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인유사체험교육이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에 미치는 영향

        안병운(ByoungWoon An),이주일(JuIl Rie)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0 창조와 혁신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유사체험이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내의 고령사회교육센터에 설치된 생애체험실의 체험을 신청한 총 179명을 대상으로 노인유사체험이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노인유사체험을 실시하기 전에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에 대한 사전조사를 하였고, 노인유사체험 후 체험자가 밝힌 의견에 대한 질적 분석과 주관적으로 느끼는 노화관련 태도, 지식, 노후 생각에 대한 변화량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노인유사체험 후 노인에 대한 태도변화에서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는데, 체험 전 82.13점에서 78.94점으로 노화관련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노인유사체험 후 개인차 변인으로 측정한 통제소재에 따른 지식 및 태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태도에서 내적 통제 집단이 외적 통제집단 보다 더 긍정적으로 태도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화관련 지식에서는 두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분석에서는 노인에 대한 태도는 현재 노인과의 동거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노인에 대한 지식에서는 학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현재 노인과 동거하는 사람보다 동거하지 않는 사람이 더 긍정적으로 태도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노화과정을 체험하는 교육이 노인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는데 유용하지만, 이러한 노인에 대한 체험적 교육이 노인에 대한 지식적 교육과 함께 이루어져야 더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ages, locus of control and senior simulation programs affect people's knowledges and attitudes toward elderly people. In study, the author examined how senior simulation program affected people's knowledges and attitudes toward elderlies by surveying 179 people who applied for the senior simulation center program at the Education Center for Aging of University. In Study, the author also conducted a qualitative analysis on how the participants think of the senior simulation program and their later life. Results of study show that participation in the senior simulation program(SSP) significantly affected attitude changes toward elderly people - from 82.13 points to 78.94. Especially attitude of internal control groups were more positively increased by the senior simulation program. compared to external control groups. But knowledge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according to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groups. And attitudes were affected depending on whether participants live with elderly people or not. Participants not living with elderly family members were more positively affected.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lderly experience education help people develop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elderly people.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연구

        김욱(Wook Kim)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3

        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측정하고, 관련 변인들이 그 지식 및 태도 수준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양국 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10개 대학 학생 1129명(한국은 서울, 경기, 충청지역 소재 5개 대학 학생 840명, 미국은 뉴욕지역 소재 5개 대학 학생 289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결과를 SPSS 15.0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노인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기 위한 Palmore(1998)의 Fact on Aging Quiz Part 1(FAQ 1), 노인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Sanders 등(1984)의 의미분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그리고 몇 가지 인구사회적 및 노인관련경험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을 비교한 결과 25점 만점에 한국대학생은 12.51점, 미국대학생은 11.57점으로 한국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이 미국대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의 문항별 차이를 보면 한국은 9개 문항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여 준 반면 미국은 4개 문항에서만 높은 정답률을 보여주어 역시 한국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이 미국 학생에 비해 높음을 뒷받침했다. 둘째,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20점-140점 구간에서 한국대학생은 77.54점, 미국대학생은 70.07점으로 미국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점수가 낮아 한국대학생에 비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의 문항별 차이를 보면 한국대학생은 오직 한 문항에서 미국학생들보다 긍정적으로 답변한 반면 미국대학생은 14문항에서 한국학생들에 비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역시 미국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한국학생에 비해 긍정적임을 뒷받침했다. 셋째, 한국과 미국 대학생 모두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특히 양국 학생 간 그 강도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노인에 대한 심리적 지식과 가족/사회적 지식은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관련 정책과 실천 및 후속연구에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were to examine the level of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knowledge of and attitudes about the elderly by selected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ging related facto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129 college students attending 10 school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840 Korean students in 5 schools, located in Seoul City, Gyeonggi-Do, Chungcheong-Do in Korea and 289 American students in 5 schools located in the State of New York of the United States). They were interview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5.0 for Windows. The research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Fact on Aging Quiz Part 1(FAQ 1) developed by Palmore(1998), Semantic Differential Scale development by Sanders et al., and several socio-demographic and aging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the level of knowledge of the elderly for Korean students was 12.51/25 and for American students was 11.57/25, resulting that the knowledge level of the elderly in Korea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students' knowledg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howed that Korean students showed high ratio of correct answer in 9 questions while American students showed high ratio of correct answer in only 4 questions, resulting that Korean students have higher knowledge than American students. Second, the level of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for Korean students was 77.54 and for American students was 70.07 in 20-140 points, resulting that the attitude level of the elderly among American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The results of students' attitudes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howed that Korean students responded positive tendency in only one question while American students responded positive tendencies in 14 questions, resulting that American students wer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in both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were further discussed.

      • 간병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업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노인전문병원 간병인을 대상으로

        정명희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0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4 No.-

        노인인구 증가 및 만성퇴행성 질환의 증가 추세 속에서 장기요양보호 대상에 대한 간병서비스의 필요성은 증가하는데 반해 가족에 의한 노인간병과 보호의 기능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앞으로 간병인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에서 건강상의 문제를 지닌 노인환자를 가족들을 대신해 보수를 받고 돌봐주는 간병인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와 업무만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간병인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업무만족 수준을 알아보고, 실제로 노인의 태도가 업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의 관계규명을 통해 앞으로 노인에 대한 바람직한 이해 및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 전환을 통해 서비스의 질은 물론 업무만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The increasing size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es, as well as the increasing inability for family members to administer proper care is made worse by a low supply of sick nurses and attendants in hospitals for the elderly. This study analyzes th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work satisfaction levels of caretakers at geriatric hospitals.After gathering data about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work satisfaction levels of caretakers at geriatric hospitals, this study: 1) analyzes the level of those attitudes and job satisfaction, 2) explores the affects of those attitudes on job satisfaction, and 3) understanding that relationship, proposes a preliminary outline that attempts to increase employee satisfaction.

      •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

        송은옥 ( Song Eun Ock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8 사회복지경영연구 Vol.5 No.1

        고령화 문제에 대한 별다른 대책 없이 고령사회로 진입해가고 있는 우리의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미래 고령사회에서 팽창된 노인세대를 부양하고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고 책임져야 할 지금의 20대 젊은 층이 노인에 대하여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는 향후 노인복지의 방향과 정책의 결정은 물론, 사회적 합의를 형성해 가는 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노인에 대한 지식제공 및 강화가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듯이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긍정적인 경우 노인 복지서비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에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연구는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도 필수적이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증가하는 노인인구에 대비하여 젊은 세대들이 노인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미래의 사회의 주역으로 활동하는 젊은 세대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대해서 연구하고 그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 알아보며, 나아가 그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바람직하게 변화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노인복지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In light of the reality that we are entering an aging society without any measures against the aging problem, we are now in the midst of the present age twenty young people who need to support the elderly generation expanded in the aging society of the future, The attitude of the elderly can be an important criterion for shaping social consensu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the future welfare of the elderly and policy decisions. As the knowledge provision and strengthening of the elderly can improve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elderly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elderly welfare service. It is also essential and important to develop programs and policies f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ways in which the younger generation can have the right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 preparation for the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the elderly and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In addition, they will contribute to the positive and desirable attitude of their elderly people and to contribute to the elderly welfare in the right direction.

      • KCI등재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원격대학 장년기 대학생을 중심으로

        전혜성,권금주 한국노인복지학회 2009 노인복지연구 Vol.0 No.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yber university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bout the elderly, and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ir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008 to June, 2008 and 245 responses from the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mean score of th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was about 14. It is higher relatively than other groups that were investigated before. And the mean score of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as the standard rate. Second, the significant predictor to explain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as th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sex, age. Among them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was the knowledge about the elderly. The practical guidances were recommende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about the elderly, and change the students, the public's 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복지 정책 방향과 서비스 내용을 결정짓는데 있어서 사회구성원들이 갖는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주요 영향요인임을 주시하여, 원격대학 장년기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측정하고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1개의 원격대학에서 2008년 3월에서 6월까지 장년기에 해당되는 대학생들에게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였다. 자료는 총 245부이며 SPSS 1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은 평균 14점(정답률 56%)이며, 노인에 대한 태도는 평균수준의 점수로 나타났다. 노인에 대한 태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는 노인에 대한 지식(p<0.01), 연령(p<0.01), 성별(p<0.05)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에 대한 지식 중 심리적 영역의 지식은 노인에 대한 태도 중 행동특성과 일상생활 관련 소외경향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p<0.01). 마지막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 개선을 위한 실천적 제언과 이러한 태도개선이 노인복지정책과 서비스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제고하였다.

      • KCI등재후보

        연령별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전략적 방안모색

        이금룡(Geum Yong Lee) 한국노인복지학회 2004 노인복지연구 Vol.0 No.26

        본 논문은 세대통합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운영하는데 있어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각 연령별로 노인태도에 관한 비교분석을 통해 세대통합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할 가장 적절한 시기를 밝히려 하였다. 또한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의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노년층과 청소년의 노인태도에 대한 차이점을 하위개념을 이용해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청소년 집단을 중심으로 노인관련 정보 및 지식 습득경로와 노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긍정적인 노인태도를 형성하기 위해 세대통합 프로그램에서 청소년들에게 강조해야 할 점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을 포함한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으며, 총 조사 대상자 는 1,038명이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대통합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한 적절한 시기는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기 이전의 시점이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다. 연구결과, 중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비해 고등학생의 노인태도가 급속도로 부정적인 성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 시기의 노인태도의 급변에 주목 해야 한다. 둘째, 노인세대와 청소년간의 노인태도의 하위개념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활동적인 영역에서 두 집단 모두 부정적 혹은 중립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영역에 있어서는 노년층은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반면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은 부정적 태도를 보이고 있고, 중학생들은 중립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반해서, 성향적 영역은 모든 연령집단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세대통합 프로그램에서 유도해야 할 가장 큰 목적이 상호간의 이해 증진이라고 한다면, 청소년들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영역들을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이 노인 혹은 노년기에 대한 정보 및 지식을 습득하는 경로와 인지과정에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었다. 전반적으로는 노인교육에 대한 경험이나 또래 친구들과의 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TV 프로그램이나 대중매체의 광고를 통해 가장 많이 노인의 정보를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님과의 대화를 통해 노인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노인태도를 형성하는 요인은 제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 조사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시기는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급되는 시기가 가장 효과적이며, 프로그램의 내용으로는 사회적 영역에 해당되는 노인 이미지를 중점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rategie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intergenerational programs-especially between the youth and the old. For this, the study identifies the adequate timing for and contents of intergenerational programs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attitudes toward older persons among age groups. In particular, the attitudes toward older persons and the socialization process of the young respondents-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were analyzed. Total respondents were 1,038 persons including all age grou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found that the adequate timing for intergenerational program for the youth is the period between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attitudes toward older person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relatively more positive than other young age groups-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Secondly, the attitudes toward older persons varies with age groups-the youth and the old. The attitude items representing `activity` were marked negative or neutral points both the youth and the old. The attitude items of `sociality` area showed different responses between the youth and the old. The youth showed negative feeling for the sociality items, while the old were positive. When it comes to planning intergenerational program, the main strategy is to effectively eliminate the misunderstanding of other side. Therefore, we have to consider that the youth and the old did not come to agreement with the attitudes of `sociality` toward older persons. Finally, the information processes of older persons and later life have in common and differences among the youth. In general, the youth are much more exposed to TV program and mass media advertizement rather than other information processes in recognizing older persons and later life.

      • KCI등재

        성인의 노인 접촉 경험과 노인에 대한 태도의 관계 연구: 충북 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박윤경,이은주,류상희 한국노인복지학회 2016 노인복지연구 Vol.7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dults' contact experiences and different attitudes towards the elderly depending on their contact experiences.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a survey targets; 1,409 university students, adults and elders living in Chungcheongbuk-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ults' images of the elderly from indirect contacts through media were mostly negative. The ages and level of educations were two sociodemographic factors that affected forming intimacies and the media images of the elderly. The youth population and people who graduated high schools had less intimacies with the elderly and had negative images of them. Second, Adult'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showed the most positive opinions on a support policy for the elderly. The second most positive opinion was on an acceptability towards the elderly. However, they showed negative responses on the elderly as they became perceived threats. Compare to the other groups, the elderly and people who did not graduated middle schools were positive about accepting the elderly and negative about perceived threats. Third, sub-factors of the elderly contacts that significantly impacted on the attitudes towards the elderly were intimacy towards the elderly, media contacts about the elderly and media images of the elderly. The study showed that the groups with intimacy, media contacts and positive media images of the elderly had the most positive ideas.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recommended implications on forming positive attitudes and supports toward the elderly. 본 연구는 성인의 노인에 대한 접촉 경험과 노인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고, 노인 접촉 경험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3개시와 9 개 군 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 성인, 노인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지 총 1,409부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집단의 미디어를 통한 노인 이미지는 주로부정적이었으며, 노인과의 친분과 미디어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연령과 학력이었다. 청년층과 고졸 이상의 학력 집단은 노인과 친분이 적고 노인에 대한이미지를 부정적으로 형성하였다. 둘째, 성인 집단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에 대한 지원정책에 가장 긍정적이었고, 다음은 노인에 대한 수용성이었다. 그러나 위협 인식에 대해서는보통 이하의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다른 집단에 비해 노년층과 중졸 이하 집단은 노인에대한 수용성에는 긍정적이었고, 위협인식에는 부정적이었다. 셋째, 노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노인 접촉 경험은 노인과의 친분 유무, 노인에 대한 미디어 접촉 유무, 노인에 대한 미디어 이미지였다. 즉, 성인 집단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과 친분이 있는집단이, 노인에 대한 미디어를 접촉한 집단이, 노인에 대한 긍정적 미디어 이미지를 가진 집단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 및 노인 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노인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노화불안이 노인과의 시공간 공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지연(Jiyeon Lee),한경혜(Gyoung-Hae Han)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2

        이 연구는 노인과 시공간을 공유하는 것이 연령차별주의를 극복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노인을 위한 공간의 필요성 담론이 지속적으로 제기 되고 노인을 위한 공간이 실제로 만들어지고 있지만, 이는 오히려 노인들을 따로 구분 짓고 구획화하는 결과를 가져와 노인에 대한 배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연령과 공간에 관한 논의를 할 때에는 다양한 연령이 함께 어울려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소통의 공간이 연령통합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연령차별주의는 노인과의 섞임을 피하도록 만들고 어렵게 하는 측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령차별주의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노인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노화불안이 노인과 시공간을 공유하는 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세대 간 접촉의 효과에 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자료를 활용하여 19세 이상 한국 성인남녀 1,535명의 표본을 분석하였다. 노인과 시공간을 함께하는 것에 대한 태도를 종속 변수로 하고, 연령차별주의의 인지적 측면인 노인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정서적 측면인 노화불안을 독립변수로, 노인과의 접촉 및 교류 경험을 조절변수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이 강할수록 노인과 시공간을 공유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노화불안이 심할수록 노인과 시공간을 공유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셋째, 노인과 일상적 접촉이나 친밀한 교류를 경험한 사람들은 노인과 접촉 기회가 없었거나 피상적 교류를 한 사람들에 비하여 노인과의 시공간 공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넷째, 노인과의 접촉 및 친밀한 교류의 경험은 노인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노인과의 시공간 공유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의 관련성을 완화시켰다. 본 연구는 전국 단위의 대표성 있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령차별주의와 노인과의 접촉 및 교류의 경험이 노인과의 시공간 공유 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노인과 공간에 대한 학문적인 이해를 넓히고, 연령통합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논의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uggests space and time sharing with the elderly as a potentially important way of overcoming ageism in Korean society. While the elderly can benefit from having a separate space designated for their own generation, such demarcated space could also separate and exclude the elderly from the rest of the society. Thus, an interactive public space, in which different generations interact, could serve an important role for the age integration. However, ageism embedded in Korean society may hinder successful integration. In this ligh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negative stereotype towards the elderly and aging anxiety on Korean’s attitudes about sharing space and time with the elderly. We analyzed data from the 2012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n=1,535). The main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egative stereotype towards the elderl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negative attitudes about sharing space and time with the elderly. Second, aging anxiety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negative attitudes about sharing space and time with the elderly. Third, contact and interaction with the elderly, however, was positively related to positive attitudes about sharing space and time with the elderly. Additionally, contact and intimate interaction with the elderly ameliorated negative effects of negative stereotype towards the elderly.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the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an age-integrated space to operate effectively.

      • KCI등재

        중·고등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 : 서울 지역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정란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미래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중고등학생 219명(중학생 99명, 고등학생 118명, 남학생 169명, 여학생 49명)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응답자의 성별 및 학교급, 노인과의 경험에 따라 남녀 노인에 대한 태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anders 등(1984)이 제작한 총 20쌍의 반대되는 형용사로 구성된 의미분화척도에 의한 노인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응답자들은 70세 남녀노인에 대안 태도를 20개 문항에 대하여 Likert 7점 척도(1점 : 가장 긍정적, 7점 : 가장 부정적)로 응답하였으며, 문항별 태도점수의 중립범위는 3.5에서 4.5까지로 규정하였다. 그 결과, 젓째, 중고생들은 남성 노인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반면, 여성 노인에 대해서는 다소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들은 고등학생에 비하여 남녀 노인에 대하여 더 유식하다고 마는 지적인 측면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고등학생들은 중학생에 비하여 남녀 노인을 더 친절하고, 착하고, 낙천적이며, 불평이 없다고 하는 정의적 측면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조부모와의 동거경험 및 조부모의 중요도나 방문빈도에 따라 남녀 노인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조부모 방문빈도, 조부모 중요도, 친밀감, 노인에 대한 태도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한하였다. 첫째,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노인에 관한 교육이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보다 광범위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older people using a sample of 219 schoolers (99 middle schoolers and 118 high schoolers). The Instrument applied to this study consists of the 20-item semantic differential scale developed by Sanders et al.(1984).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format, the respondents evaluated 70 year-old people separated by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① The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the male target were slightly negative, whereas their attitudes toward the female target were slightly positive. ② The middle school students viewed both of male and female older people more knowledgeable, optimistic, and uncomplaining than high school students did. ③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the older people according to the co-living experience with their grandparents, significance of their grandparents, and visiting frequency to their grandparents. ④ The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the older people, visiting frequency to their grandparents, significance of their grandparents, and intimacy with their grandparents were correlated together. Finally, the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in educational gerontology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생애체험이 노인에 대한 이미지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옥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3 문화와예술연구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lderly Life Experience Program, which is a direct experiential education for the elderly as part of the generation integration program, on the impact and relationship on changes in attitudes, knowledge, and image of the elderl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05 college students who applied for senior citizen experience at the senior citizen experience center were selected and 205 people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faithfully answered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senior citizen experience experience. For data analysis, the average difference in attitudes and knowledge toward the elderly before and after the elderly life experience was analyzed using a paired-sample t test, and the relationship with image change was deriv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o deriv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variables was analyzed. Relationships and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showed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across pre- and post-senior life experiences (t=-5.876***, p<.000), and there was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positivity by subtype. did not appear, but in negative and neutral,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were found in items that changed from negative to neutral or negative to positive, and in items that changed from neutral to positive. Second, college students' knowledge about the elderly showed a significant overall mean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elderly life experience (t=-7.773***, p<.000), and the subtypes of knowledge: physical/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y area. Third, the average frequency of college students who answered ‘very yes’ was 74% on whether the senior citizen experience helped them understand aging and change their positive image, indicating that the senior citizen experience positively influenced the change in the image of the elderly. I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descriptive statistics by characteristic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other variables that influence changes in attitudes, knowledge, and image of the elderly by college students' persona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no characteristics were found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ults. Fift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major variab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type variables of attitude and knowledge toward the elderly and the subtype variables of image change toward the elderly was partially significant. showed results. Accordingly, this study found that the life experience of the elderly improves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and aging, positively influences changes in attitude, knowledge, and image of the elderly,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physiological, and social changes in the image and the result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It is believed to be significant as a generational integration program that leads to understanding, empathy, and communication with the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노인에 대한 직접 체험 교육인 노인생애체험 프로그램이 노인에 대한 태도, 지식, 이미지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에 대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노인생애체험센터에 노인생애체험을 신청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 취지에 동의하고 설문지에 성실히 답한 205명을 선정하여 노인생애체험 사전, 사후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노인생애체험 사전, 사후에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의 평균 차이를 대응표본 t 검증으로 분석하였고, 이미지 변화와의 관계는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도출하였으며 주요 변인들간의 관계와 영향은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생애체험 사전, 사후 전반에 걸쳐 유의한 평균의 차이를 보였으며(t=-5.876***, p<.000) 하위 유형별로 긍정에서는 유의한 평균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부정과 중립에서는 부정에서 중립 혹은 긍정으로 변화하는 항목들과 중립에서 긍정으로 변화한 항목들에서 유의한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은 노인생애체험 사전, 사후에 유의한 평균의 차이를 보였고(t=-7.773***, p<.000) 지식의 하위 유형인 신체적/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영역에 대하여 영역별로도 유의한 평균 차이를 보였다. 셋째, 노인생애체험 이후 노화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이미지 변화에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고 답한 대학생들의 분포가 평균 74%의 빈도를 보여 노인생애체험이 노인에 대한 이미지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들의 개인적인 특성과 일반적인 특성에 의해 노인에 대한 태도, 지식, 이미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이 있는지 찾고자 특성별 기술통계 분석을 한 결과, 유의한 결과 차이를 보이는 특성을 찾지 못하였다. 다섯째, 주요 변인들간의 관계와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지식의 하위 유형 변인들과 노인에 대한 이미지 변화의 하위 유형 변인들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생애체험이 노인과 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노인에 대한 태도, 지식, 이미지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미지의 신체적・생리적, 사회적 변화와 그에 따른 심리 및 정서적 변화에 긍정적 영향으로 노인에 대한 이해, 공감, 소통으로 이어지는 세대통합증진 프로그램으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