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주관증후군 접근 중 마주치는 내측 전완부 피부 신경 분지의 해부학적 분포

        양대석,우상현,천호준,남현재,강동호,김영우 대한수부외과학회 2013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rospective study is to examine the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branches of the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in Koreans encountered during cubital tunnel surgery. Methods: Ninety two patients with cubital tunnel syndrome were treated with a standard approach from December 2008 to July 2012. The position of the branches of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was evaluated based on the medial humeral epicondyle with the elbows fully extended. Results: At least one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branch was found during the surgeries in all patients. The average number of crossing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branches per patient was 1.6. Thirty-eight percent of the cases showed that the medial cutaneous nerve branches cross proximal to the medial humeral epicondyle within 1 cm. Eighty-two percent showed that the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branches cross distal to the medial humeral epicondyle within 1.9 cm. Conclusion: When using standard approach during cubital tunnel surgery,more than one medial forearm cutaneous nerve is found. Therefore, understanding the general position of medi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branches helps avoid iatrogenic damage to this nerve during cubital tunnel surgery.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 있어서 주관증후군 수술 중에 마주치게 되는 내측 전완 피부 신경 분지의 해부학적 분포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2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주관증후군으로 진단받고 전형적인 접근법을 통한 수술을 시행한 9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내측 전완 피부 신경 분지의 분포는 주관절을 신전시킨 상태에서 상완골의 내측 상과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92명의 모든 환자에게서 최소 1개 이상의 내측 전완 피부 신경 분지가 발견되었으며, 평균 1.7개의 신경 분지가 발견되었다. 내측 상과 또는 그 근위부를 지나는 경우는 35예(38%)에서 발견되었으며, 내측 상과에서 평균 1 cm 근위부에존재하였다. 내측 전완 피부 신경 분지가 내측 상과의 원위부를 지나는 경우는 82예(89.1%)에서 발견되었으며, 내측 상과에서 평균 1.9 cm 원위부에 존재하였다. 결론: 주관증후군 환자에게 전형적인 접근법을 이용한 수술을 시행할 때 모든 예에서 최소한 한 개 이상의 내측 전완 피부 신경을 마주치게 되므로, 내측 전완 피부 신경 분지의 일반적인 위치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것은 주관증후군 수술 중에 내측 전완 피부 신경의 의인성 손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