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중국에서의 대조언어학의 특징과 발전 추세

        김기석 ( Ji Shi Jin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용봉인문논총 Vol.- No.46

        대조언어학은 두 개 혹은 두 개 이상 언어에 대한 대조 연구를 통해, 언어 지간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밝히는 언어학의 한 분과라고 정의할수 있다. 지금 중국에서의 대조언어학은 언어 교육과 언어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신흥 학과의 하나로 급부상하였다. 특히 외국어교육 연구 분야에서 대조는 가장 중요한 연구 이론과 방법론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학계에서는 아직까지 대조언어학의 성격, 방법론, 연구 목적 등 여러 방면에서 공통된 인식을 갖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선 일부 학자들은 전통적인 대조분석가설(Contrastive Analysis)에 기초한 좁은 의미(狹義)에서의 응용언어학 범주의 대조연구 방향을 견지하고 있고, 일부 학자들은 대조언어학의 대조 방법의 활용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의미(廣義)에서의 연구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전자의 연구는 공시성, 기술성, 차이성, 응용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후자의 연구는 공시성과 통시성, 기술과 해석, 이론언어학과 응용언어학을 아우르는 학제성(interdisciplinarity) 특징을 가지고 있다. 최근의 발전 추세로 보면, 단순히 외국어교육을 위한 협의적 대조 보다 학제성을 강조하는 광의적 대조가 점차 주류를 이루고 있는 상황이다. 광의적 대조에는 또 두 가지 대표적인 연구 경향(取向)이 있는데, 하나는 ‘언어 세계관 경향’이고 다른 하나는 ‘언어유형론 경향’이라고 할수 있다. 전자는 대조언어학을 언어 철학을 기초로 하는 언어 세계관을 탐구하는 학과, 즉 부동한 민족의 개념과 의미 체계, 가치 체계 및 사유방식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규정하고 대조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일반언어학(普通語言學)의 발전을 촉진하고 부동한 문화와 문명의 교류와 이해를 추진’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후자는 언어유형론이 대조언어학(이론대조언어학)에 기본 이론 틀을 제공한다고 하면서 언어에 대한 대조연구를 통해 인류 언어의 공통적 본질(특히 내포된 보편성)을 탐구하는데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추세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대조연구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금후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Contrastive linguistics can be defined as a sub-branch of linguistics that explores universality and discrepancy through contrastive studies of two or more languages. Recently, as an emerging discipline in linguistic studies, contrastive linguistics in China is gaining an increasing significance.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ories and methods that gains unprecedented popularity. However, so far there is no consensus among researchers about fundamental issues such as the nature of language, research methodologies and objectives, …etc. Firstly, some scholars insist on directing at the narrow-sense applied linguistics on a traditional Contrastive Analysis basis; others turn to a broader-sense direction that features the application of comparative methods. The former has features of synchronity, descriptivity, discrepancy and applicability while the latter has interdisciplinary features, combining synchronity and diachronity, descriptivity and explanatoriness, theories and application. In recent trend, compared with the contrastive studies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a narrow sense,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a broader sense has become the mainstream research paradigm. Contrastive research in a broader sense has two orientations. One is called “linguistic outlook orientation”, the other “linguistic typology orientation”. The former defines contrastive linguistics as a discipline that explores linguistic outlook on a philosophical basis, i.e. a discipline that study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different races’ concepts, meaning systems, value systems and ways of thinking. It claims that the ultimate goal i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general linguistics so as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different cultures and civilizations. The latter holds that linguistic typology provides a fundamental theoretical framework for contrastive linguistics (theoretical contrastive linguistics), arguing that contrastive linguistics should contribute to probing into the universality (in particular, the connotative universality) of human languages. Based on generalizing features of contrastive studies in China,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the existing problems in contrastive research and inquiries into its future trend.

      • KCI등재후보

        중국에서의 대조언어학의 특징과 발전 추세

        김기석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용봉인문논총 Vol.- No.46

        Contrastive linguistics can be defined as a sub-branch of linguistics that explores universality and discrepancy through contrastive studies of two or more languages. Recently, as an emerging discipline in linguistic studies, contrastive linguistics in China is gaining an increasing significance.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ories and methods that gains unprecedented popularity. However, so far there is no consensus among researchers about fundamental issues such as the nature of language, research methodologies and objectives, …etc. Firstly, some scholars insist on directing at the narrow-sense applied linguistics on a traditional Contrastive Analysis basis; others turn to a broader-sense direction that features the application of comparative methods. The former has features of synchronity, descriptivity, discrepancy and applicability while the latter has interdisciplinary features, combining synchronity and diachronity, descriptivity and explanatoriness, theories and application. In recent trend, compared with the contrastive studies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a narrow sense,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a broader sense has become the mainstream research paradigm. Contrastive research in a broader sense has two orientations. One is called “linguistic outlook orientation”, the other “linguistic typology orientation”. The former defines contrastive linguistics as a discipline that explores linguistic outlook on a philosophical basis, i.e. a discipline that study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different races’ concepts, meaning systems, value systems and ways of thinking. It claims that the ultimate goal i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general linguistics so as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different cultures and civilizations. The latter holds that linguistic typology provides a fundamental theoretical framework for contrastive linguistics (theoretical contrastive linguistics), arguing that contrastive linguistics should contribute to probing into the universality (in particular, the connotative universality) of human languages. Based on generalizing features of contrastive studies in China,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the existing problems in contrastive research and inquiries into its future trend. 대조언어학은 두 개 혹은 두 개 이상 언어에 대한 대조 연구를 통해, 언어 지간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밝히는 언어학의 한 분과라고 정의할 수 있다. 지금 중국에서의 대조언어학은 언어 교육과 언어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신흥 학과의 하나로 급부상하였다. 특히 외국어교육 연구 분야에서 대조는 가장 중요한 연구 이론과 방법론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학계에서는 아직까지 대조언어학의 성격, 방법론, 연구 목적 등 여러 방면에서 공통된 인식을 갖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선 일부 학자들은 전통적인 대조분석가설(Contrastive Analysis) 에 기초한 좁은 의미(狹義)에서의 응용언어학 범주의 대조연구 방향을 견지하고 있고, 일부 학자들은 대조언어학의 대조 방법의 활용을 특징으로 하는 넓은 의미(廣義)에서의 연구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전자의 연구는 공시성, 기술성, 차이성, 응용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후자의 연구는 공시성과 통시성, 기술과 해석, 이론언어학과 응용언어학을 아우르는 학제성(interdisciplinarity) 특징을 가지고 있다. 최근의 발전 추세로 보면, 단순히 외국어교육을 위한 협의적 대조 보다 학제성을 강조하는 광의적 대조가 점차 주류를 이루고 있는 상황이다. 광의적 대조에는 또 두 가지 대표적인 연구 경향(取向)이 있는데, 하나는 ‘언어 세계관 경향’이고 다른 하나는 ‘언어유형론 경향’ 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자는 대조언어학을 언어 철학을 기초로 하는 언어 세계관을 탐구하는 학과, 즉 부동한 민족의 개념과 의미 체계, 가치 체계 및 사유 방식의 공통성과 차이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규정하고 대조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일반언어학(普通語言學)의 발전을 촉진하고 부동한 문화와 문명의 교류와 이해를 추진’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후자는 언어유형론이 대조언어학(이론대조언어학)에 기본 이론 틀을 제공한다고 하면서 언어에 대한 대조연구를 통해 인류 언어의 공통적 본질(특히 내포된 보편성)을 탐구하는데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추세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대조연구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금후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조한 대조언어학의 현황과 과제 - 《중국조선어문》(1990년-2018년)에 게재된 론문을 중심으로

        김기석(金基石),석수영(昔秀?),사흠염(史欣?)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9 중국조선어문 Vol.222 No.-

        조한 대조언어학은 조선어연구분야의 중요한 구성부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국조선어문》은 창간된 이래 조선어와 타언어의 대조연구 특히 조한 대조언어학의 발전을 위해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 이 글은 1990년부터 2018년에 걸쳐 《중국조선어문》에 게재된 조선어와 한어의 대조연구론문을 중심으로 조한 대조언어학의 현황을 조감하고 대조언어학 특히 조한 대조언어학의 앞으로의 과제를 검토하였다.

      • KCI등재

        Место сопоставительной семантики в ряду дисциплин, изучающих соотношение между различными языками

        Будникова Г.А.(Budnikova G. A.) 한국노어노문학회 2008 노어노문학 Vol.20 No.4

        문화의 글로벌화, 상호작용, 상호유입 등의 문화 간의 교류수단으로써 언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여러 언어들의 비교 연구에 대한 관심이 커진 원인도 여기에 있다. 비교역사 언어학, 비교 형태론, 공통 언어학, 비교 언어학, 대조 언어학 등에서 언어들 간의 상관관계가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들 간의 관계를 연구하고 비교하는 여러 학문 중에서 비교 언어학의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다. 모든 분과학문은 자신의 연구 대상과 과목, 목적, 연구방법, 전문용어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공통의 연구대상, 한 민족의 문화의 일부인 언어와 연구의 공통원칙, 인식의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서의 비교 외에 모든 분과학문에는 특유의 연구과목, 목적, 과제가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아주 오랫동안 동일한 학문으로 간주되어온 비교 언어학과 대조 언어학의 상관관계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연구 결과, 비교 언어학과 대조 언어학은 연구 목적과 과제를 달리 하고 있으므로 서로 다른 언어연구 분야로 정의할 수 있었다. 즉, 비교 언어학의 과제는 연구되는 언어들의 유사성과 차이성을 연구하는 것인 반면, 대조 언어학은 차이점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대조 연구에서는 비교 연구와 달리 연구결과의 향후 비교연구를 각 언어에서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한 언어의 임의의 단위를 타 언어에서 그에 상응하는 것에 대입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대조 언어학이 비교 언어학에서 발생했다는 것 때문에 두 학문은 공통된 연구방법, 공통된 개념과 용어 구조를 갖는다. 기본 연구방법은 단어의 의미는 여러 의미 성분들의 일련의 집합이라는 개념을 기초로 하는 의미성분 분석 방법 (метод компонентного анализа)이다. 이 연구방법을 토대로 여러 단어들의 의미 집합을 비교하면서 유사성 정도에 대한 결과를 낼 수 있다. 즉, 비교 하는 단어들 사이에 불가분의 의미소가 많으면 많을수록 이 단어들은 의미상 더 가깝고 반대로 구별되는 의미소가 많으면 많을수록 이 단어들은 의미적으로 덜 가깝다. 그러므로 의미소 분석 결과 다른 언어들의 비교 요소들의 유사성 정도가 밝혀진다. 본 연구에서는 스테르닌(Стернин)의 다양한 언어들의 어휘단위를 다음과 같이 더 자세히 분류하였다: 일치(선형/백터형), 상이 어휘, lacuna(동기/비동기, 완전한/상대적), 일치와 lacuna의 모든 형식을 러시아어와 한국어 각각의 어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언어들 간의 일치 문제에 대해서는 향후 더 구체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최근 일본에서의 한일대조언어학의 동향

        우메다 히로유키 국어국문학회 2004 국어국문학 Vol.- No.136

        二つ以上の言語の共通點と相違点を硏究する對處言語學は,言語敎育ためにも必要であり,普通文法を發展させるためにも必要である.また,機械 譯の適切な法側を定めるためにも必要である. 日本における日韓對照言語學は,最近著しく成長した.音韻硏究の主な特徵は,第一に,音律的んな面での硏究が目立っており,第二に,知覺的な觀點での硏究が行われており,第三に,實驗音聲學など實證的な方法が用いられている,という點である.また,文法硏究の主な特徵としては,第一に,文法の樣 な現像が多角度で扱われており,第二に,デ-タベ-ス化された大量の資料をもとに行われており,第三に,社會言語學的な硏究だきでなく談話や言語行動に關する硏究などに擴大されている,という點があげられる.

      • KCI등재

        대조분석을 위한 말뭉치의 타당성 연구 -한중 대조분석을 중심으로-

        황은하 이중언어학회 2021 이중언어학 Vol.82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verify the bilingual corpus used in the Korean-Chinese contrastive analysis. To this end, Chapter 2 describes the problems of the corpus construction and corpus used in contrastive linguistics. Chapter 3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kinds of the bilingual corpus - parallel corpus and comparative corpus used in Korean-Chinese contrastive analysis. In Chapter 4,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parallel corpus used in the Korean-Chinese uni-direction contrastive study: the corpora used in five different studies on the Korean particle ‘e(에)’ and ‘eseo(에서)’ and their correspondences in Chinese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corpora used in these five papers were different, and the research results for the study subjects were different, which proved the effect of parallel corpus structure in contrastive studies. Furthermore, we conducted a replica study focusing on the comparative study of Korean-Chinese suffixes. Focusing on the large difference in corpus size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sub-corpora of the comparative corpus, we resized the Korean sub-corpus and conducted a replica study on the suffix. As a result of increasing the Korean corpus siz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y results on the Korean suffix significantly depend on the corpus size. In summary, it is vital to apply strict standards for representativeness, balance, and size in constructing parallel and comparative corpus in contrastive linguistics studies. 이 연구는 대조분석 연구에 사용되고 있는 말뭉치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 말뭉치의 구조가 대조분석 연구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를 사례 연구를 통해 입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대조분석용 말뭉치에 관해 제기되는 문제를 자세히 기술하고 3장에서는 말뭉치 기반 한외 대조분석 연구 중 논의가 가장 활발한 한중 언어쌍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그에 사용된 말뭉치의 구조적 특성을 정리하여 문제점을 짚어 본다. 4장에서는 병렬말뭉치와 비교말뭉치를 나누어 일부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과 재연(replica) 실험을 통해 말뭉치의 구조가 대조분석 연구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해 보였다.

      • KCI등재

        말뭉치 기반 한외(韓外) 대조언어학 연구에 대한 일고찰

        황은하 ( Huang Yinxia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9 No.-

        최근 언어학계는 단일언어의 연구는 물론, 언어간 연구에서도 말뭉치에 대한 관심과 활용 사례가 계속해서 늘고 있다. 그러나 언어간 연구에 필요한 말뭉치가 갖춰야 할 요건이나 연구 방법론에 대한 논의는 아직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조언어학(contrastive linguistics)에 필요한 말뭉치(corpus)의 유형과 개념, 구축 과정, 활용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대조분석 연구의 두 가지 서로 다른 연구 방법론, 즉 단방향 대조분석(또는 대응 연구(correspondence analysis))과 쌍방향 대조분석 방법론을 살펴보고 연구 방법별로 어떤 말뭉치를 필요로 하는지를 논의한다. 다음으로, 서로 다른 두 말뭉치, 즉 병렬말뭉치(parallel corpus)와 비교말뭉치(comparative corpus)의 개념, 대조언어학 연구에 활용될 시 각각의 장점 및 말뭉치의 설계에서 시작해 자료의 선별과 수집, 텍스트의 전산화, 전처리, 문장 정렬 등의 구축 과정 전반에 대해 기술한다. 덧붙여 이 두 가지 말뭉치를 활용한 한국어와 외국어간의 대조분석 연구 현황을 자세히 살펴보고, 문제점을 짚어본다. There have been extensive research interests and applications based on a corpus in both monolingual and cross-linguistic studies.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multilingual corpus design, compilation issues, and its application methods in cross-linguistic research.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present different corpus types and corpus compilation methods for contrastive study, and discuss useful applications of a corpus for contrastive linguistics. To this end, we first compare two research methods: one-way and two-way contrastive analyses. Second, we show that a parallel corpus can be used for one-way contrastive analysis, and a comparable corpus can be used for two-way contrastive analysis. Moreover, we describe the concept and merits of parallel and comparable corpora, as well as their compilation process: corpus design, data collection and computerization, and mark-up. We also give a full briefing of the current state of contrastive study between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using parallel and comparative corpora. Finally, we discuss the remaining problems for corpus applications in contrastive linguistics.

      • KCI등재

        인지언어학 이론을 적용한 연구 동향 분석 - 국어학, 대조언어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분야의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정혜란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3 No.-

        This research focuses on dissertations and analyzes research trends in the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contrastive linguistic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cognitive linguistics theory in the fu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research is proposed. First, a total of 193 dissertations were collected, and their analysis criteria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nnual, research theme, research object and research method. In order to ensure feasibility, the pap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Finally,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cognitive linguistic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have an overall perspective of the coordinates of cognitive linguistics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future, and a qualitative leap in research will be enabled. In addition, the study of trends based on the four criteria in this paper will serve as a meaningful reference for graduate students who are planning their disserta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국어학, 대조언어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분야에서 인지언어학 이론을 적용한 연구의 흐름을 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학 연구에서 인지언어학 이론에 대한 적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선 총 193편의 연구물을 추출하였으며 분석 기준을 연도,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네 가지로 분류하여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고 분류 기준에 따라 연구물에 대하여 질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다음 한국어교육에서 인지언어학을 활용한 연구가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인지언어학의 좌표를 조감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연구의 질적인 도약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본고에서 네 가지 기준으로 동향을 고찰한 것은 향후 한국어교육학 학위논문을 계획하고 있는 대학원생들에게 유의미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 조선어교수에서 언어학지식의 지도적 역할

        정향란(?香?)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7 중국조선어문 Vol.212 No.-

        이 론문은 언어학 지식이 전통언어학, 대조언어학, 응용언어학으로 나눈 조선(한국)어교수중에서의 지도적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어교수중에서 교사의 전공지식과 언어적 소양은 중요한 역할을 일으키게 된다. 교사는 교수활동의 순조로운 진행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학생은 교수활동의 주체인 만큼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주동적으로 지식을 탐구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교수활동의 조직자와 리더인 교사는 자신의 전공지식소양과 종합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힘써야 하며 풍부한 언어학 지식으로 조선어교수의 령활성과 생동감을 강화하여 교수효과를 촉진시켜야 한다.

      • KCI등재

        한국어 · 폴란드어 착용동사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최윤(Choi, Youn),Wojciech Lubinski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6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9

        이 논문에서 우리는 인지언어학적 접근을 통해 한국어와 폴란드어 착용동사 ‘신다’의 원형의미를 살펴보았다. 또한 그 원형의미를 대조언어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여 한국어 사용자와 폴란드어 사용자가 ‘신다’라는 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대조해 보았다. 연구 결과 한국어에서 ‘신다’라는 개념은 ‘발에 꿰다’가 아닌 ‘발에 붙어 있다’라는 의미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폴란드어에서는 ‘신다’ 를 ‘대상 안쪽에 발이 놓여 있다는 의미’로 인식하거나 ‘발의 뒤쪽으로부터 발을 끼워 넣는다는 의미’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행위의 결과는 동일하나 그 행위에 대한 인식은 매우 다르며 특히 스키와 같이 발에 붙어 있는 대상의 경우 인식에 큰 차이를 보였다. In this paper we tried to investigate the basic meaning of dressing verb ‘신다’ (shin-ta) and the meanings of corresponding verbs in Polish in the cognitive linguistic approach. We also tried to analyse what ar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Polish speakers in the perception of verbs related to ‘신다’.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in case of Korean verb ‘신다’ the meaning is closer to ‘be stuck to the leg’ rather than ‘(to be) put on the leg’. In case of Polish verbs the action can be perceived either as ‘put one’s foot into/inside the given object’ or ‘put the given object on foot from behind(their back side)’. The result of the action is the same but the two perceptions of the action are vastly different, particularly in case of skis being fastened to fe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