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육두께 측정의 초음파 진단장치 신뢰도에 따른 최고날숨유량과 날숨근육 두께 간의 관련성

        김병조,권해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s of expiratory muscles during respiratory conditions of resting and forced expiratory using ultrasonography. Additionally, this study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eak expiratory flow(PEF) and expiratory muscle thickness. Forty-five normal subjects in their 20s participated with no special disease according to a pre-survey and questionnaire, and received “Informed consent” which stat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study. The expiratory muscle thicknesses under respiratory conditions of resting and forced expiration in the rectus abdominis, internal oblique, external oblique, and transverse abdominis muscles were measured by B-mode ultrasonography at the end of a expiration in the supine position. The peak expiratory flow was obtained using a spirometer that performed in the sitting position to measure total lung capacity. The rectus abdominis, internal oblique, external oblique muscles under respiratory conditions of resting and forced expiration showed a high level of reliability of the thickness measurement, but that of transverse abdominis muscle was relatively low. The mean values of peak expiratory flow was 512.64±76.40ℓ/mi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eak expiratory flow and the thickness of rectus abdominis, internal oblique and transverse abdominis muscle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ak expiratory flow and the thickness of external oblique muscl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303. The thickness of the expiratory muscles is influenced by voluntary respiration, and assessment of the thickness by means of ultrasonography is adequately reliable. Therefore, Physiotherapists applying selective strengthening exercise of external oblique muscle may be considered intervention method to improve peak expiratory flow that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to facilitate airways clearance. 본 연구의 목적은 초음파 진단장치를 이용해 휴식 시와 강제날숨 호흡 상태에서 날숨 근육두께 측정의 초음파 진단장치의 신뢰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일반 대상자의 최고날숨유량과 날숨근육 두께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사전 설문조사와 문진을 통해 특별한 질환이 없는 20대의 건강한 성인 45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한 후 자발적인 의사로 본 연구에 참여한다는 동의서를 받았다. 휴식 시와 강제날숨 호흡 상태에서 날숨근육 두께는 대상자가 바로누운 상태에서 초음파 영상장치 B—mode를 이용해 날숨의 끝에 배곧은근, 배속빗근과 배바깥빗근, 그리고 배가로근을 측정하였다. 최고날숨유량은 폐활량계 장비를 사용해 의자에 앉은 대상자의 강제폐활량 측정을 통해 획득하였다. 휴식 시와 강제날숨 호흡 상태의 날숨근육 두께 측정은 배곧은근, 배속빗근, 배바깥빗근은 높은 신뢰도를 보였지만 배가로근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일반 대상자의 최고날숨유량 평균값은 512.64±76.40ℓ/min 이었고, 최고날숨유량과 배곧은근, 배속빗근, 배가로근 근육 두께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최고날숨유량과 배바깥빗근 근육 두께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p<.05), 상관계수는 0.303 이었다. 날숨근육의 두께는 자발적인 호흡에 영향을 주며 초음파 진단장치에 의한 근육두께의 측정은 높은 신뢰도를 가진다. 그러므로 물리치료사는 호흡기 질환 환자의 기도 청결을 촉진하는 최고날숨유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방법으로 배바깥빗근의 선택적인 근력강화운동의 적용을 고려할 수 있다.

      • KCI등재

        호흡구조 분석을 통한 태평무 호흡표기법 연구 : 한성준류 강선영의 태평무를 중심으로

        임현선 한국무용연구회 2006 한국무용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춤 호흡을 표기할 수 있도록 고안된 호흡표기법을 이용하여 태평무의 호흡을 문석하고, 그 결과에 대한 과학적 타당성을 확보함으로써 태평무의 호흡을 체계적으로 정형화하는 방법론 모색에 역점을 두었다. 특히 한국춤의 실기 현장에서 중요하게 요구되는 호흡에 대한 분석은 그 호흡의 기본원리를 이해하는 기초가 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춤 호흡의 객관적 근거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태평무의 무용동작 특성과 호흡표기의 과학적 검증을 위해 태평무의 동작과 각 동작에 따른 호흡의 유형을 실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무보나 동작표기 만으로 설명될 수 없는 호흡의 형태와 흐름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정형화하고 이를 통해 호흡표기의 과학적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1. 태평무의 호흡유형은 들숨, 날숨, 멈춤의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 2. 태평무의 호흡유형은 호흡의 크기에 따라 세분화된 형태로 나타날 것이다. 3. 들숨, 날숨, 멈춤의 태평무 호흡유형과 호흡곡선의 일치도는 매우 높게 니티날 것이다. 태평무의 충동작에 따른 호흡표기의 과학적 검증을 위해 태평무의 동작과 각 동작에 따른 호흡유형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여 호흡표기와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1. 호흡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이를 세부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호흡표기와 호흡곡선은 매우 높은 일치도를 나타냈다. 2. 호흡을 들숨, 날숨, 멈춤으로 분류한 세 유형 중에서는, 멈춤의 유형에서 그 일치도가 100%로 가장 완벽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들숨의 유형 또한 93.4%의 중앙값을 보임으로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날숨의 유형에서는 65.6%의 중앙값을 보임으로서, 멈 춤이나 들숨에 비해서 다소 떨어졌으나 평균 이상의 일치를 이루었다. 3. 들숨의 크기로 분류한 큰들숨, 중간들숨, 작은들숨의 세 유형에서 각각의 중앙값은 92.5%, 97.1%, 93.8%로 나타나 매우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그리고 날숨의 크기로 분류한 큰날숨, 중간날숨, 작은날숨의 세 유형에서 각각의 중앙값은 12.1%, 61.9%, 62.5%로 나타나 들숨이나 멈춤보다는 다소 낮았다. 또한 멈춤의 분류에 따른 각각의 중앙값은 큰멈춤, 중간멈춤, 작은멈춤 모두에서 100%의 완벽한 수준의 일치를 이루었다. In this study I analyze the breathing in Taepyeongmu, using the system designed to transcribe the breathing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aim to develop a methodology that systematically standardizes the breathing in Taepyeongmu, by scientifically analyzing the result. In particular, I seek an objective ground for breathing in dance, for an analysis of breathing enables an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breathing, which is of absolute importance in performing Korean dance. This study, therefore, analyzes through experiments each movement and the breathing thereof in Taepyeongmu, then comprehensively theorizes and systemizes such modes and flows of breathing that cannot be explained through dance steps or movement directions,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ovements may be clarified and the system of transcribing breathing may secure its scientific validity. After analyzing each movement and the breathing thereof in Taepyeongnut and comparing them with the system of transcribing breathing, 1 arrive at the following conclusion: 1. A classification of breathing modes and its subsequent analysis shows that the transcribed breathing coincides with the breathing curve. 2. Among the three categories of inhaling, exhaling, and pausing, the coincidence rate is perfect and the highest in pausing. In inhaling, the coincidence rate is very high—93-4%. The coincidence rate in exhaling is 65.6% — somewhat lower than in pausing and inhaling but relatively high. 3. In the further classified analysis, the coincidence rates in long inhaling, medium inhaling, and short inhaling are respectively 92.5%, 97.1%, and 93.8% — all very high. In long exhaling, medium exhaling, and short exhaling, the coincidence rates are respectively 73-7%, 61.9%, and 62.5% — all lower than in inhaling and pausing. In case of pausing, long pausing, medium pausing, and short pausing all showed the perfect coincidence rate of 100%.

      • KCI등재

        허리안정화운동이 뇌졸중환자의 호흡압력에 미치는 영향

        박신준,오대식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허리안정화운동이 들숨 및 날숨 압력에 미치는 시기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 환자 36명을 각각 허리안정화운동군 17명과 일반적 물리치료운동군 19명으로 나누어 중재를 실시하였다. 두 군 모두 호흡압력 측정기를 이용한 들숨 및 날숨 압력을 운동전, 4주와 8주에 걸쳐 측정하였다. 최대날숨압력에서 허리안정화운동군은 시기에 따라 운동전, 4주, 8주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일반적 물리치료운동군은 모든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최대들숨압력에서 허리안정화운동군은 시기에 따라 운동전보다 4주, 4주보다 8주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운동전보다 8주는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일반적 물리치료운동군의 모든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군간 변화량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허리안정화운동이 뇌졸중 환자에 날숨압력 개선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고, 이 운동을 지속적으로 한다면 들숨압력에도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연구에서 허리안정화운동 후 개별적 호흡근육 측정이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ercise periods changes of the waist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inspiratory and expiratory pressure of stroke patients. Thirty-six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17 lumbar stabilization group(LSEG) and 19 general exercise group(GPEG). In both groups, inspiratory and expiratory pressure using a respiratory pressure device was measured over 4 and 8 weeks. At maximal expiratory pressure, LSE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efore, 4 weeks and 8 weeks according to the perio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PEG in all periods. At maximal inspiratory presus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SEG between before-4 weeks and 4-8 week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Before-8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periods of GPEG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xpiratory pressure in the stroke patients. If the stroke patient continues to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it is also an effective method for inspiratory pressure. Future studies are expected to study individual respiratory muscle measurements after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 KCI등재

        배근 강화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배근력 및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강태욱,정주현 대한통합의학회 2019 대한통합의학회지 Vol.7 No.4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bdomin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on abdominal muscle strength and respirator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14 stroke patients (10 males, 4 females) hospitalized at W rehabilitation hospital in Busan City and randomly assigned to 7 exercise groups and 7 control groups. Exercise was performed in combination with an upper and lower extremity pattern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Measurements of abdominal muscle strength and respiratory function were made before intervention and 4 weeks after intervention. Abdominal muscle strength was assessed using a digital manual dynamometer, and respiratory function was assessed by spirometr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s α=.05.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applying abdomin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to stroke patien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bdominal muscle strength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p<.05). Maximal-effort expiratory spirogram (MES) reading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forced vital capacity (FVC),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in the exercise group, and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FEV1 (p<.05). Slow vital capacity (SV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vital capacity (VC), tidal volume (TV), inspiratory reserve volume (IRV), and expiratory capacity (EC),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VC, TV, expiratory reserve volume (ERV), EC, and inspiratory capacity (IC) (p<.05). Conclusion : Abdomin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was effective in the abdominal muscle strength of stroke patients, and it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respiratory function. Therefore, it seems that exercise programs for stroke patients with respiratory weakness should include abdomin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Purpose: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배근강화운동이 배근력과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Methods: 연구대상자는 부산시 소재 W 재활병원에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 14명(남성 10명, 여성 4명)을 대상으로 배근강화 운동군 7명, 대조군 7명으로 무작위 배치하였다. 배근강화 운동은 PNF의 상지와 하지 패턴을 결합한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배근력과 호흡기능의 측정은 중재 전, 중재 4주 후에 측정하였다. 배근력을 측정하기 위해 디지털 근력 측정계를 사용하였고, 호흡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폐 기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ve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운동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그룹 간 비교를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α=0.05로 설정하였다. Result: 뇌졸중 환자에게 배근강화운동을 적용한 결과 배근력, 노력성 폐활량, 1초 최대 날숨량, 폐활량, 평상시 1회 호흡량, 들숨 예비용적, 날숨용량에서 중재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Conclusion: 배근강화운동은 뇌졸중 환자의 배근육 강화에 효과적이었으며, 호흡기능의 증진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호흡기능이 약화된 뇌졸중 환자의 운동프로그램에 배근강화운동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라이프케어에서 수면시간이 심장호흡기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영제(Young-Jeoi Yo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라이프케어에서 수면시간이 심장호흡기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수면부족군과 수면적정군으로 나누어 심장지구력 평가, 들숨능력 평가, 날숨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심장지구력 평가에서 수면적정군은 수면부족군에 비해 최대산소섭취량과 최대에너지소비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들숨능력 평가에서 수면적 정군은 수면부족군에 비해 최대들숨유속률, 최대들숨량, 평균들숨유속률, 평균들숨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날숨능력 평가에서 수면적정군은 수면부족군에 비해 1초 노력성 날숨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생의 라이프 케어에서 수면부족은 심장호흡기계 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수면부족에 대한 위험성을 지각하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라이프 케어에서 심장호흡기계 능력과 관련하여 적정한 수면을 권장하는 자료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 of amount of sleep on cardiorespiratory system capacity in life care of university students. Cardiac endurance evaluation, inspiratory capacity evaluation, expiratory capacity evaluation were conducted by dividing into SSG (suitable sleep group) and LSG (lack of sleep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ardiac endurance evaluation, the MOU (maximum oxygen uptake) and VO2Max (maximal oxygen consum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SG than LSG. In the inspiratory capacity evaluation, PIFR (peak inspiratory flow rate), PIC (peak inspiratory capacity), AIFR (average inspiratory flow rate) and AIC (averate inspiratory capac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SG than LSG. In expiratory capacity evaluation, SS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EV1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than LSG.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leep deprivation in university student’s life care negatively affects cardiorespiratory system capacity. Therf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isk of lack of sleep of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perceived,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itable sleep should be recommended in relation to cardiorespiratory capacity in university student’s life care.

      • KCI등재

        호흡생리학적 분석을 통한 한국무용 호흡표기법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김향선(Hyaung Sun Kim),김유진(Yu Jin Kim),임학선(Hak Sun Lim),정선해(Sun Hae Jung),안의수(Eue Soo Ann) 한국무용과학회 200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8 No.-

        본 연구는 한국춤의 논리적 이해를 돕는 춤이론과 훈련법에 대한 방법론적 연구를 위한 것으로, 대상자는 본 연구의 대상 춤인 태극구조 기본춤의 고안자로부터 직접 사사(師事)를 받은 무용수로서 태극구조 기본춤의 호흡을 가장 잘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는 무용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호흡분석에 따른 호흡표기의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호흡패턴을 측정할 수 있는 써미스트(Thermister)가 장착된 마스크와 휴대용 가스분석기(Meta max3B, 독일)를 등에 착용하고 태극구조 기본춤의 12단계 중 2단계에 해당하는 무용동작들을 3회반복하게 하여 이때의 호흡을 측정하여 호흡패턴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치백분율은 평균값이 84.5%, 최소값은 75.6% 최대값은 95.1%로 나타났으며, Kappa치는 평균값이 .798, 최소값이 .687 최대값이 .933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매우 높은 일치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호흡유형을 들숨, 날숨, 멈춤으로 분류한 세 유형 중에서는, 날숨의 유형에서 그 일치율이 91.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들숨의 유형이 83.3%, 멈춤이 71.4%의 평균값을 보여 전체적으로 매우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춤의 전반적인 호흡구조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호흡표기의 활용이 매우 타당성 있는 방법임을 시사해 주는 결과라 하겠다. The present study is a methodological study on a dancing theory and a training method assisting logical understanding of Korean dance. The selected subject was a dancer who directly studied under the originator of the Taegeuk-form ground dance, the object dance of the present study, capable of understanding breathing for the Taegeuk-form ground dance and performing accordingly. The breathing pattern was analyzed by asking the subject to perform dance moves three times pertaining to the second level out of twelve levels of the Taegeuk-form ground dance. The breathing pattern was analyzed from a dancer wearing a mask with thermister and portable gas analyzer (Meta max3B, Germany) to validate the dance notation based on the breathing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study, coincidence percentages showed the mean value of 84.5%, the minimum value of 75.6%, and the maximum value of 95.1%, while Kappa values show the mean value of .798, the minimum value of .687, and the maximum value of .933, thus proving a very high coincidence level in overall. As for three breathing types classified as inhaling, exhaling, and pausing, exhaling showed the highest coincidence rate of 91.7%, followed by 83.3% for inhaling, and the mean value of 71.4% for pausing, thus proving a very high coincidence level in overall. The outcome clearly implied that utilization of breathing notation helping understand the overall breathing structure for Korean dance could be a very valid wa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국악 가창에 관한 고찰-발성법을 중심으로-

        강영애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2 국악교육연구 Vol.6 No.1

        Korean songs in elementary schools include folk songs, traditional children’s songs, created contemporary children’s folk songs, Sijo, Gagok, Pansori, created Pansori children’s song and Changgeuk.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instructing the songs is to sing, and singing is expressed via the vocal apparatus. The vocalization method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genres. It can be acquired by proper guidance and repetitive exercise. However, there is one difficulty: no specific method has been suggested. The natural vocalization method is widely used without proper differentiation despite the different method for each type of song. This study defines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inging folk songs, children’s songs, Sijo and Pansori by gradients.The results are as follows. Similarities:1. Hypogastric breathing 2. Sufficient - adequate and rapid inhalation 3. Even and slow exhalation until it keeps constant vocalization 4. Sucks stomach, stretch waist, and soothe chest, chin, neck and shoulder Differences:1. While folk songs and Pansori use a whole voice sounding where the vocal cords are in a strained state, children’s songs require a natural vocal cord without forcibly straining the voice. Sijo requires a soft sound from the nape. 2. Children’s songs require accurate pronunciation, while Sijo does not require a widely opened mouth. 3. Sijo employs short words but a prolonged tune with a warm and easy expression showing moderate emotion. 4. Folk songs use sigimsae with tori where sound and the used of neck are incorporated. Sijo, on the other hand, involves sigimsae using both the outer neck and the inner neck. Pansori uses sigimsae which differentiates between the sound and the use of the neck.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가창곡은 민요, 전래동요, 창작국악동요, 시조, 가곡, 판소리, 판소리 창작동요, 창작 판소리, 창극 등이다. 이러한 가창곡 지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노래를 부르는 것이며, 노래는 우리 몸의 발성기관을 통하여 소리로 표출된다. 장르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발성법은 올바른 지도와 반복되는 연습에 의해 습득이 가능하다. 그러나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지 않아 이해에 어려움이 있다. 소리를 내는 방법이 제재곡별로 다른데도 불구하고 정확한 구별 없이 자연스러운 발성법으로 통용되고 있는 것이다. 각 학년별 국악가창곡은 민요, 동요, 시조, 판소리로 구별하여, 발성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마련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1. 단전호흡을 한다. 2. 들숨은 신속하게 많은 양을 깊이 들이쉰다. 3. 날숨은 고르게 천천히 발성을 지속시킬 때까지 낸다. 4. 아랫배에 힘을 주고, 허리는 곧게 펴며, 가슴․턱․목․어깨가 경직되지 않게 한다.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1. 민요와 판소리는 성대를 긴장시킨 상태에서 힘차게 소리를 질러내는 통성을 사용하지만, 동요는 말할 때와 같은 자연발성법, 시조는 덜미목 발성으로 온몸을 공명시키는 부드러운 발성법을 사용한다. 2. 동요는 정확한 발음, 시조는 입모양을 여는 듯 마는 듯 크게 벌리지 않는 특징을 지닌다. 3. 시조는 자음의 발음이 부드러우면서 짧은 어단성장(語短聲長), 감정을 절제한 온화함과 편안한 표정이 특징이다. 4. 민요는 토리․소리․목으로 구별되는 시김새, 시조는 겉목과 속목에서의 시김새, 판소리는 성․목으로 구별되는 다양한 시김새가 있다.

      • KCI등재

        정상 성인의 신체조성과 폐 기능의 연관성

        김현승,조성현 대한통합의학회 2020 대한통합의학회지 Vol.8 No.2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lung function in healthy adults. Method: This study included 204 healthy adults in whom all measurements were obtained once, and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oftware for Windows, version 22.0.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represented by the total body water, protein mass, soft lean mass, mineral mass, basal metabolic rate, fat-free mass, skeletal muscle mass, and body fat percentage) and lung function (represented by the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the FEV1/FVC ratio, maximum voluntary ventilation [MVV], maximum expiratory pressure [MEP], and the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IP]). All measurements were obtained by two investigators to improve reliability. A significance level of α=.05 was used to verify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Among the lung function measurements obtained in both men and women, the FVC, FEV1, MVV, and MIP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body water, protein mass, soft lean mass, mineral mass, basal metabolic rate, fat-free mass, and skeletal muscle mass in men (p<.05). The FEV1/FVC ratio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body water, soft lean mass, mineral mass, basal metabolic rate, fat-free mass and the body fat percentage (p<.05). Notably, the FVC, FEV1, and MVV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body water, protein mass, soft lean mass, mineral mass, basal metabolic rate, fat-free mass, and skeletal muscle mass in women (p<.05).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lung function in healthy adults. In combination with future studies on lung function, our results can provide objective evid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of lung disease, and our data can be utilized in rehabilitation programs for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목적: 본 연구는 정상 성인의 신체조성과 폐 기능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정상 성인으로 204명을 대상으로 단일측정하였고, 자료 분석은 Windows SPSS Versio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신체조성(체수분, 단백질, 근육량, 무기질, 기초대사량, 제지방량, 골격근량, 체지방률)과 폐 기능(FVC, FEV1, FEV1/FVC, MVV, MEP, MIP)의 종속변인들 간에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모든 측정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2명의 측정자로 측정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유의수준 α=.05로 설정하였다. 결과: 남성과 여성의 폐 기능 측정 중 남성에서 FVC, FEV1, MVV 그리고 MIP은 체수분, 단백질, 근육량, 무기질, 기초대사량, 제지방량, 골격근량 사이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FEV1/FVC은 체수분, 근육량, 무기질, 기초대사량, 제지방량, 체지방률 사이에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여성에서는 FVC, FEV1, MVV은 체수분, 단백질, 근육량, 무기질, 기초대사량, 제지방량, 골격근량 사이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결론: 정상 성인의 신체적 특성인 체수분, 단백질, 근육량, 무기질, 기초대사량, 제지방량, 골격근량, 체지방률과 폐 기능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폐 기능에 관련된 많은 연구를 하여 폐 질환 예방의 기초자료에 도움 될 수 있으며, 호흡기계 질환의 재활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