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일(韓中日)대중문화에 나타난 사오정(沙悟淨) 이미지의 특징

        송정화 중국어문학회 2010 中國語文學誌 Vol.34 No.-

        本文對韓國、中國、日本現代大衆文化中出現的沙悟淨形象進行了分析. 沙悟淨原本被認爲是《西游記》的人物中缺乏鮮明個性的人物. 與孫悟空、猪八戒相比, 在小說中出現的比例也少, 也不會絢爛的法術和本領. 這種沙悟淨的原型在中國現代大衆文化中被原原本本地接納. 沙悟淨具有高大的身軀, 凶巴巴的大叔的外形, 발頸上戴著고?項련, 手持月牙산. 他注重義氣병起到輔助師徒的作用. 卽, 在中國的大衆文化中, 沙悟淨的形象未發生太大的變化. 筆者認爲這與中國作爲《西游記》的産地, 傳承和保存古典的自豪感存在密切的關係. 然而大家會發現同一個沙悟淨在韓國和日本的現代大衆文化中却是完全不同的形象. 在韓國, 借助1990年代播放的動畵片《幻想西游記(날아라, 슈퍼보드)》的爆發性人氣, 其中出現的沙悟淨也得到了大衆的廣泛喜愛. 在《幻想西游記》中沙悟淨被刻畵成因他所戴的綠色的帽子蓋過了耳타而聽錯對方的話從而答非所問的고笑人物. 此外, 借助動畵片的人氣, 沙悟淨還單獨成爲《沙悟淨系列》고笑故事的素材, 在1990年代後期受到了大衆的熱烈歡迎. 當時的韓國大衆在談論新奇고怪的沙悟淨고笑故事, 從中能구暫時擺脫當時煩悶的現實, 得到慰藉. 而在日本大衆文化中的沙悟淨被描述成與中國、韓國不同的獨特的河童形象. 親水性、食人屬性及妖怪等共同點成爲日本將沙悟淨河童化的契機. 在當今日本大衆文化中, 沙悟淨大部分被描述成河童, 經常使日本人産生沙悟淨卽是河童的誤會. 影像物對大衆的影響力超乎想象. 通過日本制作的電視劇《西游記》了解到《西游記》的大衆會産生這樣的誤會也無可厚非. 這種情形令人感到在現代大衆文化中有必要병行對原著的正確理解. 當今世界各國不惜對알掘참新的故事素材提供國家層次的積極的支援. 卽便不是産自本國的故事, 只要存在利用價値, 就會超越國境去接納병進行新的創作, 實現商品化. 這種文化內容事業也是與國家經濟利益直接關聯的實用性産業. 特別是這些文化內容是經曆悠長歲月給人帶來感動的經驗證的故事, 卽各國的神話、傳說、小說等古典文學作品頗多. 因爲將多數人熟悉的古典進行現代化, 更容易接近大衆, 還能擔保成功. 因此, 在現如今世界各國對超越國境알掘有趣的古典文學作品병進行現代化改編, 進行許多投資. 而這種文化內容産業是超越國境的産業, 在采用其他國家的故事素材進行創作的過程中迫切需要相互之間的理解. 因爲缺乏對原典的深刻理解而制作出的商品容易背負歪曲古典的壞名聲. 爲了正確理解世界各國的大衆文化産品, 應該先深刻地理解該國家所固有的文化. 全世界共享故事素材的時代現已來臨, 今後在改編故事素材進行商品化時更加需要對古典原著的理解. 因此筆者認爲該作業是需要能구讀憧原著, 병能從文化角度對大衆文化進行分析批評的古典文學硏究者將要承擔的領域.

      • KCI등재

        한국불교의 포교 저변 확대를 위한 대중가요의 활용 - 계율적 관점에서 트로트를 중심으로 -

        한성열 ( Han Sung-yul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4

        본 연구는 불법 포교 저변 확대의 일환으로, 대중가요를 활용한 포교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고자 작성되었다. 불교가 전래된 1600년 동안 한반도에서 불교문화라 함은 전통의 문화로 인식될 만큼 일반 대중의 삶에 깊숙이 연결되어 있었다. 이는 문화재청에 등록된 문화재 가운데 절반 이상이 불교 문화재인 것을 보아도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하지만 작금의 불교는 대중이 공감하지 못하는 전통을 고수하며, 독자적 행보를 이어가니 이는 대중의 문화를 이루지 못하고 공감의 문화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21세기 불교 종교 인구 감소라는 수치와도 무관하지 않다. 이에 불교의 발전과 홍포를 위하여 좀 더 현실적이고 대중성 있는 포교방안을 제시하며, 접근성이 쉬운 대중가요, 그 가운데서도 2020년 문화 트랜드로 자리 잡은 트로트를 활용한 포교방안을 제시하는 바이다. 본고에서는 대중문화를 활용한 포교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역사적으로 문화를 창출하던 전래 초기의 사례와 가요를 통한 전파를 연구하였고, 대중가요를 활용한 포교가 교리에 위배성은 없는지 점검하기 위해 율장을 열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트로트를 활용한 포교는 불교가 지니는 기존의 정적인 이미지를 희석하여 대중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었으며, 대승불교의 계율관에 입각하여 대중가요를 활용한 포교 방편이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중문화를 활용한 포교 전략은 일개 개인의 노력으로는 한계를 지니는바, 종단 차원의 적극적이고 전문적인 포교 방향성 제시라는 과제를 남기기도 했다.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proselyting people by using popular songs as part of expanding the base of the propagation of Buddhism. During the 1,600-year period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Buddhist culture was deeply connected to the lives of the general public enough to be recognized as a traditional culture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is an undeniable reality that more than 30% of the cultural properties registered with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re Buddhist cultural assets. However, as the current Buddhism continues its independent movement by adhering to the tradition that the public cannot relate to, it would not be able to achieve popular culture for the public, not to mention forming a culture of empathy. As a result, Buddhism has resulted in a declining figure in the religious population, overlapped with the troubling times in the 21st century.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and the publicity of Buddhism, the study presents a more realistic and popular missionary plan using trot music which has become a cultural trend in 2020.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selytism using popular culture, the study explored the early examples and their effectiveness of spreading through popular songs in the early stage of the propagation of Buddhism that created historic culture. The readings and analyses of Vinaya Pitaka were performed to find out whether the missionary use of popular songs is against the religious doctrines of Buddhism. I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proselytizing method using trot music in which the current static images of Buddhism can be diluted to increase public accessibility was established. Likewis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selytizing method using popular songs based on the precepts of Mahayana Buddhism is unproblematic. However, this type of missionary strategy employing popular culture has limitations it if is based on individual efforts, so it leaves the religious orders of Buddhism to present an active and professional missionary direction of proselytism.

      • KCI등재

        중국 대중문화 속 마오쩌둥(毛澤東) 이미지의 변용 - 차용을 통한 재맥락화를 중심으로 -

        배현진 한국동양예술학회 2018 동양예술 Vol.40 No.-

        1980년대 이후, 중국의 시장경제체제는 점차 일정한 성과를 얻었고 1990년대 이후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더욱 더 세계화와 다원화 구조를 가속화시켰다. 이러한 ‘글로벌 환경’ 속에서 중국의 대중소비문화는 이전의 절대적, 강제적 성격의 문화를 대체하여 중국 사회를 주도하는 문화가 되었다. 1990년대 확산된 대중소비문화와 마오쩌둥(毛澤東, 1893-1976) 열풍인 ‘마오열(毛熱)’은 중국 사회를 지배하는 중요한 문화 부호가 되었고, 사람들은 자유로운 경제구조 안에서 개인주의와 향락주의를 실현하였다. 즉, 중국의 대중소비문화는 문화의 새로운 방향과 가치를 제공하였으며 이때 마오쩌둥 이미지는 반성과 회의, 비판과 풍자적 의미를 가지며 차용과 조합을 통해 재맥락화와 이중부호적 전략으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중국 사회는 집단의 이익보다 개인의 이익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마오쩌둥 이미지는 이미 과거의 지나간 역사가 되어 직접적으로 대중소비문화의 표층적 이미지로 형상화하였다. 이에 따라 현대미술에서 마오쩌둥 이미지가 어떻게 소비, 재현, 변화하였는지 연구하여 과거와 현대 회화 작품 속 마오쩌둥 이미지의 변용에 따른 중국의 문화정체성에 관해 이해하고자 한다. 1980年代以后的中國市場經濟體制逐漸成了一定的成績, 進入1990年代, 網絡的發展將加快全球化和多元化現象, 這樣的‘全球環境’之中, 中國社會和文化系統跟之前的絶對性質的文化不同, 取代了中國的大衆消費文化。 1990年代, 大衆消費文化和‘毛熱’成爲了中國社會的重要文化符號, 人們在自由經濟結構中, 實現了享樂主義個人主義。也就是說, 中國的大衆消費文化提供了文化的新方向和价値。此時, 毛澤東形象含有了反省和會議、批評和讽刺意義, 又是其意味已經通過借用的方式轉成了再組織化, 雙重符號。 因此, 中國社會更關注了個人的利益比集體的利益, 毛澤東形象已經成爲了過去的歷史, 直接塑造了大衆消費文化的表層人物形象。由此在中國現代美術上把毛澤東形象如何再現、消費、變化硏究, 根据過去和現代绘畵作品中的毛澤東形象帶來的變化, 理解中國的文化特性與身分。

      • 통일예술론과 대중문화비평을 위한 시론

        안연희 통일사상학회 2017 통일사상연구 Vol.12 No.-

        이 글은 대중문화의 시대 문화수용자의 비평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통일 예술론의 구조 속에서 ‘비평’(criticism)의 자리를 확립하고, 통일예술론을 토대로 대중문화비평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관점을 검토하였다. 통일예술론이 지향하는 새로운 심정문화창조를 위해서도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대중문화의 흐름, 대중문화 시스템과 사회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성찰, 즉 비평적 관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통일예술론은 예술활동을 창작과 감상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창작을 전체목적 을 추구하는 가치실현욕에 의해 가치(미)를 실현하여 기쁨과 유익을 주고자 하 는 행위로, 감상을 대상인 작품에서 가치(미)를 추구하고 발견하고 행위로 설명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구도에서 감상활동으로 언급된 ‘부가창조’에 주목하고, 비평을 이러한 적극적이고 창조적인 감상으로 볼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와 같 은 비평의 자리는 문화 수용자의 능동성이 증대된 현대 대중문화의 흐름에서 통 일예술론에 근거한 대중문화비평의 열린 지평이라 할 수 있다. 통일예술론에 입각한 대중문화비평은 현대문화의 퇴폐화, 저속화와 물질주의 풍조를 비판할 뿐 아니라, 창조본연의 기쁨을 자극하는 심정예술의 창조를 위해 새로운 문화기술과 미디어의 감각적, 수평적, 대중적, 쌍방적 소통의 기능을 창조 본연의 선한 용도로 회복시키고 비판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대중문화론을 구축 하는 것이 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비평은 지정의의 완전한 조화로서의 미를 추 구하는 예술의 본래적 지향을 끊임없이 상기시킴으로써, 단지 예술을 위한 예술 지상주의적 예술, 문화지상주의적 문화 개념을 넘어, 이론과 실천윤리적 지평을 아우르며 예술과 삶의 통일성을 지향하는 작업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ole and meanings of popular culture criticism from the views of unification theory of ar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our critical competence in the era of popular culture. To create a new Shimjeong(heart) Culture which the unification theory of art aims for, it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the trends of popular culture, and cultural systems critically. That is, a critical viewpoint is needed. According to the unification theory of art, human artistic activities are divided into creation and appreciation. The former is an act of creation of beauty giving delights and benefits for the entire purpose, and the latter is an act of seeking and discovering values(beauty) in works of art by the individual purpose. This thesis focuses on “additional creation” of appreciation activity in this framework, suggesting such an active and creative appreciation as a ‘culture criticism’. In particular, securing a place of criticism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fication theory of art will be a good starting point for popular culture criticism to more active cultural consumers or creative culture agents. Popular culture criticism from the unification theory of art have a critical viewpoint on decadent and vulgar modern popular culture and its materialism. Furthermore, It should establish a popular cultural theory that will be able to use and enjoy new culture technologies and medias capable of horizontal, democratic,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critically, and restore them into original good use for the creation of Shimjeong art stimulating original joy of creative nature. Such criticism also recalls the original direction of art pursuing ‘beauty’ as a complete harmony of intellect, affection, and will, constantly. Therefore, it can be a work that seeks for the unity of art and life, beyond the concept of art for art’s sake, culture for culture’s sake, encompassing practical and ethical horizons as well as theoretical horizons.

      • KCI등재

        음악경연프로그램의 다양화 과정을 통한 대중문화 활성화 방안 연구

        김강모,이우창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7

        The popular culture reflects the situation of the era at the time. Because of this, the growth and the development into a culture in the direction desired by the public and into a culture that is beneficial to the public are required. By analyzing the influences of the music competition programs on the diversification of the popular music, this research sought after a plan for invigorating the popular culture. Firstly, the organization of a program is demanded. Secondly,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can heal the agonies of the era and the pains of the public must be possessed. Thirdly, the planning intention of the music competition programs that positively transforms the society is demanded. Fourthly, the country and the society must not be thrifty with the policy considerations regarding the popular culture. This research presented a plan for the existing music competition programs to contribute to the invigoration of the popular culture. Except, the case examples of the advanced countries in terms of the popular culture were not sufficiently examined. And, there is the limitation that a plan for the invigoration of the popular culture was considered in only the single genre of popular music. 대중문화는 비문화성, 상업주의, 하위문화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시대 상황을 반영하고, 문화를 소비하는 대중들의 소비패턴을 보여준다. 때문에 대중에게 폭넓은 영향을 미치는 대중문화의 활성화를 통해 대중이 원하는 방향으로의 문화, 대중에게 유익한 문화로의 성장과 발전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음악경연프로그램이 대중음악 다변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대중문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음악경연프로그램이 대중음악을 통해서 대중문화의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첫째, 방송국 기획 의도 또는 가수, 기획사 등 주류 중심의 음악경연프로그램보다는 다수의 대중이 참여하고 소통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이 요구된다. 둘째, 참여자의 집중과 시청자에게 극적인 흥미 유발을 위해 서바이벌 형태의 음악경연프로그램이 경쟁적 요소를 주된 도구로 사용하더라도 시대적인 고뇌와 대중의 아픔을 치유할 수 있는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셋째, 상업적인 고려, 정치적인 판단보다는 사회적 화합, 세대 간 공유 등 사회를 긍정적으로 변모시키는 음악경연프로그램의 기획 의도가 요구된다. 넷째, 국가와 사회는 대중문화를 저속한 하위문화라는 선입관에서 벗어나 대중에게 폭넓은 영향을 미치는 대중문화에 대한 정책적 배려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본 연구는 과도한 경쟁의식을 유발하고 방송국 중심의 상업적인 의도에 의해서 기획되어졌다는 비판을 많이 받고 있는 기존의 음악경연프로그램이 대중음악의 다변화를 통해 대중문화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만 본 연구가 국내 음악경연프로그램만을 제한적으로 분석하여 대중문화 선진국의 사례를 충분히 검토하지 못했고, 대중문화 활성화 방안을 대중음악 단일 장르에서만 고찰한 한계점이 있다.

      • KCI등재후보

        기독교 대중음악과 종교교육

        孫元暎 韓國宗敎敎育學會 2003 宗敎敎育學硏究 Vol.17 No.-

        최근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기독교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특히 CCM으로 불려지는 기독교대중음악은 교회에서 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라이브공연장에서 사랑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 글은 CCM문화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통해 새로운 종교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세가지의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된다. 첫째, 대중문화로서 기독교대중음악은 어떻게 정의되고 또 분류될 수 있는가? 둘째, 문화란 의미를 만드는 실천이라고 할 때, 기독교문화적 실천으로서의 기독교대중음악은 신학적으로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까? 셋째, 앞의 논의를 통해, 향후 종교교육의 방향은 무엇인가? 이상의 탐구주제를 통해, 연구자는 기독교 종교교육이 기독교적 문화교육으로 재개념화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하고, CCM이 문화적 실천으로써 적어도 해방적 실천, 해석학적 실천, 그리고 영성적 실천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빠른 시일 내에 기독교문화를 실천할 수 있는 종교교육과정 개발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s the popular culture which is focused on "Contemporary Christian Music"(CCM), and to explore some possibilities for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For more details, this paper follows three issues about CCM which are in debates. First of all, the researcher tries to clarify the definitions of popular culture as well as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in terms of what culture means by "signifying practices." Based on such definitions of popular culture, CCM w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models: worship and praise model, communio sanctorum model, and neighborhood mission model. Secondly, this paper argues that CCM could be theologically interpreted by three-folded theological praxes, i.e., liberating praxis, hermeneutical praxis, and spiritual praxis. Thirdly, following the above results, researcher tries to reconstruct the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Thus, this paper suggests to re-conceptualize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as "Christian cultural education" rather than evangelization in postmodern cultural society, and to develop the new religious curriculum based on Christian popular cultures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대중문화와 헤게모니

        이찬훈 새한철학회 1998 哲學論叢 Vol.15 No.-

        현대 대중문화를 다루는 여러 가지 문화이론 중에서 헤게모니론이 유력한 이론틀 중의 하나이다. 헤게모니론은 대중화 지배와 저항의 힘들이 얽혀 있는 협상과 투쟁의 장으로 파악함으로써, 복합적이고 모순적인 성격의 대중문화를 다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유연한 문화이론을 제공해 준다. 그리고 이러한 헤게모니론적 문화이론은 대중문화 속에서 복잡하게 얽혀 있는 복합적인 헤게모니들의 지형을 밝혀내고 어떻게 하면 이를 보다 인간적이고 민주적이머 해방적인 헤게모니가 관철되는 방향으로 접합해 나갈 수 있는가를 탐색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런데 최근의 대중문화 연구 진영에서는 점차 헤게모니론의 균형잡힌 시각으로부터 벗어나 문화영역의 자율성을 강조하고 지배 헤게모니로부터 벗어나는 대중들의 능동적인 문화적 실천이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들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의 문화 연구들은 대중문화 수용자들의 능동적인 문화소비활동에 주목하면서, 그것들이 어떻게 지배적인 헤게모니로부터 벗어나 그들 나름의 해방적 의미를 생산하면서 자신들의 욕망을 충족시켜 쾌락과 힘을 획득해 나가는가를 탐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 선 대중문화 연구들은 자연히 대중들의 이러한 능동적인 실천에 의해 만들어지는 현대 대중문화의 모습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낙관적인 견해를 표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대중주의적인 문화연구들은 대중들이 문화 소비과정에서 행하는 문화적 실천의 능동성과 창조성을 과도하게 강조한 나머지 대중문화의 생산과 교환, 그리고 소비는 물론이고 대중문화 산물들의 내용과 성격도 규정하는 정치경제학적인 힘이나 계급간의 권력 관계, 그리고 지배적인 헤게모니의 영향력 등을 무시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것은 결국 오늘날 대중화가 처해 있는 복합적인 헤게모니적 지형을 읽어 내는 데 실패하고, 현대 대중문화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평가하면서 보다 나은 대중문화의 지평을 개척해 나가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지 못한 채, 대중들에게 영합하여 현재 횡행하고 있는 대중문화의 모습을 무분별하게 찬양만 하는 체제 옹호적이고 보수주의적인 입장으로 떨어지고 만다. 그러나 오늘날의 사회체제는 여전히 자본의 지배 헤게모니가 관철되고 있는 신자유주의 체제이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사회에서도 대부분의 대중문화 산물들의 문화적 의미들은 물질적이고 상징적인 수단들을 통제하고 있는 지배블록을 위한 새로운 권력형태들을 만들어 내는 데 도움이 되도록 창조되고 유포된다. 그 때문에 오늘날 지배 권력의 헤게모니는 우리의 일상적인 문화 공간 구석구석에 파고들어 있다. 자본을 중심으로 하는 오늘날의 지배블록은 대중들로 하여금 패키지화되고 스타일화된 문화상품들을 끊임없이 구매하고 소비하는 데에서 감각적 만족을 얻고 자기욕구를 충족해 나가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이것은 결국 개인의 자기추구와 감각적 만족의 통제된 해방을 통해서 대중의 수동적인 소비와 사회적 의존성, 문화적 종속을 조장한다. 그러므로 오늘날 진정으로 저항적이고 해방적인 문화적 실천은 소비적인 삶의 양식 자체에 저항하여, 문화상품의 소비가 아니라 작은 것이라도 무언가를 창조하고 생산해 내는 데서 기쁨과 의미를 찾는 일, 그리고 이와 아울러 이용 가능한 자원들을 이용해 대안적인 문화 형식들을 생산하고 교환하는 일이 될 것이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문화적 실천은 지배적 헤게모니를 확산시키는 문화상품들을 생산하고 유포하며, 소비적인 삶의 양식을 부추기는 거시적인 정치경제적인 지배구조를 변혁하고자 하는 사회직 실천과 결합되어야만 한다. 올바른 대중문화의 창출은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 독해와 대안적인 대중문화를 생산하기 위한 노력, 그리고 문화의 생산, 교환, 소비를 규정하는 거시적인 사회구조의 올바른 변혁을 통해서만 가능할 것이다. Among the cultural theories of modern popular cultur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eory is the hegemony theory. Hegemony theory provides a flexible cultural theory which can grasp contradictory and complex character of popular culture in which the power of control and resistance are intermingled. It helps us to understand complex hegemony configuration in popular culture and to articulate the hegemony in the direction to humanistic and democratic liberation. However in current developments of cultural studies, an uncritical poulist drift appears. It emphasizes the autonomy of cultural sphere and uncritically endorse the active role of the popular audience. These theories emphasize audience activity which produce popular pleasures and meanings those liberate them from the control of dominative hegemony. But this cultural populism too emphasizes the creative audience activity in consuming process to forget the power of political economy, power relation between classes, and influential power of dominative hegemony those which determinate the character of popular culture. But for that reason, it fails to understand complex hegemony configuration today and falls into the populism that uncritically approve popular taste and pleasure. But hegemony of capital dominates contemporary society as before. Therefore ultimately cultural products are created to produce new forms of power for those who control the material and symbolic means of producing and consuming cultural meanings. The ruling bloc in contemporary society seduce individuals to realize their desires in consuming mass produced material and symbolic cultural commodities. And through the controlled emancipation of personal self-seeking and sensual fulfillment, the passive consumption, social dependence, and cultural submission of people are increased. Therefore authentically oppositional and liberative cultural practices are to seek the way of life that attains pleasure and meaning to create and produce something good for life and to create alternative forms of popular culture. And these cultural practices must be combined with social practices those which transform the structure of contemporary political economy and dominative hegemony configuration that urge consuming passions of people.

      • KCI등재

        대중문화의 시각문화교육적 이해와 접근

        연혜경(Yeon, Hye 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3

        대중문화는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핵심어로서 대중매체에 의해서 대량생산, 유통, 소비되는 현대의 문화적 환경이다. 대중문화는 우리의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스며들어있어 우리의 정서와 사고, 행위 양식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대중문화의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시각문화 교육에서의 대중문화 교육을 미술교육의 전환적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정체성이 형성되는 시기에 있는 청소년에게 대중문화는 정서적 교감으로 생활의 변화를 주는 오락거리인 동신에 자신을 돌아보고 또래와 관계를 형성하고 자신을 표현하는 매개체이다. 시각문화교육에서 대중문화 교육의 목적은 청소년이 대중문화의 수동적 소비자가 능동적 의미 해석자가 됨으로서 자신의 삶에서 주체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이론탐색으로서 연구자는 대중문화의 특성과 이해를 학습자로서 청소년과 미적체험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래서 청소년은 대중문화의 능동적 의미해석자로 제시하고 대중문화의 미적체험은 일상적 삶의 예술화라는 듀이의 관점과 정서적 체험으로서 소비행위와 놀이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시각문화교육으로서 대중문화 교육의 방향과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Popular culture is the mass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the art of the mass through the popular media, and is a key to understanding the modern society. It permeates through our everyday lives, governing our thoughts, emotions, and behavior. This study, by focusing on these factors of popular culture, aims to discuss a revolutionary approach in art education through popular culture education. To adolescents during their phase of self-identity development, popular culture serves both as a means of entertainment that brings about transformation through emotional interaction and a channel to develop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o reflect upon and express self. The direction that popular culture education should take from the standpoint of visual culture education is to assist adolescents to make the transformation from a passive consumer of popular culture to an active interpreter of the implication of popular culture. In a theoretical search to this end, this study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culture as replicable, everyday, commercial, and emotional experience and provides the understanding of popular culture from a critical, receptive, and cultural research standpoint. The study also explores the prospect of adolescents as an active interpreter of popular culture from the art education perspective by observing consumer behavior and entertainment activities,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popular culture education in visual culture education.

      • KCI등재

        한국 힙합 음악 장르의 형성을 통해 본 대중문화의 세계화와 토착화

        이규탁(Lee Gyu-Ta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6 No.-

        80년대 후반 이후 급속도로 진행된 자본주의 경제 체제의 전 세계적 확장, 그리고 그와 함께 이루어진 다국적 미디어 기업의 지배력 확대는 각종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전 및 광범위한 보급과 더불어 ‘대중문화의 세계화(globalization of popular culture)’의 속도와 범위를 크게 확장시켰다. 이러한 대중문화의 세계화는 전 세계의 대중문화가 각자의 개성을 잃고 서구(미국) 대중문화에 의해 동질화(homogenization)되어 버린다는 우려를 낳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오히려 고유의 지역문화가 전 지구적 대중문화와 만나 각종 혼종화(hybridization)의 양상을 드러내며 대중문화의 다양화에 밑거름이 된다는 긍정적인 관점 역시 큰 지지를 얻고 있다. 대중음악은 많은 대중문화 분야 가운데에서도 이러한 대중문화의 세계화에 따른 동질화와 혼종화의 모습이 가장 가시적이고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대중음악 장르의 형성 자체가 여러 문화 요소의 변종화 혼합을 통해 이루어진 것임과 아울러, 다른 문화 장르에 비해 비교적 이질감이 적고 접근이 용이한 장르이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최근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힙합(hip-hop) 음악은 그 장르적 특성상 세계화가 빠르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르이다. 한국의 창작자와 수용자들 역시 힙합 특유의 이러한 장르적 특성에 의해 힙합 음악을 수용하게 되었지만, 우리나라의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 의해 본래 그것이 가지는 계급적이고 인종적인 색채와는 반대로 ‘중산층 청소년들의 음악’이자 ‘세계화의 척도’를 나타내는 하나의 징표로 음악의 특성을 바꾸어 버렸다. 이러한 국내의 힙합 음악 수용 양상은 대중문화의 세계화 과정에서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대중음악의 동질화와 혼종화의 모습을 잘 드러내는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late 1980s, when globalization of late capitalism,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expansion transnational media corporations’ domination in global media markets has been deepened, the speed and the range of globalization of culture also has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some scholars have worried that global popular culture(mostly from America and the Western Europe) would make local culture lose its specialties and make them homogenized one, others have argued that when local meets global, hybridization would happen which makes both local and global culture more diverse than before. Popular music is the most significant field of popular culture which shows the aspect of homogenization and hybridization by globalization of culture, because the very aspect of popular music genre itself is ‘cross-over’ and ‘hybrid’, and popular music is easier to be accepted than other fields of popular culture even with cultural differences. Among others, hip-hop, one of the most popular genres in the world recently, has several characteristics which make it quick and easy to be globalized. Korean creators and audiences also accepted American hip-hop thanks to these characteristics. But contrary to American hip-hop producers and consumers, they have changed hip-hop into ‘the music of middle and upper-middle class youths’ and ‘the symbol of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due to their own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merican hip-hop’s class and racial nature. Korean hip-hop, therefore, shows the ambivalence of globalization of culture that homogenization and hybridization happens simultaneously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 KCI등재

        문화산업과 저널리즘의 탈근대적 대중미학의 발견

        김우필(Kim U-Pil)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0

        문화산업과 미디어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치적ㆍ윤리적 차원에서 미학과 저널리즘의 문제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근대 산업사회 이후로 노동은 산업(경제)의 영역이고, 유희는 문화(예술)의 영역이었다. 그런데 20세기 초 문화산업의 등장과 함께 노동과 유희의 경계가 해체되기 시작했다.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벤야민은 이 문제를 상품의 미학으로서 문화산업, 임화는 기술과 예술의 자기동일성 추구로서 미디어산업(저널리즘)의 문제로 보았다. 그리고 20세기 초 예술작품은 복제기술을 통해 대량으로 복제되면서 일반 대중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상품이 되었다. 문화산업은 누구나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대중문화를 만들어낸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문화산업과 대중문화는 20세기 파시즘 등장의 촉매제 역할을 했다. 대량복제 기술은 차이의 문화를 소멸시켰고, 획일화된 문화적 환경을 조성하여 선전ㆍ선동의 대중조작 정치인 정치의 심미화를 불러 일으켰다. 한편 미디어 기술의 발달은 저널리즘의 대중화를 이끌었고, 문화산업은 그러한 저널리즘을 기반으로 성장하였다. 미디어 저널리즘은 점차 대중의 정치적 욕구와 밀접해지면서 문화예술 영역의 주요 기제로 작동하게 되었다. 임화는 식민지 말기 저널리즘, 문화운동, 비평의 윤리 문제에 천착했다. 특히 그는 잡지와 신문의 비평행위가 문화예술에 대한 단순한 해석행위가 아니라 정치행위가 될 것을 요구했다. 이러한 문화운동으로서 저널리즘이 문화산업을 이끌지 않는다면 대중문화는 파시즘과 결합할 수 있음을 경고했다. 파시즘 시대의 한 복판에 서 있었던 임화는 소설로 대변되는 상업적인 문화예술 상품화와 상업자본에 점점 종속되기 시작한 미디어를 문화산업 자본주의로 단정하기보다 근대 시민사회 문화운동의 토대이자 환경으로 인식하였다. 나아가 문화산업과 미디어 저널리즘에서 근대적ㆍ민주적 시민사회를 구축할 미적 근대성의 기제를 발견하였다. 임화는 문화산업과 미디어 저널리즘이 대중문화와 대중예술의 새로운 미의식을 만들어 낼 가능성을 보았다. 따라서 문화산업이 대량으로 복제한 예술상품을 획일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대중 스스로가 예술상품 창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만들 때 문화산업은 문화예술의 양적ㆍ질적 발달을 이끄는 탈근대적 대중미학의 산업형태가 될 것이다. It is necessary to access on aesthetics and journalism for understand the essence of cultural industry and media in the political and ethical level. After modern industrial society, a labor belongs to the economy and a play belongs to the Art. However the boundary between labor and play began into break when cultural industry appeared. M. Horkheimer, T. W. Adorno and Walter Benjamin recognized this problem to be cultural industry as aesthetics of commodity, Imwha recognized this problem to be journalism as pursuit identity of Art and technology. In the beginning 20th century a work of art was reproduced a large quantity by copy technique and then that was commodity which everybody people could be close easily. But this cultural industry and popular culture took a role to promote the advent of fascism. Meanwhile development of media technique conducted to popularization of journalism, so cultural industry have grew up its roots in such a journalism. Media journalism did more and more close to political desire of the masses, and that became main mechanism of the cultural arts. Imwha did concern himself about journalism, cultural movement, ethical critics. He did agitate that critical action of magazine and newspaper must be political action not simple explain about the cultural arts in particular. Imwha’s idea was that popular culture could combine to fascism in case journalism as cultural movement do not lead cultural industry. In age of fascism, Imwha recognized media to base or condition of cultural movement in modern civil society than cultural industry for capitalism. Furthermore, he did find a mechanism of aesthetic modernity to construct modern and democratic civil society in cultural industry and media journalism. Therefore if a cultural industry make the masses by oneself to take part actively for a creation of art commodity, it will be an alternative industry which conduct a cultural art to development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