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나무 생육 및 과실 특성의 연차 변이에 대한 주요 기온 요인 추출

        전경수(Kyung Soo Jeon),김호철(Ho Cheol Kim),한점화(Jeom Hwa Han),김태춘(Tae-Choon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0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감나무 생육 및 과실 특성의 연차 변이에 대한 주요 기온 요인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연차 변이는 3월과 4월의 평균기온, 적산일수 및 적산온도에서 가장 컸다. 25개 기온 요인 중 제l주성분으로는 연 평균 기온 요인들 14개, 제2주성분으로는 4월 기온요인들 3개로 추출되었으며 그 누적 기여율은 52.2%이었다. 제l주성분에 양의 영향력을 크게 받은 연도는 1990년, 음의 영향력을 크게 받은 연도는 1980년과 1986년으로 나타났다. 감나무의 전엽일, 개화일 및 과실 성숙일의 연간 편차는 4.0~6.7일 범위였으며 변이계수는 개화일, 전엽일에서 개화일까지의 일수가 가장 컸다. 그리고 과실 특성 중 과중, 당도, 경도는 연차 변이가 적었으나, 종자수는 평균 4.0개, 연간 편차 1.3개, 변이계수가 32.8로 연차 변이가 가장 컸다. 감나무 생육 및 과실 특성과 기온 요인들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 개화일에서 과실 성숙일까지의 일수는 10월의 평균기온 및 적산일수, 전엽일에서 개화일까지의 일수는 4월 평균기온, 과중은 3월 평균기온과 10월 평균기온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elect the affected main factors on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Fuyu'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in 25 factors of air temperature factors in Naju. Mean air temperature, cumulative temperature and days for March and April of 25 factors were the highest annual variation.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principal components extracted from 25 air temperature factors were 14 and 3 factors related with mean temperature for annul and April, and cumulative contribution of these was 52.2%. Also the affected years by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s were 1990, 1980 and 1986. Annual standard deviation on leafing, flowering and maturing date were 4.0~6.7 days range, and flowering date and days from leafing to flowering had the highest coefficient of variation. Annual variation of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ng date was affected by greatly mean air temperature and days of cumulative temperature in October, days from March I to leafing date was affected by cumulative temperature for growing period, days from leafing to flowering date was affected by mean air temperature in April. Annual variation of fruit weight was affected by mean air temperature for March and October.

      • 소백산 남북사면의 기온 비교

        이승호,허인혜 建國大學校基礎科學硏究所 1999 理學論集 Vol.24 No.-

        본 연구에서는 소백산의 남사면과 북사면의 기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층 풍향별로 소백산과 영주, 제천 관측소의 일별 평균기온 자료를 이용하여 양 사면 간의 기온과 환경 기온감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남동사면의 월평균 기온이 북서사면 보다 항상 높다. 계절별로는 겨울철에 그 차이가 크고, 여름철에 작으며, 풍향별로는 북서풍일 때 그 차이가 가장 크고, 서풍과 북풍일 때도 비교적 크다. 남동사면의 연평균 환경기온감율은 0.63℃/100m로 대류권에서의 평균값보다 크다. 북서풍일 때, 0.75℃/100m로 가장 크고, 남서풍일 때 가장 작다(0.54℃/100m).또한 봄철이 가장 크고(0.69℃/100m), 가을철이 가장 작다. (0.57℃/100m). 북서사면의 환경기온감율은 0.52℃/100m로 대류권의 평균값과 비슷하고, 풍향별로는 남동사면과 비슷한 경향이며, 여름철이 가장 크고(0.59℃/100m), 겨울철이 가장 작다(0.46℃/100m). 양사면간의 환경기온감율의 차이는 겨울철이 가장 큰 0.20℃/100m이며, 풍향별로는 북서풍일 때의 차이가 가장 크다. 이와 같은 기온과 환경기온감율의 차이에는 대기 중의 수중기량, 소백산의 장벽효과와 산정의 구름효과가 영향을 미쳤다.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air temperature between the southern and the northern slopes of Mt. Sobaek. The daily mean air temperature at the three stations(Chechon, Youngju, and Mr. Sobaek) was analyzed by the wind direction at 850hPa height in the Osan upper weather station. The monthly mean air temperature at Youngju is higher than that at Chechon. The difference in the monthly mean air temperature is large in winter, and it is low in summer. In relation to the upper wi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largest at the northwesterly, and is relatively large at the westerly and northerly. The annual mean environmental lapse-rate of the southeastern slope(0.63℃/100m) is greater than the mean value in the troposphere. The environmental lapse-rate of the northwesterly is greatest at 0.75℃/100m, and that of the southwesterly is smallest(0.54℃/100m). The spring is also large(0.69℃/100m), while fall is small(0.57℃/100m). The environmental lapse-rate of the northwestern slope is similar to the mean of the troposphere(0.52℃/100m), and has a similar trend to the southeastern slope in relation to the upper wind. The environmental lapse-rate of summer is greatest(0.59℃/100m), while that of winter is smallest(0.46℃/100m). The difference of environmental lapse-rate between the two slopes is greatest(0.20℃/100m) in winter, and is also great at the northwesterly. With these, the differences of environmental lapse-rates are affected by the amount of water vapour, the barrier effect of Mt. Sobaek, and the cloud effect at the summit of the mountain.

      • KCI등재

        지난 40년간 한반도 기온의 시,공간적 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김남신 ( Nam Shin Kim ),김경순 ( Gyung Soon K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한반도 기온변화를 분석하여 기후대의 변화와 도시지역에서의 기온분포의 시·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974년부터 2007년까지 34년간 남북 기상관측소에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기온은 고도와 선형관계를 갖기 때문에 고도별 월별 기온단열 감율을 계산하여 역거리가중법으로 500m 해상도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도시화 지역에서의 자료는 연도별 인구변화와 기온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온량지수로 구분한 기후대는 남부기후구가 90년대 이후 위도가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지역의 평균기온상승은 80년대와 90년대에 0.5~1.2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온 상승은 서울과 광역시 그리고 시단위 지역에서 나타났는데 이들 지역은 80년대와 90년대에 인구증가와 더불어 도시화와 산업화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된 지역이다. 북한의 경우는 평양, 안주시, 개천시, 혜산시에서도 인구증가와 더불어 기온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construe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in cities and the changes of climatical regions by analyzing a climate change in Korea peninsular. We used daily mean air temperature data which were collected in South and North climate stations for the past 34 years from 1974 to 2007. We created temperature maps of 500m resolution with Inverse Distance Weight in application with adiabatic lapse rate per month in linear relation with height and temperature. In the urbanization area, the data analyzed population in comparison with temperature changes by the year. The south climate region in Korea by the Warmth index was expanded to the middle climate region by the latitude after 1990s. A rise of mean temperature was 0.5~1.2℃ in urban areas such as Seoul, metropolitan and cities which had a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ith the population increase between 1980s and 1990s. In case of North Korea, cities such as Pyeongyang, Anju, Gaecheon, and Hesan had the same pattern.

      • KCI등재

        기온감율을 적용한 기후자료가 잠재 산림분포 예측에 미치는 영향

        이상철(Lee Sang Chul),최성호(Choi Sung Ho),이우균(Lee Woo Kyun),유성진(Yoo Seong Jin),변재균(Byun Jae Gy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 산림분포 예측에 이용되는 기상 자료의 효과적인 구축 및 규모변환(Down Scaling) 방법을 제시 하는 것이다. 잠재 산림분포 예측을 위해 한국형 산림 분포 모형 TAC(Thermal Analogy Group)의 예측 방법과 HyTAG(Hydrological and Thermal Analogy Croup)에서 정의한 식생 기능성 유형(PFT: Plant Functional Types)을 함께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20㎞ 공간해상도의 기상자료를 1㎞의 공간해상도에 부합하도록 보간 하였다. 이러한 보간 및 규모변환의 한 가지 방법으로 고도에 따른 기온감율을 적용 및 비적용하여 각각의 과거 잠재 산림분포를 예측하였다. 현존 산림분포도와 비교한 정확도 검증에서 기온감율을 적용한 잠재 산림분포가 약 38% 더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echnical approaches for preparation and down scaling of climate data used for predicting the potential forest distribution. To predict the forest distribution, we employed a Korean-specific forest distribution model, so-called the TAG(Thermal Analogy Group), and defined the PFT(Plant Functional Types) based on the HyTAG(Hydrological and Thermal Analogy Group). The climate data with 20㎞ spatial resolution were interpolated to fit on the input data format with 1㎞ spatial resolution. Two potential forest distribution maps were estimated using climate data constructed by kriging, one of the interpolation and down-scaling approaches, with and without lapse rate considered. Through the verification process by comparing two potential maps with the actual vegetation map, the forest distribution using the lapse rate was proven to be 38% more accu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