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광균 시에 나타난 "애도"의 양상 연구

        라기주 ( Gee Joo Rah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3

        본고는 김광균의 시에 나타난 비극적 세계관에 초점을 두고 비애를 표출하는 방식을 ‘애도’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김광균(1914~1993)은 한국 현대 시문학사에서 김기림, 정지용과 함께 1930년대 모더니즘의 한 획을 그어놓은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열 세 살에 「가신 누님」을 발표한 이후로부터 80살에 생을 마감할 때까지 5권의 시집과 산문을 발표했다. 김광균은 1990년 마지막 시를 발표할 때까지 70년의 시력을 갖고 있지만 1957년 세 번째 시집 『황혼가』를 출간하고, 사업가로 작품 활동을 중단한 시기를 제외하면 약 20여 년간 시작활동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광균은 한국문학사에서 정지용과 함께 1930년대를 풍미했던 모더니스트이며 이미지스트로 명명되고 있다. 지금까지 김광균의 시는 모더니즘과 이미지즘의 기법적인 측면, 형식 주의와 구조주의적 측면, 내면의식을 고찰한 연구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시각적 이미지와 회화성을 근거하여 논의되어왔다. 본고에서는 김광균시 곳곳에 침투해 있는 죽음의 흔적들을 보다 명료하게 드러내기 위해서 ‘애도’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애도란 사랑하는 존재의 상실과 그 상실에 대한 반응이다. 죽은 사람을 애모하며 그 사람의 죽음을 슬퍼하는 감정이다. 김광균의 시에서는 가족과 친지, 친구들이 슬품을 환기시키는 대상으로 등장한다. ‘슬픔’과 ‘그리움’, ‘서러움’, ‘고독’ 등의 비애의 정서는 시인의 우울한 내면세계와 중첩되며 무의식의 지배인자로 작용한다. 김광균 시에서 무의식 속에살아 있는 이 기억흔적은 우울증적 요소와 맞닿아 있어 작품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주제의식과 시적 형상화에 바탕을 두고 김광균시를 세 개의 층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비애를 표출하는 두가지 방식: 애도와 멜랑콜리>는 사랑하는 존재의 상실과 그 상실에 대해 반응하는 부분이고 둘째, <비극적 사유와 ‘애도’의 탄생>은 비극적 세계관이 형성되는 부분이며 셋째, <애도의 결정체로서의 ‘눈물’>은 내면의 기록을 슬품으로 객관화시킨 작품들이다. 본고에서는 김광균의 원형적인 상상력의 근간에 자리하고 있는 가족과 친구의 죽음에 시적 의미를 두고 고찰하였다. 그 이유는 작품 속에 나타나는 시의 원천들이 유년의 기억과 관련 있고, 이전에 체화된 근원적인 기억흔적이 환상으로 재현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한 작가의 작품을 분석하거나 비평할 때 한 층위에서 접근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그러나 김광균 시에 나타난 비극적 세계관의 연구가 기존의 해석에서 부족한 부분을 메울 수 있고 더 나아가 새로운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ways Kim Gwang-gyun expressed sadness from the perspective of “mourning” with a focus on the tragic world view found in his poetry.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poetic literature of Korea, Kim Gwang-gyun(1914~1993) is considered as one of the poets that left a great trace in modernism in the 1930s along with Kim Gi-rim and Jeong Ji-yong. He published five books of poetry including his first one Sister Gashin, which was published when he was 13, until he passed away at the age of 80 along with several prose works. His career as a poet lasted for 70 years until he issued his last poem in 1990, but his activities as a poet were active only for 20 years or so except for the period when he stopped writing poems after publishing his third book of poetry Twilight Songs in 1957 and took up business.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he dominated the 1930s as a modernist and imagist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long with Jeong Ji-yong. There are researches that approached his poems in the aspects of modernism and imagism techniques, those of formalism and structuralism, and those of internal consciousness, but most of them developed a discussion based on the visual images and pictoriality of his poems. The present study put a focus on “mourning” to show the traces of death that made their way into his poems in a clearer fashion. Mourning is a response to the loss of a loved one and the loss itself. It evokes emotions of missing the deceased and feeling sorrowful about the death. In Kim`s poems, family members, relatives, and friends arouse sadness. They overlap with the depressed inner world of the poet via such sad emotions as “sorrow,” “missing,” “grief,” and “solitude,” serving as the dominant actors of unconsciousness. Such traces of memory living in unconsciousness in his poetry are connected to depressive elements and hold important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and analyzing his works. Based on that thematic consciousness and poetic embodiment, the investigator examined his poems in three layers: first, “two ways of expressing sadness: mourning and melancholy” involves the loss of a loved one and the loss itself; second, “tragic thinking and birth of ‘mourning’” involves the creation of a tragic view of the world; and finally, “’tears’ as the crystals of morning” presents his works that objectified internal records through sadness. The study delved into his poems with the poetic significance of the death of family members and friends at the root of his archetypical imagination because the sources of his poems had something to do with his childhood memories and because the fundamental traces of memory accumulated before were reproduced as a fantasy. It can be dangerous to make an approach to the analysis or criticism of a writer`s works from a layer, layer, but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on the tragic view of the world in Kim`s poetry will fill up the lacking parts in the old interpretations and further provide a new starting point.

      • KCI등재

        현대문학 : 중간파 시 논쟁과 김광균의 시론

        박민규 ( Min Kyu Park ) 배달말학회 2012 배달말 Vol.50 No.-

        그동안 해방기의 중간파 연구는 백철, 홍효민, 염상섭 등에 치중해 있었다. 이 연구는 그간 소홀히 다뤄져왔던 김광균의 해방기 시론을 검토함으로써 좌와 우의 편향에 비판적이었던 해방기 시단의 중간자적 시관을 조명하고자 했다. 또한 김광균은 그의 시론의 대다수를 해방기에 집중적으로 내놓고 있다. 즉 이 연구는 30년대의 김광균 시론에 국한됐던 그간의 연구 관행을 넘어서려 한 시도이기도 하다. 해방 직후 김광균은 문맹의 정치주의 시단에서 활발히 활동하였다. 그랬던 그가 회의를 느끼기 시작한 시기는 46년 하반기부터다. 그해 12월 초부터 이듬해 3월까지 김광균은 주로 문맹의 논자들과 지속적인 논쟁을 벌였다. 그의 중간파적 시관은 좌와 우 양쪽에서 거센 공격을 받았다. 이 연구는 논쟁의 통시적 과정을 상세히 검토함으로써 김광균이 시적 개성주의를 넘어서 시인 본분의 생활을 강조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의 `개성론`과 `생활론`이 당시에 곡해, 은폐된 양상도 밝히고자 하였다. 논쟁이 일단락되자 김광균은 개성과 생활의 문제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려는 이론적 모색 속에서 「전진과 반성」을 작성한다. 이 글에서 그는 `일상` 체험의 시화를 내세움으로써 시에서의 개성과 시대성 문제를 통합해내는 시야를 마련한다. 또한 현실주의 시단의 문제와 그 해법을 내용, 형식의 양 차원에서 제시하기도 한다. 당시에 김광균의 시론은 비록 외면 받았지만, 이후 정부수립기 문총의 여러 논자들에 의해 정치주의 및 순수주의 시에 대한 비판으로 재점화됐다는 점에서 김광균의 문제제기는 담론적 선취를 점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Research on centrists in the period of national liberation(1945~50) so far has been concentrated on Baek Cheol, Hong Hyomin, Yeom Sang-seop etc. Reviewing Kim Kwang-gyun`s poetics that has been neglectfully addressed thus far, this study tries to shed light on the centrist view of poetry in the poetic realm in the period of national liberation, which was critical of the leftist and rightist prejudices. Kim Kwang-gyun intensively came up with most of his poetics in the period of national liberation.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also an attempt at overcoming the research practice so far that has been limited to his poetic theory in the 1930`s. Right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Kim was active in the political poetic group in the Korean Writers` Alliance(Chson-Munhakga-Dongmaeng). It was from late in 1946 that he began to feel skeptical. He was engaged in constant debates against theorists in the Korean Writers` Alliance from early December in 1946 to March in the next year. His centrist poetic view was severely attacked by both the leftist and rightist camps. Examining the diachronic process of the debates, this study has seen that Kim put emphasis on poets` life as it were beyond the poetic individualism. It also tries to explicate the aspects of the distortion or concealment of his `individualism` and `theory of life` at that time. As the debates were settled for the time being, Kim composed `Progress and Reflection` in his theoretical exploration for systematically combining problems of individuality and life. In the article, he provided a view that integrated the problems of individuality and temporality in poems by emphasizing the poeticization of `everyday life` experiences. He also presented the problems with the political realist camp of poetry and their solutions both in the dimensions of contents and forms. Though Kim`s poetics was disregarded at that time, his problem raising can be evaluated as occupying a discourse initiative to the effect that it was re-ignited with the criticism of political and purist poems by a number of theorists in the period of government foundation.

      • KCI등재

        중간파 시 논쟁과 김광균의 시론

        박민규 배달말학회 2012 배달말 Vol.50 No.-

        Research on centrists in the period of national liberation(1945~50) so far has been concentrated on Baek Cheol, Hong Hyomin, Yeom Sang-seop etc. Reviewing Kim Kwang-gyun’s poetics that has been neglectfully addressed thus far, this study tries to shed light on the centrist view of poetry in the poetic realm in the period of national liberation, which was critical of the leftist and rightist prejudices. Kim Kwang-gyun intensively came up with most of his poetics in the period of national liberation.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also an attempt at overcoming the research practice so far that has been limited to his poetic theory in the 1930’s. Right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Kim was active in the political poetic group in the Korean Writers’ Alliance(Chsŏn-Munhakga-Dongmaeng). It was from late in 1946 that he began to feel skeptical. He was engaged in constant debates against theorists in the Korean Writers’ Alliance from early December in 1946 to March in the next year. His centrist poetic view was severely attacked by both the leftist and rightist camps. Examining the diachronic process of the debates, this study has seen that Kim put emphasis on poets’ life as it were beyond the poetic individualism. It also tries to explicate the aspects of the distortion or concealment of his ‘individualism’ and ‘theory of life’ at that time. As the debates were settled for the time being, Kim composed ‘Progress and Reflection’ in his theoretical exploration for systematically combining problems of individuality and life. In the article, he provided a view that integrated the problems of individuality and temporality in poems by emphasizing the poeticization of ‘everyday life’ experiences. He also presented the problems with the political realist camp of poetry and their solutions both in the dimensions of contents and forms. Though Kim’s poetics was disregarded at that time, his problem raising can be evaluated as occupying a discourse initiative to the effect that it was re-ignited with the criticism of political and purist poems by a number of theorists in the period of government foundation. 그동안 해방기의 중간파 연구는 백철, 홍효민, 염상섭 등에 치중해 있었다. 이 연구는 그간 소홀히 다뤄져왔던 김광균의 해방기 시론을 검토함으로써 좌와 우의 편향에 비판적이었던 해방기 시단의 중간자적 시관을 조명하고자 했다. 또한 김광균은 그의 시론의 대다수를 해방기에 집중적으로 내놓고 있다. 즉 이 연구는 30년대의 김광균 시론에 국한됐던 그간의 연구 관행을 넘어서려 한 시도이기도 하다. 해방 직후 김광균은 문맹의 정치주의 시단에서 활발히 활동하였다. 그랬던 그가 회의를 느끼기 시작한 시기는 46년 하반기부터다. 그해 12월 초부터 이듬해 3월까지 김광균은 주로 문맹의 논자들과 지속적인 논쟁을 벌였다. 그의 중간파적 시관은 좌와 우 양쪽에서 거센 공격을 받았다. 이 연구는 논쟁의 통시적 과정을 상세히 검토함으로써 김광균이 시적 개성주의를 넘어서 시인 본분의 생활을 강조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의 ‘개성론’과 ‘생활론’이 당시에 곡해, 은폐된 양상도 밝히고자 하였다. 논쟁이 일단락되자 김광균은 개성과 생활의 문제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려는 이론적 모색 속에서 「전진과 반성」을 작성한다. 이 글에서 그는 ‘일상’ 체험의 시화를 내세움으로써 시에서의 개성과 시대성 문제를 통합해내는 시야를 마련한다. 또한 현실주의 시단의 문제와 그 해법을 내용, 형식의 양 차원에서 제시하기도 한다. 당시에 김광균의 시론은 비록 외면 받았지만, 이후 정부수립기 문총의 여러 논자들에 의해 정치주의 및 순수주의 시에 대한 비판으로 재점화됐다는 점에서 김광균의 문제제기는 담론적 선취를 점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930년대 중ㆍ후반 김광균 시의 낭만과 모던

        김진희(Kim, Jin-Hee)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41

        1930년대 중ㆍ후반 김광균의 시는 시문학사에서 이미지즘을 중심으로 회화성과 조형성이 논의,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한편으로 시에서 보이는 주관적 감상성은 낭만성과 맞닿아 있는 특성으로 반낭만주의적 태도를 강조했던 영미 이미지즘의 구현에는 한계로 작용한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본고는 김광균 시의 이미지즘을 다시 논의하기 위해서 1930년대 중ㆍ후반 시단의 상황과 함께 작품 자체가 갖고 있는 특성을 다시 검토해 봄으로써 그간 문제적으로 지적되어 오던 낭만주의나 낭만성, 그리고 회화성과 애상성의 함의와 그 효과 등을 재고함으로써 김광균 시에서 모던과 낭만의 문제를 탐구하고 있다. 김광균 시에서의 회화성은 영미 이미지즘에서 추구한 세계와의 단절, 의미의 배제, 주관의 삭제를 위한 이미지의 구현이 아니다. 회화적 재현을 이끌어 가는 시인의 의식은 낭만주의와 맞닿아 있다. 김광균은 자신의 시선으로 풍경을 묘사하고, 자신의 정서를 그 풍경에 부여하는 인상주의적 재현 화법(畵法)을 시에 사용한다. 한편 슬픔과 고독, 우울을 기조로 하는 멜랑콜리는 식민지하 근대도시의 삶에 반응하는 김광균의 근대적 감수성이다. 이러한 멜랑콜리 의식을 통해 사회적 모더니티를 이끌었던 제국-일본과는 달리 식민지 근대 조선의 어둡고 우울하지만 심오한 정신적 역설을 읽게 된다. 근대란 우울한 것이다. 이런 명제는 당대 사회의 중심 이념―진보, 제국, 일본, 문명 등에 도전한다. 그러므로 멜랑콜리의 이면을 들여다보면 잘못 진행되고 있는 식민지 근대성에 대한 비판과 전복의 가능성을 읽어 낼 수 있다. 이는 1930년대 중ㆍ후반 김광균과 모더니즘의 한 성과이다. In the history of poetry, works of Kim Gwang-gyun from the mid- to the late-1930s have been a topic of discussion and assessments for its descriptiveness and formativeness centered on imagism. Subjective sentimentality of the poems is characterized by its closeness to romanticism, and they were often considered to be mere partial adaptation to English-American imagism.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English imagism, therefore, it is crucial to shed light on both the atmosphere of the contemporary poetry world as well as the features of poems themselves in the reevaluation of Kim Gwang-gyun’s poems, which points to the issues of romanticism and romance as well as the sense of descriptiveness and melancholy. The descriptiveness of Kim Gwang-gyun’s poems lacks the embodiment of imagery which would endow the disconnection from the world of English-American imagism, exclusion of meanings, and elimination of subjectivity. The consciousness of the poet that induces pictorial reconstruction is linked to romanticism. Kim Gwang-gyun depicts the scene from his own perspective, and, at the same time, adopts impressionistic replicative methods that imprint his own emotion to the scenery. On the other hand, such melancholy founded upon grief, loneliness, and misery is Kim Gwang-gyun’s modern sensibility that echoes through modern city life under the colonial rule. These features lay underneath modern sensibility which, as Kim Girim once said, brought tears to the readers, who were not as much touched by the poems written by Park Yong-cheol or Kim So-weol. Differing from social modernity fronted by Imperial Japan, within this melancholy it is possible to find spiritual paradox of modern colonial Joseon that were bleak, dreary, and yet profound. It is the melancholy in the name of modernity. Such proposition challenged the central ideology of the contemporary society, such as progress, empire, Japan, and civilization. By looking at what lies underneath such melancholy, can one find the possibility of criticizing and overthrowing misdirected understanding of colonial modernity. This is one of the legacies of Kim Gwang-gyun’s poetry and Modernism in the mid-to the late 1930s.

      • KCI등재

        김광균 시의 환상과 내면의 상처 치유

        윤수하(Yoon Su-ha) 한국비평문학회 2021 批評文學 Vol.- No.80

        그동안 김광균의 시는 1930년대를 대표하는 모더니즘 시로 논의되었다. 그러나 당대의 모더니즘 시와 다른 독특한 서정성으로 모더니스트로서의 평가가 엇갈렸다. 근래의 김광균 시에 대한 연구 방향은 회화성과 조형성을 비롯해 시에 나타나는 예술적 요소에 대한 해석으로 진행되고 있다. 김광균 본인이 문단에서 조형성을 염두에 둔 창작 방식을 논했으므로 그러한 논의 방향이 진행됨은 당연한 결과다. 김광균 시의 독자적인 부분은 개성적인 이미지 표현이다. 그의 시에 표현된 환상적 요소는 죽음과 삶, 또는 현실과 비현실 사이를 오가며 양립될 수 없는 공간을 창조해냈다. 이 연구는 김광균 시의 예술적인 연상이 어떠한 방식으로 시에 표현되었으며 그로 인해 내면의 고통이 치유되는 양상을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특히 김광균의 시에 표현된 형상서술과 표상이 예술적 승화를 거쳐 심리적 위안을 주는 대상물로 묘사된 것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또 현실과 환상의 경계에 놓인 김광균 시의 중간 대상이 어떠한 방식으로 개인에게 심리적 공포를 주는 위해 요소를 방어할 수 있는 지를 밝히는 데 이 논문의 목적을 두었다. Until now, Kim Gwang-gyun"s poems have been discussed as a modernist poetry representing the 1930s. However, his unique lyricism has also caused mixed reviews as a modernist. Kim Gwang-gyun"s research mainly focuses on modernistic factors, pictoriality and formativeness, as well as artistic elements that appear in poetry. That"s because Kim Gwang-gyun himself wrote about the creative way of thinking about formativeness. Above all, the unique part of Kim Gwang-gyun"s poems is image expression. His unique fantastical element has created an incompatible space between death and life, or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This study focused on the musical part of the artistic elements expressed in Kim Gwang-gyun"s poems, and tried to clarify how the integrated elements of art and musical reminiscence in his poems helped trauma heal. This study focused on the envelope of sound among the psychological envelopes expressed in Kim Gwang-gyun"s poems, and revealed the shape description of the sound expressed in the poem and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as the envelope.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esent the directing point of how the transitional object shown in his poem can be a mechanism to defend harmful factors giving psychological fear to individuals at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fantasy.

      • KCI등재

        일반논문 : 김광균 시의 구조화 원리 연구- 정서와 이미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오형엽 ( Hyung Yup Oh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2 No.2

        이 글은 ‘정서와 이미지의 상관성’을 기준으로 김광균 시의 특질을 세밀히 분석하여 그 구조화 원리를 탐색하고자 한다. 김광균 시에는 ‘정서-이미지’의 상관 항으로서 크게 ‘대낮’의 시간성과 결부되는 ‘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 조합, ‘저녁’의 시간성과 결부되는 ‘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이미지’ 조합이 차별적으로 등장한다. 김광균은 작품의 내적 시간성 속에서 ‘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 조합을 먼저 시도하지만, 이 시도가 허물어지면서 ‘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 이미지’ 조합이 더 큰 비중을 가지고 등장하게 된다. 이와 함께 핵심적 이미지가 ‘대낮’의 시간대와 결부되는 ‘조형성’의 형태적 이미지에서 ‘저녁’의 시간대와 결부되는 ‘황혼’,‘등불-안개’ 등의 색채적 이미지로 전환된다. 김광균 시의 특질로서 ‘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가 ‘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 이미지’로 이동하는 양상과 관련된 구조화 원리는 다음두 가지 초점으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시적 형식의 차원으로서 ‘조형성의이미지’가 무너지고 ‘불투명성의 이미지’가 등장하면서 경계가 지워지며 흐려지는 부분은 ‘실재의 부정적 묘사’라고 부를 만한 성격을 가진다. 둘째, 시적 내용의 차원으로서 ‘건조한 정서’가 사라지고 ‘멜랑콜리의 정서’가더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화자의 정서 표출이 강화되는 부분’에서 시의주제적 차원이 탈은폐되면서 노출된다. 정신분석적 ‘승화’ 개념을 ‘멜랑콜리’ 개념과 결부시키면, 대상을 숭고한 실재적 사물의 차원까지 고양하는 ‘승화’와 그것이 무너지고 추락할 때발생하는 ‘멜랑콜리’는 일단 상호 대립적 관계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승화’와 ‘멜랑콜리’ 사이의 간극 및 공백을 메우는 것은 바로 심리적 현실로서의 ‘실재’이다. 이 글이 분석한 시간성에 따른 ‘정서-이미지’의 상관항으로서 ‘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 조합에서 ‘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 이미지’ 조합으로의 이동은 ‘승화’가 ‘멜랑콜리’로 전이되는 과정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유의할 부분은 ‘멜랑콜리’에 ‘승화’의 지향성이 잔존해 있고 혼융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하여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김광균 시에 등장하는 ‘등불’은 ‘승화’와 연관되고, ‘안개’는 승화가 추락할때 겪는 ‘멜랑콜리’와 연관된다. 따라서 ‘등불’과 ‘안개’가 결합된 ‘불투명성의 이미지’는 승화와 멜랑콜리의 결합물, 좀더 정확히 말한다면, ‘승화가침잠된 멜랑콜리’로도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이 글은 김광균 시에서 회화적 이미지의 조형성과애상적 감상성이 공존하여 모순을 야기한다는 기존의 평가와는 달리, ‘정서와 이미지의 상관성’에 따른 두 계열의 조합이 차별성을 가지고 존재하고, 작품의 내적 시간성에 따라 이동하면서 ‘등불’과 ‘안개’가 결합된 ‘불투명성의 이미지’를 통해 ‘승화가 침잠된 멜랑콜리’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밝히려 했다. 이를 통해 김광균 시에서 ‘정서와 이미지의 상관성’에 따른 두 계열 중 ‘대낮의 시간성-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 계열이 주로 형상화되는 경우, 향일성 및 형태의 사상성과 함께 원근법적 구도, 기하학적이고 건축학적인 구성, 공감각적 이미지 등을 통해 입체적 공간성을 확보했다는 평가가 가능해 진다. 그리고 ‘저녁의 시간성-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 이미지’ 계열이 주로 형상화되는 경우, 승화가 침잠된 멜랑콜리의 정서를 ‘실재의 부정적 묘사’라는 방식으로 형상화하여 실재의 사건성을 현재적으로 체험하고 시적 내용으로서 사유 및 정서에 투신했다는 평가가 가능해 진다. This writing wishes to analyze Kim Gwang-Gyoon’s poetry in a viewpointof ‘interrelationship of emotion and image’ and search it’s structural principle. Time of ‘high noon’ result link ‘dry emotion-modeling image’ association, timeof ‘evening’ result link ‘melancholie emotion-opacity image’ association appearsgreatly as ‘interrelationship of emotion and image’ In Kim Gwang-Gyoon’spoetry. Kim Gwang-Gyoon attempts first ‘dry emotion-modeling image’association, but ‘melancholie emotion-opacity image’ association has larger weightas this attempt is pulled down. Also, central image is converted by color imageof ‘dusk’ and ‘light-fog’ that is linked with time zone of ‘evening’ in fromfomations image of ‘modeling’ that is linked with time zone of ‘afternoon’. Structural principle in Kim Gwang-Gyoon’s poetry can be arranged tofollowing two foci related to aspect that ‘dry emotion-modeling image’ associationmoves as ‘melancholie emotion-opacity image’ association. As the first focusis dimension of poetic form, as opacity image appears after that modeling image``is pulled down, the border is removed and something that is equivocated haspersonality which is worth ‘negative description of real’. As second focus isdimension of poetic contents, dimension of main subject disclose in ‘speaker’semotion is solidified’ as ‘dry emotion’ vanishes and ‘melancholie emotion’ accounts for larger weight. If psychoanalysis’s ‘sublimation’ concept is linked with ‘melancholie’ concept,we can think that was put in conflicting relation mutually between ‘sublimation’that exalt target to dimension of noble thing and ‘melancholie’ that happenwhen it collapses and falls. To fill gap and blank between ‘sublimation’ and‘melancholie’ is ‘real’ as psychological reality be. The movement from the formerto the latter as correlation of ‘emotion-image’ by time that this article analyzescan be reinterpreted in process that ‘sublimation’ is changed as ‘melancholie’. We must keep in mind here that directivity of ‘sublimation’ has survived andmix in ‘melancholie’. In psychoanalysis’s concept, ‘light’ is involved with‘sublimation’, and ‘fog’ is involved with ‘melancholie’ that suffer whensublimation falls. Therefore ‘opacity image’ that ‘light’ and ‘fog’ are combinedcan understand by conjoiner of sublimation and melancholie. If say more correctly,we can understand as ‘melancholie that sublimation is deposited’.

      • KCI등재

        김광균 시의 조형 이미지 연구

        윤수하(Yoon, Su-Ha)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40

        김광균의 시는 다른 모더니즘 시와 달리 서정적인 풍경이 묘사돼 있으며 시의 기법 또한 모더니즘적인 요소가 드러나지 않는다. 물론 서정적 풍경이 서구적이거나 도시적인 성향은 있지만 모더니즘 시라고 규정하기에 애매한 부분이 있다. 이 논문은 김광균 시의 서정적 풍경이 특정한 사조의 경향에 맞춰 쓰인 것이 아니라 조형적인 영역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김광균의 시를 모더니즘 시라고 평가할 수 있는 측면은 시의 형태보다는 묘사방식에 있으며 다른 시와 변별되는 여러 방식 중 조형적 표현을 중심으로 연구했다. 김광균은 그의 시론에서 조형성에 대해 강조했으며 시 창작에서도 조형적 표현을 염두에 두고 묘사하려 했다. 이 논문은 김광균 시 중 「外人村」을 중심으로 조형 이론의 기본인 명암이나 색채, 질감, 선과 면, 시간의 흐름과 공간 변화를 시에 응용한 점을 염두에 두고 그러한 요소들의 대조적 구성을 분석했다. 「外人村」은 어둠과 밝음, 색채, 위상적 배치 등 조형적 자질이 두드러지게 표현돼 있으며 시의 의미를 형성하는 회화적 구상체를 이루고 있다. 「外人村」의 대상물은 조형적인 대조를 이룸으로써 생생한 이미지를 전달했다. 김광균의 논리는 조형의 예술적 가치와 영향력을 짐작하고 시적 기법으로 확대되리라는 전망을 제시하고 있으며 조형적 이미지로 형태화해 시에 응용했다. 「外人村」은 형태, 명암, 질감의 대립, 색채, 위상적 배치 등 조형 요소가 시적 언어로 표현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회화와 마찬가지로 이미지를 그려내고 대상의 특질을 표현했다. 이 논문은 조형성의 범위 중 명암과 색채·질감·선과 면·시간과 공간을 해석의 범위로 삼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外人村」의 의미생성과정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Unlike other modernism poetry, a lyrical landscape is described in Kim, Kwang-Gyun’s poetry and modernist elements are not also revealed in the technique of poetry. Of course, the lyrical landscape has a Western or urban tendency in his poetry, but it is vague in some ways to define it modernism poetry. This paper took note of the fact that the lyrical landscape of Kim, Kwang-Gyun’s poetry was not written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certain literature but involves a formative area. Kim, Kwang-Gyun’s poetry can be evaluated in terms of the way of description rather than the form of poetry, and this paper studies mainly formative expressions out of many ways that are discriminated against other poetry. Kim, Kwang-Gyun emphasized formativeness in his poetics and tried to depict objects having formative expressions in the creation of poetry. Having in mind that color, texture, line and surface, flow of time, and spatial change which are the basics of the formative theory were applied in poetry, this paper analyzed the contrasting construction of these elements, focusing on “Waeinchon” out of Kim Gwang-gyun’s poems. Formative qualities such as darkness and brightness, color, and topological placement are significantly expressed and the pictorial construction that forms the meaning of poetry is achieved in Waeinchon. The object of Waeinchon delivered the vivid images by forming a formative contrast. Kim, Kwang-Gyun’s theory guesses the artistic value and influence of formativeness, presents the prospect that it would be extended by the poetic technique, and applied the formativeness to the poetry by formalizing it into the formative images. In Waeinchon, formative elements including shape, conflict of texture, color, and topological placement are expressed in a poetic language. In addition, images are depicted and the properties of objects are expressed like paintings. This paper took contrast, color, texture, line, surface, time and space out of the range of the formativeness as the range of interpretation and aimed to identify the process of meaning creation based on it.

      • KCI등재후보

        김광균 초기 시의 시각성과 미적 모더니티

        엄성원(Um, Sung 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5 문화와 융합 Vol.37 No.1

        이 연구에서는 『와사등』에 수록된 시를 중심으로 김광균 초기 시의 미학적 특징과 그 문학사적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김광균의 작품 세계에 대한 문단의 평가는 상찬과 비난의 양극으로 뚜렷이 분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김광균 문학에 관한 상반된 견해를 종합해 보면, 현대적인 사물들이 소재적인 차원에 그칠 뿐 문명 비판과 같은 심오한 정신세계를 표출하지 못한 점과 모더니즘 문학에 어울리지 않은 우울과 애상과 같은 감상성이 지나치게 드러난 점은 한계이지만 그와 같은 감상성을 과거의 인습적인 방식으로 표출한 것이 아니라 현대적인 선명한 시각적 기법을 통해 객관적으로 구체화시켰다 점은 우리 문학사의 가치 있는 수확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김광균의 문학적 성과와 한계를 그의 첫 시집 『와사등』에 수록된 시편을 대상으로 현대적 소재를 시각적으로 형상화시키는 방식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김광균의 시 세계는 내면의 주관적인 국면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외부의 객관적인 세계를 시각적으로 신선하게 묘사하려는 욕망으로 충만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가 1920년대의 낭만주의 시인과 차별점이 있다면 내면의 감상적인 정서를 전달하기 위해 외부의 세계를 주관적으로 재단한 것이 아니라 그 외부 세계를 가장 객관적인 신체 감각인 시각으로 치환하려고 노력하였다는 점에 있다. This essay intends to examine the modern characteristics in the poems of Korean modernist, Kim Gwang-gyun. Through this study I will describe how the poetic subjects of his poems are reacting against the modern change in 1930’s. By clarifying the visibility in his poems, I will look into the variation in Korean modern poetry. The modernity is the key concept to understand the poetry of modernism in Korea such as the poems of Kim Gwang-gyun. The intention of poetic subject was presented in various styles in his poems. This essay tries to illustrate the poetry of modernism, being based on the concept of disillusion of the modern. Kim Gwang-gyun excluded the vocabularies selected from the traditional paradigm. He began to use expressions from the new paradigm of the vocabularies of urban civilization. The vehicles in his poems look exotic but gloomy and melancholy. It is said that the poems in the past were composed on the basis of the poetics of musicality. However The vision of musicality was collapsed and the vision of visibility emerged. Therefore the poetic strategy is required to construct a new viewpoint to the modernist poets after the abrogation of the poetics of musicality.

      • KCI등재

        1940년대 초 김광균의 비평적 시선과 서정시 - ‘서정’ 불능의 조건에서 서정시 쓰기

        박성준,한주영 국어문학회 2017 국어문학 Vol.66 No.-

        Based on the fact that Kim Kwang-kyun confessed "After the Modernity of the 「Inner city」" in his second poetry, only the psalms corresponding to the 『Flashlight』 and the third part of 『Port of call』 are limited to Kim's modernism poetry. And the psalms that reveal the death consciousness and absence of dwelling in the 『Port of call』 are regarded as experimental lyric poems in the "uninterrupted experimental process". Through these psalms, I examined the aspects of lyricism that play a role as a transit point for Kim Kwang-kyun in the future. It is a self-seeking desire to establish a new lyric in the 'modern world of the catastrophic' which is the 'lyric' that he wants to embed in his poetry. 'Modern times of catastrophe' refers to the time of war and death, where naturalistic lyricism became impossible. And the path that Kim Kwang-kyun tried to go on was Kim Kwang-kyun's unique methodology of new poetry. As Kim Kwang-kyun reveald in his critical essay 「Dispute of lyric poetry」 complied the 'dispute of new generation' in the early 1940's, that way is "poetry will raise the critical spirit of reality" and "morphology" can project both "content" and "form" Kim Kwang-kyun was a realist who built his own poetry world while maintaining the necessity of 'other lyricism' demanded by the present age by observing the methodological view of modern lyric poetry in the Korean context. It is the main significance of this paper to refrain from the limited revaluation in the 1930s modernism standard, and to prepare a diverse criticism line of Kim Kwang-kyun's poetry in the future. 본고 김광균이 두 번째 시집에서 “「都心地帶」의 모더니틔―를 지나”라고 고백한 것을 근거삼아 『瓦斯燈』과 『寄港地』 3부의 해당하는 시편들만을 김광균이 모더니즘 시로 한정한다. 그리고 『寄港地』에 나타난 죽음의식과 부재의 정동이 드러나는 시편들을 “부단한 실험과정” 중에 있는 실험적 서정시로 보고, 향후 변모될 김광균 시 경유지의 역할을 하고 있는 서정의 면면들을 고찰했다. 그가 자신의 시에서 내장하고 싶은 ‘서정’이란 자연 발생적 서정이 불가해진 전쟁과 죽음이 난무한 ‘파국의 현대’에서 새로운 서정을 마련해야한다는 자위적 모색이다. 그리고 김광균이 1940년대 초 당대 ‘신세대론’을 갈무리하면서 발표한 「抒情詩의 問題」의 비평적 시각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가 나아가려고 했던 서정의 길은 “‘시가 현실에 대한 비평 정신을 기를 것’”과 ‘형태의 사상성’이 투사된 ‘내용’과 ‘형식’ 모두를 살필 수 있다고 믿는, 김광균만의 개성적인 새로운 시의 방법론적 모색이었다. 김광균은 한국적 상황에서의 근대적 서정시의 방법론적 고찰을 통해, 당대가 요구하는 ‘다른 서정’의 필요성을 견지하며 자기 시 세계를 구축해 온 현실주의자였다. 1930년대 모더니즘 잣대 안에서 국한된 재평가들을 지양하고, 향후 김광균 시의 다각적인 비평적 사선을 마련하는 것이 본고의 시사적 의의라 하겠다.

      • 개성 지역문학과 『고려시보』 그리고 김광균

        박태일 한국지역문학회 2014 한국지역문학연구 Vol.3 No.1

        This writing interprets literature of Kim Gwang Gyun in the view point of history of Kaesong regional literature for the first time. To do that, works of Kim Gwang-gyun in GoryeoSibo(󰡔고려시보󰡕: 1933∼1941) which is representative newspaper of Kaesong in 1930s were examined. Kim Gwang-gyun published two reported articles, three poems, two essays and two survey reports. Among them, a prose poem autumn paper(추첩) and two survey reports will be introduced to academic world for the first time. From GoryeoSibo, it was possible to see the growth of Kim Gwang Gyun to regional representative poet. This year is the 100th anniversary of Kim Gwang-gyun's birth. Research to connect literature of Kim Gwang-gyun to Kaesong regional literature should be continued. 이 글은 김광균 문학을 개성 지역문학사의 관점에서 따진 첫번째 글이다. 그것을 위해 1930년대 개성의 대표적인 신문이었던 『고려시보』(1933-1941)에 등장하는 김광균의 모습을 살폈다. 김광균은 『고려시보』에 보도기사 2편, 시 3편, 수필 2편, 그리고 설문 2편을 실었다. 그들 가운데서 산문시 「추첩」과 설문 2편은 학계에 처음으로 공개되는 것이다. 글쓴이는 󰡔고려시보󰡕를 통해 김광균이 지역대표 시인으로 성장해 나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올해는 김광균의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다. 김광균 문학을 개성의 지역성과 지역문학과 묶어서 살피는 연구가 더욱 깊어지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