 대해 스트레스 상황으로 평가하는 경향은 며느리군에서 가장 높았고 성인자녀 군에서는 가장 낮은 경향이 있어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F=3.52, p=.04) 간호제공과 관련한 소진경험에 대해서는 배우자 군이 가장 높은 수준의 '정서적 고갈'을 보고하였으며 다음으로 며느리군, 성인자녀군순으로 나타났다(F=9.89, p=.00) 대처유형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대처전략인 '인지적 재구성적 대처'와 '문제중심적 대처'를 며느리 군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반면에 배우자 관에서 가장 적게 활용함으로써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36, p=.04 ; F=508, p=01) 결론 : 가족간호제공자의 간호수혜자와의 가족관계 유형에 따라 간호제공상황에서 경험하는 소진정도와 활용하는 대처전략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가족간호제공자를 위한 간호중재의 모색에서는 환자와의 관계를 우선적으로 파악해야하며 특히 배우자간호제공자의 정서적 고갈을 낮추고 긍정적인 대처전략의 활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Purpose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ppraisal, coping, and burnout according to the types of relationship with the care-recipient among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Method :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ith random sample was used. Sixty-seven family caregiv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pouses, adult childrens, daughters-in-law). Measures were included appraisal of caregiving scale, coping strategies inventory, and maslach burnout inventory. ANOVAs were used to identify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Results :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in subscales in caregiving appraisal and in ;turnout. Daughter-in-law group reported the highest general stress caregiving appraisal and adult children group reported the lowest (F=3.52, p=.04). Spouse group reported the highest emotional exhaustion and children group reported the lowest emotional exhaustion (F=9.89, p=.00). For the coping strategies, daughter-in-law group utilized cognitive reconstructioning and problem focused coping strategies more often than spouse and adult children groups (F=3.36, p=.04 ; F=5.08, p=01).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pecial attention is needed for spouse caregivers because the impact of emotional exhaustion could be interrupt the using of effective coping strategies of spouse. Specialized nursing intervention considering specific types of family relationship to the care-recipient could be helpful to promote their coping strategies in caregiving situa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