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돌봄서비스 이용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자살시도경험과 음주행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권중돈,김유진,엄태영 한국노인복지학회 2011 노인복지연구 Vol.0 No.5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alcohol drinking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vious suicidal attempt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older people who live alone with care services. A face-to-face survey with each elderly who lives alone in Seoul, May 2010, was conducted, and 55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causal relationships and the moderating effects among and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older adults who had previous suicidal attempts appeared to have higher score for the suicidal ideation than the elderly without suicidal attempts. In addition, the level of alcohol assumption had the moderating effect on subjects’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finding, older adults who live alone with a history of suicide attempts form a high-risk group for suicide preventi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lderly suicide prevention are as follow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suicide prevention for the older adults should include screening tools,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high-risk people, especially with a history of suicide attempts and late-life drinking. 본 연구는 노인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독거노인의 과거 자살시도 경험과 자살생각 및 이 두 변수에 대한 음주행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독거노인 자살예방 실천개입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에 활용한 데이터는 2010년 5월부터 1개월간 서울시 강동구 및 서대문구 거주 노인돌봄서비스 이용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자료를 원 자료로 하였으며, 총 553명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변수간의 인과관계와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자살시도경험이 있는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거 자살시도경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음주행위정도가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거노인들의 자살과 관련해서 먼저 과거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독거노인에 대해서는 위험군으로 분류하여 적극적인 예방개입이 이루어져야 하고, 자살예방프로그램 내에 음주문제관리를 위한 접근이 필요하며, 독거노인의 특성상 자살위험을 발굴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과거 자살시도경험 및 음주행위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와 관련한 실천적 개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해준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노인자살생각의 영향요인 분석 연구 : 경기도지역을 중심으로

        유병선,정규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연구소 2016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3 No.2

        우리나라 노인자살률은 OECD국가 중 1위로 노인자살문제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노인자살생각의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선행연구를 통해서 노인자살에 영향력이 있다고 검증된 개인적 특성 변인이 노인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2014년 노인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통계분석방법은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은 경기도 지역의 65세 이상 노인(1,360명)을 한정하여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민기초생활수급을 하는 노인인 경우, 취업을 한 노인인 경우, 우울한 노인인 경우, 노인학대 경험을 한 노인일수록 자살생각을 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자살예방사업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Elderly suicide rate in Korea is the top of the OECD countries, so recently Korea government take a policy of elderly suicide prevention in various ways. The survey and reasons of elderly suicide must take precedence in order to reduce elderly suicide rat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termining factors that lead to suicidal thoughts in the elderly of Gyeonggi Province. SPSS program were utilized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was a binary logisitic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cipient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guarantees, the employed elderly, elderly with depression, and elderly who experienced elderly abuse reported more suicidal thoughts than if they did not fall into any of these categories. This study propose policy implication at the local level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예비노인층과 노인층 자살률의 지역별 현황과 요인 및 정책과제

        김형수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8

        본 연구는 노인집단(예비노인층과 노인층)의 지역별 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을 검토하고, 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또 지역별 노인집단 자살률의 격차요인을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노인집단 자살 예방서비스의 제공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년(2006-2015) 동안 통계청에서 발표한 지역별 노인집단 자살률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사회경제적 요인과 노인집단 자살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복지예산비중, 이혼율, 경제활동 참가율, 재정자립도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들이 연령대별과 지역특성별로 노인집단 자살률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노인층과 노인층의 자살예방을 위해 중앙정부의 자살예방 대책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와 예산지원 하에 지역차원에서의 연령대별 예방대책의 수립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and trends of regional elderly group(pre-elderly and elderly segment)’s suicide rates and socio-economic factors, to analyze the relevance of suicide rates and socio-economic factors, and to understand differential factors of elderly group’s suicide rates between metropolitan areas and small-medium sized areas. For this, analysis on relevance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elderly group’s suicide rates has been done using regional statistical data for the past ten years(2006∼2015)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ccording to research findings,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welfare budget ratio, divorce rates, economic activity rates, and financial independent rates have shown different effects on elderly group’s suicide rates by age rang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tasks for alleviating suicide rates of elderly group.

      • 노인의 우울과 자살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이민숙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2 No.3

        본 연구는 노인자살 문제와 관련하여 자살의 잠재적 원인인 노인우울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와 우울, 노인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노인 우울에 어떤 영향을 주고, 우울이 노인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여 노인자살의 실태와 사회적지지, 우울이 노인 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우울과 노인 자살방지를 위한 사회사업가의 개입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조사는 서울, 경기 일원에 위치한 노인종합복지관과 일반종합복지관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60세 이상 남, 여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법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노인들은 평균 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고, 사회적 지지가 노인우울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울정도는 평균 2.22(최대값 4.3)이고, 자살생각은 0.22(최대값 2.0)이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노인 자살생각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사회적 지지가 약하다고 느끼는 노인이 자살생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계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사회적 지지가 없다고 느끼는 노인이 심각한 우울에 빠지게 되는 것을 증명하였다. 노인의 우울정도는 자살생각에 대해 정적인 상관관계이고, 우울정도가 심한 노인일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노인자살에 대하여 우울을 매개로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또한 동거여부가 노인자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노인자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가 약화된 독거노인 중심으로 자살과 우울예방에 대한 사회사업적 프로그램과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연구논문 : 노인자살 예방대책의 현황과 과제

        이희완 ( Hi Wan Lee ),유현숙 ( Hyun Sook Yoo )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1 글로벌사회복지연구 Vol.1 No.2

        노인자살을 유발하는 요인은 생물학적, 사회적, 심리적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서 발생한다. 성별에서는 남성노인이 여성노인보다 자살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종교활동의 참석정도가 높을수록 자살률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배우자와의 사별이나 자아존중감의 상실, 심신건강의 악화, 경제적 어려움, 가족이나 사회적 지지의 저하, 젊은이들이 노인을 대하는 부정적인 태도 등이 노인의 자살률에 영향을 미친다. 정부에서는 2008년 자살예방종합대책을 수립하였으나 아직까지 자살예방대책이 통합적이지 못할뿐만 아니라 생애주기별에 따른 특화된 자살예방대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는 자살예방전담기구나 국가와 민간의 자살예방 및 자살위기개입 협력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고, 자살예방전문가와 자살관련 데이터베이스가 확보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노인자살예방 대책은 특정한 자살원인 방지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위험요인을 줄여나가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노인자살 위험군에 대한 스크리닝 도구도 국가적 차원에서 개발되어야 한다. 나아가 노인자살예방 운영체계가 구축되어야 하고, 노인자살예방 전문가가 충분히 양성되어 선진국처럼 응급전화(Tele-Help)나 위험도가 높다고 판정된 노인에게 전화접촉(Tele-Check)서비스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자살위험이 높은 노인에 대한 집중적인 개입을 위해 노인과 접촉기회가 많은 사회적 지지체계의 다양한 활용방안을 마련해야 하기 위해 정부는 물론 국민 모두가 노인자살 예방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대처가 필요하다. Elderly suicide is caused by complicated factors including biological, psychological, social factors, etc. The suicide possibility of the male elderly is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 elderly. The higher participation in religious activity is, the lower the suicide rate is. The elderly suicide rate is influenced by death of spouse, loss of self-wor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eases, poverty, decrease of social and family support, young people`s negativ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old people, etc.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the comprehensive policy on suicide prevention in 2008. However, the specific policy by life-time cycle and the integrated policy are not established. Compared with advanced countries, the suicide prevention organization and cooperative system for suicide preven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are not built in Korea. Suicide related database and suicide prevention specialists must be procured. In order to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it is also necessary to reduce suicide related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rather than to prevent particular causes. The screening tool of the risk group has to be developed and operation system of elderly suicide prevention must be established. The tele-help, tele-check, gatekeeper, counseling, and case management need to be utilized. For intensive intervention in the risk group,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social support system for elderly suicide prevention.

      • 노인자살에 대한 고찰

        황영아 ( Young A Hwang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14 성경과 상담 Vol.13 No.-

        노인 자살율은 1997년에 1,174에서 2003년 한 해 동안은 65세 이상 노인 2,760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2004년에는 61세 이상 노인 자살자가 4,220명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sup>*</sup> 따르면“2008년에는 4,364명, 2009년에는 5,051명으로 증가하였으며 65세 이상 우리나라 노인자살률은 국제사회에서 자살이 많은 것으로 알려진 일본보다 두 배 이상 높았고 노인자살자수는 전체 자살자 수의 32.8%를 차지하는 심각성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sup>**</sup> 이처럼 증가하고 있는 노인자살 문제는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될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인자살 문제는 개인적인 생명을 훼손하는 것과 개인의 삶이 질의 문제에도 영향이 있겠지만 이러한 자살의 증가는 그 가족과 공동체의 파괴를 가져오며 더 나아가 사회의 통합을 헤치게 된다. 이처럼 증가하는 노인자살에 대하여 개인과 우리사회,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다각적인 노력과 대책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우리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노인자살문제 대한 다양한 연구가 더 확장되고 전개되어서 여러 가지 대책과 방안들이 노인자살예방에 적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the advance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medicine, preventing human illnesses and prolonging the average lifespan. In South Korea, one in ten people are over the age of 65. Especially after 2010, the reason behind the rapid growth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that around the world, baby boomers entered old age.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hich announced the `Aged population statistics of 2007` in celebration of Senior Citizens Day, the elderly population outlook is such that in 2016 the elderly population will supersede the under-14-years-old juvenile population. In 2026 South Korea will see an increase in its elderly population with two in ten people being elderly, resulting in the elderly population reaching 20.8%, becoming a super aging society. South Korea is experiencing unparalleled speedy aging, which is difficult to find in any other country around the world. The various elderly problems generated by an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is no longer a personal or family matter but acknowledged as a societal and national matter. The author counseled elderly people who were more susceptible to suicide, narrowed down based upon thoughts of suicide and suicidal tendency tests, in order to analyze the actual reasons they had behind suicidal thoughts.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지역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자살률을 넘어서

        박영미,김병규 대한지방자치학회 2021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이 지역자살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26개 기초자치단체의 2010년부터 2017년까지 8 년간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측정 가능한 실적을 독립변수로, 전체자살률과 65세 미만 자살률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통제변수로 수집 가능한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을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장기요양급여 이용수급자 비율, 제공기관 비율, 노인 1인당 공단부담금은 각각 기초자치단체의 전체자살률과 65세 미만 자살률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지역사회 자살률 감소와 65세 미만 자살률 감소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total suicide rates and suicide rates under 65 years old in local governments. For the analysis, total suicide rates and suicides rates under 65 years old at local government levels is considered as dependant variables, and index on long-term care insurance is considered as the explanatory variable in 226 local governments from 2010 to 2017. In the results, the proportion of elderly long-term care recipients, the proportion of long-term insurance service providers,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share in expenses per capita have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otal suicide rates and suicide rates under 65 years old.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policy alternatives to decrease total suicide rates and suicide rates under 65 years old in local governments.

      • 기독교 노인과 비기독교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영향요인

        전미애 總神大學校 2021 總神大論叢 Vol.41 No.-

        우리나라의 자살률, 특히 노인의 자살률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한편 기독교에서는 살인을 하지 말라고 십계명에 명시하고 타살과 자살을 금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기독교 노인은 비기독교 노인에 비해 자살생각을 덜 하는지, 기독교 노인과 비기독교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른지, 기독교 및 비기독교 노인을 전기와 후기 노인으로 구분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른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10,293명을 기독교(2,386명)와 비기독교(7,907명)로 나누어 기초통계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기독교 노인은 비기독교 노인에 비해 자살생각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독교 및 비기독교 노인 모두에게 유의미한 영향요인(연령, 만성질환수, 우울. 자녀갈등경험유무)도 있고, 비기독교 노인에게만 유의미한 영향요인(흡연여부, 배우자만족도, 자녀관계만족도, 사회참여활동수)도 있었다. 기독교 노인에게만 해당하는 영향요인은 없었다. 연령대를 전기와 후기로 구분하여 4집단으로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비기독교 전기노인에서는 만성질환수, 우울, 배우자 만족도, 사회참여 활동수가, 비기독교 후기노인에서는 흡연여부, 취업여부, 만성질환수, 우울, 자녀갈등여부가, 기독교 전기노인에서는 우울만이, 기독교 후기노인 집단에서는 만성질환수와 자녀갈등여부가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밝혀졌다. 끝으로 결과에 따른 논의와 함께 교회와 사회의 역할에 대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노인자살률의 지역별 편차

        유정균(Jung-Kyun Ryu) 한국인구학회 2008 한국인구학 Vol.31 No.2

        이 논문은 가족의 불안정성이 노인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추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거주 지역, 가족불안정성, 사회경제적 수준을 설명변수로 인과구조의 분석모형을 만들었다. 자료는 1995년, 2000년, 2005년의 사망원인통계와 시ㆍ군ㆍ구 지역단위통계, 그리고 인구동태통계를 활용하였다. 이혼을 통해 가족불안정성을 측정하였으며, 이혼이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살피기 위해 노인과 20-50대, 그리고 남자노인과 여자노인자살률을 분석에 같이 사용하였다. 기존 문헌검토를 통해 가족불안정성과 노인자살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세 시점의 자살률을 제시하였고, 거주 지역 및 이혼에 따른 노인자살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혼율은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중부 내륙지방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높게 나타난다. 일부 지역에서만 높은 수치를 보이던 노인자살률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높아져, 최근에는 남서해안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최근 10년간 농촌지역에서의 노인자살률이 급격하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농촌지역에서의 노인 문제가 심각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급증한 이혼은 가족불안정성으로 이어져 자살률을 높이는 효과를 보여준다. 노인자살률과 20-50대 자살률에 미치는 이혼의 효과는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노인의 경우 더 강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혼이 자살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는데, 여자노인 보다 남자노인자살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분석결과들을 통해, 가족불안정성이 특히 남자노인자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amily instability on the elderly suicide and to examine the change over time. An analytical model of causal structure was set up with residence, family instability and socioeconomic level as explanation variables for this study.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and micro-data from the vital statistics for 1995, 2000 and 2005 were used. Family instability was measured through divorce, and the rate of elderly(male and female) suicide as well as the suicide rate of the elderly and those in their 20-50's was used for this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divorce. This study hypothesized about family instability and elderly suicid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presents maps of the suicide rate by using GIS, and then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are carried out to verify a difference in the elderly suicide rate affected by residence and divorce. Divorce rate appears in most areas with a high level centering around metropolises except the central inland area. The rate of elderly suicide which stayed in only specific regions with a high level has increased as time went by, and the graph leveled high in most regions except the southwestern coast. In addition, the elderly suicide rate was increased rapidly in rural areas for the most recent 10 years. This shows the seriousness of problems of the aged in rural areas. Through the periods of economic crisis, a sudden increase in divorce causes family instability, which increase the suicide rate increasing. Divorce affects the elderly suicide rate and the 20-50s' suicide rate in the same way, and the stronger effect goes to the elderly rather than those in their 20-50s'. Regarding elderly suicide, the divorce has a different effect by gender, affecting males more than females. With these facts, we can draw the conclusion that family instability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elderly males' suicide.

      • KCI등재

        성별 노인 자살의 시·공간적 확산에 관한 연구

        주유형(YooHyung Joo),이희연(Hee Yeon Lee)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3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의 노인 자살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노인 자살률은 OECD 국가들 중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하여 노인 자살의 공간 패턴과 공간 군집성을 살펴보고, 노인자살의 확산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003-12년 동안 우리나라 남성 노인 자살자수는 여성 노인 자살자보다 평균 1.66배, 그리고 자살률은 평균 2.48배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노인 자살의 공간패턴을 보면 성별에 관계없이 모두 수도권과 대구, 부산 등 대도시에서 밀집하고 있으며, 특히 노인 자살 현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살자 수가 많았던 지역에서 주변지역으로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 남성의 경우 노인 자살자 수가 군집하는 핫스팟이 주로 경기 남부로 확산되었으며, 여성의 경우 노인 자살의 핫스팟이 충청남도 해안 지역까지 좀 더 멀리 확산되고 있었다. 공간 마르코프 변이행렬 분석 결과 노인 자살은 이전 시점의 주변지역의 자살자 수와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노인 자살의 확산효과는 시공간 다이나믹 패널모형의 검정 결과에서 통계적으로도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노인의 경우 남성 노인보다 자살의 확산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노인자살은 시·공간적으로 확산되는 사회적 전염성을 보이는 현상임을 밝혀주었으며,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별로 차별화된 노인 자살 예방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During the last 10 years, the rate of elderly suicide in South Korea has increased drastically; it has been ranked as the highest among OECD nations. In this respe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spatial pattern of the elderly suicide and to examine the spatial-temporal diffusion of elderly suicide by gender. We use a Markov transition matrix and a spatial-temporal dynamic model in order to examine the diffusion of elderly suicide by gender.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male elderly suicides is about 1.66 times higher than the number of female elderly suicides, and the rate of elderly suicide among males is 2.48 times higher than that of females. Secondl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male elderly suicide was more spatially aggregated than that of the female elderly suicide, and hot spots of elderly suicide also expanded or relocated to nearby areas. Male elderly suicide had mainly dispersed over southern Kyunggi-do, while female elderly suicide had diffused farther up to the coastal area of Chungchung-do. Thirdly, the number of elderly suicides in one area can become similar to the number of elderly suicides of nearby areas,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elderly suicides in one area is associated to the number of elderly suicides in nearby areas in the preceding time frame. Fourth, such diffusion of elderly suicide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less of gender. In the case of female elderly suicide, the diffusion effect is larger than for male elderly suicide. This study may give a important policy implication for establishing the differentiated elderly suicide prevention policy by male and fem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