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NAi에 이용하기 위한 담배가루이 cDNA Library Construction

        고나연,김정규,권혜리,류태희,강찬영,정유빈,김현승,서미자,임현섭,유용만,윤영남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04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는 외래해충으로 바이러스벡터로 작용하여, 토마토에 토마토황화잎말림병바이러스(TYLCV)를 비롯한 약 100여종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중요한 해충이다. 담배가루이는 화학합성 작물보호제에 대한 저항성 발현이 빨라서 이들의 방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저항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의 일환으로 RNA interference(RNAi)를 이용한 해충방제가 시도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RNAi를 이용하면 해당 해충의 target 유전자를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RNAi를 이용하여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한 target 유전자들을 선발하기 위해 gateway system을 이용한 담배가루이 cDNA library 제작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RNAi에 적절한 약 100∼400bp의 insert를 확인하였으며, blast search 및 EST database 비교 분석 결과, 대부분이 담배가루이 관련 유전자임을 확인하였고, 최종적으로 1.75⨉106 titer의 담배가루이 cDNA library를 완성하였다. 이러한 cDNA library는 att site를 가지는 TRV2(tobacco rattle virus) vector에 LR recombination한 다음 Agrobacterium tumefaciens (EHA105)에 transformation 후 토마토에 접종하여 담배가루이가 섭식하여 체내에서도 RNAi의 발현을 유도하면 담배가루이 살충 또는 기피효과를 행동학적 변화로 확인하고, 또한 이와 관련된 target 유전자를 선발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트랩식물과 침투이행성 살충제를 이용한 토마토 담배가루이 성충 방제효과

        최용석,황인수,이경주,김경재,Choi, Yong-Seok,Hwang, In-Su,Lee, Gyung-Joo,Kim, Gyung-Je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2

        우리는 시설토마토에서 4가지 침투이행성약제가 사용된 가지를 트랩식물로 활용하여 담배가루이 성충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침투이행성약제가 추천된 농도로 사용되었을 때,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dinotefuran SG 50% 방제효과는 80%로 방제효과가 각각 51.0%, 12.4%, 11.0%인 cyantraniliprole, pyridaben, clothianidin 보다 높았다. 살충효과가 뛰어난 dinotefuran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200 ppm에서 살충률이 88.4%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Dinotefuran의 방제효과는 가지에 적용된 약 9일까지 지속되었고 그 이후 담배가루이 밀도는 증가하였다. 포장실험에서 가지 트랩식물로부터 0, 15, 20 m 떨어진 토마토 신초에서의 담배가루이 밀도가 가장 높았고 5 m와 10 m에서 가장 낮았다. 담배가루이의 밀도가 낮고 dinotefuran SG 50%가 처리된 가지를 10 m 간격으로 투입했을 때, 담배가루이 성충의 밀도가 전체적으로 낮았으며, 또한 담배가루이의 밀도는 하우스 내부보다는 측면에서 밀도가 더 높았고 가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밀도가 높았다. 담배가루이 밀도가 높고 dinotefuran SG 50%가 처리된 가지를 5 m간격으로 투입했을 때, 담배가루이 밀도가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가지는 시설토마토 재배시 담배가루이 성충을 유인하는데 효과적인 트랩식물이며 dinotefuran SG 50% 과 함께 사용한다면 담배가루이 밀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We investigated the control of Bemisia tabaci adults in tomato greenhouses using the eggplant as a trap plant with 4 systemic chemicals. The control effect of dinotefuran SG 50% on tobacco whitefly adults was 80% mortality, the highest than that cyantraniliprole, pyridaben and clothianidin, 51.0%, 12.4% and 11.0% respectively when all chemicals with recommended doses were used. Dinotefuran was applied at various doses and was observed to be most effective above 200ppm (88.4%)t. The control effect of dinotefuran lasted for appromimately nine 9 days and the density of tobacco whitefly adults increased there after. In field tests, the densities of tobacco whitefly adults on tomato shoots were highest at points 0, 15 and 20 m from the eggplant traps and lowest at 5 and 10 m. When the density of tobacco whitefly was low and the eggplants with dinotefuran SG 50% were placed in the tomato greenhouse at 10 m intervals, the overall density of tobacco whitefly adults was lower. In addition, densities were higher at the side of the greenhouse than in the interior and further away from the eggplant. When the density of tobacco whitefly was high and the eggplants with dinotefuran were placed at 5 m intervals, the density of tobacco whitefly at each 5 m point decreased. Theses results confirm that the eggplant is an effective trap plant for attracting tobacco whitefly audlts and combined with dinotefuran SG 50% decreases the density of tobacco whitefly in tomato greenhouses.

      • KCI등재

        전국 담배가루이 약제 저항성 조사

        김상현,김성진,조수지,이시혁 한국응용곤충학회 202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0 No.2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Gennadius))는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작물을 가해하고 있는 흡즙성 해충이다. 국내에서는 1998년에 최초로 유입이 보고되었고 현재 전국에 널리 퍼져 농가에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주고 있다. 담배가루이의 주 방제방법인 화학적 방제를 위해서는 정확한 약제 저항성 진단을 바탕으로 한 약제 선택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20년 6월부터 10월까지 전국 7개도 12지역의 온실에서 담배가루이를 채집하여 잔류접촉법 기반 생물검정 및 분자마커를 통해 약제 저항성을 진단하였다. 그 결과, 작용기작이 다른 5종 약제(dinotefuran, spinosad, emamectin benzoate, chlorfenapyr 및 bifenthrin)에 대해 전국적으로 높은 저항성을 지니고 있으며 유기인계 및 피레스로이드계 약제에 대한 저항성 점돌연변이가 포화상태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약제 저항성 모니터링에 기반한 담배가루이 약제 저항성 관리가 시급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Sweet 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Gennadius) (Hemiptera: Aleyrodidae) is an insect pest with sucking mouth part and globally attacks diverse crops and vegetables. Since first reported in 1998, it is now widely spread in many regions in Korea. Due to insecticide resistance, it is necessary for optimal control of the whiteflies to select effective insecticides with precise insecticide resistance monitoring. In this study, B. tabaci individuals were collected from 12 regions in 7 provinces of Korea from June to September in 2020. Using these field populations, insecticide resistance levels were monitored using a residual contact bioassay along with molecular markers. Bioassay results revealed that B. tabaci possessed high levels of resistance to five insecticides exhibiting different modes of action: dinotefuran, spinosad, emamectin benzoate, chlorfenapyr, and bifenthrin. In addition, quantitative sequencing in target sites of organophosphate and pyrethroid insecticides revealed that point mutations reached to saturated or near-saturated levels across the country. This suggests that insecticide resistance management is required for effective control of B. tabaci populations in Korea.

      • 가지와 침투이행성 약제를 이용한 토마토 담배가루이 성충 방제효과

        최용석,황인수,이경주,조효려,서정학,김경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는 시설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기주식물의 범위가 넓으며 작물에 직접적인 흡즙에 의한 피해뿐만 아니라 바이러스의 매개를 통하여 작물의 수량을 감소시킨다. 세대가 짧고 발생횟수가 많은 담배가루이는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발달 가능성이 높으며 지속적인 화학방제에도 불구하고 방제가 쉽지 않은 해충이다. 이러한 해충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토마토 시설재배지에서 발생하는 담배가루이를 트랩식물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담배가루이에 유인력이 높은 식물인 가지에 침투이행성 화학약제인 cyantraniliprole, dinotefuran, pyridaben, clothianidin 를 추천농도로 사용했을 때 dinotefuran이 80.0%로 가장 높았고 dinotefuran을 농도별로 조사했을 때 100ppm에서는 61.4%로 낮은 효과를 보였으나 250~1000 ppm 농도에서 유의한 차이 없이 88.4%~90.6%의 효과를 보였다. 가지에 dinotefuran을 침투이행시킨 후 생충수를 조사한 결과 담배가루이 성충의 밀도는 무처리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다가 9일째부터 담배가루이 성충의 생충수가 증가하였다. 가지에 4가지 침투이행성 약제를 처리한 후 토마토와 함께 아크릴케이지 내에 넣고 담배가루이 500마리를 방사하였을 때 dinotefuran의 생충수가 가장 낮았지만, 토마토 잎에서의 밀도는 pyridaben과 clothianidin을 처리한 구보다 높았다. 포장에서 트랩식물인 가지를 투입 했을 때 담배가루이 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5m부터는 무처리구와 밀도가 유사하여 트랩효과는 떨어졌다. 담배가루이 밀도가 낮은 포장에서는 트랩식물인 가지에 dinotefuran 2000배 액을 처리한 것을 하우스 측면에 20m간격으로 투입하였을 때 담배가루이는 하우스 측면에서 밀도가 높았고 가지 인근이 밀도가 높았으며 8m 거리에서 담배가루이 밀도가 가장 낮았다. 담배가루이 밀도가 높은 포장의 경우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나 소발생 포장보다 다소 밀도가 높게 유지되었다.

      • KCI등재

        시설토마토에서 황색트랩을 이용한 담배가루이 표본조사법

        송정흡,이광주,양영택,이신찬,Song, Jeong Heub,Lee, Kwang Ju,Yang, Young Taek,Lee, Shin Cha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4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는 바이러스병의 매개로 인해 제주지역 시설재배 토마토에서 가장 중요한 해충으로 인식되고 있다. 황색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담배가루이 성충의 실용적인 발생밀도 추정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2011과 2012년 제주 서부지역의 농가재배 토마토 포장에서 포장 상황에 따라 20~30개의 트랩을 설치하여 7~10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황색끈끈이트랩을 지상 60 cm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한 것이 작물 상단 10 cm 위에 수직으로 설치한 것보다 더 많은 담배가루이가 유인되었다. 황색끈끈이트랩에 유인된 담배가루이 성충의 분포형태를 Taylor's power law (TPL)과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을 이용 분석한 결과 두 회귀식의 기울기값이 모두 "1"보다 커 담배가루이 성충이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다. TPL의 결정계수($r^2$)값이 IPR보다 더 높아 TPL이 담배가루이 성충의 공간분포 특성을 더 잘 설명하고 있었다. 담배가루이 성충 밀도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황색끈끈이트랩의 수를 TPL 상수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는데 정확도 수준이 높을수록, 평균밀도가 낮을수록 필요한 트랩수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TPL 상수를 이용하여 고정 정확도 수준에서 조사를 중지하더라도 트랩당 평균밀도를 추정이 가능한 누적밀도를 계산하였다. 담배가루이 성충의 방제시기를 트랩 최고 밀도 10마리로 가정했을 때 이 밀도에서 필요한 포장당 트랩수는 고정정확도 0.25수준에서 15개이었다. 담배가루이 성충의 트랩당 평균밀도는 트랩마다 모든 성충수를 계수하는 것보다 2마리 이상 유인된 트랩의 비율을 가지고 추정하는 이항모델 [${\ln}(m)=1.19+0.90{\ln}(-{\ln}(1-p_T))$]을 이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정확한 방제의사 결정을 통해 담배가루이가 매개하는 바이러스병 확산을 막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weetpotato whitefly (SPW), Bemisia tabaci Gennadius, is a major pest in tomato greenhouses on Jeju Island because they transmit viral diseases. To develop practical sampling methods for adult SPWs, yellow-color sticky traps were used in commercial tomato greenhouses throughout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in 2011 and 2012. On the basis of the size and growing conditions in the tomato greenhouses, 20 to 30 traps were installed in each greenhouse for developing a sampling plan. Adult SPWs were more attracted to horizontal traps placed 60 cm above the ground than to vertical trap placed 10 cm above the plant canopy. The spatial patterns of the adult SPWs were evaluated using Taylor's power law (TPL) and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 The results showed that adult SPWs were aggregated in each surveyed greenhouse. In this study, TPL showed better performance because of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On the basis of the fixed-precision level sampling plan using TPL parameters, more traps were required for higher precision in lower SPW densities per trap. A sequential sampling stop line was constructed using TPL parameters. If the treatment threshold was greater than 10 maximum adult SPWs on a trap, the required traps numbered 15 at a fixed-precision level of 0.25. In estimating the mean density per trap, the proportion of traps with two or more adult SPWs was more efficient than whole counting: ${\ln}(m)=1.19+0.90{\ln}(-{\ln}(1-p_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prevent the dissemination of SPW as a viral disease vector by using accurate control decision in SPW management programs.

      • 망초에서 담배가루이의 온도별 발육특성과 행동반응

        김규상,최용석,서정학,조효려,황인수,김경제,채수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04

        담배가루이는 시설원예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토마토의 경우 TYLCV를 매개하기 까지 한다. 이러한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하여 잦은 화학약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피해를 야기하여 화학약제의 한계를 보여준다. 따라서 우리는 담배가루이 유인식물인 트랩식물로써 망초의 활용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망초에서 담배가루이 유충의 발육특성을 조사하였다. 망초를 포함하여 몇가지 농작물과의 4-choice Olfactometer test를 통하여 담배가루이 성충의 행동반응을 조사하였다. 담배가루이 유충은 다른 몇가지 농작물 보다 망초에서 약 1일 빠르게 성충이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망초에서 발육기간이 짧음을 알 수 있었다. 후각계를 이용한 실험에서 분당 300cc의 공기를 주입하고 망초, 가지, 오이, 토마토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지와 망초에서 유인력이 가장 좋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망초는 담배가루이를 유인할 수 있는 트랩식물로써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추후 담배가루이 트랩식물로 이용하여 포장에 적용했을 때 담배가루이의 유인력을 검정하고 천적과 동시에 활용했을 때 담배가루이 방제효과를 조사할 계획이다.

      •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한 RNAi 선발 및 적용

        김정희,김정규,강찬영,정유빈,민지현,변일현,장현주,조민규,임현섭,유용만,윤영남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는 600여 종의 기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살충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제가 일반적이지만 저항성 문제로 인해 다양한 방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배가루이를 방제하기 위한 방편으로 RNA interference(RNAi)를 이용한 방법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target 유전자 선발을 위한 담배가루이 cDNA library를 제작하였다. 완성된 cDNA library는 담배가루이 제어, 산란 억제 및 기피효과가 있는 유전자를 선별하기 위해 토마토에 접종한 후, 담배가루이를 섭식시켜 6주 동안 성충과 알, 약충의 생충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55개의 cDNA library 중 방제가가 높은 3개의 유전자가 선별되었다. 선별된 유전자는 TRV RNA2 vector에 cloning하여 담배(Nicotiana benthamiana, N. tabaccum)에 반복적으로 재접종한 뒤, TRV RNA2 vector의 CP와 insert를 detection을 통해 접종한 유전자가 식물체내에서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물체내에서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후에는 RNAi 기작 및 담배가루이 제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담배가루이 개체 실험을 하여 선별된 유전자를 접종한 토마토에 4주 동안 담배가루이를 섭식시킨 뒤, qRT-PCR을 통해 담배가루이 개체 내 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RNAi를 이용한 담배가루이 방제에 효과가 우수한 target 유전자를 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담배가루이 성충 유인용 트랩식물의 유인효과

        최용석,김규상,조효려,서정학,채수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담배가루이의 방제효율을 높이고 종합적인 해충관리를 위한 유인용 트랩식물 선발을 위하여 몇가지 기주에 대한 담배가루이 성충의 기주선호성을 조사하였다. 담배가루이가 선호하는 4가지 시설작물인 토마토, 오이, 가지, 피망, 국화를 대상으 로 한 암실에서의 유인률은 가지와 오이가 각각 32.9%, 28.6%로 가장 높았으며 국 화가 가장 낮았다. 이들에 대한 양자간 Y-tube 후각계를 이용한 20분 동안의 후각 반응에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5가지 시설작물에 대한 담배가루이 암컷성충의 수명과 산란력을 조사한 결과 수명은 가지에서 27.9일로 가장 길었고 산란은 106 개로 오이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8가지 콩과식물에 대한 담배가루이 성충의 유 인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온실 중앙에 콩과식물을 포트상태로 투입하고 담배가 루이의 유인수를 조사한 결과 제비콩에서 다소 높았을 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시설내 발생하는 잡초종에 대한 담배가루이 발생밀도 조사에서는 망초에서의 밀 도가 가장 높았기 때문에 망초에 대한 담배가루이의 선호성 조사를 위하여 농작물 에서 선호성을 보인 가지, 오이, 토마토와 함께 4-choice 후각계 반응을 30분 간격 으로 조사한 결과, 시간이 흐를수록 망초를 선호하였다. 그러나 암실과 광실에서의 시각반응에 있어서는 오히려 가지와 오이를 선호하였다. 또한 토마토를 기준으로 하여 가지, 오이, 망초를 대상으로 양자간 선호성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가지와 오 이가 각각 82.3%, 82.5%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담배가루이는 기주의 후각적 반응 보다는 시각적 반응에 더잘 유인되며 가지와 오이가 담배가루이 성충을 유인할 수 있는 트랩식물로써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고 추후 생육관리가 수월한 가지를 대상으로 토마토 시설재배지에서 담배가루이의 유인효과를 조사할 계획이다.

      • KCI등재

        미토콘드리아 COI 유전자 분석을 통한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분류학적 재평가

        이원훈,이관석,Lee, Wonhoon,Lee, Gwan-Seo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2

        담배가루이는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농업 해충들 중의 하나이며, 전세계적으로 40개 이상의 종들로 구성된 종복합군(species complex)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유전적 변이와 구성하는 종들의 수를 550개의 COI 염기서열들을 바탕으로 재평가하였다. 담배가루이의 유전적 변이는 0% - 27.8%이며(평균 11.1%), 이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이 서로 다른 속들 혹은 아과들에 속하는 다양한 종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217개 COI 염기서열들을 바탕으로 분석된 계통수는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이 잠재적인 신종(Java)을 포함한 43개 종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 가운데 9종(Australia, Asia II 1, Asia II 6, Asia II 7, Asia II 10, Mediterranean, New world, New world 2, Sub Saharan Africa 1)의 종내 유전적 변이는 기존의 종구분 한계인 4.0%가 담배가루이 종복합군의 종들을 구분하는데 적합하며, 높은 종내 유전변이를 보이는 종들은 은밀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sect pests in the world. In the present study, the taxonomic status of B. tabaci and the number of species composing the B. tabaci complex were determined based on 550 COI gene sequences of B. tabaci. Genetic divergence within B. tabaci ranged from 0% to 27.8% (average 11.1%).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B. tabaci complex is composed of multiple species that may belong to different genera or subfamilies. A phylogenetic tree constructed based on 217 COI gene sequences without duplications revealed that the B. tabaci complex is composed of a total of 43 putative species, including a new species, Java. In addition, genetic divergence within nine species (Australia, Asia II 1, Asia II 6, Asia II 7, Asia II 10, Mediterranean, New world, New world 2, Sub Saharan Africa 1) indicates that 4.0% is reasonable to be used as a threshold of species boundaries within the B. tabaci complex, and species with high intraspecific genetic divergences can be related with cryptic species.

      • KCI등재

        담배가루이 B와 Q 계통의 국내 발생 상황

        이민호,강석영,이선영,이흥수,최준열,이관석,김황용,이시우,김선곤,엄기백,Lee, Min-Ho,Kang, Seok-Young,Lee, Sun-Young,Lee, Heung-Su,Choi, June-Yeol,Lee, Gwan-Seok,Kim, Whang-Yong,Lee, Si-Woo,Kim, Seon-Gon,Uhm, Ki-Baik 한국응용곤충학회 200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4 No.3

        The occurrence of tobacco whiteflies, Bemisia tabaci, in greenhouses was monitored in Korea in 2005. Bemisia tabaci occurred in the rose, sweet pepper, tomato, and cucumber greenhouses of Chungbuk, Chungnam, Gyongnam, and Jeonnam Provinces, but not in Jeonbuk and Gyongbuk Provinces. The biotypes and genetic differentiation of the whiteflies collected in each regions were analyzed by mitochondrial 16S DNA sequences. The 16S DNA sequences of Jincheon (Chungbuk Province) samples were similar to DNA data reported from Japan and Israel which were known as the B biotype. However, the DNA sequences of the Buyeo (Chungnam), Geoje (Gyongnam) and Boseong (Jeonnam) collections, which were 100% homologous showed over 99% similarity to the DNA of Q biotype from Spain and Egyrt. Here we report the first founding of the Q biotype in Korea. It is assumed that, unlike the B biotype reported from Jincheon since 1998, the Q biotype might have been introduced recently from the certain foreign region/country to the greenhouses in those provinces. 2005년 5월 충청이남 지역의 온실에서 담배가루이의 발생 상황을 조사한 결과 충남 북, 전남 및 경남에서 착색단고추, 토마토, 오이, 장미 등의 시설 재배지에 담배가루이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으나 전북과 경북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다. 각 지역별로 발생한 담배가루이의 계통(biotype)과 근연관계를 조사할 목적으로 충을 채집하여 16S D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진천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의 16S DNA 염기서열은 일본 및 이스라엘에서 보고된 B 계통의 DNA와 상동성이 높았고 충남 부여, 경남 거제 및 전남 보성 채집 충은 상호간에 동일한 염기서열을 보여 주었으며 스페인과 이집트의 Q계통의 DNA와 99% 이상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담배가루이 Q 계통이 국내에 유입되었음을 알리는 최초의 보고이다. 이는 1998년부터 진천에서 발생한 담배가루이 B 계통과는 별도로 담배가루이 Q 계통이 최근에 국외의 동일한 지역내지는 국가로부터 이들 지역의 시설재배지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