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재기의 기독교사회주의와 협동조합운동 연구

        박종현 한국교회사학회 2018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9 No.-

        이 논문은 한국 장로교회의 기독교 사회주의 사상과 협동조합 운동에 대한 연구이다. 유재기는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후 정부수립 시대에 기독교 민족운동을 이끈 지도자 중 하나였다. 이러한 그의 활동 때문에 그는 기독교 민족주의자로 알려져 왔다. 그는 배민수, 최문식과 함께 1920년대와 1930년대의 한국 장로교회의 기독교 농촌운동을 시행하였다. 배민수의 기독교 농촌운동의 핵심 개념은 농촌의 복음화였고 최문식의 농촌운동의 핵심 사상은 사회주의 혁명이었다. 반면에 유재기의 농촌운동의 핵심 개념은 기독교 사회주의 실천이었다. 그는 일본의 기독교 사회주의자인 가가와 토요히코와 스기야마 모토지로의 영향을 받았다. 유재기는 가가와 토요히코의 협동조합운동과 스기야마 모토지로의 농민학교를 모델로 세 단계의 기독교 농촌운동을 구상하고 실천하였다. 첫 단계는 농촌연구 둘째 단계는 농촌의 기독교화 셋째는 기독교적 경제공동체의 건설이었다. 그는 이에 따라 첫 단계의 농촌연구회 둘째 단계가 예수촌 건설 셋째 단계가 협동조합 구성이었다. 유재기는 한국 기독교계에 본격적으로 협동조합의 기원과 세계의 협동 조합 현황을 소개하였다. 1930년대에 한국 기독교회 내부에서 협동조합에 대한 지속적이고 깊은 관심을 가진 가장 중요한 인물이었다. 그는 협동조합을 교회와 농촌마을에 확산시켜 교회와 농촌 마을의 경제적 관계를 재구성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농촌사회의 발전을 위해서 소비자 협동 조합, 소비자 금융조합 그리고 생산자 협동조합으로 단계적 도입을 주장하 였다. 유재기는 한국 기독교 사상가 중 드물게 나타났던 기독교 사회주의자였다. 그는 기독교 사회주의는 마르크스의 사상의 폭력적 이념과 다르다고 보았다. 기독교 사회주의는 예수 그리스도의 윤리적 교훈에 기초한 자발적 사랑의 정신으로 사회적 경제적 평등을 이루어 가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유재기는 마르크스주의 진화론 그리고 세속화를 비판하였다. 그는 기독교 윤리적 실천이 이런 근대적 세속 사상에 대한 대안으로 여겼다. 최근 한국의 자본주의의 한계에 대한 여러 가지 경고음이 들려오고 있 다. 한국의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다. 한국교회는 유재기가 주장했던 기독교 사회주의와 기독교 협동조합 운동으로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 research on the idea of Christian socialism and the co-operative movement of Rev. Yu, Jaeki. Yu, Jaeki was one of the leaders who directed the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during the perio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age and the era of the organiz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Due to these activities, Rev. Yu is known as a Christian nationalist. Rev. Bae, Minsoo and Rev. Choi, Moonshik worked together with Rev. Yu, Jaeki in the rural department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The fundamental concept of the rural movement of Rev. Bae, Minsoo was the evangelization of the rural area. The fundamental concept of Rev. Choi, Moonshik’s rural movement was the social revolution against capitalism in the rural area. On the other hand, the fundamental concept of the rural movement of Rev. Yu, Jaeki was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movement in each and every church in Korea. Especially, Yu, Jaeki was greatly influenced by Kakawa Toyohiko and Sukiyama Motojiro, two Japanese Christian socialists. Yu, Jaeki was inspired by Kakawa Toyohiko’s cooperative movement and Sukiyama Motojiro’s rural school. They were the models for Yu, Jaeki’s plan. The first step of Yu, Jaeki’s plan was an analysis of the rural areas. The second step was the evangelization of the rural areas. The third step was the establishment of a Christian economic organization. According to his plan, he established a society for agricultural studies. He also established a community village for Christians called Yesuchon (Jesus village). Finally, he established a cooperative movement. Rev. Yu, Jaeki introduced the history of the co-operative movement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church. He a rare Christian socialist among the Korean Christian thinkers. He observed that Christian socialism was different from the violent idea of Marxism. Rev. Yu, Jaeki insisted that Christian socialism was a process of achieving social and economic equality through voluntary love and mercy based on Jesus Christ’s teachings. He critized Marxism, the theory of evolution and secularism. He thought that the application of Christian ethics was an alternative to these modern secular ideas. Recently, capitalism has reached it’s limits. The social and political inequality is growing worse in Korea. Yu, Jaeki’s Christian socialism and cooperative movement could be an alternative solution to Korea’s situation.

      • KCI등재

        1930년대 황애덕의 농촌사업과 여성운동

        김성은(Kim Sungeun)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1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5 No.-

        본고는 이제까지 독립운동가로만 알려져 왔던 황애덕의 1920∼30년대 사 회운동-농촌사업과 여성운동-을 조명하고자 했다. 3·1운동의 좌절로 황애덕은 민족운동의 방향을 농촌계몽운동으로 잡고 농촌사업을 구상했다. 그리고 출감 후 이화학당 대학과를 졸업하고 사감 겸 교사를 하며 조선YWCA연합 회의 회원, 회장으로 활동하며 기독교여성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러다 1925년 미국유학을 떠났는데 황애덕에게 미국유학은 여성지도자로서 실력과 자격을 갖춘다는 의미와 함께 미국기독교인 여성후원자들을 만나 귀국 후 전개할 농촌사업의 재정적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었다. 또한 미국이라는 선진사회 부국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체험하는 계기가 되었다. 황애덕의 농촌사업과 여성운동은 미국유학에서 귀국 후 더욱 활발하게 전 개되었다. 협성여자신학교에 신설된 농촌사업지도교육과의 교수로 부임하여 학생들에게 농촌사업의 필요성을 가르치고 농촌현장에서의 실습을 지도했다. 또한 황해도 수안에 농장을 구입하고 농촌계몽운동을 전개하여 학교와 교회를 설립했고 이외에도 수안 부근, 만주 경성현 등으로 농촌사업을 확장했다. 그리고 조선YWCA연합회 농촌부 간사로서 농촌사업지를 수원 샘골로 정하고 최용신을 현장운동가, 농촌사업가로 파견했고, 농한기에 농촌부녀지도자 수양소를 개설하여 각지 농촌부녀들을 마을지도자로 육성했다. 한편 조선YWCA연합회 활동을 하는 이외에 경성여자소비조합, 조선직업 부인협회, 가정부인협회를 조직하여 도시여성의 단체활동을 전개했다. 여성의 경제의식·보건의식·사회의식 각성과 사회활동 경험, 여성의 친목 도모, 여성의 교양 증진과 생활개선을 꾀했다. 뿐만 아니라 여성교육에도 관심을 기울여 중앙보육학교를 인수하여 교장이 되어 학교를 경영하기도 했다. 이상에서 황애덕은 3.1독립운동이 좌절된 이후 기독교농촌운동, 여성경제 운동, 여성단체 활동, 교육운동과 같은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을 전개했다. Esther Whang was one of independence movement leaders. But independence movement was unveiled and she went to jail for 3 years. After that she was interested in rural work,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and women's campaign. So she went to U.S. for real ability training. She met a few American Christian women, supporters. Thanks to them she continued to study and be able to get money for rural work. She studied rural education at Colombia University, listened to agriculture at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and experienced farmer's life near that university. Returning home from abroad she was appointed teacher of new department of training rural workers at Hyubsung theological Seminary for women. She trained her students and sent to village for field practice. And she bought a land Suan in Whanghae Province. She wanted to make ideal farm for Korean farmers and developed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there with her students. Also she took charge of rural department of Korean YWCA. One of it's project was to send Choi Yongshin as leader and teacher and supported money for rural work at Suwon Samgol country. The other was to train country women for leading their neighbor women to improve farmer's life. In addition she organized Seoul consumer's cooperative society for women and run cooperative store for economic campaign for women and people with her comrades. She formed Housewives' society and tried to improve housewife's life with her like-minded people. These group are based on her women's right consciousness. Also she undertook and run Chungang Kindergarten Normal school as principal. Her passion for Korean women's education was great but she had to stop that because of lack of enough money to run school. Finally she was leader of national movement and women's campaign and educator.

      • KCI등재

        1930년대 황애덕의 농촌사업과 여성운동

        김성은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1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5 No.-

        Esther Whang was one of independence movement leaders. But independence movement was unveiled and she went to jail for 3 years. After that she was interested in rural work,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and women's campaign. So she went to U.S. for real ability training. She met a few American Christian women, supporters. Thanks to them she continued to study and be able to get money for rural work. She studied rural education at Colombia University, listened to agriculture at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and experienced farmer's life near that university. Returning home from abroad she was appointed teacher of new department of training rural workers at Hyubsung theological Seminary for women. She trained her students and sent to village for field practice. And she bought a land Suan in Whanghae Province. She wanted to make ideal farm for Korean farmers and developed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there with her students. Also she took charge of rural department of Korean YWCA. One of it's project was to send Choi Yongshin as leader and teacher and supported money for rural work at Suwon Samgol country. The other was to train country women for leading their neighbor women to improve farmer's life. In addition she organized Seoul consumer's cooperative society for women and run cooperative store for economic campaign for women and people with her comrades. She formed Housewives' society and tried to improve housewife's life with her like-minded people. These group are based on her women's right consciousness. Also she undertook and run Chungang Kindergarten Normal school as principal. Her passion for Korean women's education was great but she had to stop that because of lack of enough money to run school. Finally she was leader of national movement and women's campaign and educator. 본고는 이제까지 독립운동가로만 알려져 왔던 황애덕의 1920∼30년대 사회운동『농촌사업과 여성운동』을 조명하고자 했다. 3․1운동의 좌절로 황애덕은 민족운동의 방향을 농촌계몽운동으로 잡고 농촌사업을 구상했다. 그리고 출감 후 이화학당 대학과를 졸업하고 사감 겸 교사를 하며 조선YWCA연합회의 회원, 회장으로 활동하며 기독교여성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러다 1925년 미국유학을 떠났는데 황애덕에게 미국유학은 여성지도자로서 실력과 자격을 갖춘다는 의미와 함께 미국기독교인 여성후원자들을 만나 귀국 후 전개할 농촌사업의 재정적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었다. 또한 미국이라는 선진사회 부국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체험하는 계기가 되었다. 황애덕의 농촌사업과 여성운동은 미국유학에서 귀국 후 더욱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협성여자신학교에 신설된 농촌사업지도교육과의 교수로 부임하여 학생들에게 농촌사업의 필요성을 가르치고 농촌현장에서의 실습을 지도했다. 또한 황해도 수안에 농장을 구입하고 농촌계몽운동을 전개하여 학교와 교회를 설립했고 이외에도 수안 부근, 만주 경성현 등으로 농촌사업을 확장했다. 그리고 조선YWCA연합회 농촌부 간사로서 농촌사업지를 수원 샘골로 정하고 최용신을 현장운동가, 농촌사업가로 파견했고, 농한기에 농촌부녀지도자수양소를 개설하여 각지 농촌부녀들을 마을지도자로 육성했다. 한편 조선YWCA연합회 활동을 하는 이외에 경성여자소비조합, 조선직업부인협회, 가정부인협회를 조직하여 도시여성의 단체활동을 전개했다. 여성의 경제의식․보건의식․사회의식 각성과 사회활동 경험, 여성의 친목 도모, 여성의 교양 증진과 생활개선을 꾀했다. 뿐만 아니라 여성교육에도 관심을 기울여 중앙보육학교를 인수하여 교장이 되어 학교를 경영하기도 했다. 이상에서 황애덕은 3.1독립운동이 좌절된 이후 기독교농촌운동, 여성경제운동, 여성단체 활동, 교육운동과 같은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을 전개했다.

      • KCI등재

        1920~1930년대 유재기의 농촌운동과 기독교사회사상

        김권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0

        This dissertation looks into Jae-ki Yoo’s agricultural movement and Christian Social Thought in the 1920~30’s. His experience in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his youth influenced the formation of his national consciousness greatly, and his father’s conversion into Christianity gave him the opportunity to accept Christianity himself. His school life in Daegu and rural evangelism tour became the foundation to having critical mind about the miserable national situation.. With a friend’s help, Jae-ki Yoo studied abroad in Japan and came to accept Christian socialism through works of Kagawa Toyohiko, a Christian socialist, and Sugiyama Motojiro. He came to understand the ideological direction and methods of Christian socialist idea. After returning, he got into Agricultural Institute of Pyongyang Soong-Sil. He also got into Pyongyang Seminary and started his pastoral career. When he was studying in Pyongyang, he met Cho Man-sik and Bae Min-soo, and took a leading role as a leadership officer in “Christian Agricultural Research,” established in 1929. After the Great Depression, in 1933 when Bae Min-soo was elected as the chief of Presbyterian agricultural division, Yoo Jae-ki used his extensive knowledge and experience in cooperative association to lead the Presbyterian agricultural movement. After establishing the ideology based on Christian socialism which is based on Jesus’s Love, he stressed the need for cooperative association. He asserted that cooperative association eliminates the evils of capitalism’s contradictions and that the objective is to realize life of Love through independent economic relationship, and emphasized that it is the beginning of heaven-bound movement that Christian community strives. However, at the end of 1930s when Japan's militarism arose and began opression, Christian socialist movement fell into stagnation. Presbyterian agricultural movement also slowed down. Within the Presbyterian church, argument of agricultural movement’s uselessness arose. During this turmoil, Yoo Jae-ki had to suffer great hardship from ‘Farmers Association incident’which was oppressed by Japanese imperialism. After his release,  he took the position of the senior pastor in the biggest church in Daegu. He later on was elected to serve in Daegu’s regional government-patronized organization. This eventually left a mark of shadow over his career. 이 논문은 1920~30년대 유재기의 농촌운동과 기독교사회사상을 살펴본 연구이다. 청소년시절의 3ㆍ1운동 경험은 그의 민족의식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고, 아버지의 기독교 개종은 그가 기독교를 수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대구 학창시절과 농촌 순회전도활동은 비참한 민족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강하게 갖게 만드는 배경이 되었다. 친구의 도움으로 일본유학을 간 유재기는 기독교사회주의자 가가와 도요히코(賀川豊彦)와 스기야마 모토지로(杉山元治郞)의 저서를 통해 기독교사회주의를 수용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그는 기독교 사회사상의 이념적 지향과 방법을 터득하게 되었다. 귀국한 뒤에는 평양 숭실전문학교 농과강습소에 입학하였다. 평양신학교에 입학하여 목회자로서의 활동도 시작하였다. 평양 공부시절 그는 조만식과 배민수를 만났고, 1929년 결성된 ‘기독교농촌연구회’에서는 지도부 임원으로 주도적인 역할을 감당하였다. 세계대공황 이후 1933년 장로교 농촌부 총무에 배민수가 선임되었을 때, 협동조합에 관한 해박한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유재기는 장로교농촌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기 시작했다. 예수의 애 사상에 기초하는 기독교사회주의를 이념적으로 확립한 그는 협동조합운동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는 협동조합운동이 자본주의 모순의 폐해를 제거하며 자립적 경제관계를 통해 애의 생활을 실현시키는 것이 목적이라고 주장하고, 기독교 공동체가 지향하는 천국운동의 출발점임을 역설하였다. 그러나 1930년대 말 일제의 군국주의가 대두하며 탄압을 자행하자, 기독교사회운동이 침체에 빠져 들었다. 장로교 농촌운동도 마찬가지였다. 장로교 안에서도 농촌운동 무용론이 대두하였다. 유재기는 이런 혼란 속에서 일제의 탄압을 받은 ‘농우회 사건’으로 큰 고초를 겪어야 했다. 석방된 뒤 그는 대구지역에서 가장 큰 대구제일교회의 담임목사로 취임하였다. 이어 노회장에서 선임되어 대구지역 어용단체 활동에 참여하였다. 이것은 그의 이력에 어두운 흔적을 남기는 계기가 되고 말았다.

      • KCI등재

        해방 후 유재기의 국가건설운동과 농촌운동

        김권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1

        Yu Jae Gee, who was the representative rural activist, came up to Seoul after Korean liberation. In Seoul, he actively participated in state-building movement involving the parties of Christians. As the member of the KiDok-Sinminhoe, association of the Christian political powers and the Association of rapid realization of Korean independence, he led the Anti-Trusteeship movement. The critical consciousness against the left allowed him to actively participate the political movement. In this process, he recognized the rural movement as the calling by God. He established the Brothers for Revival Korea as the part of state-building movement. It was characterized that the larger party of Christian political powers participated with KiDok-Sinminhoe. Brothers for Revival Korea was not simply religious gathering, but was practical association that prayed the independence of Korea by the spirit of Christian. The rural movement of Yu Jae Gee was to seek to establish the self-reliant community based on the idea of Christian socialism. The ideas of rural reconstructive movement, as an extension of the ideas of rural movement in Japanese imperial, was based on the value of Christian converged the spirit of love and sacrifice. Its definite goal was evangelization of rural areas through rural self-reliance. Thus, the discourse of rural reconstruction was the Jesus village-building movement based on the experience and direction of rural movement under the Japanese imperial. After the liberation, the rural movement of Yu Jae Gee was pushed ahead in three ways. First, it was to train a leader who initiatively would found the Jesus village and co-operative. The missionary school for peasants was established, which was planned in 1930’s but could not be progressed by political and economic problems. The missionary movement for peasant school was to take the lead in rural movement among the peasant by themselves through resolving the Korean rural problems by the power of young peasants. Second, through publishing the Press of Revival Korea, it developed actively the press movement for enlightenment of the peasants. It focused on the supporting financial affairs from overseas or promoting and spreading the vision of rural movement. Finally, his rural movement, as a specific movement was spread out the various aspects such as co-operativeㆍwomenㆍyoung peasantsㆍtechnologyㆍcooperative farming.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농촌운동가였던 유재기는 해방이후 서울로 상경하였다. 서울로 도착한 그는 기독교세력이 참여하고 있던 국가건설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기독교 정치세력의 단체인 <기독신민회>와 <독립촉성국민회> 임원으로 참여하여 반탁운동을 주도하였다. 이렇게 그가 정치운동에도 적극 참여하게 되었던 것은 좌익세력에 대해 비판적 인식이 크게 작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농촌운동이 하나님이 자신에게 부여한 소명으로 재인식하였다. 그는 국가건설운동의 일환으로 <흥국형제단>을 창단하였다. 이 단체는 <기독신민회>와 함께 기독교 정치세력이 대거 참여하였다는데 그 특징이 있었다. 흥국형제단은 단순한 종교 모임이 아니라 기독교 정신으로 조국의 독립을 기원하는 민족운동의 실천적 단체였다. 유재기의 농촌운동은 기독교사회주의 이념에 입각한 자립적 공동체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즉 농촌운동 재건이념은 일제강점기 농촌운동이념의 연장선상에서 사랑과 희생정신으로 수렴되는 기독교적 가치에 입각한 것이었다. 그 구체적 목표는 농촌자립을 통한 농촌의 복음화에 있었다. 따라서 농촌 재건론은 일제 강점기 농촌운동의 경험과 방안을 토대로 구상한 예수촌 건설운동이었다. 해방후 유재기의 농촌운동은 크게 세 방면으로 추진되었다. 먼저 예수촌 건설과 협동조합을 주도적으로 건설할 농촌운동 지도자의 양성이었다. 1930년대 계획했으나 정치적ㆍ경제적 어려움으로 진행되지 못했던 농민복음학교를 설립하였다. 농민복음학교운동은 한국 농촌문제를 농촌청년들 힘으로 해결함으로써 농민 스스로 농촌운동을 주도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다음으로는 「興國時報」의 창간을 통해 농촌계몽을 위한 활발한 언론활동을 펼쳤다. 언론활동을 통해 해외의 재정후원을 받거나 농촌운동의 이상을 홍보, 확산시킨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끝으로 유재기의 농촌운동은 구체적인 운동으로 협동조합ㆍ부인ㆍ농촌소년ㆍ기술ㆍ공동경작 등의 방면으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 KCI등재

        3 · 1운동 이후 기독교의 사회적 실천과 여성 농촌운동

        하희정(Ha Hee-Jung)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8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농촌운동에 앞장섰던 김노득의 생애와 활동을 추적한다. 그는 1928년 감리교여자신학교에 입학했고, 1931년 『상록수』의 실제 주인공 최용신과 함께 브나로드운동에 참여했다. 농촌지도과 교수 황애덕이 이들을 지도했다. 하지만 김노득은 대중문학을 통해 ‘인간 상록수’로 재탄생한 최용신의 후광에 가려 역사의 평가를 제대로 받지 못한 채 잊혀진 인물이 되었다. 농촌운동은 3 · 1운동 후 기독교 지식인들이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사회운동 중 하나였다. 국내 항일운동 네트워크는 붕괴되고, 10년간 지속된 일제의 경제수탈정책으로 민족생존의 터전마저 위태해진 상황에서 젊은 지식인들이 할 수 있는 선택은 그리 많지 않았다. 1차 세계대전 후 급변하는 세계질서에 편승하고자 꺼내든 일본 식민정부의 ‘문화통치’도 새로운 환경을 만들어냈다. 일본의 개방정책에 힘입어 국제사회의 다양한 흐름들이 빠르게 유입되었다. 그러나 국내로 유입된 사상들은 선택지가 줄어든 현실에 뿌리내리지 못하고 홍수에 떠다니는 부유물처럼 관념적 잉여재로 소비되었다. 현실과 이상의 괴리가 깊어질수록 식민지 지성들의 고뇌도 현실이 아닌 관념으로 빠져들었다. 김노득은 대중매체의 주목을 받으며 농촌운동의 기수로 이름을 올렸던 대부분의 농촌운동가들과 달리, 수많은 제약이 따랐던 시대적 상황에서도 조용히 대중밀착형 농촌운동을 ‘말’이 아닌 ‘몸’으로 실천한 현장운동가였다. 과감하게 현장을 찾았고 최용신 · 황애덕과 손잡고 당대 지식인들을 가둔 창백한 관념성에 균열을 냈다. 일제에 의한 강제몰수가 진행될 때까지 현장에서 농민들과 함께 호흡하며 실천하는 지성의 가치를 보여주었다. 김노득의 중요성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그의 성장과정과 농촌운동의 성과는 당대 지식인들의 고뇌와 모순뿐 아니라 기독교 여성들이 실천하는 지성적 연대를 어떻게 구축했는지 보여준다. 특히 김노득이 일궈낸 성과는 YWCA나 교회여성들의 기독교 네트워크와 러시아 혁명에 뿌리를 둔 브나로드운동을 적절히 연결시켜 농민들 스스로 설 수 있도록 자립경제 구축과 의식개혁의 확장을 꾀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적지 않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life and work of Kim Roh-Deuk who was a pioneering activist in rural movements in colonial Korea. While studying at the Union Methodist Women`s Seminary, she joined in the march of the Vnarod Movement in 1931. She paved the way to mass movements for empowering rural communities, taking her first steps with her friend, Choi Young-Shin, under the leadership of Professor Hwang Esther. About 80% of the Korean population was in agriculture. Most of them were fallen into the landless poor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Japan. Since the First World War and the 3 · 1 Independence Movement, Korean intellectuals and students had paid attention to the economic exploitation of Japan that threatened rural communities and their future. Young Christian intellectuals organized YMCA and YWCA as nationwide networks and played a leading role in rural campaigns for saving the peasantry from poverty and the lack of education. But their campaigns ended with shouting and slogans in a distance from rural communities. Kim Roh-Deuk and Choi Young-Shin jumped into rural communities in the northern part of Korea. In the guidance of Professor Hwang, Kim and Choi opened schools for children and illiterates. Furthermore, they fulfilled a new project of joint-cultivation in which the landless poor would be given small estates for self-supporting economy in rural areas. They built up solidarity and cooperation not only with the Vnarod Movement rooted in the Russian Revolution but also with international Christian groups, specifically American YWCA for financial support.

      • KCI등재

        최용신의 농촌운동론 - 농촌계몽론자에서 브나로드운동론가로 -

        김인식 숭실사학회 2013 숭실사학 Vol.0 No.31

        최용신은 식민지시기 수원군 반월면 샘골과 인근의 마을에서 농촌운동에 헌신하다가 26세로 삶을 마감한 농촌운동가였다. 대한민국정부는 그를 “식민지 수탈에 의해 피 폐된 농촌사회의 부흥을 위해 농촌계몽운동으로 일생을 바친 독립운동가이다.”고 평가하며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식민지시기 그의 농촌운동이 독립운동으로 인정받은 까닭은, 동일 영역의 다른 운동자들과도 구별되는 일관성과 헌신성 때문이었다. 농촌운동가에서 독립운동가에 이르는 모든 범주를 포괄하여, 최용신을 한마디로 규정한 다면 ‘크리스천 브나로드운동가’가 가장 적절하다. 이 논문은 최용신이 크리스천 농촌계몽론자에서 출발하여 크리스천 브나로드운동가로 발전하였다는 시각에서 서술하였다. 여기서 ‘크리스천’은 그의 농촌운동의 의의와 한계를 그대로 드러내는 본질이다. 19세기 러시아의 브나로드운동은 농민운동․계급운동으로서 성격을 지니면서도 구호와 달리 민중과 괴리되었다. 최용신의 브나로드운 동은 농민운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지만, 민중과 일체가 되었다는 점에서 말과 그대로 일치한다. 그러나 최용신의 브나로드운동은 농민의 자각을 촉구하는 측면에 머물 렀을 뿐, 농민계급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농민운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최용신의 농촌운동을 지탱한 토대는 기독교신앙이었고, 그의 농촌운동은 기독교신앙에 입각한 기독교복음화운동의 일환이었다. 그는 계급․민족․빈부․귀천 등 모든 대립과 차별을 동시에 넘어설 수 있는 길은 ‘그리스도 예수의 사랑’이라고 믿었다. 최용신의 농촌운동론은 농촌여성을 계몽하기 위하여 그들의 문맹부터 퇴치하자는 농촌계몽론 에서 출발하였다. 협성여자신학교에 입학한 뒤에 황애덕의 지도를 받으면서 그의 농촌운동은 실천단계에 들어갔다. 최용신은 농촌실습과 브나로드운동에 참여하면서, 또 조선YWCA 운동에 관계하면서 돋보이는 실천력을 인정받았고, 이것이 그가 샘골에 파견된 배경이었다. Choi Yong-shin, who died at the age of twenty-six, was an activist dedicated to the rural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warded her an Order of National Pride (Aejok Jang) posthumously citing “She was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dedicated her life to the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to revive rural communities impoverished by the colonial exploitation.” The reasons why her activities in the rural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occupation was recognized as a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were her consistency and dedication that differentiated her from other rural movement activists. Of all possible definitions for Korean activists during the colonial period, Choi Yong-shin can be most appropriately characterized as a Christian Narodnik. This paper takes a view that Choi Yong-shin started out as an activist in the Christian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and developed into a Christian Narodnik. Here, being ‘Christian’ is the essence that reveals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ation of her rural movement. Even though the Narodniks, or the ‘V narod’ movement, of the 19th century Russia were characteristically a peasant movement and a class movement, there was a large gap between the Narodniks and the people. But Choi Yong-shin’s V narod movement was true to its slogan by being with the people. Nevertheless, Choi Yong-shin’s V narod movement was limited to one of encouraging peasants to be self-aware without evolving into a peasant movement that represented the interests of the peasant class. The foundation that sustained Choi Yong-shin’s rural movement was her Christian faith, and her rural movement was part of a Christian evangelical movement. She believed that the way to overcome all conflict and discrimination in class, race, wealth, and social status was through ‘the love of Jesus Christ.’ Choi’s theory of rural movement wa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enlightenment of rural women began with enhanced literacy. Choi put her ideals into practice after enrolling in the Union Theological Seminary for Women under the tutelage of Hwang Ae-duck. She gained recognition for her power of execution while participating in practical farming works and the V narod movement, along with her activities in the Korean YWCA movement. It was YWCA that sent her to Saemgol village as a dispatched teacher, where she began her work as a rural activist.

      • KCI등재

        해방 공간 강성갑의 기독교 사회운동 연구

        홍성표(Hong Seong-Py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5

        1920~30년대 한국교회는 어려운 농촌의 현실에 주목하고, 덴마크의 그룬트비의 영향을 받아 농촌운동을 전개했다. 이러한 한국교회의 농촌운동은 일제의 탄압과 교회내부의 보수적 신앙인의 반대로 1930년대 말에 막을 내렸다. 일제로부터 해방된 후에도 농촌문제는 새로운 나라를 세우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였으나, 해방 공간에서 한국교회의 농촌운동 사례를 찾기는 쉽지 않다. 강성갑은 해방 공간에서 이러한 농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상남도 진영에서 한얼중학교를 설립하는 등 기독교 사회운동에 앞장섰다. 강성갑은 1912년 경남 의령에서 출생하였고, 연희전문 문과와 도시샤대학 신학과를 졸업하였다. 1943년 경남노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으며, 1946년 4월 진영교회 담임목사로 부임하여 목회활동과 함께 기독교 사회운동을 전개하다가 한국전쟁 중에 ‘공산주의자’로 몰려 총살당했다. 이 사건은 소위 진영사건으로 알려져 있는데, 재판을 통해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가해자를 처음으로 처벌한 사건이었다. 강성갑의 경우에는 가해자를 처벌한 재판과 추모동상 제막식이라는 공적 행사를 통해 그의 억울한 죽음이 밝혀지고 명예가 회복되었으나 여전히 ‘공산주의자’로 몰려 가족들은 커다란 고통을 겪어야 했다. 강성갑은 덴마크 그룬트비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실천했다. 복음중등공민학교를 설립하여 기독교 사회운동을 시작하였으며, 진영교회 및 지역사회와 함께 1948년, ‘하나님을 사랑하자, 이웃을 사랑하자, 흙을 사랑하자’라는 ‘삼애정신’을 교훈으로 하는 한얼중학교를 설립하고 농촌의 인재를 양성하였다. 강성갑의 한얼중학교 설립은, 해방 후 모든 것이 부족했으나 새로운 나라를 세우고자 하는 열의로 농촌의 교육을 위해 강성갑과 진영교회와 진영의 지역사회가 합심하여 열악한 조건을 극복하고 대안을 만들어간 기독교 사회운동의 모범적인 사례였다. The Korean churches, paying attention to harsh realities in 1920s and 1930s, carried on the rural movement influenced by Nikolaj Frederik Severin Grundtvig. This movement of Korean churches had to come to an end in the end of 1930s however, because of Japanese oppression and the opposition forces of conservative believers inside the church.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the rural movement was still the first priority task to solve to build a new nation, though it is not easy to find the cases of rural movement by Korean churches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Kang Seong-Gab pioneered in Christian social movements to resolve these rural problems, as an example, he established Haneul Middle School in JinYoung Gyeongsangnam-do. Kang Seong-Gab was born in 1912 in Uiryeong Gyeongsangnam-do and completed liberal arts course in Yonhi College and studied theology and graduated from Doshisha University. In 1943 he was ordained as a minister by Gyeongnam presbytery, then started his ministry as the pastor in charge at JinYoung Church in April 1946. He developed Christian social movements while he was in ministry, then he was wrongfully charged as a communist he was shot to death during Korean War. This incident is known as JinYoung slaughter, which was the first time to punish the perpetrators of civilian massacre at the trial during the Korean War. The trial to punish the perpetrators and the official dedication of memorial statue revealed his wrongful death and recovered his reputation, but his family had to suffer a great pain since Kang Seong-Gab was still regarded as a ‘communist.’ The philosophy of Danish Grundtvig influenced Kang Seong-Gab and made him to put the philosophy into practice. He started Christian socialist movements by establishing Bogeum(Gospel) Civic School, and together with JinYoung Church and the regional community he established Haneul Middle School in 1948 to start educating people in rural area. The school motto was ‘Love God, love neighbor, and love land.’ The establishment of Haneul Middle School by Kang Seong-Gab was the model case of Christian social movement, even though everything was short in supply after the Liberation, together with JinYoung Church and the regional community having enthusiasm to rebuild new nation, that they made up of an alternative plan to overcome the appalling conditions to educate the rural area.

      • KCI등재

        1920~30년대 YMCA학생운동의 전개와 일상활동

        장규식(Chang Kyu-Si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7 No.-

        1901년 배재학당에 학생YMCA가 발족하면서 시작된 YMCA학생운동은 일제하 기독교계를 대표하는 학생운동이었다. YMCA학생운동은 3ㆍ1운동을 전후해 학생단 독립운동과 조선학생대회 창립의 산파역을 담당하며 한국 민족운동사상에 나름의 입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1920년대 전반 기존의 종교운동 영역을 넘어 신문화의 계몽자로서 폭넓은 활동을 전개했는데, 특히 신문화ㆍ사회개조ㆍ기독교사회주의ㆍ민중화 등을 화두로 사상운동 방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920년대 후반 YMCA학생운동은 사회복음 노선에 기초해 농촌사업에 착수하고, 학생YWCA와 연합활동을 벌이며 실제 생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 운동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1930년대로 접어들어 사회주의자들의 반종교운동이 거세게 일어나고, 학생들의 풍기문란이 사회문제로 대두하면서 정체성의 위기를 겪어야 했다. 그러는 가운데 만주사변 발발 이후 일제의 간섭이 도를 더하고, 교계내 서북파와 기호파, 안창호계와 이승만계의 내분까지 겹치면서 1935년 이후 유명무실한 존재로 전락하고 말았다. YMCA학생운동의 조직체계는 전국대회에 해당하는 학생하령회를 정점으로, 각 학교내에 조직된 학생YMCA와 지도기관인 조선YMCA연합회 학생부가 삼각의 축을 형성하였다. 주요 사업으로는 종교ㆍ교육(문예)ㆍ체육ㆍ사교에 걸친 이른바 4대 목적사업이 있었는데, 이들 사업은 말 그대로 하나님나라의 확장과 덕ㆍ지ㆍ체ㆍ사교의 훈육이라는 YMCA의 기본 목적을 실천하는 도구였다. 한편 1920년대 후반 들어 학생YMCA가 농촌사업과 절제운동에 참여하면서는 농촌부ㆍ금주단연부ㆍ소비(조합)부 등의 부서를 신설하여 실제 생활문제를 해결하는 운동을 펼쳤다. 끝으로 일제하 YMCA학생운동이 한국 민족운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정리해 보면, 먼저 YMCA학생운동은 문화운동ㆍ물산장려운동ㆍ절제운동ㆍ농촌운동 등 당시의 개량주의적 민족운동과 궤를 같이하며 전개된 부르주아민족주의 노선의 학생운동이었다. 또한 학생운동과 기독교운동의 경계선에서, 국제적으로 세계학생기독교연맹(WSCF)과 네트웍을 형성하며, 기독교 민족운동 지도력의 배출구로서 보다 중요한 역할을 했던 운동이기도 하였다. YMCA학생운동은 대한제국기 이래 일제하 거의 전기간에 걸쳐 전개되며 해방후로 이어진 전국적 운동으로, 부르주아 민족주의 노선에 입각한 근대 학생운동의 면모를 통시적으로 살필 수 있는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Student YMCA Movement is the typical Christian student movement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hich originally started with the Student YMCA of Bae-Jae School established in 1901.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Korean national movement by helping the founding of the Student Independence Group at the time of March 1st Movement and Chosun Haksaeng Daehoe(Korean Student Assembly) in 1920. And it took part in a variety of activities as a leading group to spread the new culture beyond the previous activities of the religious movement, especially focusing on the ideological activities in terms of New Culture Movement, Social Reconstruction, Christian Socialism and the Popularization. During the late 1920s, Student YMCA Movement campaigned for its Social Gospel in the rural area and tried positively to figure out the actual problems by joining with Student YWCAs. However, with the anti-religious movement of socialists and the demoralized aspects of the students in general, Student YMCA Movement had to be faced with the identity crisis in the early 1930s. Furthermore, it came to lose its actual power after 1935, due to the more intensified suppression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fter the break of the 1931 Manchurian Incident and the internal trouble between Ahn Changho line and Rhee Syngman line of Christian nationalist camps. The organization of Student YMCA Movement had a triangular system - Student YMCA of each branch school and Student Bureau at the National Council of Korean YMCAs, with the Student Summer Conference on its top. The major activities ranged within the four-fold purpose to improve the spiritual, mental, social and physical condition of students. They were intended to practice the Basis of the YMCA, which was the extension of Kingdom of God among young men through gospel preaching & moral training, intellectual training, physical training and social intercourse. And as Student YMCA participated in the Rural Work and the Temperance Movement in the late 1920s, its campaign focused on the solution for the actual problems of life by creating the sections such as those of rural reconstruction, anti-alcohol & anti-tobacco, and consumers' cooperative. Finally, to sum up the meaning of Student YMCA Movement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national movement, it can be argued that Student YMCA Movement was the student movement of bourgeoisie-nationalism strategy in line with the nationalist movements at that time such as the New Culture Movement, Korean Products Promoting Campaign, Temperance Movement and Rural Work. It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as the outlet for leaders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in corporation with the domestic network of the student movement and the Christian movement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network of World Student Christian Federation. Student YMCA Movement was the nation-wide movement that continuously went on from the time of the Daehan Empire up to the Liberation and even after it. In this sense, it is a good example to survey diachronically the various aspects of the modern student movement in line with the bourgeoisie-nationalist movement.

      • KCI등재

        1920~30년대 YMCA학생운동의 전개와 일상활동

        장규식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7 No.-

        Student YMCA Movement is the typical Christian student movement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hich originally started with the Student YMCA of Bae-Jae School established in 1901.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Korean national movement by helping the founding of the Student Independence Group at the time of March 1st Movement and Chosun Haksaeng Daehoe(Korean Student Assembly) in 1920. And it took part in a variety of activities as a leading group to spread the new culture beyond the previous activities of the religious movement, especially focusing on the ideological activities in terms of New Culture Movement, Social Reconstruction, Christian Socialism and the Popularization. During the late 1920s, Student YMCA Movement campaigned for its Social Gospel in the rural area and tried positively to figure out the actual problems by joining with Student YWCAs. However, with the anti-religious movement of socialists and the demoralized aspects of the students in general, Student YMCA Movement had to be faced with the identity crisis in the early 1930s. Furthermore, it came to lose its actual power after 1935, due to the more intensified suppression of the Chosun Government-General after the break of the 1931 Manchurian Incident and the internal trouble between Ahn Changho line and Rhee Syngman line of Christian nationalist camps. The organization of Student YMCA Movement had a triangular system - Student YMCA of each branch school and Student Bureau at the National Council of Korean YMCAs, with the Student Summer Conference on its top. The major activities ranged within the four-fold purpose to improve the spiritual, mental, social and physical condition of students. They were intended to practice the Basis of the YMCA, which was the extension of Kingdom of God among young men through gospel preaching & moral training, intellectual training, physical training and social intercourse. And as Student YMCA participated in the Rural Work and the Temperance Movement in the late 1920s, its campaign focused on the solution for the actual problems of life by creating the sections such as those of rural reconstruction, anti-alcohol & anti-tobacco, and consumers' cooperative. Finally, to sum up the meaning of Student YMCA Movement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national movement, it can be argued that Student YMCA Movement was the student movement of bourgeoisie-nationalism strategy in line with the nationalist movements at that time such as the New Culture Movement, Korean Products Promoting Campaign, Temperance Movement and Rural Work. It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as the outlet for leaders of Christian national movement in corporation with the domestic network of the student movement and the Christian movement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network of World Student Christian Federation. Student YMCA Movement was the nation-wide movement that continuously went on from the time of the Daehan Empire up to the Liberation and even after it. In this sense, it is a good example to survey diachronically the various aspects of the modern student movement in line with the bourgeoisie-nationalist movement. 1901년 배재학당에 학생YMCA가 발족하면서 시작된 YMCA학생운동은 일제하 기독교계를 대표하는 학생운동이었다. YMCA학생운동은 3․1운동을 전후해 학생단 독립운동과 조선학생대회 창립의 산파역을 담당하며 한국 민족운동사상에 나름의 입지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1920년대 전반 기존의 종교운동 영역을 넘어 신문화의 계몽자로서 폭넓은 활동을 전개했는데, 특히 신문화․사회개조․기독교사회주의․민중화 등을 화두로 사상운동 방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920년대 후반 YMCA학생운동은 사회복음 노선에 기초해 농촌사업에 착수하고, 학생YWCA와 연합활동을 벌이며 실제 생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 운동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1930년대로 접어들어 사회주의자들의 반종교운동이 거세게 일어나고, 학생들의 풍기문란이 사회문제로 대두하면서 정체성의 위기를 겪어야 했다. 그러는 가운데 만주사변 발발 이후 일제의 간섭이 도를 더하고, 교계내 서북파와 기호파, 안창호계와 이승만계의 내분까지 겹치면서 1935년 이후 유명무실한 존재로 전락하고 말았다. YMCA학생운동의 조직체계는 전국대회에 해당하는 학생하령회를 정점으로, 각 학교내에 조직된 학생YMCA와 지도기관인 조선YMCA연합회 학생부가 삼각의 축을 형성하였다. 주요 사업으로는 종교․교육(문예)․체육․사교에 걸친 이른바 4대 목적사업이 있었는데, 이들 사업은 말 그대로 하나님나라의 확장과 덕․지․체․사교의 훈육이라는 YMCA의 기본 목적을 실천하는 도구였다. 한편 1920년대 후반 들어 학생YMCA가 농촌사업과 절제운동에 참여하면서는 농촌부․금주단연부․소비(조합)부 등의 부서를 신설하여 실제 생활문제를 해결하는 운동을 펼쳤다. 끝으로 일제하 YMCA학생운동이 한국 민족운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정리해보면, 먼저 YMCA학생운동은 문화운동․물산장려운동․절제운동․농촌운동 등 당시의 개량주의적 민족운동과 궤를 같이하며 전개된 부르주아민족주의 노선의 학생운동이었다. 또한 학생운동과 기독교운동의 경계선에서, 국제적으로 세계학생기독교연맹(WSCF)과 네트웍을 형성하며, 기독교 민족운동 지도력의 배출구로서 보다 중요한 역할을 했던 운동이기도 하였다. YMCA학생운동은 대한제국기 이래 일제하 거의 전기간에 걸쳐 전개되며 해방후로 이어진 전국적 운동으로, 부르주아 민족주의 노선에 입각한 근대 학생운동의 면모를 통시적으로 살필 수 있는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