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통문항 비동등집단 설계에서 다차원 문항반응모형의 연계화와 동등화 결과 비교

        정지영(Ji young Jung),이규민(Gue min Lee),강상진(Sang Jin Kang),민경석(Kyung Seok Mi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6 교육평가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공통문항 비동등집단 설계에서 이차원성을 갖는 검사자료에 다차원 문항반응모형을 적용한 연계화와 동등화 결과를 집단 간 비동등성, 차원 간 상관정도, 검사구조에 따라 모의실험을 통해 비교하였다. 각 연구조건에 따라 모의자료를 생성한 후 Oshima, Davey와 Lee(2000), Li와 Lissitz(2000), Min(2003)이 제안한 MIRT 연계화 방법을 적용하여 연계화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후 각 연계화 방법에 따라 공통 척도로 전환 된 모수를 사용하여 Brossman(2010)의 연구에서 제시한 복합 다차원 문항반응이론 관찰점수 동등화, 다차원 문항반응이론의 일차원적 접근 진점수와 관찰점수 동등화방법을 적용하여 동등화 결과를 비교하였다. MIRT 연계화 결과를 보면, Oshima, Davey와 Lee 방법이 Li와 Lissitz, Min 방법에 비해 집단 간 비동등성과 차원 간 상관정도에 따라 연계화 결과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산출되었고, 검사구조에 따라서는 세 가지 연계화 방법의 결과가 유사하였다. MIRT 등동화 결과를 보면, Oshima, Davey와 Lee 연계화 방법이 적용된 경우에 모든 연구조건에서 세 가지 MIRT 동등화 방법의 결과가 유사하게 산출되었다. 한편 Li와 Lissitz, Min 연계화 방법이 적용된 경우에는 다차원 문항반응이론의 일차원적 접근 관찰점수와 진점수 동등화 방법 간 동등화 결과가 유사하였고, 복합다차원 문항반응이론 관찰점수 동등화 방법은 다른 패턴으로 동등화 결과를 산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s of MIRT linking and equating according to group nonequivalency, dimensional correlation, and test structures under the common item nonequivalent groups design with two dimensional simulation data. After separate calibration of generated simulation data, estimated parameters were linked by three MIRT linking methods: Oshima, Davey and Lee(2000), Li and Lissitz(2000), and Min(2003). Commonly scaled parameters by each linking method were equated by three MIRT equating methods: full MIRT observed score equating, approximate unidimensionalized MIRT true score, and approximate unidimensionalized MIRT observed score equating developed by Brossman(2010).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because MIRT equating processes include MIRT linking procedures.

      • KCI등재

        다차원 문항반응모형의 척도연계화 방법 비교

        이문수(Lee Moonsoo),박연복(Park Yeonbok)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미래교육학연구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복수의 하위구인으로 이루어진 실제 검사 구조를 고려하여 모의실험을 통해 다차원 문항반응모형을 이용한 검사의 연계화 방법들의 정확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Oshima, Davey와 Lee(2000), Li와 Lissitz(2000), Min(2003)의 세 가지 분리추정과 동시추정방법을 이용하여 공통척도로의 변환을 수행하였다. 추정방법들의 비교를 위해 피험자 집단의 크기, 공통문항의 비율, 능력차원의 상관 조건 별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동시추정방법이 분리추정방법들에 비해 양호한 연계화 결과를 보였다. 단, 능력 차원들의 상관이 낮으며 집단의 크기가 충분히 크고 공통문항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분리추정을 이용한 연계화 결과의 정확성도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다차원 검사들의 연계화의 일반적인 상황에서 동시추정방법의 사용을 제안하며, 분리추정방법을 이용하여 공통척도로 변환 시에는 충분한 피험자 수의 확보와 공통문항이 비율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est linking methods using a multidimensional item response model through simulation technique by considering the actual test structure composed of several constructs. The transformation to the common scale is performed using three separate calibration methods: Oshima, Davey and Lee (2000), Li and Lissitz (2000), Min (2003) and concurrent calibration method. For comparison of calibration methods, results are derived from the number of examinee, the dimensional correlations and the ratio of common item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current calibration method performs well in linking than three separate calibration methods. However, when the correlation of ability dimensions is low, the number of examinee is large enough, and the ratio of common items is high, the separate calibration methods also provides accurate linking results. In conclusions, concurrent calibration method has an advantage of multidimensional tests linking.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ufficient number of examinee, increase the ratio of common items when transforming to common scale with separate calibration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