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전단응력이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혈관내피세포 기능 손상 예방에 미치는 효과

        백경완,김지석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3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1 No.2

        Endothelial cells constituting the vascular intimal layer cause functional changes such as vascular relaxation and angiogenesis due to shear stress generated by continuous friction force with blood f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scular shear stress, which increases due to aerobic exercise, on the improvement of vascular endothelial cell function and related mechanisms through cultured cell experiments. Pre-treatment of shear stress prevented the functional degradation of HUVECs caused by oxidative stres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shear stress disappeared when treated with sirtinol, a SIRT1 inhibitor, demonstrating that SIRT1 is involved in improving the function of aged vascular endothelial cells through shear stress. This study proved that improvement of intravascular shear stress through regular aerobic exercise can contribute to preventing vascular dysfunction due to oxidative stress. 혈관은 3중막으로 구성되는데, 혈관 내피세포로 구성된 내막과 평활근 세포층으로 구성된 중막 및 외막으로 형성된다. 혈관 내막을 구성하는 혈관 내피세포는 혈류와 지속적으로 마찰하며 발생하는 전단응력에 의해 혈관 이완, 혈관 신생 등의 기능 변화를 가져온다. 본 연구는 유산소성 운동으로 인해 증가하는 혈관 전단응력이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혈관 내피세포 기능 저하의 예방에 미치는 효과 및 관련 기전을 배양세포 실험을 통해 규명하는 데 있다. 혈관 이완기능의 생물학적 지표인 eNOS 발현량, 혈관신생기능의 지표인 내피세포관 형성 능력, 혈관 재생기능의 지표인 내피세포 이동 능력 등을 배양된 인간 혈관 내피세포인 HUVEC(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을 통해 실험 조사한 결과, 전단응력을 처치한 세포군에서 산화스트레스 유발 세포기능 저하에 대한 저항성이 나타났다. 즉, 전단응력의 사전 처치가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HUVEC의 기능 저하를 예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SIRT1 발현 억제제인 sirtinol 처치 시 전단응력의 긍정적인 효과가 소멸함을 확인하여, 전단응력을 통한 혈관내피세포의 기능 개선에 SIRT1이 관여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규칙적 유산소운동을 통한 혈관 내 전단응력의 향상이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혈관기능 저하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유산소 운동이 비만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관 내피세포 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현경,강승모,이승엽,박세환,민경완,한경아 대한비만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0 No.3

        연구배경: 비만과 당뇨병은 모두 혈관내피세포기능 부전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운동은 이러한 혈관기능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것이 운동 자체의 효과인지 아니면 체중감소의 동반효과 때문인지에 대한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비만한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체중감소가 없이 유산소 운동만을 시행한 군과 식사 요법, 유산소 운동을 함께 시행하여 체중 감소를 나타낸 군의 혈류매개 혈관확장반응(FMD)을 비교하여 체중 감소가 혈관 내피 세포 의존성 혈관 이완능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8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당뇨센터를 내원한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운동, 식사 요법만을 시행중이거나 메트포르민을 복용 중인 자, 체질량지수 23 kg/m2 이상의 과체중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대조군, 체중 유지 운동군, 체중 감소 식사운동군으로 분류하였다. 체중 유지 운동군은 400 kcal 이상의 열량 소모를 할 수 있는유산소 운동을 주 5회, 1회 60분 이상 시행하였고 체중 감소 식사운동군은 운동군과 같은 정도의 운동을 시행함과동시에 연구 시작 이전의 식사에 비해 300 kcal/day의 열량 섭취를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 전후로 혈류매개 혈관확장반응(FMD), 인슐린 저항성(Kitt), 아포지질단백질 B, 유리지방산, hsCRP 혈청 지질, 혈당, 혈압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12주 후에 대조군과 체중 유지 운동군은 0.75 ± 1.06 kg와 0.64 ± 0.71 kg의 증가로 연구 전후 유의한체중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식사 운동군은 3.07 ± 1.03 kg의 체중 감소를 보였다. 체중 감소가 동반되었던 식사운동군에서 혈류매개 혈관확장반응이 2.62 ± 2.7의 개선을 보였고 아포지질단백질 B과 유리 지방산 역시 유의한감소를 보였다. 인슐린 저항성, hsCRP 등은 대조군, 운동군, 식사운동군 모두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당뇨병 환자에서 운동 요법은 체중 감소가 동반될 때 혈관 내피 세포 의존성 이완능의 개선을 보이고 이는 아포지질단백질 B와 유리지방산의 호전과 동반되어 나타난다.

      • KCI등재

        아세틸 콜린 유발 검사시 허혈성 심전도 변화와 흉통의 발생이 내피세포 기능장애에 미치는 영향

        최철웅(Cheol Ung Choi),나승운(Seung-Woon Rha),김선원(Sun Won Kim),나진오(Jin Oh Na),임홍의(Hong Euy Lim),김진원(Jin Won Kim),김응주(Eung Ju Kim),한성우(Seong Woo Han),박창규(Chang Gyu Park),서홍석(Hong Seog Seo),오동주(Dong Joo Oh)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0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1 No.4

        연구배경: 아세틸 콜린 유발 검사시 발생하는 흉통과 허혈성 심전도 변화가 아세틸 콜린에 의해 발생하는 관상동맥의 내피세포 기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방법: 흉통으로 내원하여 관상동맥 조영술과 아세틸 콜린 유발검사를 시행받은 1,08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아세틸 콜린 유발 검사를 하는 동안 허혈성 심전도 변화 및 흉통의 발생 유무에 따른 관상동맥 내피세포 기능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결과: 539명의 환자에서 아세틸 콜린 검사시 내피세포 기능 장애가 발생 하였다. 허혈성 심전도 변화가 있었던 그룹이 심전도 변화가 없었던 그룹보다 흉통이 더 많았고(78.1% vs. 60.8%, P=0.007), 관상동맥 조영술상 다발성 관상동맥 경련이 빈번하였고(59.4% vs. 40.6%, P=0.004), 관상동맥의 경련 정도도 더 심하였다(64.1% vs. 46.5%, P=0.006). 흉통이 있었던 그룹이 흉통이 없었던 그룹보다 허혈성 심전도 변화의 빈도가 더 높았다(14.7% vs. 7.5%, P=0.007). 또한 흉통이 있었던 그룹이 관상동맥 경련이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고 (50.7% vs. 29.5%, P<0.001), 미만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고(87.1% vs. 75%, P<0.001), 관상동맥의 경련의 정도도 더 심하였다(51.6% vs. 43.5%, P=0.041). 결론: 아세틸 콜린 유발검사시 발생하는 허혈성 심전도 변화와 흉통은 관상동맥 경련의 정도와 경련이 발생하는 관상동맥 개수와 연관이 있다. Background: ECG changes and chest pain during acetylcholine (Ach) provocation tests may constitute important clinical parameters for Ach-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ischemic ECG changes and chest pain during the Ach-provocation test an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of Ach-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Methods: A total of 1,085 patients with anginal symptoms underwent diagnostic coronary angiography (CAG) and Ach-provocation tests. We compare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of Ach-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ECG change and chest pain. Results: A total of 539 patients experienced Ach-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Patients who experienced ECG change group suffered more frequent chest pain (78.1% vs. 60.8%, P=0.007), angiographically more frequent multiple coronary artery spasm (59.4% vs. 40.6%, P=0.004), and more severe coronary artery spasm (64.1% vs. 46.5%, P=0.006) than patients without ECG change.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ngth of endothelial dysfunction between the groups. The incidence of ischemic ECG changes in patients with chest pain was higher than in patients without chest pain (14.7% vs. 7.5%, P=0.007). Patients who experienced chest pain more often experienced multiple (50.7% vs. 29.5%, P<0.001), diffuse (87.1% vs. 75%, P<0.001), and severe coronary artery spasm (51.6% vs. 43.5%, P=0.041) than patients without chest pain. Conclusion: Ischemic ECG changes and chest pain during the Ach-provocation test are associated with multi-vessel involvement and severe coronary artery spasm. Chest pain is associated with the length of endothelial dysfunction, but ischemic ECG change is not.

      • KCI등재

        활동적 비디오 게임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고지방식이 후 혈관기능에 미치는 영향

        윤은선,박수현,이용희,안의수,제세영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3 운동과학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지방 식이 섭취 후 활동적 비디오 게임을 이용한 신체활동이 혈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데 있다. 피험자는 정상체중의 건강한 성인 16명(남자 9명, 여자 7명, 나이 24±4세, 체질량지수 22.4±2.1 ㎏/㎡)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피험자가 신체활동 처치와 통제 처치에 모두 참여하는 cross-over design으로 설계하였다. 고지방식이는 총 1,257 kcal의 햄버거를 섭취하였다. 신체활동은 고지방 식이 섭취 후 30분에 50분간 활동적 비디오 게임(50분)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으로 혈중지질(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혈압, 혈관기능(상완동맥 혈류 의존성 혈관 이완능, 경동맥-대퇴동맥 맥파전파속도)을 측정하였으며, 측정시기는 고지방 식이 전, 고지방 식이 후 3시간, 고지방 식이 후 5시간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일시적 고지방식이는 활동적 비디오 게임 처치와 통제처치 모두 혈중 중성지방 농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나(시기 효과, p=0.001) 두 처치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혈관내피세포 기능은 고지방 식이 후 3시간에 통제처치에서는 감소된 반면(사전:9.32±2.86 %, 식후 3시간:8.13±3.56 %), 활동적 비디오 게임 처치에서는 혈관내피세포 기능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사전:8.74±3.13 %, 식후 3시간:9.21±3.40 %). 경동맥-대퇴동맥 맥파전파속도는 고지방 식이 후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처치 간 차이 또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지방 식이 후 활동적 비디오 게임의 실시는 혈중 중성지방 증가를 유의하게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며, 고지방식이로 인한 혈관내피세포 기능 및 동맥경직도 변화를 개선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건강한 성인에게 활동적 비디오 게임은 고지방 식이에 따른 혈관 기능 변화에 있어 운동의 보호적 효과를 얻기에 운동강도 및 운동량이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A high fat meal transiently decreases vascular function, while acute aerobic exercise improves vascular function. Active video games are now highly popular and play a role in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lthough studies suggest that acute aerobic exercise attenuates high fat meal induced vascular dysfunction, but it is not clear whether an active video game could attenuate vascular dysfunction after a high fat meal.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an active video game would partial l y prevent the unfavorable effect of vascular function by high fat meal in young adults. Using a randomized cross over design, sixteen healthy young subjects (male 9, female 7;age 24±4 yrs, BMI 22.4±2.1 ㎏/㎡) were assigned to both an active video game(AVG:50 minutes) and a seated rest(CON) after a high fat meal. Lipid profiles, blood pressure, and vascular function measured at baseline, 3 and 5 hours after a high fat meal. Vascular function was measured by endothelial function(brachial artery flow mediated dilation;FMD) and arterial stiffness(carotid-femoral pulse wave velocity;C-F PWV). Blood triglyce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wo treatment conditions after a high fat meal and di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AVG:74.06±43.36, 160.63±106.20, 126.81±91.41 mg/dl;CON:70.06±38.67, 168.38±85.89, 128.75±87.26 mg/dl, p=0.878). FMD was decreased in the CON (9.32±2.86 to 8.13±3.56 %), but increased in the AVG (8.74±3.13 % to 9.21±3.40 %) at 3 hr after a high fat mea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0.189). C-F PWV was similarly decreased in two treatment conditions after a high fat meal and di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VG:6.39±1.12, 6.08±0.94, 6.38±1.07 m/s;CON:6.34±0.85, 6.19±0.89, 6.28±1.01 m/s, p=0.483). These findings show that a high fat meal caused a temporary decrease in endothelial function, but these decreases were not significantly attenuated in the group with active video game compare to the group with seated rest. Therefore, active video game may not have a cardioprotective effect in young healthy adults exposed to acute high fat meal.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운동 프로그램이 비만 청소년의 경동맥 내중막두께와 상완동맥 혈관내피세포 의존성 혈관이완능에 미치는 영향

        윤은선 ( Eun Sun Yoon ),정수진 ( Su Jeen Jung ),제세영 ( Sae Young Jae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운동 프로그램이 혈관의 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비만 남자 청소년(연령 13-14세, 평균 체질량지수 30±3 kg/m2) 총 20명을 모집하여 운동군(n=10)과 통제군(n=10)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운동군은 중정도의 운동강도로 주 3회, 1회 운동 시간 60~90분의 운동을 12주간 실시하였으며, 통제군은 동일 기간 평소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운동군과 통제군 모두 운동 참여 전, 후에 체성분 검사, 혈중지질, 인슐린 저항성, 심폐체력, 혈관내피세포 의존성 혈관이완능, 경동맥 내중막 두께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운동 후 운동군에서 체중(p=.001), 체지방율(p=.004), 허리둘레(p=.001)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심폐체력(p=.001)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 최대값(p=.043)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상완동맥 혈관 내피세포 의존성 혈관이완능(p=.001)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혈중 지질과 인슐린 저항성은 유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비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운동 참여는 체성분 개선 및 심폐체력 향상과 더불어 혈관구조와 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vascular structure and function in obese adolescents. Twenty obese adolescents (age 13-14 years, male, body mass index 30±3 kg/m2)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ercise training group (n=10) and a non-exercise control group (n=10). The subjects in the exercise training group performed supervised aerobic exercise programs with moderate intensity for 12 weeks, 60-90 minutes per session, 3 times per week. Brachial artery flow mediated vasodilatation and common carotid artery intima- media thickness(CIMT) were measured using B-mode ultrasound.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p=.001), % body fat (p=.004), waist circumference (p=.001) and increase in cardiorespiratory fitness (p=.001) after 12 weeks exercise program. Maximal CIMT(p=.043), but not mean CIMT(p=.220), and brachial artery flow-mediated vasodilation (p=.001)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ercise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hile lipid profile and insulin resistance were not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ercise group. These data indicate that 12 weeks exercise training program reduced body weight, improved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vascular structure/function in obese adolescent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