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층문화론’ 연구방법론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 : 두산 김택규의 기층문화영역론을 중심으로

        오창현 역사문화학회 201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ltural Substratum theory of Korea and Japan in the 1970s and 1980s, which is presented as one of the theoretical frameworks for looking at rural practices that have been cited as various reciprocity and collaboration cases. Korean Cultural Substratum theory like Japanes emphasizes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certain practices, but focuses on livelihood (production growth origins and productivity) as a ‘base’ principle that embraces upper culture while keeping the culture dow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ssuming a community from Japanese. In addition, the debate on the division of the territory within the Korean Peninsula was developed differently from Japan's Cultural Substratum theory. In the way that Japanese Cultural Substratum theory deal with cultural elements in each region, they assumed a tradition group, emphasizing the historical continuity and tradition of each region's cultural forms. On the other hand, Kim Taek-gyu's theory had a high theoretical similarity with that of American anthropology, which attempts to identify the complexities of each region's cultural traits, and explained it through the active acceptance of the community. Above all, Kim Taek-gyu's Cultural Substratum was the calendar of production sustained by production power. Community was nothing more than a group of people who shared the calendar of production on such production power. It is close to the materialist point of view of the lat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deas and materials. This is very distinct from Japan's Cultural Substratum, which emphasizes the persistence of ideas. 본 논문의 목적은 다양한 호혜와 협업 사례로 거론되어 온 농촌 관행을 바라보는 이론적 틀 중 하나로 제시된, 1970~80년대 한국과 일본의 기층문화론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한 국의 기층문화론은 일본의 기층문화론과 마찬가지로 특정 관행의 역사적 지속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문화 하강을 염두에 두면서도 상층 문화를 수용하는 ‘기층’원리로서 생업(생산증대 기원과 생산력)에 주목해 생산공동체를 가정한다는 점에서 중대한 차이가 있었다. 또, 한반도 내에서 영역을 구분하려는 논의 역시 일본의 기층문화론과는 전혀 상이하게 전개되었다. 일본의 기층문화론은 각 지역의 문화요소를 처리하는 방식에서는 각 지방의 문 화형태의 역사적 지속과 전승을 강조하며 전승 집단을 가정했다. 이에 반해, 김택규의 기층 문화론은 오히려 각 지방의 문화적 특질들의 복합을 규명해 영역을 구분하려는 미국 인류학 의 문화영역론과 이론적 유사성이 높았고, 나아가 현재의 문화적 특질들의 영역을 상층문화재의 기층문화(소위 원시공동체)적 수용을 통해 설명하려 했다. 김택규에게 상층 문화를 수용하는 기층문화는 생업력(生業歷)과 그것을 지탱하는 생산력(生産力)이었고, 공동체란 그러한 생업력에 기초해 생업력을 공유하는 집단에 다름 아니었다. 이는 관념과 물질 간의 관계에서 후자를 중시하는 유물주의적 관점에 가까워 관념의 지속성을 강조하는 일본의 기층문 화론과는 확연히 구별된다.

      • KCI등재

        斗山이 指向했던 文化人類學의 始延: 文化領域說과 基層文化論

        전경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3 No.-

        This paper aims solely at the late Professor Kim Taek-kyu(Doosan, his pen name) in terms of the history of Korean anthropology. Kim is the founder of the 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at Youngnam University. The question for this paper started with his conversation with the author one year before he died at 1999. His master degree was bestowed by his thesis on "Shamanistic Literature"(1957) begun with the word of "anthropology". After finishing his master he moved to Tokyo University for one year as a research fellow. His renowned ethnography known as Hahoe ethnography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by Tokyo University. Kim's research references are almost always relied upon Japanese literatures. Finally he invented a concept of "basic culture area" as a research hypothesis for his lifelong project of the cyclical rituals(rites of intensification) of the Korean agriculture. The basic culture area comes from on the one hand "basic culture" inherited from German folklore through Japanese literature and on the another hand "culture area" from American culture historians like Clark Wissler through again Japanese scholars. One more interesting aspect of his starting point to meet with anthropology seems possibly to be related with Mr. Lee Seok-rak who was a key member of Kore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right after liberation of 1945. 본고는 문화인류학자 두산 김택규 교수의 학문적 역정과 그가 이룬 학문의 이론적 정향의 계보에 대한 학사적 검토의 결과이다. 1957년 “무교문학”이란 제목의 석사학위 논문에서부터 인류학에 관한 논의를 주로 하고 있는 김택규의 문화인류학 역정은 그후 일본의 레퍼런스를 만나면서 본격적인 인류학적 업적을 축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하회민속지는 한국학의 대표적인 업적으로 손꼽히고 있는데, 그 민속지의 방법론이 동경대학의 일본지역성연구의 방법론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평생 업적으로 만들어낸 한국의 농경세시의례는 기층문화영역론이란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이 이론의 원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독일민속학으로부터 일본에 습득된 “기층문화”라는 개념과 미국 문화사학파에서 비롯되어 일본으로 수입된 문화영역설이 습합된 것이 두산이 만든 기층문화영역론이란 것이라는 점을 고증하였다. 두산의 인류학 역정이 시작하는 시점에 조선인류학회의 주역이었던 이석락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밝힌 것도 본고의 작업이 얻은 소득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