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南坡 洪宇遠의 논설류 산문 연구

        우지영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5 No.-

        Nampa Woo-Won Hong(1605~1687) is a literary bureaucrat who acted in Sukjong ~Injo. 『Nampa collection』, Woo-Won Hong’s work collection, is largely comprised of poems and Sangsomun and the number of prose works such as Gi, Seol, and Seo. However, Woo-Won Hong expressed the criticism consciousness on the social reality of that time in an effective and interesting way through all kinds of literary devices rather than revealing it in a fractional and straightforward manner. Hereby this paper analyzed Won-Woo Hong’s editorial prose focusing on its material and descriptive way. 「Nomaseol」 among Woo-Won Hong’s editorial prose described the criticism consciousness on the social condition that something is thrown away if it becomes useless by focusing on the conversation the old horse and master have, and 「Mokgeunchimseol」 expanded the discussion with the deep subject which could alarm the society by starting the story from the routine material of wooden pillow. 「Gakseol」 criticized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at time by considering the horned horse and cat as a material, and 「Baekheuknan」 contained the criticism and satire on the reality that the sense of values of right and wrong was reversed through Byeonnan that black and white fought. These works expressed the subject effectively by bringing about the readers’ sympathy through the intimate material such as thrown old horse, wooden pillow made of tree, white and black colors. Also, it revealed the subject logically by hypothesizing the fictional question and answer of white and black, question and answer of old horse and master. And it expressed the subject indirectly through the metaphor and deposition rather than referring to the reality of that time in a specific and direct way. 南坡 洪宇遠은 仁祖에서 肅宗 연간에 활동한 문인 관료이다. 홍우원의 문집인 『南坡集』은 시와 상소문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記ㆍ說ㆍ序 등의 산문 작품의 편수는 적은 편이다. 하지만 홍우원은 그의 논설류 산문에서 당대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단편적이고 직설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각종 문학적 장치를 통하여 효과적이면서도 흥미롭게 표현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홍우원의 논설류 산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소재와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분석을 해보았다. 홍우원의 논설류 산문 중 「老馬說」에서는 늙은 말과 주인이 나누는 대화를 중심구도로 하여 필요할 때는 취하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버려버리는 인정세태에 대한 비판의식을 서술하였고, 「木根枕說」에서는 목침이라는 일상의 소재에서 이야기를 시작하여 위정자가 인재를 알아보고 등용하는 문제에까지 논의를 확대해 갔다. 「角說」에서는 뿔이 난 말과 고양이라는 기형의 동물을 소재로 하여 당대 정치 상황을 비판하였고, 「白黑難」에서는 선과 악을 상징하는 색깔인 白과 黑이 서로 벌이는 문답을 통하여 옳고 그름의 가치관이 전도된 현실세태에 대한 비판과 풍자를 담았다. 이들 작품에서는 버려지는 늙은 말, 나무등걸로 만든 목침, 뿔이 난 말과 고양이, 흑색과 백색 등의 친근하거나 흥미를 끌만한 소재를 통하여 독자의 공감을 불러일으켜서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출하였다. 또한 주인과 늙은 말 사이의 대화, 백색과 흑색이 벌이는 허구적 문답을 가설하여 답변자의 발언 속에 작자의 목소리를 담아내어 주제를 논리적이면서도 설득력 있게 드러내었다. 그리고 당대 현실에 대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비판을 하는 것이 아니라 비유와 기탁을 통하여 주제를 우의적으로 표현하였다.

      • 투고논문 : 남파(南坡) 홍우원(洪宇遠)의 논설류 산문 연구

        우지영 ( Jee Young Woo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5 No.-

        남파(南坡) 홍우원(洪宇遠)은 인조(仁祖)에서 숙종(肅宗) 연간에 활동한 문인 관료이다. 홍우원의 문집인 『남파집(南坡集)』은 시와 상소문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기(記)·설(說)·서(序) 등의 산문 작품의 편수는 적은 편이다. 하지만 홍우원은 그의 논설류 산문에서 당대 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단편적이고 직설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각종 문학적 장치를 통하여 효과적이면서도 흥미롭게 표현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홍우원의 논설류 산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소재와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분석을 해보았다. 홍우원의 논설류 산문 중 「노마설(老馬說)」에서는 늙은 말과 주인이 나누는 대화를 중심구도로 하여 필요할 때는 취하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버려버리는 인정세태에 대한 비판의식을 서술하였고, 「목근침설(木根枕說)」에서는 목침이라는 일상의 소재에서 이야기를 시작하여 위정자가 인재를 알아보고 등용하는 문제에까지 논의를 확대해 갔다. 「각설(角說)」에서는 뿔이 난 말과 고양이라는 기형의 동물을 소재로 하여 당대 정치 상황을 비판하였고, 「백흑난(白黑難)」에서는 선과 악을 상징하는 색깔인 백(白)과 흑(黑)이 서로 벌이는 문답을 통하여 옳고 그름의 가치관이 전도된 현실세태에 대한 비판과 풍자를 담았다. 이들 작품에서는 버려지는 늙은 말, 나무등걸로 만든 목침, 뿔이 난 말과 고양이, 흑색과 백색 등의 친근하거나 흥미를 끌만한 소재를 통하여 독자의 공감을 불러일으켜서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출하였다. 또한 주인과 늙은 말 사이의 대화, 백색과 흑색이 벌이는 허구적 문답을 가설하여 답변자의 발언 속에 작자의 목소리를 담아내어 주제를 논리적이면서도 설득력 있게 드러내었다. 그리고 당대 현실에 대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비판을 하는 것이 아니라 비유와 기탁을 통하여 주제를 우의적으로 표현하였다. Nampa Woo-Won Hong(1605~1687) is a literary bureaucrat who acted in Sukjong ~Injo. 『Nampa collection』, Woo-Won Hong``s work collection, is largely comprised of poems and Sangsomun and the number of prose works such as Gi, Seol, and Seo. However, Woo-Won Hong expressed the criticism consciousness on the social reality of that time in an effective and interesting way through all kinds of literary devices rather than revealing it in a fractional and straightforward manner. Hereby this paper analyzed Won-Woo Hong``s editorial prose focusing on its material and descriptive way. 「Nomaseol」 among Woo-Won Hong``s editorial prose described the criticism consciousness on the social condition that something is thrown away if it becomes useless by focusing on the conversation the old horse and master have, and 「Mokgeunchimseol」 expanded the discussion with the deep subject which could alarm the society by starting the story from the routine material of wooden pillow. 「Gakseol」 criticized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at time by considering the horned horse and cat as a material, and 「Baekheuknan」 contained the criticism and satire on the reality that the sense of values of right and wrong was reversed through Byeonnan that black and white fought. These works expressed the subject effectively by bringing about the readers`` sympathy through the intimate material such as thrown old horse, wooden pillow made of tree, white and black colors. Also, it revealed the subject logically by hypothesizing the fictional question and answer of white and black, question and answer of old horse and master. And it expressed the subject indirectly through the metaphor and deposition rather than referring to the reality of that time in a specific and direct way.

      • KCI등재

        ‘잡(雜)’의 의미를 통해 본 조선시대 잡설(雜說)

        이미진 ( Lee Mi-ji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21 漢文古典硏究 Vol.42 No.1

        논설류 산문의 일종인 說은 대체로 제목에 주요 제재나 사건, 창작 목적을 반영한다. 이와 달리 설의 하위항인 ‘雜說’은 제목으로 제재나 목적을 예측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설의 특징을 벗어난다. 박물학적 분류에서는 분류하기 어려운 것을 편의상 ‘雜’이라 부른다. 그렇다면 잡설은 설로서 분류와 명명이 어려운 작품으로, 그 낮은 격이라도 인정해야 하는가? 아니면 낙오하지 않고 기록되어 남아있다는 점에서 잡설의 가치를 밝혀내야 하는가?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잡설을 살펴보며 그 의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했다. 조선초기 成侃부터 조선후기 許傳에 이르기까지 ‘雜說’이라는 題下의 글은 꾸준히 창작되었고, 작품 수 또한 적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문학 연구에서 이를 본격적으로 다룬 경우는 거의 없다. 이는 아마도 ‘雜’이라는 글자가 내포하는 ‘잡박’하고 ‘번잡’한 특성 때문일 것이다. 廣義와 狹義의 의미로 광범위하게 사용된 雜說은 정의와 분류가 애매한 저술에도 붙이던 이름이었기에 자연히 연구 대상에서도 소외될 수밖에 없었다. 본고에서는 그동안 소외되었던 잡설에 주목하되, 잡설의 특징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요소를 ‘雜’이라는 명칭에서 찾으려고 했다. 따라서 雜이 의미하는 ‘번잡[碎]’과 ‘모음[聚]’에 집중하여 작품을 분석했다. 그 결과, 잡설은 작가의 평소 사유와 밀접하게 연관된 일상의 단상을 충실히 기록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잡설은 만물을 모은 기사 혹은 의론들을 실어 세계를 바라보는 작가의 시각과 철리적 깨달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In general, the main material of the Seol appears in the title. The Japseol cannot predict its material or subject through its title. Therefore, the Japseol is already different from the general Seol. Then, how did the writers perceive the Japseol’s ‘Jap’? This paper tried to find an answer to that question by analyzing the works. From Sung Ka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o Heo J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Japseol was steadily created, and the number of works was not small. Nevertheless, it was rarely dealt with in the study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This is probably due to the “mingle” and “miscellaneous” character of the word “Jap”. The Japseol was a name given to writings with ambiguou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s, so it was not naturally selected as a subject of stud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Japseol, but tries to find elements that can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Japseol in the name of ‘Jap’. Therefore, I analyzed the work by focusing on ‘miscellaneous’ and ‘gathering’, which the Japseol mean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Japseol faithfully recorded the daily thought. The articles seem to show lightly a part of daily life, bu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writer’s usual thoughts. In addition, the Japseol attempted to describe the perspective and philosophical enlightenment of the world through articles or disputatious prose that gathered all things.

      • KCI등재

        說에 나타난 동물에 대한 인식과 문학적 형상

        이미진(Lee, Mijin) 한국언어문학회 2020 한국언어문학 Vol.113 No.-

        The Seol explains the subject through various subject matters. Therefore, examining the awareness and literary imagery of subject matters in the work reveals the purpose and literary value of the Seol. In this paper, in 122 works, we examined the types of animals and aspects of the works in the Seol. As a result, three aspects were revealed. First, animals are given social roles. Second, it is the case that the animal sets the example of morality. Third, empathy for animals is emphasized. The Seol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 Seol has taken livestock, worms, and insects as subject matters, which are common in the real world. Only 3% of all Seols were made with imaginary animals as subject matters. The Seol is about realizing the truth of life using everyday materials. Thus, there is no need to stimulate our imagination or to use mysterious animals as subject matters. In addition, in the Seol, animals are set as literary symbols, but in some cases, the author’s experiences and insights about animals are revealed.

      • KCI등재

        의원설(醫員說)에 나타난 주제 구현 방식 고찰

        이미진 ( Lee Mi-jin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9 한국문학연구 Vol.0 No.61

        본고는 의원(醫員)이라는 소재가 설(說)에서 주제를 구현할 때 어떻게 활용되는지 살핀 연구다. 다양한 소재가 주제 구현을 위해 복무한다는 점은 설의 가장 큰 특징이다. 이 때문에 설에 나타난 소재를 살피는 것은 설연구의 중점이 된다. 이 노력의 일환으로, 본고에서는 의원설(醫員說) 7편에 나타난 주제 구현 방식을 분석했다. 작품은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 바람직한 의원과 그렇지 않은 의원을 대조하고 구체적인 일화를 제시해 세태를 고발한 경우다. 이 작품들은 의원의 역할이 작가에게 성찰의 대상이 된다. 둘째, 의원이 대화를 통해 병자의 인식을 전복시킨 경우다. 이 작품들은 의원이 병자에게 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 작품 분석을 통해 의원설의 특징을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의원설은 다른 고전 서사 작품과 달리, 의원을 비현실적이고 낭만적인 영웅으로 그리지 않고, 장황한 의학 이론을 전달하는 주체자로 설정하지도 않는다. 설은 일상에 가까운 소재를 끌어와 인간의 보편적인 이치를 깨닫는 내용을 주로 전달하므로, 의원에게 병을 고치는 일 이외에 다른 능력을 부여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둘째, 의원설은 작중 인물이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만나기 때문에 우연한 만남 혹은 단순한 호기심 등이 나타나지 않는다. 생활 속에서 벌어지는 의외의 광경과 이를 통한 작은 깨달음은 설의 주요 창작 배경이지만, 의원설은 의외의 내용이 전개되지 않는다. 다만, 작가가 이야기하고 싶은 특정 문제와 해결책을 ‘병과 치료’로 비유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문제를 직시하고 올바른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 This paper focuses on how doctors in the Seol contribute to the implement the themes. A typical feature of the Seol is that various materials serv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themes. Therefore, Seol research should focus on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materials. As part of this effort, this study analyzed the way of implementing the themes about doctor in Seol. Works are divided into two types. First, it is a case of criticizing the social conditions by comparing a good doctor with not a doctor, and by presenting specific anecdotes. Second, it is a case that the doctor switched the sick’s perception through dialogue. In Seol, doctors do not appear as fantastic and romantic heroes. The doctor in the Seol only serves as a means to communicate what the writer wants to say. The theme of the work suggests a generally desirable human figure, and allows us to distinguish the means and ends of the problem. Furthermore, it criticizes the absurdity of society. In other words, the Seol features a social function. This is a characteristic of a Seol in which a doctor appears and also the difference from literary works of other genres in which a doctor app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