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관절 내, 외상과염에 대한 체외충격파 치료의 임상적 결과

        염재광,배서영,박성범,Yum, Jae-Kwang,Bae, Su-Young,Park, Sung-Bum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2 No.2

        목적: 주관절 내상과염 및 외상과염은 주관절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로 이에 대한 치료방법으로 최근 체외충격파 치료가 임상에서 점점 많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 외상과염에 대한 체외충격파 치료를 시행한 후 그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1월부터 2009년 1월까지 본원에서 주관절 내, 외상과염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72명 74예(남자 11명, 여자 61명)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52.4세였다. 모든 환자는 타 병원에서 국소 주사, 물리 치료, 약물치료, 주관절 석고 고정 등의 보존적 치료방법을 시행받았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본원을 방문한 경우로 치료 효과의 판정은 통증의 개선 정도를 통해 평가하였는데 휴식 시와 작업 시의 통증의 정도를 각각 치료 전과 치료 후 6주, 12주, 24주에 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와 함께 통증으로 수면 중 깨어나는 횟수를 조사하여 이를 같은 방식으로 치료 전, 후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치료 24주 째 최종 추시에서 휴식시 통증의 경우 우수 70예, 양호 4예였으며 불량은 없었고 작업시 통증의 경우 우수 42예, 양호 14예, 보통 8예였으며 불량은 없었다. 이에 따라 작업시 VAS를 바탕으로 한 치료 성공률은 약 89.2%로 확인되었다. 휴식시 통증의 VAS 평균값은 치료 전 4.60에서 치료 6주째 2.01, 12주째 0.43, 24주째 0.16으로 개선되었고 작업시 통증의 경우 평균값이 치료 전 7.20에서 치료 6주째 4.05, 12주째 2.01, 24주째 0.36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수면 중 깨어나는 빈도 역시 치료 전 1주일에 평균 9.64회에서 치료 6주, 12주, 24주가 되면서 각각 1.21회, 0.08회, 0.09회로 유의한 치료 효과를 보여주었다. 결론: 체외충격파를 이용한 주관절 내, 외상과염의 치료는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에서 통증의 감소와 근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Medial or Lateral epicondylitis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elbow pain and recently ESWT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is welcomed as a new treatment modality and has been performed in many clin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linical result after the ESWT treatment for the lateral or medial epicondylitis of the elbow. Materials and Methods: From Nov. 2005 to Jan. 2009, seventy four cases of seventy two (11 male, 61 female) patients diagnosed as medial or lateral epicondylitis of the elbow a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average age was 52.4 years old. Authors used visual analogue scale (VAS) to assess the degree of pain at rest and during work, comparing the score before the ESWT treatment with that of $6^{th}$, $12^{th}$ and $24^{th}$ week after the treatment. Authors also checked the number of awakeness during sleep due to pain and compared them before and after the ESWT treatment. Results: Average resting pain score improved from 4.60 before the treatment to 2.01 at $6^{th}$ week, 0.43 at $12^{th}$ week and 0.16 at $24^{th}$ week. Average pain score during working also showed quite an improvement with time from 7.20 before the treatment to 4.05 at $6^{th}$ week, 2.01 at $12^{th}$ week and finally 0.36 at $24^{th}$ week. We checked the frequency of sleep arousal during a week, and also found similar significant treatment efficacy as the average frequency decreased from 9.64 per week before the treatment to 1.21, 0.08 and 0.09 per week at $6^{th}$ week, $12^{th}$ week and $24^{th}$ week, respectively. Conclusion: ESWT for medial or lateral epicondylitis is thought to be one of the effective treatment modalities for those patient group not quite responsive to other conservative treatment.

      • KCI등재

        Heterotopic Ossification of the Elbow after Medial Epicondylectomy

        하재홍,공현식,백구현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1

        Postoperative heterotopic ossification of the elbow after surgery for treatment of acute trauma such as fractures and ligament/tendon ruptures has been well-documented. However, literature concerning heterotopic ossification after medial epicondylectomy is scarce. We report on two cases of heterotopic ossification that occurred following medial epicondylectomy for medial epicondylitis and for cubital tunnel syndrome. Preoperatively, calcifications around the medial epicondyle were observed in both patients. These cases suggest that medial epicondylectomy, in the presence of pre-existing calcifications, may pose an increased risk of postoperative heterotopic ossification of the elbow.

      • KCI등재

        Heterotopic Ossification of the Elbow after Medial Epicondylectomy

        Jae Hong Ha(하재홍),Hyun Sik Gong(공현식),Goo Hyun Baek(백구현)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1

        주관절의 골절이나 인대/건 손상에 대한 수술 후 발생하는 이소성 골화는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내상과 절제술 후 발생한 주관절의 이소성 골화는 드물다. 저자들은 각각 내상과염과 주관 증후군의 치료로 시행한 내상과 절제술 후 발생한 이소성 골화 2예를 보고한다. 수술 전 환자들은 내상과 주위에 석회 침착 소견을 보였었다. 이 증례들은 석회 침착이 있는 환자에서 내상과 절제술은 술 후 주관절의 이소성 골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을 시사한다. Postoperative heterotopic ossification of the elbow after surgery for treatment of acute trauma such as fractures and ligament/tendon ruptures has been well-documented. However, literature concerning heterotopic ossification after medial epicondylectomy is scarce. We report on two cases of heterotopic ossification that occurred following medial epicondylectomy for medial epicondylitis and for cubital tunnel syndrome. Preoperatively, calcifications around the medial epicondyle were observed in both patients. These cases suggest that medial epicondylectomy, in the presence of pre-existing calcifications, may pose an increased risk of postoperative heterotopic ossification of the elb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