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영찬 대한민국재향군인회 안보전략연구원 2025 재향군인회 안보전략연구 Vol.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한미의 대북정책과 우리의 대응방안을 살펴보고, 분석을 통하여 실현 가능한 군사적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우리의 대응방안은 공식적, 비공식적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공식적인 것은 정부의 발표나 각종 백서 등의 내용이고, 비공식적인 것은 학자나 연구가들의 주장이며, 실현 가능한 방안은 필자의 의견이다. 또한, 공식적, 비공식적 대응방안은 군사적인 것과 비군사적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연구결과 공식적 군사적 대응방안은 한국형 3축 체계의 능력을 확보하고, 한미의 북한 핵‧미사일 억제 및 대응능력을 강화하며, 확고한 한미 연합방위태세의 구축 등이 있고, 공식적 비군사적 대응방안에는 비핵·평화·번영의 한반도를 위한 담대한 구상, 억제‧단념‧대화의 ‘3D 접근’, 주요국과 긴밀한 소통과 협력. 다자·국제무대에서의 지지 확보 등이 있다. 비공식적 군사적 대응방안에는 선제공격, 자위적 핵무장, 전술핵 재배치, 전술핵무기 100기 지정과 배치의 확약 등이 있고, 비군사적 대응방안에는 대북제재의 강화, 6자회담의 적극 활용 등이 있다. 분석결과 위의 공식적, 비공식적 군사적 대응방안들 모두 북한의 이해관계와 충돌하여 비핵화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실현 가능한 방안인 미국 전술핵무기의 실질적 공유와 중장기적으로 ‘아시아 군사동맹’의 창설 등을 통해 강력한 대응 및 억제능력을 갖춰야 한다. 왜냐하면, 북핵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리도 핵으로 대응해야 하고, 한미동맹 외에 아시아 및 태평양 국가들의 군사동맹을 통한 집단안보 체제로 안보를 보다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정병수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9 경찰학논총 Vol.14 No.2
드론은 제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핵심 기술로써 우리의 일상생활에 깊이 파고들어 풍요로운 사회건설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긍정적인 기회도 제공하지만, 국가 및 국민의 안전을 위태롭게 만드는데 악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드론의 악용가능성에 대한 준비가 매우 부족하며, 그 논의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드론의 악용 가능성 및 부작용과 관련해서 다양한 논점들이 존재하겠지만 이 연구에서는 드론의 악용 가능성 중 특히 드론 테러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이 연구의 목적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드론 테러의 발생 가능성 및 국외의 주요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드론 테러에 대한 효율적 대응방안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ㆍ제도적 측면의 대응방안으로 드론 테러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드론 테러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전환이 시급하고, 드론 테러에 대한 방어체계를구축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효적인 법적 안전장치를 조속히 마련하여 국가중요시설 및 국가기관 등에서 선도적으로 방어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드론 테러의 예방 및 선제적 대응을 위해 전문조직과 전문인력의 확보가 필요한 바, 경찰청과 지방경찰청 내에 전략적 차원의 특화된 전담부대를 신설할 필요성이 있다. 전담부대는 드론 테러의 발생 원인 및 특징, 유형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종합적인 대책을 수립하고, 전문적인 교육 및 훈련을 통해 드론 테러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진압할 수 있는 실무역량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기술적ㆍ물리적 측면의 대응방안으로 안티드론(Anti-Drone) 기술의 활용을제안하였다. 드론을 이용한 테러 및 범죄에 대한 위협 인식이 확산되면서 안티드론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드론을 무력화시키는 안티드론 기술은 다양하며, 안티드론 산업의 성장으로 새로운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드론에 의해 초래되는 다양한 유형의 위협을 확실하고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는 완벽한 안티드론 기술은 없기 때문에 각 기술들은 어떠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어떠한 장ㆍ단점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시설의 규모와 특성, 보안 중요도를 고려했을 때 어떠한 기술을 활용할 것인지 등을 체계적ㆍ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시설의 상황 및 용도에 적합한 안티드론 기술을 적용하여야 한다. 아울러, 기술적ㆍ물리적 측면의 또 다른 대응방안으로 드론 테러 대응을 위한 셉테드(CPTED) 구축을 제안하였다. 국가중요시설, 다중이용시설 등 드론 테러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건물이나 시설물은 셉테드의 구성요소인 자연적 감시,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 활동성 증대, 유지및 관리라는 다섯 가지 전략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건물설계적인 측면에서 드론을이용한 테러에 사전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Drone is a key technology that lead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ovides a positive opportunity to deepen our daily lives and contribute to building a prosperous society, but it may be exploited to jeopardize the national security and the security of people. However, our society is very poorly prepared for the possibility of abuse of Drone, and in fact, it has yet to be properly discussed. There may be a variety of issues regarding the possible exploitability and side effects of the Drone, but this study attempted to focus on the possibility of exploitation of Drone, especially Drone terrorism.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analyze the possibility of drone terrorism and major cases outside the count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propose effective countermeasures for this. Efficient countermeasures against drone terrorism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respond effectively to drone terrorism as a countermeasure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s, it is urgent to change the recognition of the severity of drone terrorism. Specific and effective legal safeguards to establish a defense system against drone terrorism should be prepared as soon as possible, and national defense agencies and n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able to establish leading defense systems. Furthermore, as it is necessary to secure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professional personnel to prevent and preemptively respond to drone terrorism,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pecialized unit in charge of strategic level within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 Local Police Agency. Dedicated units systematically analyze the causes,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drone terrorism, establish comprehensive measures, and improve practical skills to effectively prevent and suppress drone terrorism through profess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econd, this study proposed the use of Anti-Drone technology as a countermeasure for technical and physical aspects. With the spread of threats to terrorism and crime using drones, Anti-Drone has received worldwide attention. There are a variety of Anti- Drone technologies that disable the drone, and with the growth of the Anti-Drone industry, new technologies are constantly being developed. In reality, however, there is no complete Anti-Drone technology that can reliably and accurately remove the various types of threats caused by drones.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factors such as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chnology, what ar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technology, and what technology to use when considering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and security importance should be applied to the Anti-Drone technology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and use of the facility.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an establishment of CPTED for drone terrorism response as another countermeasure in the technical and physical perspectives. It should be possible to preemptively respond to drone-based terrorism in terms of building design, considering the five strategies of CPTED such as natural surveillance, access control, territoriality reinforcement, activity support, and maintenance and management, for buildings or facilities including national important facilities and multi-use facilities that are likely to be attacked by drone terrorism.
대응규칙을 통한 일본한자음 학습방안 :ə·jə 계열을 중심으로
하소정,이경철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0 일본연구 Vol.34 No.-
In this study, we examined 46 Chinese characters contained in the Joyo Kanji Table (2010) corresponding to the /ə/·/jə/ vowels of Sino-Korean. Then we analyzed the correspondences between Sino-Korean and Sino-Japanese. Furthermore, we considered a range of methods to help learners assimilate Sino- Japanese. The conclusions drawn are as follows. (1) There is a 69.23% correspondence between the /jə/ sounds of Sino-Korean and the /jo/ vowel of Sino-Japanese; and there is a 55.81% correspondence between the /ə/ sounds and /jo/.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of ①ə・jə ⇒ jo, and also to realise that the /ə/ sound of Sino-Korean is the form produced by the vowel shortening of /jə/, which is accompanied by the consonants /s (ㅅ),·c (ㅈ),·and ch (ㅊ) / in Sino-Korean. (2) There is a 20.93% correspondence between the /ə/ sounds of Sino-Korean and the /ei/ vowel of Sino-Japanese, and there is a15.38% correspondence between the /jə/ sounds and the /ei/ s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earn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of ②ə·jə ⇒ ei, and to note the /jə/ sound is a form that prevents two syllables being necessary when employed as /jəi/; and /ə/ is a form produced by the vowel shortening of /jə/. (3) There is a 13.95% correspondence between the /ə/ sounds of Sino-Korean and the /o/ vowel of Sino-Japane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earn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of ③ə ⇒ o ; and to note that the /o/ sound constitutes the whole of the syllable Go’on. Our future research will involve continued study of the forms in which Sino-Japanese correspond to other Sino-Korean. vowels Through this work we will continue to present a learn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s on the basis of such correspondences. 본 연구에서는 常用漢字表(2010)에서 [ㅓ]ə·[ㅕ]jə에 해당하는 46字 56音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한·일 한자음 간의 대응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일본한자음의 학습에서 필요한 사항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한국한자음 [ㅕ]jə는 일본한자음 jo(69.23%)와 주된 대응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ㅓ]ə 또한 jo(55.81%)와 주로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①ə·jə ⇒ jo 라는 대응관계를 학습할 필요가 있다. 또한 [ㅓ]ə는 모두 한국어의 [ㅅ·ㅈ·ㅊ]에서 [ㅕ]jə가 單母音化함으로써 나타난 형태라는 사실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2)한국한자음 [ㅓ]ə는 ei(20.93%)와 일부 대응하고 있으며, [ㅕ]jə 또한 일본한자음 ei(15.38%)와 일부 대응관계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②ə·jə ⇒ ei 라는 대응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의 [ㅕ]jə는 [ㅖ]jəi로 수용할 경우 2音節化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태이며, [ㅓ]ə는 [ㅕ]jə에서 單母音化된 형태임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3)한국한자음 [ㅓ]ə는 o(13.95%)와 소수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③ə ⇒ o라는 대응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의 o는 모두 吳音이라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한국한자음의 다른 모음과 대응하는 일본한자음의 字音形에 관해서는 추후의 연구를 통하여 대응규칙을 활용한 학습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준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사이버불링 대응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김명랑(Myounglang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7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사이버불링 대응방안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서울소재 S여대 47명이 작성한 자료를 대상으로 내용분석과 준연결망분석 방법을 통해 사이버불링 대응주체 및 대응방안들 간의 연결망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첫째, 예비교사들은 사이버불링 대응주체를 ‘피해자’, ‘선생님’, ‘담임선생님’ 의 순서로 높게 인식하였고, 대응행동은 ‘증거를 기록한다’, ‘상담한다’, ‘화면을 캡쳐한다’ 등의 순서로 높게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사이버불링 대응시 인지적, 기술적, 개입 전략 3가지를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준연결망분석을 통해 대응주체 연결망을 분석한 결과 대응주체들 간의 상호작용은 낮게 나타났고, 예비교사들은 관련기관과 담임선생님을 주요한 대응주체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행동 연결망의 경우 대응행동 간의 상호작용은 대응주체보다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예비교사들은 ‘도움을 요청한다’와 ‘상담한다’를 주요한 대응행동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사이버불링 대응방안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보다 정교하게 파악하고 대학의 교원양성교육의 방향성 수립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yberbullying from the subjects were 47 at S women"s university in Seoul. Main subjects and behaviors to cope with cyberbullying and their networks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s analysis and quasi-network analysis method.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st, pre-service teachers highly-recognized main subjects cope with cyberbullying in order of ‘victim’, ‘teacher’, and ‘homeroom teacher’, and behaviors cope with cyberbullying in order of ‘recording evidence’, ‘counseling’, and ‘capturing screens’.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all three cognitive, technical, and for-intervention strategies should be considered in cyberbullying. Third, results of subjects’ quasi-network analysis showed that their interaction were not active, and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cyberbullying related organizations’ and ‘homeroom teachers’ were the centralize subjects. Further, behaviors’ network was more interactive than subjects’ network,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asking for help’ and ‘counselling’ as effective behaviors.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cyberbullying accurately an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신민식(SHIN, Min Sik) 유럽헌법학회 2013 유럽헌법연구 Vol.14 No.-
모든 범죄에는 개별적인 특징이 있으며, 부동산거래 범죄는 지능성, 전문성, 모방성, 상호연쇄성, 영리성 그리고 피해의 심각성 등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부동산거래 범죄의 이러한 특징은 실제 수사 현장에서 범죄성립 자체가 어려워지는 등의 현상을 초래하여, 결국 범죄자에 대해 국민의 법 감정에 상당하는 처벌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사회전반에 걸쳐 부동산거래 범죄가 만연하게 되었다. 따라서 수사기관의 실체적 진실발견을 위한 효율적인 수사방안 등 부동산거래 범죄에 대한 포괄적인 대응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할 것이다. 부동산거래 범죄의 문제 해결을 위한 대응방안으로 부동산 관련법령의 실효성 제고안, 부동산 정책적 측면에서의 대응방안, 부동산거래 범죄 수사 방법적 측면에서의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든 범죄수사에는 크고 작은 난관이 있기 마련이지만 특히, 부동산거래 범죄는 국민 개개인에게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피해를 주는 것이므로 위와 같은 방안이 시급히 적용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에서의 적극적인 조치가 뒤따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In all crime h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real estate transaction crime has features intelligence, professionalism, imitation, sequence of events, commerciality, and the magnitude of the damage. These are directly reflected to the actual crime scenes, which keeps them being proven crime. Eventually, criminals are not properly punished corresponding to citizens` appraisals, which leads real estate transaction crime to become rampant among society. Therefore, deterrent measures for real estate transaction crime are urgently required such as effective investigative plans to uncover substantive truth. I suggest proposals on improvement of effectiveness of the real estate legislation, policy, and the way of investigation as deterrent measures to address the problems. All crime investigation cases often go through difficulties, especially, real estate transaction crime causes direct and actual damages. I hope that the authorities take active steps in order for the measures above to be applied at the crime scene urgently.
재난상황 시 예비군 긴급대응부대 창설 및 운용방안에 관한 연구
SeungBae Seon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4 No.1
재난상황하에서는 신속한 지역단위 재난복구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재난대응체계에서는 대민지원, 자원봉사 등 수준에서 재난복구를 시행하고 있으므로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초기대응 및 재난복구 지연, 재난 지속시 대응 미흡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재난상황시 지자체단위 초기 대응능력 구비와 신속히 재난복구를 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진 부대의 창설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상황하 긴급 재난복구를 통한 지역안정과 재해 주민구호, 재난이전으로의 신속한 전환을 위한 예비군 긴급대응부대를 창설과 운용방안 수준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In the event of a disaster, we need people who specialize in rapid regional disaster recovery. However, in the present disaster response system, disaster relief is carried out at the level of public support, volunteer service, etc.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initial response due to lack of expertise, delays in disaster recovery, and inadequate response to disast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unit with early ability to respond to local governments in the event of a disaster and expertise to enable rapid disaster recovery. Therefore, this study limited the preparation of the reserve forces emergency response units for the direction of local security, disaster relief and disaster relief through emergency disaster recovery under the disaster situation.
안종하 한국경찰연구학회 2013 한국경찰연구 Vol.1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에서 증가하고 있는 사이버보안 사고를 진단하고, 국가차원의 정책적 대응전략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2013년 들어 ‘3.20 사이버테러’ 및 ‘6.25 사이버공격’ 등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각종 사이버위협이 끊이질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국내 사이버보안의 대응체계를 새롭게 마련하는 등의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정책적인 대응방안에는 부족함이 있으며 이를 보다 구체화한 정책적 방안을 마련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사이버상에서는 국경도 없고, 적과 우군이 누구인지도 불분명한 미지의 영역이다. 이제는 땅, 바다, 하늘 뿐만 아니라 사이버공간도 제4의 영토로 보아야 하며, 국가는 이를 수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 사이버공간은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치열한 공방이 벌어지고 있는 전쟁터이다. 이를 위해서 범국가적 차원에서 법령, 제도 정비 등 총체적인 대응체계 마련을 서둘러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진 사이버보안 해외 사례와 비교하여 국내 사이버보안의 대응체계를 보다 확고히 할 수 있는 정책적인 방안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사이버보안에 대한 법체계가 확고해질 수 있는 계기로 삼도록 기초자료를 제안하고자 한다.
대형재난 상황 발생 시 소방공무원들의 현장대응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아름 한국자치경찰연구학회 2022 한국자치경찰논총 Vol.1 No.1
한국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빠른 성장을 해 왔으며, 이러한 성장을 통해 오늘날 현대 사회는 농·어업 중심의 사회에서 산업혁명 이후 고도의 산업화로 인하여 복잡하고 고층화된 건물과 기술융합의 시대인 제4차 산업혁명의 시작점으로 대형화재 재난의 발생뿐만 아니라 세월호 여객선 침몰사건과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사건 및 밀양 세종병원 화재사건, 평택물류창고 화재사건, 강원도 대형 산불사건, 이천 물류창고 화재사건, 청주 에코프로비엠 공장 대형화재사건 등으로 대규모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발생시켜 화재재난 발생 시 현장대응체계의 문제점 등 국가적으로 커다란 쟁점이 발생했다. 재난은 국민의 생명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신체적, 재산적 피해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국가에 피해를 주기에 예고 없이 발생하게 되는 재난이어도 재난관리에 있어서 사전대비와 예방 단계에서 부터 재난의 특성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효율적인 재난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이와 같은 대형재난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현장대응 체계의 수립과 활용, 국가 단위의 동원 등 통합적인 협력과 정부 관련 부서와 지방자치단체와 민관군 그리고 의료기관과 각종 공사 및 청사 등 지원기관의 공동대응을 통해 대형재난이 발생하였 을 때 피해를 최대한으로 줄이고 복구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논문과 보도기사, 지침, 법령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예고 없이 찾아오는 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orea has grown faster tha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and today's modern society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mplicated and high-rise buildings and technology convergence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Even if disasters not only threaten the lives of the people but also cause damage to the state due to physical and property damage, efficient disaster response can be achieved only when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s are accurately known from the preliminary preparation and prevention stage. In order to respond quickly to such major disasters, Korea is making great efforts to reduce and restore damage as much as possible through integrated cooperation such as rapid and efficient on-site response system, mobilization at the national level, and joint response from government departments and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oblem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uch as related papers, press articles, guidelines, and laws,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efficiently respond to disasters that come without notice.
대응규칙을 통한 일본한자음 학습방안 - ja・oa 계열을 중심으로 -
하소정,이경철 한국일어교육학회 2020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50
In this research, we extracted 98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ja/・/oa/ vowels of Sino-Korean in the Joyo Kanji Table(2010). Then we analyzed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between Sino-Korean and Sino-Japanese. Furthermore, we considered learning methods to help learners learn Sino-Japanese. The conclusions drawn are as follows. (1)The /ja/ sounds of Sino-Korean mainly correspond to the /ja/(71.42%) vowel of Sino-Japanese; the /jaŋ/ sounds correspond to /jou/(83.33%); and the /jak/ sounds correspond to /jaku/(100%).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of ①ja⇒ja and ②jaŋ⇒jou, and also it is necessary to learn the occurrence of long vowelization in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of ②jaŋ⇒jou. Furthermore, in the case of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of ③jak⇒jaku, it is necessary to know that the final consonant /k/(ㄱ) of Sino-Korean is appeals as /ku/(ク) in Sino-Japanese. (2)The /oa/ sounds of Sino-Korean mainly correspond to the /a/(76.92%) vowel of Sino-Japanese; the /oaN/ sounds correspond to /aN/(91.66%); the /oaŋ/ sounds correspond to /ou/(85.71%); the /oal/ sounds correspond to /atu/(100%); and the /oak/ sounds correspond to /aku/(100%).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the deletion of the contracted sound that contains /w/ vowel occurs in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of ④oa⇒uwa>a. Furthermore, it is needed to learn the occurrence of long vowelization in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of ⑥oan⇒wau>ou. In addition, in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of ⑤oan⇒waN>aN・⑦oal⇒watu>atu・⑧oak⇒waku>aku, it is necessary to note /a/ vowel appeares by the deletion of the contracted sound that contains /w/ vowel in SinoJapanese, and it is also necessary to learn that the final consonant /n/(ㄴ) of SinoKorean is appeals as /N/(ン) in SinoJapanese, and the final consonant /l/(ㄹ) is appeals as /ʦu/(ツ) in Sino-Japanese. We will study the correspondence rules between Sino-Korean with other vowels and Sino-Japanese. Through these studies, we will continue to present the Learn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s. 본고에서는 常用漢字表(2010)에서 ja・jaC・oa・oaC에 해당하는 98字 107音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한・일 한자음 간의 대응관계를 분석하고, 일본한자음의 학습에 필요한 사항에 관하여 고찰해 보았다(1)한국한자음 ja는 일본한자음 ja(71.42%)와 주로 대응하며, 한국한자음 jaŋ은 jou(83.33%)와 jak은 jaku(100%)와 주된 대응관계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①ja⇒ja와 ②jaŋ⇒jou라는 대응관계를 숙지할 필요가 있으며 ②의 대응관계에서 連母音의 長母音化를 통한 변화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③jak⇒jaku의 대응관계에서 받침 [ㄱ]을 일본한자음에서는 開音節化된 [ク]로 수용했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2)한국한자음 wa는 일본한자음 a(76.92%)와 주로 대응하며, 한국한자음 oaN은 aN(91.66%)과, oaŋ은 ou(85.71%)와, oal은 atu(100%)와, oak은 aku(100%)와 주된 대응관계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④oa⇒wa>a라는 대응관계를 통해 일본한자음에 걸친 合拗音의 소멸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⑥oan⇒wau>ou의 대응관계에서는 連母音의 長母音化로 변화된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⑤oan⇒waN>aN, ⑦oal⇒watu>atu ⑧oak⇒waku>aku의 대응관계에서는 일본한자음에서 合拗音의 소멸로 인해 直音 a가 되었으며, 받침 [ㄴ]은 일본한자음에서 [ン]으로, 받침 [ㄹ]은 대부분 [ツ]로 나타난다는 점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재난유형별 메커니즘 분석을 통한 대규모 복합건축물의 재난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안승민,임성빈,민세홍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11
본 연구는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이 증가하여 재난에 취약성이 높아짐에 따른 재난대응 반안에 관해 연구를 진행했 다. 사회재난과 자연재난 중 건축물에 영향을 미치는 재난을 국내외 사례와 문헌조사를 통해 도출하고 각 재난의 공통된 취약성 과 개별적 취약성을 찾았으며, 재난유형별 복합재난 시나리오를 선정하였다.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위험성이 높아 지면서 소방청은 재난예방 및 피해경감 계획 수립 세부지침서를 만들었지만, 한정적인 재난과 구체적 예시의 부재로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앞서 제시한 재난의 재난대응 방안을 만들어 재난대응흐름도를 작성하여 실제적인 대응 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