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층형 흙다짐 공법의 사례 연구

        김호천,이상원,이종국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7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7 No.1

        This research intends to understand the rammed earth method and suggest the possibilities of adoption on high-rise rammed earth structures through the case study on the method. The rammed earth construction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solutions in the modern environmental-friendly construction field, thus according to such trend,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e limitations of the rammed earth structures to be multistory and grope for solutions in the attached wall construction method. The procedures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e limitations of rammed earth structure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those structures and analyze the actual cases of them, and to assure the possibilit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rammed earth method that can make the structures multistory earthen structures in the rammed earth method and induce immediate issues for it.

      • KCI등재

        고대 석축 산성의 토축부 고찰

        서영일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9 東洋學 Vol.46 No.-

        Many of fortress and mountain castles in the Korean peninsula had been builted with stone blocks. Inside stone blocks, there are earthen base construction. Many scholars think that there are possibility that the earthen base construction may be one of the mound. However, this hypothesis don't have evidence. In this article, I try to show that the earthen base construction is one of process of building stone block castle wall. The earthen base construction has three kind process. One is Pancuk. It is one of the skill that can make earthen wall harder. The other, also similar skill to make earthen wall harder. The last one is a simple skill, accumulation of soil. The most interesting technique is a mattress method of construction. It prevent of subsidence of earthen base construction. When castle and fortress was built, sometimes shortage of stone blocks happened The reason of development of earthen base construction is that solving shortage of stone blocks. The most important roll of the earthen base construction is that preventing sinking of soil. 일반적으로 城壁은 축조재료에 따라 석축, 토축, 토석혼축으로 구분된다. 석축 산성은 외면은 석재로 축조되어 내부까지도 석축으로만 축조된 것으로 오해되었다. 그런데 성벽 절개 조사를 실시하면 예외 없이 석축부 후면에 대부분 토축부가 존재하고 있다. 토축부는 석축 성벽을 축조하는데 필수적으로 부가되는 시설이지만 석축부에 비하여 주목되지 못하여 이에 대한 구조적인 분석이나 기능에 대해서는 연구가 전무하다. 이는 고대 석축 산성의 구조와 공법을 이해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본고는 이 문제를 검토하여 토축부가 석축 공법의 한 요소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토축부의 출토 현황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토축부의 축조 양상을 분석하였다. 토축부는 그 강도에 따라 크게 유사판축, 다짐성토, 성토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 중 대부분 다짐성토가 많으며 유사판축도 상당수 보이고 있다. 토축부의 축조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소위 부엽공법이다. 부엽공법은 원래 연약 지반을 보강하는 기능과 함께 토사의 이동을 방지하는 기능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제방이나 토성에서 사용되어던 부엽공법이 석축산성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산성은 석축 기술뿐만 아니라 토축 기술의 발전에도 크게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토축부를 석축 산성 이전에 존재하였던 토성의 흔적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어느 산성에서도 석성 이전에 토성이 존재하였다는 근거는 뚜렷하게 출토되지 않았다. 오히려 석성에서는 석축부와 토축부가 동시에 축조되었다는 근거가 많다. 토축부는 석축 성벽의 구조 중 하나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석축산성에서 토축부의 시설 이유는 우선 석재 사용을 줄이기 위한 방편이기도 하다. 하지만 보다 더 중요한 기능은 성벽 내부로 우수나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성벽 내부로 지하수와 우수 등이 유입되면 기초부를 따라 흘러가면서 성벽이 미끄러지면서 일시에 붕괴된다. 따라서 석축성벽의 토축부는 석축부 조성에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며 석축성벽의 조사와 정비시에 반드시 검토되어야할 요소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흙다짐 건축재료의 적정함수비 현장확인을 위한 낙하시험 방법의 실험적 개선

        이종국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5 No.1

        Although the interest for earth architecture has been expanded and settled as a part of modern architecture, preciselycalculating the ratio of water content in practice is still difficult and the calculation is based on empirical analysis yet. This causes many problems in durability and maintenance of earthen architectur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ofind the easiest way to correctly calculate the appropriate level of water content ratio (AWCR), which can be used inpractice. Until now, the workers have checked the AWCR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with popular but vaguemanuals. On this awareness, we studied the several testing methods and found the dropping test which uses the patternof shape after the sample is dropped. In this point, we studied and developed the definite testing method in terms ofprocess, and shape discrimination. Also we suggest the test recording sheet by using the cobalt chloride(CoCl2) whosecolor is instantly changed when contacts with the moisture. It is believed that this result can help improving the qualityand durability of the earthen architecture using the rammed earth method and the efficiency in practice. 본 연구는 흙건축 시공 시 많이 사용되는 흙다짐 공법의경우, 흙재료의 배합 숙련도에 따라 달라지는 함수량은 강도와 내구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를 적절히 확인하여 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적정함수량의 산정문제는 실험실 환경에서는 정확하게 구할 수 있지만 현장에서는 여러 여건상 곤란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흙건축에 적용되는 흙다짐 공법을 중심으로 낙하시험과 함수율의 관계를 규명하여 실제현장에서 작업자가 쉽게 적정함수비를 판별할 수 있는 용이성과시험의 정확성 문제를 개선하고자 한다. 실험의 결과를 통하여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배합설계와 시험방법의 명세화, 낙하형상 판별방법의 과정과 결과를 제시하였다.

      • 인천지역 준설매립지반의 품질개선 사례연구

        채영수,김종국 수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4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19 No.-

        The soil improvement of dredged and reclaimed ground is to be adapted sand compaction method means of degree of compaction increase and liquefaction holding in check hydraulic hammer compaction and dynamic compaction and so on. Base course of reclaimed ground designed after compaction make an estimate of ground improvement effect satisfied with compaction density above a certain point. But, a package reclaimed ground is to be hard estimated improvement effect by relative compaction density because it is deep the depth of reclamation layer, a stratum distribution to be irregular, not to be uniform material ground characteristics. This paper will be introduced focus on points to be considered quality improvement an instance of compaction administration standard and it a plan that In-cheon region dredged and reclaimed ground after compaction method make an estimate course of ground improvement effect conducted base on quality pertinent estimate and compaction test works.

      • KCI등재
      • 골재 입도분포가 도로포장용 롤러 전압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연구

        송시훈,이승우 한국도로학회 2015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3

        시멘트 콘크리트포장은 경제적이면서도 우수한 내구성, 기능성 및 구조적 성능을 확보하여 사회 기반 시설인 도로 건설에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 이상기후 및 자원 고갈 등의 환 경 문제로 인하여 환경 친화적인 건설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시멘트 콘크리트포장의 주요 재료인 시멘 트 생산 공정 중에 발생되는 CO2 등의 온실가스로 인하여 환경을 저해하는 배타적인 재료로 인식되고 있 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콘크리트포장의 주요 재료인 시멘트 사용량의 절감을 통하여 시멘트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CO2와 화석자원 소비에 따른 친환경성에 대한 부정적인 요소를 환경 친화적 도로건설로 부응하고, 콘크리트 포장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포장 고유의 우수한 성 능을 확보하면서 상대적으로 적은 단위 시멘트량을 사용하여 CO2 발생의 저감으로 친환경성 및 경제성을 확보하고, 정량화된 아스팔트 시공장비의 이용으로 신속하고 간소한 시공절차를 확보할 수 있는 저비용 롤러 전압다짐 콘크리트포장 공법(RCCP; Roller Compacted Concrete Pavement)의 도입이 요구된다. RCC는 페이스트의 체적이 일반 PCC보다 작기 때문에 배합에서의 공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밀한 입도이 어야만 한다. RCC 체적의 70%~85%를 구성하는 골재특성은 진동다짐시 요구하는 워커빌러티와 건조단 위중량을 도출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압축강도, 휨강도, 온도 특성, 장기거동 및 내구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 이는 골재의 적절한 선택이 시공 중․후에 안전성을 제공하고 RCCP의 구조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PCA에서 제시하는 RCCP 골재입도 Band 영역 안의 골재 입 도가 RCCP에 미치는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대 치수 19mm 굵은 골재와 잔골재를 이용하여 상한선과 하한선 및 Band 영역 내의 골재 입도 분포를 설정하여 PCA에서 제시하는 RCCP 골재입도 Band가 RCCP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재검토하고, 입도분포에서 작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시공 시 재료의 선정 과정에서 발생되는 양이 상당한 미립자 부분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고 골재 선정 시 편의성과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정 Band를 제안하였다.

      • 교대말뚝기초의 측방유동에 관한 원심모형실험

        최동혁,정길수,박병수,유남재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5 産業技術硏究 Vol.25 No.B

        This paper is an experimental result of investigating lateral soil movements at piled bridge abutments by using the centrifuge model facility. Three different centrifuge model experiments, changing the methods of ground improvement at bridge abutment on the soft clayey soil (no improvement, preconsolidation and plastic board drain (PBD), sand compaction pile (SCP) + PDB), were carried out to figure out which method is the most appropriate for resisting against the lateral soil movements. In the centrifuge modelling, construction process in field was reconstructed as close as possible. Displacements of abutment model, ground movement, vertical earth pressure, cone resistance after soil improvement and distribution of water content were monitored during and after centrifuge model tests. As results of centrifuge model experiments, preconsolidation method with PBD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against the lateral soil movement by analyzing results about displacements of abutment model, ground movement and cone resistance. Increase of shear strength by preconsolidation method resulted in increasing the resistance against lateral soil movement effectively although SCP could mobilize the resistance against lateral soil movement. It was also found that installment with PBD beneath the backfill of bridge abutment induced effective drainage of excess pore water pressure during the consolidation by embanking at the back of the abutment and resulted in increasing the shear strength of clay soil foundation and eventually increasing the resistance of lateral soil movement against piles of bridge abu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