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속 개념의 다의성과 상호관계

        유재민 대동철학회 2016 大同哲學 Vol.77 No.-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기하학의 대상도 연속적(suneches)이고, 자연적 대상도 연속적이다. 그리고 그는 ‘연속’ 개념을 마치 하나의 의미를 공유하는 ‘동음동의어’(synonymy)처럼 사용한다. 하지만 연속은 동음동의어가 아니라 ‘동음이의어’(homonymy)이고, 이때 연속의 다양한 의미들 간의 관계를 해명하는 것이 논문의 목표이다. 연속 개념은 ‘핵심-의존적’(pros hen) 동음동의어에 속한다. 그는 연속 개념을 세 개의 맥락에서 다른 방식으로 규정한다. 형이상학적 규정, 자연적 규정, 기하학적 규정이 그것이다. 필자는 연속 개념의 다양한 규정들이 의존하는 ‘핵심’ 규정이 형이상학적 규정이라는 것과 자연적 규정과 기하학적 규정이 이 핵심 규정에 어떤 방식으로 의존하는지를 해명하고자 한다. 다의성은 ⑴ 단절된 다의성과 ⑵ 포괄적 다의성 이렇게 둘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포괄적 다의성은 단절된 다의성의 여집합이다. 모든 다의성은 의미들 간에 아무런 관련이 없는 다의성이거나, 일정 부분 관련을 갖는 다의성이거나 둘 중 하나이다. 이 둘 중에서 ‘포괄적 다의성'에는 향일적(pros hen) 의미를 갖는 다의성, 즉 ‘핵심-의존적Core-Dependent 다의성이 포함된다. 핵심-의존적 다의성은 하나의 핵심적인 의미가 있고, 나머지 의미들은 여기에 의존적이다. 여러 다의적 개념들 중에서 ‘연속’(the continuous)은 ‘핵심-의존적’ 다의성에 속한다. 연속 개념의 다양한 의미들은 ‘향일적으로’(pros hen) 묶일 수 있고, 하나의 핵심적인 의미에 다른 의미들이 의존한다. 연속의 다양한 의미들이 가지는 상호 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⑴ 두 개의 대상들이 (이질적이거나 동질적일 때) 하나의 경계를 공통으로 가지는 것도 연속이고, ⑵ 대상들이 (이질적일 때) 두 개의 접촉하는 대상들이 쉼퓌시스(sumphusis)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도 연속이며, ⑶ 대상들이 (동질적일 때) 하나의 경계를 갖는 연속체의 부분들이 무한하게 분할될 수 있는 것도 연속이다. 이때 ⑴ 형이상학적 연속은 나머지 연속의 의미들의 핵심적 원리가 된다는 의미에서 ‘핵심적’ 연속으로 기능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⑵ 자연적인 연속과 ⑶ 기하학적 연속이 이 핵심적 연속에 의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Aristotle, the geometrical object is continuous(suneches) and the physical object is continuous, too. And he uses the concept of 'the continuous' as a synonymy. But this two meanings of the continuous are not synonymy but 'homonymy', so the purpose of this paper reveals how these meanings are connected. The concept of the continuous is of 'a core-dependent'(pros hen) homonymy. And Aristotle defines this concept in a different context with three perspectives - a metaphysical meaning, a physical meaning, and a geometrical meaning. I would like to examine that the various meanings of this concept are dependent of the metaphysical, that is core meaning and how these physical and geometrical meanings are dependent of this core metaphysical meaning. Homonymy can be categorized into two categories: (1) the discrete homonymy and (2) the comprehensive homonymy. Here, the comprehensive homonymy is the intersection of the discrete homonymy. All homonymy is either unrelated to meanings, or has some relevance to meanings. Among these, the comprehensive homonymy includes the homonymy with a pros hen meaning, i.e, a core-dependent homonymy. The core-dependent homonymy has a core meaning, and the remaining meanings depend on it. Among the various meanings of ‘the continuous' belong to ‘core-dependent’ homonymy. The various meanings of the continuous can be tied 'pros hen' meaning and different meanings depend on this one core meaning. Three different meanings of the continuous are as follows. (1) It is continuous that two objects (when heterogeneous or homogeneous) have one boundary in common, and (2) it is also continuous that two objects (when heterogeneous) to be contacted are joined by sumphusis, and (3) it is also continuous that two objects (when homogeneous) the parts of the continuum with one boundary can be infinitely divided. It can be seen that (1) the metaphysical continuity acts as a 'core' meaning in the sense that it is the core principle of the remaining consecutive meanings, (2) the natural continuity and (3) the geometric continuity depend on this essential meaning of the continuous.

      • KCI등재

        英韓辭典 표제어의 다의성 및 다품사성, 뜻풀이어의 유의어 확대

        이준환(李準煥)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코기토 Vol.- No.73

        이 글은 개화기ㆍ일제 강점기의 영한사전인 언더우드(1890), 스콧(1891), 존스(1914), 게일(1924), 원한경(1925)에서 표제어의 다의성과 다품사성, 뜻풀이어의 유의어가 조직화되고 확대되는 양상을 고찰하고 표제어에 국어 어휘 또는 번역어가 어떤 대응 관계를 형성하였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다의성을 구조적으로 반영하고자 한 사전은 언더우드(1890), 존스(1914), 원한경(1925)인데, 언더우드(1890)와 원한경(1925)에서는 다품사성이 반영되어 있다. 공통 표제어의 다의성, 유의어의 반영 실태를 살펴보니 다섯 가지의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전통적인 어휘가 새로운 어휘로 대체되어 가거나 전통적인 어휘와 새롭게 나타나는 어휘가 공존하는 것이 널리 보인다. 둘째, 지속적인 개념의 추가와 확장이 보이는데, 존스(1914)와 원한경(1925)에서 두드러진다. 셋째, 새롭게 등장한 어휘에는 전문어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전문어의 등장과 더불어 유의어가 많이 늘어나게 되었고 이로 말미암아 일반어로 대응하는 뜻풀이와 전문어로 대응하는 뜻풀이가 분리되어 다의성을 반영하게 된 것이 많다. 넷째, 새롭게 등장한 어휘는 대개 한자어이거나 한자어를 포함한 어휘였다. 이는 한자어를 가지고 영어 표제어가 가진 뜻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처럼 된 것은 어휘에 전문어가 다량 포함되어 있다는 점, 字典과 漢字語 지침서의 발행으로 한자어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다는 점, 일본이나 중국의 사전을 참고한 것과 관계가 있다. 다섯째, 다의성과 다품사성까지 동시에 반영하고 있는 경우 품사에 따라서는 다의성이 평행하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 KCI등재

        서정시의 위상적 해석 방법 -백석의 「모닥불」을 중심으로-

        전동진 ( Jeon Dong-ji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0 No.-

        시의 가장 큰 매력은 해석의 다양성에 있다. 다의성은 애매모호성과 불확정성에서 온다. 사회·문화적 소통이 장르 중심에서 매체 중심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동영상, 사진, 텍스트 등 매체는 자신의 특성에 맞는 콘텐츠를 요구하고 있다. 시가 지향했던 애매모호성, 불확정성을 바탕으로 한 기존의 다의성으로는 매체가 요구하는 속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 위상적 변화가 용이하려면 새로운 다의성으로서 ‘선명한 다의성’, ‘확정적 다의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상적 다의성으로 보고 백석의 「모닥불」을 통해 탐구하였다. 서정시의 위상성은 ‘플롯화’, ‘서정 스토리’, ‘서정의 위상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백석의 「모닥불」은 두 개의 위상적 공간을 형성한다. 재로 소멸하면서 빛과 온기를 내뿜는 모닥불의 공간이 하나 있다. 이 장소에서 온갖 사연을 지닌 것들이 타들어 간다. 모닥불을 둘러싼 사람들이 여는 위상적 공간이 다른 하나다. 저마다의 이야기를 품고 있는 사람들이 빛과 어둠, 온기와 냉기의 사이공간으로 자리한다. 좀 더 다양한 비평 담론을 통해 「모닥불」을 읽어내는 작업이 뒤따를 필요가 있다. 이것은 비평의 성과를 위한 것이 아니다. 백석 시에서 탐색한 새로운 지향의 위상적 다의성이 서정시의 미학적 가치를 평가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greatest attraction of poetry is the versatility of interpretation. It was common to see that polymorphism comes from ambiguity and uncertainty. Social and cultural communication is rapidly changing from genre to media. Content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such as videos, photos, and texts are requested. It is difficult to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speed and phase required by the media with the multipurpose based on the ambiguity and uncertainty that the poetry had previously pursued. The possibility of “clear multi-uidity” and “definite multi-uidity” as new multi-uidity was explored through Baek Seok’s Bonfire. The topology of poetry was divided into 'plotting', 'lyrical story', and 'the phase of poetry'. Bonfire forms two topological spaces. There is a topological space in which a bonfire that exudes light and warmth opens up as it extinguishes with ashes. Things that have gone through all kinds of stories burn here. The topological space opened by people surrounding the bonfire is another. People who have their own stories stand as a space between light and darkness, warmth and cold air. It is necessary to follow the work of reading Bonfire through more diverse criticism discourse. This is not for criticism. Interpretations form part of the topological interpretation. It is hoped that the new oriented versatility explored in Baek-seok's poems can be a way to evaluate the aesthetic value of lyric poetry.

      • KCI등재

        과학적으로 표현된 언어적 다의성 공간과 확률 그리고 언어적 개념 모델의 구성

        박상업,김기옥 한국물리학회 2014 새물리 Vol.64 No.11

        The linguistic polysemy means the meanings connected to a word. Determining the polysemy is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belief. Thus, the degree of belief becomes the probability.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olysemy is the similarity and the nearness. To explain the polysemy, we derive the Gaussian probability density of two independent parameters by using the maximum entropy condition. The product of two probabilities shows the property of connected concepts. Thus, we can construct a prototype concept model from the standard deviation and a weighted-attribute model from the average of the probabilities. Finally, we will show simple examples of linguistic and scientific concepts by separating the concept space. 언어적 다의성은 한 단어로 연결할 수 있는 의미들을 나타낸다. 다의성은 연관된다는 믿음의 크기로 된다. 믿음의 정도를 수학적으로 구성하여 확률을 얻고, 다의성은 근접성과 유사성의 두 가지 특성을 가지므로, 최대 엔트로피 조건으로 2가지 독립변수를 갖는 가우스 확률 분포를 얻고, 다의성에 대응시킨다. 다의성 속성을 갖는 개념들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결합 개념들을 두 개의 확률밀도의 곱이 만드는 특성을 이용하여 구분한다. 확률밀도의 평균값은 평균 개념을 만들며, 세부속성을 가중치로 합치는 세부특성모델로 되며, 모든 속성이 필요한 경우는 고전 범주 모델이 됨을 보인다. 또한 표준편차는 원형모델이 됨을 보인다. 개념 공간이 계열체와 통합체로 분류되고, 언어적 예와 과학적 예를 간단하게 보인다.

      • 어휘의미의 다의성형성에 대하여

        박길만(朴吉万)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7 중국조선어문 Vol.209 No.-

        어휘의미의 다의성의 형성과정에 대하여 여러면에서 살펴보는것은 어휘의미의 면모를 바로 인식하기 위한 하나의 조건인데 본 론문에서는 어휘의미의 다의성의 형성에 대하여 직관성이 어느 정도 보장되는 의미성분분석의 방법과 단어결합의 방법에 기초하여 분석서술하였다.

      • KCI등재

        상상력, 다의성, 그리스도교 신앙

        박욱주(Wook Joo Park)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2 No.-

        신앙의 개별화, 그리고 이 개별화된 신앙들 사이의 조화를 통한 공동체 신앙의 형성은 그리스도교 신학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주제이다. 본고는 이 주제를 다루기 위해 선험적 상상력에 대한 하이데거의 실존론적-존재론적 논의와 언어의 다의성에 대한 리쾨르의 현상학적-해석학적 논의를 연관지어 탐구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본고의 논의는 다음의 세가지 결론들을 도출한다. 첫째, 선험적 상상력은 순수한 시간의 상을 형성하여 직관적이고 개별화된 존재이해를 가능케 한다. 둘째, 신앙은 선험적 상상력으로부터 발원하여 그 존재론적이고 시간적인 본질에 근거해서 신–인 관계의 가능성을 부단히 길어내려는 시간적 희망의 행위로 구현된다. 셋째, 선험적 상상력으로부터 발원하여 개별화된 신앙은 언어의 다의성을 담화 내에 구현하는 은유의 방법을 통해 공동체의 신앙으로 새롭게 지양된다. Christian theology has unceasingly involved the arguments for the isolation of faith and the formation of community’s faith through the reconciliation between isolated faiths. To deal with this issue in a phenomenological way, this paper explores Heidegger’s existential-ontological thought of transcendental imagination and Ricoeur’s phenomenological - hermeneutic idea of linguistic polysemy. This exploration would lead this paper to the conclusions that transcendental imagination, forming the pure ‘Bild’ of time, makes possible intuitive and isolated understanding of being; that faith, derived from transcendental imagination, constantly seeks the possibility of Divine - human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its ontological and temporal essence; and that isolated faith, originated from transcendental imagination, sublates itself into community’s faith through metaphor, by which linguistic polysemy is realized in discourses. The phenomenological reflection upon human imagination and linguistic polysemy, I believe, would shed light on their relation to the faith of an individual Dasein and a Church community. Faith, at its most fundamental level, liberates both the individual self and the community, an act what might be called freedom. A genuinely intuitive grasp and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Dasein and language would render Christian faith to be more adequate to fit us into the world, that is, the ontic aspects of human reality.

      • The Polysemy of Scripture: A Semiotic Approach to Scriptural Interpretation

        최문수(Choi, Moonsoo)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科學硏究 Vol.21 No.-

        스피노자에게 성서해석의 임무는 저자의 의도를 찾아내는 것이다. 왜냐하면 저자의 의도된 의미 만에 유일하게 타당한 의미이기 때문이다. 그는 특히 언어적 문맥과 상황적 문맥을 중시하는데, 이는 문맥이 저자의 의미가 애매하거나 불확실 한 경우 해당 표현의 의미를 문자적으로 해석할지 또는 비유적으로 해석할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어거스틴은 저자의 의도를 넘어선 성서의 다의성을 인정한다. 하지만 그가 인정하는 다의성은 신학적 원리, 즉 신앙과 도덕성의 원리에 의해 교조적으로 결정되는 고정된 다의성이다. 해체론을 주장하는 데리다에 따르면 저자의 의도에 의해 권위가 부여되는 특권적 의미도 텍스트 외부의 원리에 의해 결정되는 고정된 의미도 불가능하다. 코드와 문맥의 고정성을 비판하는 데리다에게 의미과정이란 무한한 차연의 연속이고, 따라서 성서의 의미는 특정한 문맥으로 결정될 수 없는 무한한 다의성에 열려있게 된다. 하지만 에코의 주장처럼 코드는 사실상 역동적이고 따라서 비록 그로인해 하나의 텍스트가 잠재적으로 무한한 해석을 허용하지만, 동시에 해석의 최소 조건으로서 언어적 문맥을 요구한다. 결국 성서의 다의성은 역동적이지만 언어적 문맥에 의해 제한된다고 할 수 있다. For Spinoza the task of the interpretation of Scripture is to find the intention of the author in that the author's intended meaning is the only proper meaning. He stresses the function of the linguistic context and the situational context, which is needed to decide whether the literal meaning should be retained or replaced with the figural meaning when the author's intended meaning is ambiguous or obscure. On the other hand, Augustin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multiple meaning of Scripture beyond the author's intention. Augustine's principle is however dogmatic and based upon the theology of the Catholic Church, the rules of faith and morality. This means that the polysemy of Scripture is fixed by the dogmatic rules. According to Derrida, representative of deconstructive reading, there can be neither privileged meaning by the author's intention nor fixed meaning by extra-textual rules. For him, signification lies in a limitless chain of différance, and hence interpretation becomes a process of infinite regression. Scripture is then inexhaustible and open to polysemy without limit. As Eco states, however, although a text allows potentially unlimited interpretations by virtue of the dynamic nature of the code, it requires a minimal condition of interpretation, which is the linguistic context. The polysemy of Scripture is therefore dynamic but limited by the linguistic context.

      • KCI등재

        민속에 나타난 ‘불(火)’의 물리적 경험과 기호적 의미

        표인주(Pyo, In-Joo) 비교민속학회 2016 비교민속학 Vol.0 No.61

        인간이 불을 발견한 것은 삶의 경험적 기반이 바탕이 된 것으로, 불의 원초적 체험 기반은 태우기이다. 태우기를 통해서 체험할 수 있는 것이 연기, 빛, 열이었다. 열을 이용하는 과정 속에서 연기와 빛의 경험을 하게 된 것이다. 여기서 열은 실용적 경험의 토대로서만 지속되어 왔다면, 연기와 빛은 실용적인 경험을 토대로 종교적 경험으로 발전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불의 물리적 경험은 태우기로부터 시작하여 연기피우기, 밝히기, 가열하기(익히기, 덥히기 등) 등으로 확장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이와 같은 불의 물리적 경험 영역을 토대로 다양한 기호적 경험을 한다. 그것은 자연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이 작용하여 형성한 기호내용이 불의 다양한 민속을 형성시킨 것이다. 불의 민속의 기호화 과정과 기호적 의미를 6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화전농업과 쥐불놀이의 기호화는 <태우기 ↔ 생산(풍요) → 화전농업․쥐불놀이>라는 기호적 경험의 구조를 통해 전개되고, 기호적 의미는 생산(풍요)이다. 두 번째로 화재막이의 기호화는 <화기(火氣)의 땅(화재) ↔ 재액 → 화재막이(불막이제, 도깨비제, 소금단지 매장, 짐대세우기)>라는 기호적 경험의 구조를 통해 이루어지고, 기호적 의미는 재액(소멸)이다. 세 번째로 달집태우기(동화제)․횃불싸움․낙화놀이․액막이불놓기․불밝히기의 기호화는 <불 ↔ 정화 → 달집태우기(동화제)․횃불싸움․낙화놀이․액막이불놓기․불밝히기>라는 기호적 경험의 구조를 통해 전개되고, 기호적 의미는 정화(신성)이다. 네 번째로 기우제(불피우기)의 기호화는 <불(연기) ↔ 주술 → 기우제>라는 기호적 경험의 구조를 통해 전개되고, 기호적 의미는 주술(생산)이다. 다섯 번째로 연등행사의 기호화는 <등불 ↔ 재생(부활) → 연등행사>라는 기호적 경험구조를 통해 전개되고, 기호적 의미는 재생(부활)이다. 마지막으로 민속음식의 기호화는 <자연적인 식재료 ↔ 변형 → 민속음식>라는 기호적 경험의 구조를 통해 전개되고, 온돌의 기호화는 <차가운 방 ↔ 변형 → 온돌(구들)>의 기호체계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들의 기호적 의미는 변형(변화)이다. 문화는 우리가 공유하는 물리적 경험과 그것으로부터 다양하게 확장된 기호적 경험의 게슈탈트적 융합체이다. 이러한 구조 안에서 공공성과 변이성을 갖게 되는데, 달집태우기(동화제)․횃불싸움․낙화놀이․액막이불놓기․불밝히기에서 액막이불놓기․불밝히기는 현저하게 공공성을 잘 드러내고, 횃불싸움․낙화놀이는 변이를 드러내고 있다. 정화(신성)라는 기호적 의미를 지닌 액막이불놓기와 불밝히기가 가장 원형적이며 보편적인 것이고, 횃불싸움과 낙화놀이는 변이형태로서 개별성을 드러낸 것이다. 따라서 횃불싸움과 낙화놀이의 기호적 근원은 액막이불놓기와 불밝히기라는 것을 말하고, 액막이불놓기와 불밝히기가 불의 민속을 전승하는 원초적 기반이었음을 말한다. 동일한 물리적 경험은 하나의 기호적 경험에 반영된 다양한 기호내용의 중첩으로 인해 기호적 의미의 다의성을 갖게 한다. 예컨대 화전농업․쥐불놀이는 생산과 풍요의 관념이 작용하여 형성된 기호적 경험으로서, 기우제(불피우기)도 주술적인 방법으로 생산과 풍요를 추구하기 위한 기호적 경험이라는 점에서 기호적 의미의 유사성을 갖는다. 그리고 달집태우기(동화제)․횃불싸움․낙화놀이․액막이불놓기․불밝히기는 기본적으로 정화라는 기호적 의미를 가지고 있고, 정화의 수단은 모든 종교적 행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액을 물리치고 몰아내어 신성의 모습을 유지하는 것은 생산을 기원하기 위함이고 재생을 간절하게 소망하기 위한 것이어서 기호적 의미의 다의성을 갖는다. 연등행사 또한 단순히 재생(부활)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을 갈망하고 재액을 몰아내고자 하는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에 다의성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기호적 의미의 다의성은 서로 다른 기호적 경험의 영역을 서로 넘나들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불은 인간의 삶에서 중요한 실용적인 도구이지만, 종교적인 측면에서는 경계의 대상이면서 정화의 수단으로 활용된다. 특히 가열하기의 물리적 경험을 토대로 형성된 민속음식이나 온돌(구들)의 기호적 경험은 실용성을 추구하지만, 태우기2와 밝히기의 물리적 경험을 토대로 형성된 기호적 경험들은 종교적인 의미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불로 인한 재앙을 물리치기 위해 불막이제, 도깨비제, 소금단지, 짐대세우기와 같은 화재막이를 한 것이나, 액을 물리치기 위해 불밝히기, 액막이불놓기, 달집태우기, 횃불싸움, 낙화놀이와 같은 정화적인 행사를 한 것은 불의 양면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A find of fire is based on life experiences of human beings and the physical experiences of fire expand from burning to smoldering, lighting and heating. Human beings went through a variety of symbolic experiences based on the physical experiences of fire and the generated natural,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formed a variety of folklore. The symbolic meanings of fire in folklore are production, calamity, purification and transformation. Culture would be defined as the Gestalt syncytium component of the shared physical and symbolic experiences. In this structure, it has publicity and variability and ‘Ak-mak-e-bul-no-ki’ and ‘Bul-bal-ki-gi’ are most archetypal and universal and ‘Hwa-bul-ssah-um’ and ‘Nak-hwa-no-ri’ are variations that have individuality. The same physical experiences make polysemy of symbolic meanings by superposition of various symbolic contents that are reflected on a symbolic experience. ‘Yeon-dung-hang-sah’ is also a polysemy in that it pursues not only regeneration but also production and removing calamity. Fire is polysemy in that it is a practical tool for human beings as well as is vigilance and a method of purification in religious aspect.

      • KCI등재

        다의성에 따른 확장된 어휘 단위 양상 연구

        유인선(Inseon Y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다의성’과 ‘확장된 어휘 단위’의 사용 양상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 시도이다. 확장된 어휘 단위는 대상어와 주변 공기어 사이에 형성된 네 가지 의미 분석 단위로, 본 연구에서는 이 중 ‘의미 선호’와 ‘의미 운율’을 다루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대상으로 ‘나타나다’와 ‘많다’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두 어휘의 용례를 ‘연세대학교 다의어 주석 말뭉치’에서 수집하여, 그 의미 선호와 의미 운율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미 선호와 의미 운율의 사용 양상은 다의성에 따라 변별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나타나다’와 ‘많다’는 모두 22종류의 의미 선호가 분석되었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나타나다’의 의미 선호는 [생물], [모양], [인지]였으며, ‘많다’는 [생물], [물건], [모양]이었다. 하지만 ‘나타나다’와 ‘많다’의 의미 선호는 형성된 종류와 주된 의미 선호가 세부 의미에 따라 다른 양상이 보이고 있었다. 의미 운율의 경우에는 카이제곱 검정 분석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어휘의 카이제곱 값을 통해 다의성과 의미 운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두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의 효과 크기는 ‘Cramer V 계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나다’는 두 변수 사이에 매우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많다’는 중간 이상의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이러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정확히 어떤 요소 때문인지는 ‘수정된 표준화 잔차’를 분석하여 설명하였다. 지금까지 의미 선호와 의미 운율을 다룬 연구들은 주로 ‘단의어’라는 제한된 연구 대상을 ‘공시적인 관점’에서 다루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의미 단위들은 단의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며, 오히려 본질적으로 ‘통시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된 개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미 선호와 의미 운율의 연구 대상과 분석 방법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음을 구체적인 언어 자료 분석을 통해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work aims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polysemy and extended lexical units. Here, the extended lexical units refer to multiple levels of semantic units formed between the target word and the co-occurring words. To this end, usages of ‘나타나다’ and ‘많다’ were collected from ‘Yonsei Corpus of Polysemy’. Semantic preference and semantic prosody of the two words were analyzed. Results of this study have revealed a difference in the usage patterns of semantic preference and semantic prosody according to polysemy. Specifically, the two words had 22 types of semantic preference. Semantic preferences mainly used were [organism], [shape], and [cognition] in the case of ‘나타나다’, and [organism], [item], and [shape] in the case of ‘많다’. However, the semantic preferences of ‘나타나다’ and ‘많다’ differed in the number of types used and the semantic preferences mainly used according to detailed meanings. Statistical significant tests (chi-square test) were carried out to analyze semantic prosody. Both words were foun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by, there is evidence of correlation between polysemy and the usage patterns of the semantic prosody of ‘나타나다’ and ‘많다’. And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lysemy and semantic prosody variables was analyzed through the ‘Cramer’s V’.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나타나다’ had a very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많다’ had a strong correlation above the middle. Finally, ‘adjusted standardized residual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Until now, studies analyzing semantic preference and semantic prosody have mainly dealt with words with a single meaning from a synchronic perspective. However, these semantic units are not limited to monosemy, and are essentially concepts formed based on a diachronic perspectiv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an be used as a basic premise to expand the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of semantic preference and semantic prosody, an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 KCI등재

        다의성에 따른 확장된 어휘 단위 양상 연구

        유인선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4

        This work aims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polysemy and extended lexical units. Here, the extended lexical units refer to multiple levels of semantic units formed between the target word and the co-occurring words. To this end, usages of ‘나타나다’ and ‘많다’ were collected from ‘Yonsei Corpus of Polysemy’. Semantic preference and semantic prosody of the two words were analyzed. Results of this study have revealed a difference in the usage patterns of semantic preference and semantic prosody according to polysemy. Specifically, the two words had 22 types of semantic preference. Semantic preferences mainly used were [organism], [shape], and [cognition] in the case of ‘나타나다’, and [organism], [item], and [shape] in the case of ‘많다’. However, the semantic preferences of ‘나타나다’ and ‘많다’ differed in the number of types used and the semantic preferences mainly used according to detailed meanings. Statistical significant tests (chi-square test) were carried out to analyze semantic prosody. Both words were foun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by, there is evidence of correlation between polysemy and the usage patterns of the semantic prosody of ‘나타나다’ and ‘많다’. And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lysemy and semantic prosody variables was analyzed through the ‘Cramer’s V’.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나타나다’ had a very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많다’ had a strong correlation above the middle. Finally, ‘adjusted standardized residual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Until now, studies analyzing semantic preference and semantic prosody have mainly dealt with words with a single meaning from a synchronic perspective. However, these semantic units are not limited to monosemy, and are essentially concepts formed based on a diachronic perspectiv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an be used as a basic premise to expand the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of semantic preference and semantic prosody, an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본 연구는 ‘다의성’과 ‘확장된 어휘 단위’의 사용 양상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 시도이다. 확장된 어휘 단위는 대상어와 주변 공기어 사이에 형성된 네 가지 의미 분석 단위로, 본 연구에서는 이 중 ‘의미 선호’와 ‘의미 운율’을 다루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대상으로 ‘나타나다’와 ‘많다’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두 어휘의 용례를 ‘연세대학교 다의어 주석 말뭉치’에서 수집하여, 그 의미 선호와 의미 운율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의미 선호와 의미 운율의 사용 양상은 다의성에 따라 변별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나타나다’와 ‘많다’는 모두 22종류의 의미 선호가 분석되었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나타나다’의 의미 선호는 [생물], [모양], [인지]였으며, ‘많다’는 [생물], [물건], [모양]이었다. 하지만 ‘나타나다’와 ‘많다’의 의미 선호는 형성된 종류와 주된 의미 선호가 세부 의미에 따라 다른 양상이 보이고 있었다. 의미 운율의 경우에는 카이제곱 검정 분석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어휘의 카이제곱 값을 통해 다의성과 의미 운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두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의 효과 크기는 ‘Cramer V 계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나다’는 두 변수 사이에 매우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많다’는 중간 이상의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이러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정확히 어떤 요소 때문인지는 ‘수정된 표준화 잔차’를 분석하여 설명하였다. 지금까지 의미 선호와 의미 운율을 다룬 연구들은 주로 ‘단의어’라는 제한된 연구 대상을 ‘공시적인 관점’에서 다루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의미 단위들은 단의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며, 오히려 본질적으로 ‘통시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된 개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미 선호와 의미 운율의 연구 대상과 분석 방법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음을 구체적인 언어 자료 분석을 통해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