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 ‘예언가 남사고’의 탄생과 그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박상현(Park, Sang-Hyun)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2

        16세기 초 울진의 재지사족 가문에서 출생한 남사고는 유생의 신분으로 한평생을 보냈다. 그러나 사후에 그에 대한 유학자들의 평가는 서로 엇갈렸다. 울진 유생들이 남사고를 지역의 사표로 지속적으로 추앙하는 가운데, 대부분의 유학자들 사이에서 남사고는 탁월한 예언가로 명성을 떨치고 있었다. 이러한 후대의 엇갈린 평가는 그를 바라보는 관점과 인식의 차에서 비롯한 것이었다. 울진의 유생들은 남사고가 소학의 가르침을 몸소 실천하고 후학에게 학문적 도움을 줬다는 점을 근거로 덕행이 높았던 유학자로 인식했던 반면, 일단의 유학자들은 그가 천문과 역학에 밝았던 점을 근거로 예언가로 인식하였다. 이렇게 인식이 엇갈리던 중 남사고의 예언이 유학자들 사이에서 확산되자, 인식은 점차 탁월한 예언가로 경도되어 갔다. 그로 인해 남사고를 덕행이 높은 유학자로 추앙했던 사람들조차도 그의 예언에 관심을 기울이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남사고의 예언행위 여부에 대한 사실관계보다는 천문 역학에 밝았다는 인식과 남사고를 예언가로 평가했던 선학의 견해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따라서 ‘예언가 남사고’는 유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봐야 옳을 것이다. 그러나 18세기 초 남사고에 가탁한 비기가 등장하자, ‘예언가 남사고’에 대한 유학자들의 관심은 점차 식어갔다. 남사고의 비기가 사회적 문제로 불거지면서 그의 예언이 유학자들에게 부담과 기피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따라 18세기 중반이 지나면 남사고의 예언은 유학자들의 기록에서 점차 사라지게 된다. 이후 ‘예언가 남사고’는 유학자들 관심에서 벗어나, 소외 불만 계층의 의해 보다 활발히 향유되고 재생산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Nam Sago, born in a provincial noble family of Uljin in the early sixteen century, lived his while life as an ordinary Confucian scholar. It is interesting that his scholarly acquisition was given a mixed assessment from the later generation after his death: while students of Confucianism in Uljin looked him up as their preceptor, other Confucian scholars considered him as an outstanding prophet. This mixed reception resulted from the differences in evaluation on him. On the one hand, scholars in Uljin assessed Nam Sago as a virtuous Confucian, given that he had put Zhu Xi’s philosophy into practice and had given a good scholarly example to younger scholars. On the other hand, most of Confucian scholars regarded him as a prophet since he had been an expert in astronomical observations and divinations. However, as his prophecy spread widely, he was regarded nothing less than a great prophet. In fact, even among those who had revered him as a virtuous scholar his prophecy was of great interest. That is to say, Nam Sago was actually an ‘invented prophet,’ seeing that this evaluation stemmed from the fact that he had been good at astronomical observations and divinations, even though the authenticity of his prophecy would never be proved. In the early eighteen century, however, the Confucian scholars’ attention on his prophecy subsided, when a writing of divination in his name circulated. This is because the writing became a social problem and nobody wanted to mention it. After the mid-eighteen century, therefore, his prophecy disappeared in scholarly writings of Confucians. It is speculated that ‘Nam Sago the prophet’ would be actively reproduced and enjoyed by a neglected class of people since then.

      • 남·북한 관광교류 협력의 현황과 시사점

        정민수 대구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0 경제경영연구 Vol.6 No.1

        2008년 7월 북측 초병에 의해 남한 관광객이 피격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남·북관계의 긴장과 더불어 금강산관광의 중단과 더불어 개성관광도 중단되었다. 금강산 관광사업과 개성공단사업이 지속 되는 한 국제사회는 한반도의 위기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 때문에 남·북 관광사업의 재개는 한반도 위기관리의 원활한 진전을 위해서 필요하다. 또한 남․북 관광교류는 가까운 시일 내 정상화되기는 어렵겠으나 완전 중단되거나 장기화될 가능성도 높지 않다는 측면에서 남․북 관광재개에 대비한 준비는 지금부터 하여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남․북 관광사업은 정치․군사적으로는 한반도의 긴장완화와 통일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역할을, 경제적으로는 남․북 경협 활성화와 북한에의 경제지원 기능을 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금강산관광사업이 ‘북한 퍼주기’라는 비판적 국내여론을 형성한 것은 남․북 관광교류 사업에 부정적 시각을 갖게 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중단된 남․북 관광사업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위기를 기회의 국면으로 삼은 지혜가 필요하다. 그간의 남․북 관광사업을 처음부터 재평가하는 역발상의 지혜가 필요하며, 평가분석 작업을 토대로 남․북 관광사업에 참여하는 주체들의 기능과 자세를 재정립하여야 할 것이다. On July 11, 2008, a South Korean tourist was shot and killed near Kumgangsan, heightening the tens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s well as causing suspension of the Kumgangsan and Kaesong tour. Becaus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egards the security of Korean peninsula as under control as long as the tourism to Kumgangsan and investments in Kaesong Industrial Park continue, the progress in easing the tens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requires the restart of the tourist activ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hile the possibility of the South-North Korean tourism returning to the original situation appears difficult in the near future, it is less likely for the suspension of tourism to be prolonged or permanent. Therefore preparation for the renewing South-North tourism seems imminent. While militarily and politically the South-North tourism eased the tension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ested the possibility of reunification, economically it stimulated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s well as gave economic support to North Korea. Even with the positive effects, formulation of the public opinion criticizing the tourist activity in Kumgangsan Tourist Region as a free giveaway has been responsible for the negative view of South-North tourism.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South-North tourism situation, the current crisis must be viewed as an opportunity. The South-North tourism must be evaluated and analyzed from its initiation to reestablish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the participating parties in South-North tourism.

      • KCI등재

        남관(南管)과 곤곡(崑曲)의 타이완에서의 만남 -「심심남관악방(心心南管樂坊)」 남관악무 ≪예상우의(霓裳羽衣)≫에 대한 연구-

        차이신신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9 No.-

        21세기 타이완 「심심남관악방(心心南管樂坊)」은 청나라 전기(傳奇)인 ≪장생전(長生殿)≫에서 소재를 채택하여, 2007년과 2009년에 각각 「남관전통신편(南管傳統新編)」과 「남관곤곡신창(南管崑曲新唱)」판 ≪예상우의(霓裳羽衣)≫를 창작해 관중들의 경탄을 이끌어냈다. 본고는 이두 작품의 문학 원작에 대한 편집 구상, 창작 사유 및 공연 경관의 차이점을 분석해보고, 남관과 곤곡이 타이완에서 결합한 ≪예상우의≫가 보여주는 ‘현지’문화 신분과 그 미학 함의에 대해 사고해보고자 한다. 비록 남관과 곤곡 모두 중국 대륙에서 타이완으로 전파된 것이지만 남관은 청나라 시대 타이완의 복건 이민들의 뿌리의식과 연결되어있으며, 본토 민남(민南)방언을 사용하고 있다. 반면, 곤곡은 전후 이후에서 비로소 곡회(曲會) 동아리 형식으로 타이완에서 자리 잡기 시작했고, 관방 언어를 사용하였다. 민간의 시각으로 보자면, 남관과 곤곡은 엄연히 ‘본토(本土)’와 ‘중원(中原)’이라는 부호상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양자는 타이완에서 예술 본연의 전통색을 고수하면서, 시대 맥락에 따라 다원적으로 탈바꿈하였다. 「심심남관악방(心心南管樂坊)」이 창작한 「남관곤곡신창(南管崑曲新唱)」의 ≪예상우의≫는 바로 이러한 타이완의 예술창작 자태를 드러내는 것이다. 21世紀臺灣「心心南管樂坊」從淸傳奇≪長生殿≫中取材,先後於2007年與2009年創作了「南管傳統新編」與「南管崑曲新唱」的≪霓裳羽衣≫,讓觀衆爲之驚염不已。本文梳理此二劇作對文學原作的剪裁構思,以及創作思維與演出景觀的差異處,幷思考南管與崑曲在臺灣「遇合」的≪霓裳羽衣≫,所展示的「在地」文化身분與美學意蘊。雖然南管與崑曲都自大陸播遷入臺,但南管連結淸代臺灣福建移民的原鄕印記,且使用本土민南方言;崑曲在戰後才以曲會社團在臺紮根,幷使用官方語言。是以在民間視野中,南管與崑曲儼然有著「本土」與「中原」的符碼差異。不過二者在臺灣,都展示了固守藝術本體的傳統底 色,但也隨時代脈動多元세變。由「心心南管樂坊」所創作的「南管崑曲新唱」的≪霓裳羽 衣≫,正展示了臺灣的創藝風姿。

      • KCI등재

        남사고 설화에 나타난 전승 의식

        한미옥 ( Mi Ok Han ) 남도민속학회 2010 남도민속연구 Vol.20 No.-

        남사고는 조선 중기의 학자로 천문(天文)·지리(地理)·역학(易學) 등에 뛰어난 능력을 지녔다. 하지만 그는 이인적인 능력에도 불구하고 만년에 겨우 천문교수를 지냈을 뿐, 초라한 삶을 살다간 인물이기도 하다. 현재 민간에 전승되고 있는 남사고 관련 설화 중 ``구천십장(九遷十葬)한 남사고`` 이야기와 ``사술(邪術)로 외장수의 외를 먹은 남사고`` 이야기는 가장 흔하게 들을 수 있는 이야기다. 그런데 이들 구전설화에서 남사고는 문헌기록과 달리 대체로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남사고가 구전설화에서 부정적으로 그려지고 있는 이유를 알아보고, 그것을 통해 본 설화의 전승의미를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남사고는 양반으로서 정학(正學)을 거부하고 위학(僞學)을 택함으로써 자신이 속한 지배계급의 세계에서 밀려났다. 하지만 그렇다고 피지배계급에도 속할 수 없는 그야말로 주변인적인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때문에 남사고는 설화 속에서 양 집단 모두에게 조롱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구천십장한 남사고`` 이야기를 살펴보면, 양반 지배계급인 남사고가 명당에 집착한 결과 패가망신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표면적으로는 조상에 대한 효를 내세우면서 속으로는 자신들의 발복(發福)을 위해 명당에 집착하는 지배계급의 이중적인 태도를 드러내는 것으로, 이를 통해 양반 지배계급의 위선과 허위의식을 조롱·비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술로 외장수의 외를 먹은 남사고`` 이야기를 통해, 당대의 부패한 관리들의 행태를 고발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남사고가 살았던 16세기는 당파싸움과 탐관오리들의 횡포로 백성들의 삶이 도탄에 빠진 시기였다. 따라서 설화 속 남사고는 당시 부정부패를 일삼던 관료를 대표하는 존재로, 남사고가 외장수의 외를 사술을 통해 취한 것은 당대의 부패한 관리들이 힘없는 백성들의 것을 함부로 빼앗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설화를 통해 민중들은 당대의 부패한 관료들의 행태를 고발하고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남사고 관련 설화는 ``인간의 욕심을 경계하는 이야기``이거나 ``천기누설에 대한 경고``의 의미만을 담은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다. 남사고 관련 설화 속에는 당대 민중들의 비극적인 현실인식을 통한 사회고발적인 메시지가 복합적으로 얽혀 이야기로 표출되어 현재에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Nam Sa-Go who had excellent abilities in the fields of astrology, geography, and science of divination is often appeared in Feng-Shui folk tales, of which ``Nam Sa-Go``s Gucheonsipjang`` and ``Nam Sa-Go who ate cucumber of cucumber seller by black magic`` stories were representative ones. However, in these tales, Nam Sa-Go was depicted negatively. Therefore, we intend to search out the reason why he was described with negativity. Nam Sa-Go was a Yangban class, but he was fallen behind from his ruling class since he denied ``Jeonghak`` and chose ``Wihak``. However, since he could not belong even to ruled class, he lived the life of ``outsider``. Because of this, he was fooled by both of ruling and ruled classes in folk tales. For example, if looking into the story of ``Nam Sa-Go``s Gucheonsipjang``, Nam Sa-Go who was belonged to ruling class was bankrupt as he clung to superfine position of tomb. This means the dual attitude of ruling classes who externally emphasize filial duty to ancestor but internally cling to superfine positions of their ancestors`` tombs for their own fortune, and through this, this made a fool of hypocrite and false consciousness of ruling classes. Finally, through ``Nam Sa-Go who ate cucumber of cucumber seller by black magic`` tale, it is indicated that this revealed the behaviors of corrupted officers at that time. The 16th century which Nam Sa-Go lived was the period that the lives of people were most hard and difficult due to despotism of corrupted officers and the party squabbles. Therefore, the story that Nam Sa-Go took cucumbers of cucumber seller by using black magic means corrupted officers at that time took the things of ruled people easily. That is, it revealed the behaviors of corrupted officers at that time through these tales. As indicated from above, Nam Sa-Go folk tales are not simple stories containing the meaning of ``warning to the human greeds`` or ``alert to the revealing of Heaven``s intention``. That is, we can find out that these folk tales contain society-reporting message through recognizing tragic reality of ruled people in that time.

      • KCI등재

        南田 元仲植의 ‘筆隱’에 담긴 隱逸적 삶

        조민환(Jo, Min-hwan)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5

        과거 중국역사에서 出仕와 隱逸사이에서 갈등하다가 과감하게 은일을 택한 대표적인 인물 중 하나가 바로 東晋의 陶淵明이었다. 도연명은 歸去來한 心遠의 정황을『귀거래사』에 진솔하게 표현하는데, 南田 元仲植은 이런 도연명의 귀거래 한 삶을 본받고자 하였다. 남전이 즐겨 쓴 문구 중에는 虛靜한 심령을 반영하는‘閑’자, ‘虛’자, ‘靜’자를 비롯하여 ‘무엇 너머’라는 의미의‘外’자, ‘세속적 가치 있음이란 것이 없다’는 의미의‘無’자 등이 많이 보인다. 이런 단어들은 바로 心遠의 은일적 삶을 반영한다. 이같은 남전의 ‘도연명 따라 하기’는 서예의 입장에서 볼 때, 心遠에서 출발한 참된 서예를 통해 자신의 존재 이유를 밝히고자 한 還我의 서예미학이었다. 남전은 ‘환아정신’에서 출발하여 爲己之學으로서의 서예를 실천하고자 하였다. 남전의 筆隱 지향적 삶은 ‘山靜日長’에 담긴 無事의 虛靜한 은일적 삶으로 이어진다. 남전은 은일적 삶을 ‘閑’자를 통해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많은 시를 통해 寓意하고자 한다. 아울러 다양한 禪詩를 통해 세속적인 공명에 얽매이지 않고 우주대자연에 자유롭게 逍遙自在하고자 하는 정신경지를 추구하고 있다. 남전은 최종적으로 “物外遊, 心無累”의 逍遙自在의 경지를 붓과 함께 하고자 했다. 기교의 工拙 與否를 따지는 것에서 벗어나 자신의 천연의 본성을 붓에 담아 자유롭게 펼치고자 하였다. 이같은 사유는 궁극적으로 ‘서예란 무엇인가’에 대한 남전의 답으로 이어졌다. 바로 인문예술로서의 서예인식과 逸格 지향의 서예정신이었다. In Chinese history, there are characters who have lived a life of seclusion. For example, TaoYuanMing is an example. After returning to his hometown, TaoYuanMing lives a secular and disconnected life in his mind. Nan Tian(南田), YuanZhongzhi(元仲植) is a calligrapher who lived in modern Korea. He wanted to live a life of this kind. He made his calligraphy work as a favorite work with phrases expressing a leisurely life, a quiet life, and a life in a secular world. These phrases reflect the world of life he intended. The calligraphy creation of the following expression along the line of TaoYuanMing was an effort to find the lost figure of oneself. He sought to spread his true calligraphy world through his search for the lost self. His seclusion-oriented life was a life in which he did not want to be secular, and expressed his life as his work. He tried to express his seclusion in terms of leisure. In addition, he tried to express his own seclusion through various poems of the Buddhist scent. And to express his freedom through his poetry that is not bound by secular honor and desire. The spiritual world without any bounds and no hanging on objects was the calligraphy spirit he intended. This spirit of art was an understanding of calligraphy in humanities and an artistic spirit that wanted to bring free souls. When he created an artwork, he did not care about the goodness and the badness of artistry, and hr wanted to freely open his own artistic sensibility.

      • KCI등재후보

        중국 南朝 造像의 제작과 전파

        후지오카 유타카 국립중앙박물관 2016 미술자료 Vol.- No.89

        일본의 아스카시대와 한국의 삼국시대의 불상에 관한 연구에서는 중국의 南朝시대 및 隋, 初唐의 불상과 관련성이 중요한 문제로 언급된다. 지금까지 사료나 발굴을 토대로 한 연구 성과는 중국 남조의 불상과의 관계를 특히 주목해 왔다. 그러나 중국 남조시대의 불상은 남아있는 그 수가 적고, 한국과 일본 양국 고대 불상의 관계 연구 또한 어려움이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우선 최근 수 년간의 발굴과 연구 성과를 토대로 중국 남조, 특히 梁朝의 불상 조성에 대해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남조의 불상을 山東지역이나 한국, 일본의 예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남조 불상이 타 지역으로 전파된 양상을 고찰하거나, 그 대신 이 지역들의 예들을 통해 남조의 불상을 재조명 하고자 한다. 1. 南朝 佛像의 윤곽 1-1. 棲霞山石窟과 新昌 大佛寺 千佛岩 南京 외곽에 위치한 棲霞山石窟은 南朝때 조영된 龕窟로, 이후 明代 중반부터 중화민국 시대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보수되었다. 그 결과로 현재 상태의 석굴은 본 모습을 거의 잃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여러 차례 이루어진 재복원 작업에서 석굴의 표면을 덮고 있던 모르타르(mortar)가 거의 모두 제거되면서, 남조 때 조성된 감굴이 무려 15개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부분의 상은 불두가 결실되었고, 상의 표면은 인간에 의해 혹은 풍화작용으로 인해 훼손되었지만 남조 불상으로서의 가치는 더욱 인정받고 있다. 서하산석굴 중 大佛窟로 불리는 제19굴 조영이 齊나라 혹은 5세기 말에 완성되었다고 보는 설은, 陳의 江總(519~594)이 찬한 〈金陵攝山棲霞寺碑〉(이하 〈江總碑〉)와 당 고종이 上元 3년(676)에 찬한 〈攝山棲霞寺明徵君碑〉(이하 〈明徵君碑〉)가 뒷받침 한다. 그러나 실상 〈강총비〉의 비문은 康定 원년(1040)에 다시 새겨진 것이고, 〈명징군비〉는 建碑된 후 약 200년이 지나 새겨진 비문임을 고려하면, 이들이 반드시 믿을 만한 근거라고 볼 수는 없다. 반면, 梁代 승려인 僧祐이 天監 14년(515)에 기술한 『出三藏記集』에 의하면, 臨川王(梁武帝의 동생)에 대한 설명에서 대불굴 착공이 천감 11년(512) 경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제시한다. 최근에는 재복원하는 과정 중 제28굴에서 ‘中大通 2년(530)’의 명문이 발견되었다. 또한, 제20, 22, 24, 26 각 굴의 불상 양식을 四川省 成都에서 출토된 齊나라에서 梁나라에 이르는 시기의 기년명 상과 비교하면, 梁의 天監年間(502~519) 후반부터 中大通年間(529~534)까지의 예와 유사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다른 흥미로운 남조의 석굴로는 浙江省 新昌縣 大佛寺의 千佛岩이 있다. 사료에 따르면, 대불사 미륵대불은 齊의 建武연간(494~497)에 조상되기 시작하여 梁天監 15년(516)경에 완성되었다. 대불은 모르타르를 입혀 보수했기 때문에 원래의 모습을 조사할 수 없으나, 천불암의 다른 조상들에서 본래 형태를 여전히 관찰할 수 있다. 천불암의 조영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사료는 없으나, 필자는 梁代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천불암의 제 1호 굴의 중앙에는 交脚像이 있고, 상 좌우 벽면에는 양 끝에 금강역사상이 지탱하는 천불도를 배치했다. 마모가 많이 진행되었고 복원작업으로 인해 상이 손상되었지만, 그 원래 모습을 알아볼 수 있는 부분도 남아 있다. 보존상태가 양호한 금강역사상은 청두에서 출토된 普通 6年(525)명 상과 유사하다. 제 2호 굴은 주존의 불좌상과 좌우에 상하 2단으로 된 34불을 합쳐 35불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전하는 주존의 머리는 후대의 것이고 불신의 마멸도 많이 진행되었지만, 주름진 옷과, 박산향로, 사자상의 형태는 上海博物館 소장의 梁代 中大同 원년(546)명 사암제 상과 유사하다. 천불암의 상들은 독립적이면서도 상호 보완적인 특별한 梁대 불상이면서도, 남조 불상의 결정적인 특징들을 보여준다. 1-2. 南京 출토의 금동불과 인도차이나반도 출토의 금동불 2009년 南京 新街口에서 금동불이 발견되었다. 그 중 1구에는 大通 원년(527)의 기년명이 있었고, 2013년에는 형광X선 분석조사 결과도 발표되었다. 금동불은 크기가 작아 운송이 편하기 때문에, 본 상들은 남조 불상의 전파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 南京 출토 금동불은 建康에서 금동불 제작이 성행했음을 설명해 주는 한편, 베트남 옥애오(Óc Eo) 유적에서 출토된 금동불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옥애오는 1세기에서 6세기경까지 인도차이나반도를 다스린 푸난(扶南)왕국의 외항도시였다. 1944년 루이 마에레(Louis Malleret)는 이 유적에서 로마 주화, 後漢의 동경, 현지제작으로 보이는 비슈누상 등과 함께 中國製로 추정되는 여러 금동불상이 발견하였다. 이 유물들은 모두 현재 호찌민역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그 후 1975년에 베트남 당국이 주도한 발굴에서 새롭게 출토된 불입상들은 안장성박물관에 소장되었다. 이들 가운데 호찌민역사박물관의 보살입상은 복부를 감싼 반월형의 천의와 다리 사이에 흘러내리는 허리 띠 등의 형태에서 청두 출토 상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안장성박물관의 불입상들은 6세기 전반 남북조시대의 불상 양식을 분명히 반영한다. 청 An important question in research concerning Japanese Asuka 飛鳥 Period and Korean Three Kingdoms Buddhist sculpture is its relation to sculpture from China’s Southern Dynasties, as well as to that of the Sui 隋 and early Tang 唐. So far, research utilizing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findings has led to a particular awareness of the connection to Southern Dynasties Buddhist images. However, there are a limited number of extant examples of Southern Dynasties Buddhist sculpture, just a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ancient Japanese and Korean Buddhist sculpture. The goals of the present essay are, first, to draw from new discoveries and the results of research in recent years to concretely understand as far as possible the image production of the Southern Dynasties and especially that of the Liang 梁 Dynasty. Second, by comparing the production of images in the Southern Dynasties with examples from Shandong 山東,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to consider the forms of dissemination through which Southern Dynasties images passed to other regions, or alternatively to use examples from these regions to cast a light back on the images of the Southern Dynasties. 1. The Contours of Southern Dynasties Buddhist Sculpture 1-1. Qixiashan Grottoes and Xinchang Great Buddha Temple’s Thousand Buddhas Cliff The Qixiashan 棲霞山 Grottoes, on the outskirts of Nanjing 南京, are rock-cut caves constructed during the Southern Dynasties, but which saw additional repair work from the middle of the Ming 明 through the Republican Period. As a result, their original appearance cannot be surmised from their present condition. However, owing to repairs that have been carried out to remove much of the mortar that has covered up the surface, as many as 15 caves constructed during the Southern Dynasties have been identified. Many of the statues’ heads have been lost, and the surface has been damaged either by human intervention or through weathering. Nonetheless, their value as Southern Dynasties statues has been further validated. Two sources provide a likely Qi 齊 or late fifth century explanation for the completion of one of the Qixiashan Grottoes caves, Cave 19, the so-called Great Buddha Cave. These are the two anthologies Memorial Tablet for the Qixia Temple at She Mountain in Jinling (C. Jinling Sheshan Qixiasi Bei 金陵摂山棲霞寺碑) by Jiang Zong 江総 (519-594), and the Memorial Tablet for Ming Zhengjun (C. Sheshan Qixiasi Ming-zhengjun Bei摂山棲霞寺明徴君碑) by Gaozong 高宗 from Shangyuan 上元 3 (676). However, the text of the Jiang Zong inscription is actually a re-inscription dating to the first year of Kangding 康定 (1040), and the Ming Zhengjun inscription was inscribed almost 200 years after the initial construction period, and so these are not necessarily reliable sources. Instead, according to an entry from the Liang Dynasty monk Sengyou’s 僧祐 compilation A Collection of Records on the Emanation of the Chinese Tripitaka (C. Chusanzang jiji 出三蔵記集) from Tianjian 天監 14 (515), the Liang Prince of Linchuan’s (Linchuan Wang臨川王; younger brother to Emperor Wu of Liang 梁武帝) description suggests a high likelihood that construction was initiated around Tianjian 11 (512). Repairs in recent years have led to the discovery of an inscription dating from Zhongdatong中大通2 (530) in Cave 28. Also, a comparison of the style of Buddhist images in caves 20, 22, 24, and 26 with images excavated from Chengdu 成都 in Sichuan四川 Province that bear inscriptions dating between the Qi and Liang Dynasties shows that they resemble examples of Liang images from between the latter half of the Tianjian Era (502-519) through the Zhongdatong Era (529-534). In other words, Southern Dynasties images from the Qixiashan Grottoes should be viewed as images from the period of Emperor Wu of Liang. Another Southern Dynasties cave site, the Thousand Buddhas Cliff at Xinchang’s 新昌 Great Buddha Temple in Zhejiang 浙江 Province, is also of great interest. According to documentary evidence, construction of the temple’s Maitreya Great Buddha (J. Miroku Daibutsu弥勒大仏) was begun during the Jianwu 建武 Era (494-497) of the Qi Dynasty and completed around Tianjian 15 of the Liang. Because of the application of mortar for repairs, the original appearance cannot be studied, but the original forms of other sculpture at the Thousand Buddhas Cliff can still be observed. There are no documents that verify a construction date of the Thousand Buddhas Cliff, but my personal opinion is that they seem to be of the Liang Dynasty. In the center of Cave 1 is a cross-legged seated image with legs pendant, flanked on both sides by thousand Buddhas motifs buttressed on each end by images of the two guardian deities. Although advanced abrasion and repair work have affected the images, there are portions where the original forms can be identified. The very well preserved guardian deities resemble images of guardian deities inscribed with the date of Putong 普通 6 (525) excavated from Chengdu. In the center of Cave 2 is a seated Buddha with 34 Buddhas in two levels above and below on its left and right, portraying altogether 35 Buddhas. The head of the central image is a later addition and its body has seen advanced abrasion, but the shape retained in its draping skirt (J. mokake 裳懸け) as well as the Boshan 博山 censer and Chinese lions seen below resemble examples of sandstone Buddha triads from the Shanghai Museum with inscriptions dating to the first year of Zhongdatong 中大同 (546) and from the Liang Dynasty. The Thousand Buddhas Cliff statues exhibit defining characteristics of Southern Dynasties sculpture, even while being of a particular Liang production that is both independent and mutually complementary. 1-2. Gilt Bronze Buddhist Statues Excavated from Nanjing and the Indochina Peninsula In 20

      • KCI등재

        남해-여수 해저터널 효과 극대화를 통한 남해 발전전략 고찰

        이웅규,김용완 한국도서(섬)학회 2024 韓國島嶼硏究 Vol.36 No.1

        1973년 남해대교 개통으로 국민 관광지로 주목받았던 남해가 남해-여수 해저터널 건설을 통해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남해-여수 해저터널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남해 발전 전략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미 개통한 국내 해저터널 관련 지자체의 담당 공무원과 지역 주민과의 인터뷰, 관련 자료와 기사 및 외부 전문가와의 인터뷰, 그리고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남해 발전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남해-여수 해저터널은 2023년 5월 DL이앤씨가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착공을 앞두고 있다. DL이앤씨는 6개월간 실시설계를 거쳐 2023년 말쯤 본격적인 공사에 돌입할 예정이며 101개월간 공사를 이어가게 된다. 해저터널 시·종점부의 정확한 위치와 지번은 설계가 마무리된 이후에야 알려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남해군은 해저터널로 인한 경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깊이 있게 고민하고 있다. 특히, 해저터널 관련 4개 지자체를 방문해 자료를 구하고 인터뷰를 하는 등 남해군은 해저터널 효과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병행하고 있다. 해저터널이 뚫리면 영·호남은 물리적으로 한층 가까워진다. 남해~여수 간 이동시간이 1시간 30분에서 10분으로 줄어든다. 자연경관이 수려한 서부 경남과 여수국가산업단지 등 산업이 발달한 전남 동부가 해저터널로 가까워지면서 물적·인적 교류가 활발해진다는 점에서 “영ㆍ호남 지역 간 화합”을 상징하는 다양한 사업을 상생 전략 차원에서 추진해야 할 시점이다. 이는 해저터널이 서부 경남과 동부 전남의 중심지에 위치, 관광 허브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추진되고 있는 ‘남부권 광역관광 개발계획’과 ‘서남해안 관광벨트 조성사업’의 마중물이 될 것이다. 이는 남해~수도권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기 때문인데, 4시간 30분~5시간 걸리던 남해~서울 간 거리가 여수공항과 여수엑스포역(KTX)을 이용하면 2~3시간으로 단축되기 때문이다. 남해에는 매년 500~600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데, 해저터널을 기반으로 300만 명에 이르는 추가 관광객 유입이 예상되고 있다. 이로 인해 남해~여수 해저터널은 경제·사회·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선순환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에 남해군은 ‘인구 10만 지속가능한 생태관광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구상을 구체화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남해-여수 해저터널 효과 극대화를 통한 남해군 발전 전략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고속철도 개통’이 몰고 왔던 변화와 필적할 만한 성과를 거두기 위한 발전적 전략선택을 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 전문가 및 관계자 인터뷰를 통한 현황 및 사례 분석 등을 실시한 결과, 첫째, 남해~여수 해저터널 건설과 관련한 남해군 발전 전략 수립 용역 결과보고서의 철저한 분석, 둘째, 해저터널 전담 부서의 원스톱 신속 대응 행정시스템으로 만족할만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통합 컨트롤 타워 구축, 셋째, 경상남도 추진 남해안 관광 개발 관련 용역과의 변별력 및 연계성 강화, 넷째, 1000만 외래관광객을 수용하기 위한 관광인프라 구축 재정 지원 및 인센티브 제공 등을 제시했다. Namhae, which attracted attention as a national tourist destination with the opening of Namhae Bridge in 1973, is preparing for a second leap forward by constructing the Namhae-Yeosu undersea tunnel.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Namhae development strategy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 Namhae-Yeosu undersea tunnel. To this end, a South Sea development strategy was presented by deriving implications through interviews with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residents related to already-opened domestic undersea tunnels, relavant data and articles, interviews with external experts, and analysis of overseas cases. Recently, the Namhae-Yeosu undersea tunnel is scheduled to begin construction in May 2023 with DL E&C selected as the operator. Namhae County is deeply considering maximizing the economic effects of the undersea tunnels. In particular, it is making various efforts, such as visiting four local governments with undersea tunnels to obtain data and interview experts. Once the undersea tunnel is opened, Yeongnam and Honam will become physically closer. Travel time between Namhae and Yeosu will be reduced from 1 hour and 30 minutes to 10 minutes. As western Gyeongnam, with its beautiful natural scenery, and eastern Jeollanam-do, with its industrial development, such as the Yeosu National Industrial Complex, become closer to the undersea tunnel, material and human exchanges will become more active. Various projects symbolizing “harmony between the Yeongnam-Honam region” are a win-win strategy. It is time to move forward on this level. This is because the undersea tunnel is located in the center of western Gyeongnam and eastern Jeollanam-do and will serve as a tourism hub. Particularly, it will serve as a catalyst for the recently promoted ‘Southern Area Tourism Development Plan’ and ‘Southwest Coast Tourism Belt Creation Project’. Owing to the fact that the distance between Namhae and Seoul, which used to take 4 hours and 30 minutes to 5 hours, is shortened to 2 to 3 hours by using Yeosu Airport and Yeosu Expo Station(KTX), greatly improving accessibility between Namhae and the metropolitan area. Approximately, 5 to 6 million tourists visit Namhae-gun every year, and an additional influx of up to 3 million tourists is expected based on the undersea tunnel. As a consequ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s analysis to select a development strategy to achieve results comparable to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opening of the Gyeongbu Expressway’ and the ‘opening of the high-speed rail’ are as follows. First, this is a thorough analysis of the report on the results of the Namhae-gun development strategy establishment service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Namhae-Yeosu undersea tunnel.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control tower to achieve satisfactory results through a one-stop rapid response administrative system by a department dedicated to undersea tunnels. Third, it is to strengthen differentiation and connectivity with services related to southern coastal tourism development promoted by Gyeongsangnam-do. Last, financial support and incentives for building tourism infrastructure to accommodate 10 million foreign tourists were proposed.

      • KCI등재

        南社 - 관련 자료와 가능한 연구 방향에 대한 검토

        민정기 한국중국어문학회 2001 中國文學 Vol.35 No.-

        Nanshe(南社), even thouth acclaimed as the most influential circle of intellects in Late Qing-early Repubican China, has never been seriousy studied even by the Chinese scholarship. The neglection, I presume, has to do with the difficulty of interpreting the seemingly big gap that exists between their rather radical political vision and their conservative attitudes concerning literature. The fact that the Chinese scholarship tends to degrade literature movements prior to May Fourth movement could also be a factor which caused the neglection. I myself think that proper studies of Nanshe could broaden our understanding on diverse ideas that formed the Chinese 'modern' (literature). In this essay, I have surveyed basic materials concerning Nanshe, including their official publication Nanshe and important notes and studies on the circle ranging from Hushi(胡適) and Luxun(魯迅)'s criticism to recent studies. Following the survey I have argued that in order to properly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Nanshe literature it is critical to overcome the idea which pretends that modern Chinese literature followed a single line of 'evolution'. Following the argument I have suggested some possible subjects which could be tackled in the future.

      • 남이장군사당굿에 나타난 남이장군의 양상과 의미

        변지선(Byun, Jisun) 서울민속학회 2018 서울민속학 Vol.- No.5

        이 연구의 목적은 남이장군사당굿에 나타난 남이장군의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기 위한 글이다. 서울 용산구 용문동 남이장군사당에서는 조선시대에 실재했던 인물인 ‘남이’를 신으로 모시고 매년 음력 10월 1일에 남이장군사당국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역사서에 기록된 ‘남이’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남이장군사당굿에 관련된 문헌을 검토했으며 피라의 현장조사자료를 바탕으로 남이장군사당굿에 나타난 남이장군의 양상을 고찰했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를 분석하여 남이장군사당굿에 나타난 남이장군의 의미를 고찰했다. 남이장군사당굿에는 남이에 관한 역사적 사실이 반영되고 재현되었다. 남이의 장군으로서의 면모는 남이장군사당굿에서는 무당이 남이장군을 나타내기 위해 갑옷을 입고 투구를 쓴다. 남이장군사당굿의 무가에서는 전복과 허리띠를 매고 백마를 탄 남이로 불려진다. 역사서에서 남이는 억울한 영웅으로 기록되었으나 남이장군사당굿에서는 마을을 수호하는 신으로 좌정했다. 남이장군사당굿에서 남이는 용문동에 좋은 덕을 몰아다주는 능력, 물을 맑게 해주는 능력, 불을 밝혀주는 능력, 풍파와 풍진을 없애주는 능력이 있는 신으로 나타난다. 남이는 용문동 마을주민의 구체적 신앙의 대상으로 존재한다. 용문동 주민들은 개인적인 소원을 남이장군에게 빌고 영험성을 믿는다. 남이는 역사서에서와는 달리, 남이장굿사당굿이라는 마을굿에서 실제 남이의 억울함을 위로하고 이를 통해 마을을 수호하는 영험한 신으로 전환되었다. The object on this study is to appearance and meaning of ‘General Nami’ in Seoul Gut. In Yongmun-dong, Yongsan-gu, Seoul, ‘Nami-ganggunsadanggut’ takes Nami, a person who was in the Joseon Dumasty as a God. On this study, looked at ‘Nami’ recorded in history books. In the following, reviewed to literature related to the ‘Nami-ganggunsadanggut’, and examined the aspect of ‘General Nmi’’ in the ‘Nami-ganggunsadanggut’, based on field notes. In addition, analyzed the results and analyzed the meaning of ‘General Nami’ in the ‘Nami-ganggunsadanggut’. According to Historical facts about the Nami were reflected and reproduced in the ‘Nami-ganggunsadanggut’. As ‘Ggeneral Nami’, on the ‘Nami-ganggunsadanggut’, the shamans wear armor and gelmets to represent Nami. In ‘Nami-ganggunsadanggut’ of the General of the General Sadang Good, he is called Nami who wears an ‘Jeonbok’ and a waistband and riding a white horse. In the history, Nami was recorded as an unfortunate hero, but in ‘Nami-ganggunsadanggut’, he is the guardian of the village. In ‘Nami-ganggunsadanggut’, Nami appears as a god with the ability to drive good virture to Yongmun-dong, the ability to clear water, the ability to light fire, and the ability to eliminate wind and rubella. Nami is the object of concrete faith of Yongmun-dong village inhabitants. Yongmun-dong residents pray for their personal wishes to the ‘God general Nami’, and believe in spirituality. Unlike the history of Nami, Nami was converted into a god of god who defended the injustice of Nami in the village gut called ‘Nami-ganggunsadanggut’ and defended the village through it.

      • KCI등재

        남해만 연안지역 해륙세력(海陸勢力)의 성장과 제(濟),라(羅)의 토착사회 재편

        문안식 ( Ansik Moon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용봉인문논총 Vol.- No.47

        백제 근초고왕의 경략 이후 노령 이남지역의 마한사회는 영암 시종과 나주 반남·다시 등 오늘날의 영산강 중류지역에 해당되는 남해만(南海灣) 연안지역이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이곳의 마한집단은 6세기 중엽 이전까지 독자적인 세력권을 유지한 채 백제를 비롯하여 가야·신라·왜국등과 교류하였다. 이들은 영산강 유역의 평양지대를 이용한 농경 활동외에 남해만을 활용한 대외교류와 해상활동 등을 통해 경제적인 기반을 마련한 해륙세력이었다. 남해만 연안의 남쪽지역은 근초고왕의 남정을 전후하여 시종집단이 주도권을 장악하였는데, 5세기를 거치면서 반남집단의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반남집단은 농경과 대외교류를 통한 재부의 축적 외에 백제와 상보관계를 맺고, 그 권위를 활용하여 주변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남해만 북쪽지역과 영산강 하구 일대는 함평 월야와 학교, 무안 몽탄, 나주 다시 등을 중심으로 옹관고분을 축조한 집단의 성장이 이루어졌다. 이들 중에서 다시지역 토착집단의 성장이 두드러졌는데, 6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반남을 대신하여 마한사회의 중심지로 부상되었다. 다시 집단은 백제와 남해만 연안지역 토착사회의 교류를 중재하고, 그 반대급 부로 받은 금동관 등의 위세품을 활용하여 재지사회에 대한 영향력 확대하였다. 백제의 금동관 등 위세품 사여를 통한 영향력 확대는 반남과 다시 및 월야 등 남해만 연안지역의 중심지에 국한되었다. 그 외곽에 자리한 함평·영암·영광·해남·담양·광주 일대는 장고분과 영산강식 석실분을 축조한 집단이 다수 존재하였다. 백제는 남해만 연안을 비롯한 노령 이남지역의 주민을 內地와 다른 外方의 부용집단으로 인식하였다. 남해만 연안지역은 백제가 6세기 중엽 방군성제를 실시하면서 변화를 맞게 되었다. 백제는 전국에 걸쳐 37군 200현을 설치하였는데, 노령이남지역에 14군 44현을 두었다. 남해만 연안과 주변지역은 발라군과 월나군 및 물아혜군이 들어섰다. 발라군 등의 郡治는 마한사회의 중심가 아니라 그 외곽지역에 배치되었다. 백제는 郡治와 縣治의 위치 선정을 통해 토착사회의 재편을 꾀하였다. 군치와 현치의 위치 선정은 지리적 여건도 함께 고려되었는데, 대부분 산성 내에 마련되었다. 그런데 발라군 등이 관할한 영현의 숫자는 『삼국사기』 지리지의 기록과 실제 내용사이에 차이가 있다. 백제의 군현 관련 기록은 당시의 사정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신라의 통일과정을 겪으면서 통폐합이 이루어진 상황이 소급 정리되었다. 또한 남해만 연안지역은 백제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사회구조와 생활방식 등에서 전면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마한 때는 여러 포구를 중심으로 활발한 대외교류 활동이 이루어졌지만, 방군성제가 실시되면서 지방통치의 거점을 성곽 내에 두는 등 행정적·군사적인 지배가 강화되었다. 지방관은 재지의 수장 중에서 선발해 임용하는 단계를 거쳐 중앙에서 파견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신라는 통일 이후 전국에 걸쳐 9주제를 실시하면서 노령 이남지역에 ‘州’를 두었다. 처음에는 나주에 發羅州가 설치되었다가, 신문왕 때 광주 방면으로 치소를 옮기면서 武珍州라고 하였다. 무진주 밑에는 玄雄縣등 직할 3현을 두어 州治유지에 필요한 물적 및 인적 자원을 지원하게 하였고, 남해만 연안의 금산군과 반남군을 견제하는 역할도 맡겼다. 신라는 삼국 통일전쟁을 겪으면서 호구와 경작 면적이 감소한 여건등을 감안하여 현의 숫자를 대폭 줄인 통폐합을 추진하였다. 인구가 적은 지역은 鄕과 部曲으로 삼는 등 지방사회의 재편을 도모하였다. 신라는 통일 이후 모든 군현에 지방관을 파견하는 등 전제왕권 형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해 나갔다. 신라의 지방통치는 군사제도 개편을 통해 보강되었다. 그러나 신라의 지방통치가 토착세력을 배제한 채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지방 출신들은 州司와 郡司및 縣司등의 행정에 吏가 되어 참여하였다. 또한 군현 통폐합 과정에서 대부분의 행정 치소가 산성에서 평지로 내려오게 되었다. 군현 통폐합과 치소 이동은 문무왕 때를 거쳐 신문왕 5년(685)에 이르러 9주제가 완성될 무렵 기본골격이 형성되었고, 경덕왕 때에 漢化政策을 추진하면서 지명 개명이 이루어졌다. After occupation by King Geunchogo(近肖古王) of the Baekje, as the center of Mahan in the area south of Noryong, coastal areas of Namhae Bay(南海灣) including Sijong, Yeongam, Bannam and Dasi of Naju appeared. The groups located there had exchanges with Gaya, Shilla and Japan as well as the Baekje and were independent until before the mid-6th century. Mahan in the coastal areas of the south sea was divided into south, north, and the Youngsan river mouth in consideration of its geographical conditions. The southern area was controlled by the Sijong group before and after conquest of the south by king Geunchogo, and the influence of the Bannam group was expanded through the 5th century. The Bannam group had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Baekje in addition to accumulating wealth through agriculture and external exchanges and used its authority for a greater influence over the surrounding areas. In the northern area of the southern coast and the Youngsan river mouth, the group which built OJarcoffin tombs grew centering in Wolya and Hakgyo of Hampyong, Mongtan of Muan and Dasi of Naju. Growth in Dasi was remarkable and it was raised as a center of Mahan instead of Bannam before and after the 6th century. The Dasi group arbitrated contact with the aboriginal societies in Baekje and the southern coast, and expanded its influence over the nobility using prestige goods such as a gilt-bronze crown which was received as tribute. The coastal area of the southern sea changed as Baekje executed direct control over it in the mid-6th century. The Baekje established an administrative base of Gun and Hyun within their fortress. As the coastal area of the south coast was controlled by the Baekje, the social structure and living style changed greatly. Although there were active external exchanges centering on many ports in the Mahan period, as the Banggunsung system(方郡城制) was executed, administrative and military control was reinforced as: the base of local governance was placed within a fortress. Local authorities were appoint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rough the process of appointment from the heads of the nobility. As Shilla established counties and prefectures(a nine province system), it established ``Ju(州)`` even in areas south of Noryong. Shilla conducted the merger and abolition of Hyons(縣)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 that the number of houses and people and the area under tillage decreased. Also Shilla``s local administration was reinforced through reorganization of its military system. However, its local administration was not made with aboriginal power excluded. Lower-level officials from local areas took part in local adminis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