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질적 내용 분석의 개념과 절차

        최성호,정정훈,정상원 한국질적탐구학회 2016 질적탐구 Vol.2 No.1

        This study was aimed to discuss the theoretical aspect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o provide deep and detailed understanding about qualitative data analysis, as it is now getting growing attention in Korea. Although discussions for qualitative research have become more detailed and extensive and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studies that adopt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s an analytic method for data analysis,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have not been sufficient in Korea. So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view the concept, development process and scholars' methodological procedure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conclusion, this study assessed and found firs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thod to analyze messages from mass media, second, a balanced approach is required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third, the consideration of the procedures in content analysis can ensure researchers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analytic results, and fourth, in spite of the third finding, a cautious approach is required before taking the procedures as fixed rules. The discussion abou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expected to provide extensive insights to data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ers. 이 연구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질적 자료 분석에 대해 좀 더 깊고 세분화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질적 내용 분석에 대해 이론적으로 논의하였다. 최근 질적 연구에 대한 이론적 관심이 세분화 되고 있는 측면을 고려한다면 질적 분석의 한 접근으로서 질적 내용 분석은 우리나라에서 많은 연구에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질적 내용 분석의 개념, 발달과정, 그리고 그 분석 단계에 대한 학자들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 첫째, 질적 내용분석은 대중매체 속의 메시지 분석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둘째, 내용분석에 있어 질적, 양적 측면의 균형이 필요하며, 셋째, 내용분석에 있어서 절차에 대한 고려는 분석 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 넷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절차를 정형화된 규칙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질적 자료 분석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질적 연구자들의 자료분석에 적절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발명교육 내용 분석

        이영찬,김희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1

        이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 교과서의 발명교육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이 된 교과서는 초등학교 5학년의 실과, 과학, 사회이었다. 교과서에 기술된 발명교육의 내용을 분석 준거를 바탕으로 단원별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발명교육 내용을 교육과정 내용체계에 따라 분류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각 교과에 제시된 발명교육 내용의 백분율과 그 분포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서에서 도출된 발명교육 내용의 수는 44개이었다. 실과교과의 내용체계 중 가정생활(10개)보다 기술의 세계(34개) 영역에 발명교육 내용이 더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 교과서에 26개, 사회 교과서에서도 32개가 도출되었다. 둘째, 발명 내용 준거에 따라 실과, 과학, 사회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분석된 발명 내용은 발명의 중요성, 인간 생활과 발명, 아이디어의 발상이었다. 3개 교과에서 분석된 발명 내용의 수는 인간 생활과 발명, 아이디어의 발상, 발명의 중요성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분석된 발명 내용 영역은 실과 교과서에서 11개, 과학 교과서에서는 5개, 사회 교과서에는 7개가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론할 수 있는 사실은 다음과 같다. 발명교육 내용은 실과 교과서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11개의 요소가 모두 분석되었으므로 발명교육을 범교과 교육의 형태로 실시할 경우 실과 교과를 중심으로 다른 교과를 통합하는 형태가 바람직해 보인다. 또한 발명교육을 범교과 학습의 형태로 운영하기 위해 적합한 주제는 인간 생활과 발명, 아이디어의 발상, 발명의 중요성 영역 순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발명교육을 범교과 교육의 형태로 진행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extbooks as a prerequisite for fusing the subjects in order to practice the invention education as a interdisciplinary learning. Practical arts, Science, and Social Study, which were deemed to be related to the invention education were chosen. The contents of the 5th grade text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analysis criteria, and they were recorded in the textbook analysis frame. The extracted conte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curriculum contents system, and the proportion and distribution degree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invention presented in each subject were analyzed. In addition, this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ntion education - related learning elements in textbook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44 learning elements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invention education were mentioned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The learning elements related in invention education were more distributed in the world of technology (34 learning elements) than in home life (10 learning elements). The learning elements related to invention education appeared in science textbooks (26 learning elements) and social textbooks (32 learning elements) as well. The science contents related in invention education were evenly distributed in matter, energy, life, and the earth in curriculum system. The social contents related in invention education is evenly distributed in geography, general society, and history in curriculum system. Second, the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that was analyzed in three textbooks in common were the importance of invention, human life and invention, making ideas. The number of inventions analyzed in the three subjects showed a high rate in the order of human life, invention, concept of idea, importance of invention. The contents of the analyzed contents of the invention were analyzed 11 in practical arts textbooks, 5 in science textbooks, and 7 in social textbook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facts can be inferred. If the education of invention is carried out in the form of cross-curricula, it seems desirable to integrate other subject focusing on practical arts. In addition, it seems desirable to select appropriate topics in order to operate the invention education in the form of cross-curricula learning in the order of human life, invention, concept of idea, and importance of invention.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gress of elementary school inventive education in the form of cross-curricula.

      • KCI등재후보

        ‘기술·가정’과 교과서의 발명단원 내용분석을 위한 표준 분석틀 개발

        이상봉,이건환,정재훈 표준인증안전학회 2018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andardized framework for analyzing invention unit at textbook of ‘Technology-Home Economics’ at the secondary level. Literature review of the classification of invention and invention contents standard were adopted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developed ‘standardized Framework for Analyzing Invention Unit at Textbook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consist of three major stages as follows; (1) preparation, (2) development and (3) improvement. In the preparation stage, we analyzed the invention unit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literature review. In the development stage, we were designed the standard framework for analyzing invention unit. In the improvement stage, the content validity was reviewed by the expert and supplemented. Based on this, we completed the standard framework for analyzing invention unit. The developed Standardized framework for analyzing invention unit at textbook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at the secondary level is divided into categories of ‘Technical subject of invention’, ‘Invention area’, and ‘Invention process’. The ‘Technical subject of invention’ category is divided into ‘Production technology’,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Invention area’ category is divided into understanding of invention, invention thinking, invention hand-on activity, inven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The ‘Invention process’ consists of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idea’, ‘Realization’, and ‘Evalu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가정’과 교과서의 발명 단원 내용분석을 위한 표준 분석틀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발명의 분류와 발명 내용학 내용 표준에 따른 문헌 연구를 통해 발명단원의 내용분석을 위한 표준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기술․가정’과 교과서의 발명단원 내용분석을 위한 표준 분석틀 개발을 위하여 준비, 개발, 개선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준비 단계에서는 발명의 분류, 국가교육과정에 나타난 발명내용 등에 대하여 문헌고찰을 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내용분석을 위한 표준 분석틀을 구안하였으며, 개선 단계에서는 내용 타당도 확보를 위하여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발명단원 내용분석을 위한 표준 분석틀을 완성하였다. 개발된 ‘기술․가정’과 교과서의 발명단원 표준 분석틀은 ‘발명의 기술적 주제’, ‘발명의 영역’, ‘발명 과정’의 범주로 나뉜다. 발명의 기술적 주제 범주는 생산기술, 수송기술, 통신기술로 나뉘며, 발명의 영역은 발명의 이해, 발명과 사고, 발명체험활동, 발명과 지식재산으로, 발명 과정은 문제의 이해, 아이디어탐색과 개발, 실현, 평가로 구성된다.

      • KCI등재

        서울시장 선거의 정치광고에 관한 연구: -메시지 내용분석과 정치마케팅적 관점

        최용주,유종필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0 No.-

        정치광고의‘내용’에 대한 연구는 주로 언어적 및 시각적 메시지 내용분석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정치광고 메시지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어떠한 배경에서 왜 그러한 메시지가 등장하게 되었는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설명을 가능하게 하는 접근방법 중의 하나가 소위 정치마케팅적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치광고의 메시지를 내용분석의 관점과 정치마케팅적 관점에서 동시에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난 2006년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중에서 서울시장 선거의 강금실후보와 오세훈 후보의 신문 정치광고를 분석하였다. 먼저 메시지 내용분석 결과 강금실 후보의 경우에는 이슈에 대한 내용은 전무하였으며 인물 중심의 이미지 광고가 대부분인 반면, 오세훈 후보의 경우는 정책과 이미지를 적절히 혼합한 광고를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정치마케팅적 관점에서 분석하면 강금실 후보는 소속 정당인 열린우리당과의 관계가 밀접하지 않았기 때문에 신문광고를 통해 직접적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강조하는데 주력하였고, 이에 반해 오세훈 후보는 소속 정당인 한나라당과의 관계를 강조하면서 정책을 알리는데 주력하였으며, 동시에 정책선거라는 선거원칙의 홍보를 통하여 자신의 깨끗한 이미지를 제고하는 광고전략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오세훈 후보는 이미지 부각을 위해 정책광고를 집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메시지 내용분석과 정치마케팅적 분석이 정치광고의 연구를 위하여 상호보완적인 방법임을 보여준다. The research of political advertising contents has been mainly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message analysis by the linguistic and visual points-of-view. However, the analyses have some limits which they can hardly explain why such message developed in which surroundings, although they can help explaining for specific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advertising messages. The political marketing approach may give us a breakthrough in the issue stated above. Thus, this paper analyzed political advertising messages in terms of the content analytic and political marketing approach simultaneously. In specific, this paper analyzed print advertisements of both candidacies of Kang Gum Sil and Oh Se Hoon for the election of the Mayor of Seoul held in 2006. From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the ads for Kang Gum Sil was mostly concentrated on the image of the candidacy herself not on contemporary issues. Conversely, the ads for Oh Se Hoon was balanced between policies and his image. The result from by political marketing approach suggests interesting points. Kang mostly emphasized on her image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Kang and her party, Uri party, was not close. By contrast, Oh emphasised on his policies because h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his party, Hannara party. His election campaign focusing on the policies also resulted in making his clean image prominent. This paper demonstrated that content analytic method and political marketing approach are complementary for each other in political advertising research.

      • KCI등재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 연구

        김유미 ( You Mi Kim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 학습자의 기능적 문식성(functional literacy)과 비 판적 문식성(critical literacy)을 균형 있게 신장할 수 있는 비판적 읽기 교육의 내용 및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다. 현재의 비판적 읽기 교육은 국어교육 초기 에 비해 외연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글을 읽고 내용의 타당성 이나 표현의 효과성, 자료의 적절성 등을 평가하는 기능 중심의 활동이 주된 교수.학습 내용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구의 결과가 원리나 방향 제시 수준 에 머물러 있으며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교육 내용 및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 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판적 담화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의 관점과 방법을 읽기 교육에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비판적 담화분석은 담화분석 연구의 한 유형으로서 사회적 권력 남용, 지배, 불평등이 사회.정치적 맥락 속에서 말이나 글에 의해 구현되고 재생산 되고 저항되는 방식을 연구하는, 비판적 사회학의 접근법 중 하나이다. 비판 적 담화분석은 텍스트의 언어적 실현 양상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관련지어 이해하게 하고 그 속에 담긴 공동체의 가치관이나 사회적 신념 등을 인식하 고 비판하게 함으로써 텍스트와 독자의 인지적 작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비판적 읽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비판적 담화분석의 개념, 원리, 방법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 고 이것을 국어교육에서 학습자의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하여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의 절차를 ‘인식 확장’, ‘비판적 담화분석 실행’, ‘확인 및 내면화’의 3단계로 구안하였다. ‘인식 확장’ 단계에는 ‘언어 사용(읽기)에 대한 인식’과 ‘자기반성적 점검’을, ‘비판적 담화 분석 실행’ 단계에는 ‘언어적 실현 분석’, ‘사회적 맥락 분석’, ‘언어적 실현과 사회적 실재의 연관성 해석 및 문제점 비판’을, ‘확인 및 내면화’에는 ‘분석 결과의 표현 및 확인’과 ‘학습 내용 내면화’를 세부 내용으로 구성하고 각각 에 적합한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고안한 교육 내용 및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예비 연구에 참가한 81명의 학생들 중 61명을 재선정하여 그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검증을 위한 실험은 61명의 학생들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내용의 수업을 수행하고 그들의 비판적 읽기 결과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첫 번째 집단에는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비판적 읽기 수업을, 두 번째 집단에는 기존의 학습방식에 따른 비판적 읽기 수업을, 세 번째 집단에 는 비판적 읽기와 무관한 외래어 표기법 수업을 수행하였다. 총 3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한 후 학생들에게 동일한 논평을 읽고 분석하고 평가하는 과제를 부여하였다. 그리고 과제 수행 결과에 대한 통계적 분석과 내용 분석 을 하여 비판적 담화분석 활용 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new contents and methods of critical reading education so that high school students can improve their critical literacy. At present, the critical reading education has mainly centered on those activities aimed at evaluating the validity of contents, effectiveness of expression, appropriateness of materials, etc., while putting a less focus on the context of texts or their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a principle and method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should be also applied to 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such bias in the current reading education and keep a balance between function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education. In this study, the procedure of such reading education consists of three stages; “expanding recognition”, “practic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ascertainment and internalization” In more detail, the stage of expanding recognition includes “recognition on language use (reading)” and “self-reflective monitoring”. The next stage of practic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s composed of “analysis of linguistic realization”, “analysis of social contexts” and “interpretation of connection between linguistic realization and social reality”. And, the last stage of ascertainment and internalization consists of “expression and ascertainment of analysis results” and “internalization of learning conten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newly devised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61 students were selected out of 81 ones who participated in the preliminary study,and the critical reading classes were carried out for them. This test for verification was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those 61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o receive different classes from each other. The first group was involved in a reading class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second group was placed in a critical reading class according to an existing learning method, and the third group took a spelling class, having nothing to do with the critical reading. After those classes were performed a total of three times, 61 students were given the same articles and asked to analyze and evaluate them. Then, we came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 of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exhibited an educational effect by performing statistical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on task performance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s, when reading the article, those students who took the class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ere characterized by evaluating the contents, expressions and structures of the article in an overall aspect and criticizing it based on logical and objective grounds. They went so far as to figure out even social cognition embedded in texts by understanding them in social contexts, and express meaning construction in a more logical and systematic way after critical read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detailed method for critical literacy education, which has been actively discussed in recent times. It also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students`` critical reading performance aspects empirically, find out problems, and prepare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results. Furthermore, it examin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 actual classes, which has emerged as a relatively new field of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ircles, and applied it to teaching and learning areas, as well.

      • 초등학교 개정 교과서의 다문화적 내용 분석

        김연권(Kim Yeonkwon),박영준(Park YoungJun)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2

        이 논문은 초등학교 개정 교과서에서 다문화 관련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부는 2006년 12월 다문화 관련 교과 교육과정 시안 연구 개발을 발표한데 이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순혈주의와 단일민족주의 관련 내용을 대폭 삭제하고 다문화 관련 내용을 삽입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2009년에는 1ㆍ2학년 교과서가, 2010년에는 3ㆍ4학년 교과서가 출간되었다. 따라서 개정 교육과정에서 언급된 관점이 개정 교과서에서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살펴보는 일은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일이라 판단된다. 이 논문은 <초ㆍ중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다문화적 요소분석을 통한 개정 방안 연구>를 비롯한 몇 가지 중요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살펴보면서, 선행 연구가 제시한 다문화 요소의 분석틀 (정체성, 다양성 사회정의)을 그대로 활용했다. 다만 선행연구가 주로 교육과정과 기존의 교과서 분석에 주안점을 맞추었다면, 이 연구는 올해 출간되어 아직 한 번도 분석되지 않은 개정판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개정판 초동학교 3ㆍ4학년 1ㆍ2학기 교과서, 특히 다문화적 내용이 많이 등장하는 사회, 도덕, 국어 교과서 및 4학년 1ㆍ2학기 사회과 탐구 둥 총 8종이다. 주요 분석 결과로는 첫째, 사회교과서의 경우 다문화적 내용의 빈도수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주로 지식ㆍ이해의 범주에 머물러 있어서 가치ㆍ태도의 교육 내용이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도덕교과서의 경우 정체성의 영역이 상대적으로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3학년 2학기 교과서에 다문화적 내용이 단원 수준으로 제시된 점이 특징적이다. 셋째, 국어교과서의 경우 사회정의 부분이 많이 보완된 점이 돋보인다. 넷째, 사회과 탐구(경기도의 생활)의 경우 소수자들의 겪는 어려움들을 지식ㆍ이해의 차원뿐만 아니라 가치ㆍ태도의 측면에서 적절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 관련 용어 사용에 있어서의 모호함이나 이주노동자에 대한 편협한 관점들이 남아있어 다소 미홉한 점도 있다. 이 논문은 개정 교과서의 다문화 요소 분석의 출발점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3ㆍ4학년 교과서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화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2011 년에 5ㆍ6학년 교과서가 출간되면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전 학년 개정 교과서의 다문화적 요소 분석이라는 전체적인 차원에서 보완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multicultural contents in revised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ince announcing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in December 2006,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decided to make a major overhaul by both eliminating most of the unilateral ethnicity contents and inserting a great deal of multicultural contents i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textbooks for grades 1-2 and grades 3-4 went through publication in 2009 and 2010, respectively. As a result, it is pertinent to scrutinize how much of the proposed curriculum and perspectives have been applied to the revised textbooks.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several preceding studies on elementary curriculum and existing textbooks, and utilizes the framework for analysis of multicultural contents (identity, diversity, social justice). However, this study pioneers the analysis on newly published textbooks. The eight textbooks examined in this study include revised textbooks for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grades 3-4, especially subjects in Social Science, Ethics, and Korean Language where the reference to multiculturalism is the most preval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Social Science, despite the high frequency of multicultural references, the contents are limited to a superficial level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us it needs to be enhanced by emphasizing more involvement in attitude and value. Secondly, it is noteworthy that the Ethics textbooks treat multicultural education extensively in a chapter/unit, especially in the second semester of third grade. Thir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contents regarding social justice have been significantly enhanced. Finally, the Social Science Research textbook (Life in Kyonggi Province) are quite successful in treating the issues in regards to the small number of multiculturally affected individuals in depth. However, the equivocal use of several terms and prejudices on immigrant workers need to be amended. Since the subject of the analysis is limited to the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 grades, it may not be appropriate to draw a general conclusion on the issue solely based on this study. While the study provides a ground for initial analysis, it needs to be expanded to comprehensively include the analysis of multicultural contents in revised elementary textbooks in its entirety.

      • KCI등재

        초등학교 중학년 교과서의 진로 교육 내용 분석

        강윤주,안이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6 초등상담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과서에 진로교육 내용이 어떻게 나타나 있는지를 분석하여 진로교육 내용 개선의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3, 4학년 국어, 도덕, 사회 교과서와 지도서를 대상으로 교육부(2012)가 개발한 ‘초등학교 진로교육 세부목표 및 성취지표’를 분석 준거로 하여 진로교육 내용을 분 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 4학년 국어 교과서에는 126시간의 진로교육 관련 내용이 나타나 있다. 특히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역량 개발’, ‘자아 이해 및 긍정적인 자아 개념 형성’ 영역이 가장 강조되고 있다. 둘째, 3, 4학년 도덕 교과서에는 57시간의 진로교육 관련 내용이 나타나 있으며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영역이 가장 강조되고 있다. 셋 째, 3, 4학년 사회 교과서에는 102시간의 진로교육 내용이 나타나 있으며 국어, 도덕 교과와 달리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 영역, ‘진로탐색’ 영역이 강조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3, 4학년 국어, 도덕, 사회교과서에는 진로교육 내용이 대부분의 영역에 많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교 육 기회의 탐색’과 ‘진로계획과 준비’에 관한 내용이 거의 없고 학년에 따른 지도영역과 시 간에 편차가 크다. 내용면에서도 직업가치관이나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 의사결정에 대한 내용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반영되도록 개선이 필요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 한 논의와 함의가 서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improvement in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looked into how much of the career education contents have been dealt with in these Korean, Mo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s that would target in the third and the fourth gr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total of 126 career education contents were published in the Korean textbooks in the third and the fourth grades. In particular, the study confirms that these categories such as ‘how to cultivat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how to understand yourself and how to form positive beliefs in yourself’ are most emphasized. Second, a total of 57 career education contents were published in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in the third and the fourth grades. In particular, the study confirms that these categories such as ‘how to understand yourself and how to form positive beliefs in yourself’ are most emphasized. Third, a total of 102 career education contents were published in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in the third and the fourth grades. but, what is different about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from the Korean and the Moral Education textbooks is that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emphasize these categories of ‘understanding the world of career and occupations’ and ‘career exploration’. In conclusion, I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in this research.

      • KCI등재

        칼데콧 수상작에 대한 미국의 내용분석 논문 동향

        현은자 ( Eun Ja Hyun ),박정아 ( Jeong A Par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2

        그림책의 연구 방법론 중에서 내용분석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고 하고 있으나, 그림책 내용분석연구 논문들의 동향 조사와 평가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도 그 인지도가 매우 높은 칼데콧 수상작에 대한 해외의 내용분석 논문들을 대상으로 하여 미국의 그림책 내용분석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그림책 내용 분석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968년부터 2015년까지 발표된 칼데콧 수상작 내용분석 연구 35 편을 연구대상으로정하고, 이 논문들의 주제, 발표된 학술지의 성격, 연구 방법의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그 기간 동안 칼데콧 수상작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내용분석 논문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성역할에 관련한 주제는 연구 초기부터 최근까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과반수 이상의 논문들이 교육학과 문학관련 학술지에 게재되었으며, 연구 방법에서는 연역적 분석과 귀납적 분석 방법이 비슷한 비율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유형에서는 질적 연구보다 양적연구가 더 많았으며 분석 단위로서는 글과 그림을 모두를 분석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예비조사와 채점자간 신뢰도 산출과 같이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담보하는 연구 절차의 요소들이 생략된 연구들도 상당수 많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그림책 내용분석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id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of content analysis research on Caldecott Award picture book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US. For this purpose,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1968 to 2015 in the US were reviewed, and 35 papers including 5 theses and 30 journal articles were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has gradually increased over the years; (2) themes related to protagonists’ sex-roles have been mostly studied; (3) more than half of the studies were published in journals affiliated with the education and literature field; and (4)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ology, the portion of deductive methods was about the same as the inductive ones, and quantitative research analyses were used much more than qualitative ones. Many papers have limitations regarding the research procedures such as a lack of detailed information about inter-coder reliability and pilot studies, and the unit of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som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on picture books to ens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 KCI등재후보

        2007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과서의 일-직업 관련 내용 분석 Ⅰ

        이수정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2

        2007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가 2011년도부터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및 실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일-직업 교육 목표를 분석해보고 학교 수업에서 활용되는 실과 5, 6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일-직업 관련 내용을 분석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실과 5, 6학년 7종의 교과서의 단원별 일-직업 관련 내용이 제시된 현황과 일-직업 관련 내용과 자료유형을 살펴보았으며, 교과서에 제시된 직업명을 조사하고 이를 한국표준직업분류별로 그 유형을 분류해 봄으로써 얼마나 다양한 직업군의 직업명과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였다. 교과서 분석에 대한 다양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분석 준거를 설정하였고, 교과서 7종 분석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과 교과서에 나타난 일-직업 관련 내용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실과 교과서에 제시된 일-직업 관련 내용을 통한 진로교육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교과서를 새로운 시각에서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는 것은 관련된 교육구성원들에게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는 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2007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has been applied into elementary education.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new textbook analysis is very meaningful in terms that it can provide a critical sight about textbooks to related education members when they started to be used in schools.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of seven kinds of textbooks in 5th, 6th grade respectively was conducted especially on the 'work-occupation' unit in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job iles(vocation) in Practical Arts textbook. 14 textbooks were analyzed and exacted vocations in ext and illustration by grade subject and KSCO(Korea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According to Korea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the presented occupations were grouped. Professional occupations, Service occupations, Sales occupations, Technical occupations. The implications for textbook writers career education teachers, and educational official were suggested. The various occupations suitable for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should be introduced.

      • KCI등재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소비생활’ 영역 중복 내용 분석

        이정윤,유난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duplicated contents of 'Consumer life' area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 textbooks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focused on textbooks compiled following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Technology & Home Economics I・II」, 「Social studies I・II」, and 「Ethics I・II」textbooks for middle school and 「Technology & Home Economics」,「Social studies」, and 「Life & Ethics」 textbooks for high school were analyzed based on the criteria for analyses of 'Consumer life'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duplicated contents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Ethics, Social studies) for middle school revealed that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had the most proportion of ‘Consumer Life’ area, followed by Social studies and Ethics. The duplicated content elements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Ethics,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were ‘consumer decision making’, ‘consumer information’, ‘economic impact of consumption’, ‘food life and sustainability’, and ‘consumption and sustainability’. Secondly,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of textbooks for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Social studies, and Life & Ethic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had the most proportion of ‘Consumer Life’ area, followed by Life & Ethics and Social studies. The 「content elements」 ‘food life management and consumption environment’, ‘desire of consumption’, ‘economic impact of consumption’, ‘changing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consumer culture’, and ‘consumption and sustainability’ were commonly found in all three textbooks. In this way, the ‘Consumer life’ area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is thought to play a central role in teaching the ‘Consumer Life’ area because of its strength that contains detailed contents about consumer life for adolescent consumers who will apply it to everyday lif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needed to consider articulation of ‘Consumer life’ area of secondary schools for the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to reduce the duplicated contents and to help the adolescents develop the ability to solve consumption problems they may encounter in real life and grow up to be rational adult consumers.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생활’ 영역의 분석준거를 설정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중복된 내용 요소를 비교・분석하여 궁극적으로 가정과 교육에서 ‘소비생활’ 영역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기술・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의 ‘소비생활’ 영역 내용 중복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학교 「기술・가정 I・II」, 「사회 I・II」, 「도덕 I・II」, 고등학교 「기술・가정」, 「사회」, 「생활과 윤리」교과서를 개발된 분석준거로 내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도덕, 사회) 교과서 내용의 중복 내용을 분석한 결과, 기술・가정, 도덕, 사회 교과서 순으로 ‘소비생활’ 영역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었으며 중학교 기술・가정, 도덕, 사회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제시된 중복 상세 요소는 ‘소비자 정보’, ‘소비의 경제적 영향’, ‘식생활과 지속가능성’, ‘소비와 지속가능성’이었다. 둘째, ‘소비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와 타 교과(사회, 생활과 윤리)를 분석준거에 따라 내용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 ‘소비생활’ 영역 교육내용의 비중은 기술・가정, 생활과 윤리, 사회 교과서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중복 내용 요소는 ‘식생활관리와 소비환경’, ‘소비욕구’, ‘소비의 경제적 영향’, ‘소비문화의 변화요인과 특징’, ‘소비와 지속가능성’이었다. 가정 교과서의 ‘소비생활’ 영역은 학습자인 청소년 소비자가 실제 일상생활에서 교과 내용을 적용할 수 있도록 소비생활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다루고 있다는 강점을 지니며 교과 특성상 의식주생활을 포함한 전반적인 ‘소비생활’ 영역을 다루고 있으므로, ‘소비생활’ 영역 교육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가정과 교육에서의 ‘소비생활’ 영역 교육은 교육 내용의 학년별 연계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단원 내용 구성을 통해 중복 내용 요소를 줄이고, 청소년들이 실제 소비생활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청소년들이 미래 사회의 합리적인 성인 소비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소비생활’ 영역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