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의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 금속판 내고정술을 이용한 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 치료와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Plate Internal Fixation

        한경진,어수익,김태영,강신영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목 적 : 상완골 간부 분쇄 골절의 치료에서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의 치료 결과를 금속판 내고정술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3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상완골 간부 골절로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한 14례와 상완골 간부 분쇄골절에 대해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한 18례이고, 최고 9개월 이상 추시하였으며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houlder score를 기준으로 기능적 평가를 하였고, visual analous scales에 따라 통증의 정도 (zero : no pain ~ 10 : extreme pain) 를 평가하였다. 결 과 : 골절 유합은,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14례중 12례(85.7%)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골유합 시기는 평균 13.2주 이었다.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이용하여 수술을 시행한 18례중 17례(94.4%)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평균 골유합 시기는 평균 12.4주 이었다. ASES shoulder score에 따른 기능적 점수는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평균 44점,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평균 47점 이었다. 통증의 정도는 금속판 내고정술의 경우 평균 1.8,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 평균 1.4 이었다. 결 론 : 상완골 간부 분쇄골절에 대한 최소 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은 견고하고 정확한 골절의 정복이 가능하고 술후 방사선학적 및 기능적 결과가 다른 수술방법에 비해 결과가 좋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 We compared the function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the minimal open reduction and interlocking IM nailing and LC-DCP plate internal fixation for the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 Fourteen plates(LC-DCP) and eighteen interlocking IM nail (AO unreamed IM nail) were applied after open reduction for 21 comminuted fractures of the humeral shaft between March 1997 and December 2001. They were followed up for a minimum 9 months after surgery and the radiological and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Results : The average fracture healing time was 13.2 weeks and union rate was 85.7% for plate internal fixation. The average fracture healing time was 12.4 weeks and union rate was 94,4% for interlocking IM nail. The average functional scores according to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houlder score(Total 52 points_ was 44 points for plate internal fixation and 47 point for interlocking IM nailing respectively. Conclusion : Minimal open reduction and interlocking IM nailing is better method with good functional and radiological results than plate internal fixation for the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s.

      • KCI등재

        원위 경골 골간단부 골절의 치료에서 최소 침습적 금속판 내고정과 교합성 골수정 내고정의 비교

        이광철 ( Gwang Chul Lee ),이준영 ( Jun Young Lee ),하상호 ( Sang Ho Ha ),손홍문 ( Hong Moon Sohn ),박이규 ( Yi Kyu Park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1

        목적: 원위 경골 골간단부 골절에서 관절 주위 금속판을 이용한 최소 침습 금속판 골유합술과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술 후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원위 경골 골간단부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6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소 침습금속판 골유합술을 시행한 환자 30예를 A군,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 31예를 B군으로 나누었다. 결과: A군과 B군의 골유합 시기는 평균 16.4주와 17.2주, 수술시간은 평균 45분과 48분, 방사선 피폭 시간은 4.2분과 7.5분이었다. VAS점수는 평균 0.7점과 0.5점이었고 A군에서 금속판 주변의 피부를 압박하였을 때의 통증 정도는 VAS 점수상 1.7점이었다. Olerud and Molander Ankle Score는 평균 87.4점과 86.3점이었다. 술 후 합병증은 A군에서 표재성 창상 감염 1예가, B군에서 표재성 창상감염 1예와, 5도 이상의 각 변형이 2예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원위 경골 골간단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관절 주위 금속판을 이용한 최소 침습 금속판 골유합술과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에서 골유합 시기 및 임상적 기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술 후 합병증으로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이 술 후 각 변형의 발생율이 더 높아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Purpose: To compare results between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using a periarticular plate and intramedullary nailing in distal tibial metaphyseal fractures in two treatment groups. Materials and Methods: Sixty-one cases of distal tibial metaphyseal fractures from December 2008 to December 2009 were evaluated. The minimal follow-up period was 12 months. Thirty patients treated by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using a periarticular plate were Group A; 31 patients treated by intramedullary nailing were Group B.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each group by radiological and clinical assessments. Results: The mean bony union time was 16.4 weeks in Group A and 17.2 weeks in Group B. The mean operation time was 45 minutes in Group A and 48 minutes in Group B. The mean radiation exposure times were 4.2 minutes and 4.8 minutes, respectively. VAS scores were 0.7 points and 0.5 points in each respective group. In Group A, the VAS score was 1.7 points when we applied pressure on the skin around the plate. The mean Olerud and Molander Ankle Score was 87.4 points and 86.3 points, respectively. A superficial wound infection occurred in 1 case in each group, and angular deformities more than 5 degrees occurred in 2 Group B cases. Conclus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ult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a higher incidence of angular deformity was seen in the intramedullary nailing group. Therefore, we must be careful during surgery.

      • KCI등재

        성인의 상완골 원위부 과간 분쇄 골절

        오진록 ( Jin Rok Oh ),윤여승 ( Yeo Seung Yoon ),이동규 ( Dong Kyu Lee ),허만승 ( Man Seung Her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원위 상완골 과간 분쇄 골절에 대해 수술적 치료를 한 환자에서 수술 방식에 따른 치료 결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수술적 치료를 했던 원위 상완골 과간골절 환자 22예 중 6개월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했던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기간은 평균 3년 4개월이었다. 수술 방법은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수술부 도달법, 금속판의 종류 및 내고정 위치에 따라 Broberg와 Morrey의 평가 지수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적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기능적 평가는 우수 7예, 양호 6예, 보통 1예, 불량 1예였다. 운동범위는 평균 굴곡구축 7도, 후속굴곡 106도였다. 경주두 도달법을 사용한 경우 평가 지수가 86.6점, Campbell의 후방도달법을 사용한 경우 90.5점이었으며, 재건 금속판과 1/3 반통형 금속판을 이용한 경우 내고정 실패의 1예 (기능지수 57점)를 제외하면 기능지수가 평균 86.3점을 보여 금속판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후방과 측방을 고정한 경우 기능 지수가 88.9점이었고, 후방과 후방을 고정한 경우 기능 지수가 86점이었으며, 측방과 측방을 기능 지수가 97점을 보여 측방과 측방을 고정한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증례수가 적어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결론: 원위 상완골 과간 분쇄 굴절의 치료에서 수술부 도달법에 따른 치료 결과의 차이는 없었고, 사용된 금속판의 종류 및 고정 방식에 따른 치료 성적의 차이도 없었다. 따라서 골절에 대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수술적 방법이면서 동시에 시술자에게 익숙하고 환자의 수술 조건에 맞는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therapeutic results of communited intercondylar fractures of the distal humerus that were treated by surgical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4, we reviewed fifteen cases of intercondylar fracture of the distal humerus, which were treated by surgical treatment. The follow up period ranged from six month to 5 years. The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Broberg and Morrey`s functional scale according to surgical approach, type of plate and location of plating. Results: The functional results were as follows; seven excellent, six good, one fair and one poor. The mean range of motion in elbow joint was 7 ~ 106°. The mean functional score was 86.6 points through olecranon osteotomy, 90.5 points through Campbell`s posterior approach. The mean functional score was 91.6 points in cases using 2 reconstruction plate, 78 points in cases using 1 reconstruction plate and 1/3 semitubular plate, and 86 points in case using 1 reconstruction plate and lag screws. The mean functional score was 88.9 points in cases by posterior and lateral fixation, 86 points in cases by both posterior fixation and 97 points in case by both lateral fixation. Conclusion: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eatment outcome according to surgical approach, different plate and location of plating.

      • KCI등재

        성인 쇄골 간부 골절에서 두 가지 수술적 치료군 간의 결과 비교: 금속판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과 Steinmann Pin을 이용한 경피적 겸자 정복 및 골수강내 고정술의 결과 비교

        허성식 ( Sung Sik Ha ),심재천 ( Jae Chun Sim ),홍기도 ( Ki Do Hong ),김재영 ( Jae Young Kim ),강정호 ( Jung Ho Kang ),박광희 ( Kwang Hee Park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3

        목적: 성인 쇄골 간부 골절에서 금속판을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과 Steinmann pin을 이용한 경피적 겸자 정복 및 골수강내 고정술의 결과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6년 1월까지 본원에서 치료한 총 68예의 쇄골 간부 골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금속판을 이용한 33예, Steinmann pin을 이용한 35예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최종 결과 판정은 강 등의 기준에 의한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학적 골유합 기간으로 하였고, 수술 시간을 비교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는 우수 이상의 예가 금속판을 이용한 군의 경우 총 33예 중 29예로 88%, Steinmann pin을 이용한 군의 경우 총 35예 중 32예로 91%의 결과를 보였다. 방사선학적 골유합 시기는 각각 평균 8.9주와 9.1주였고, 수술 시간은 금속판 군에서 평균 72분, Steinmann pin 군에서 평균 18분이었다. 결론: 성인 쇄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 금속판을 이용한 수술 군과 Steinmann pin을 이용한 수술 군은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 면에서 통계학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teinmann pin을 이용한 수술 군에서 수술 시간 및 회복기간의 감소로 인하여 경제적인 면과 수술반흔의 감소에 따른 미용적인 면에서 더 만족스런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betwee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the plate and percutaneous reduction by towel clip and intramedullary fixation with Steinmann pin for clavicle shaft fractures in adult. Materials and Methods: We have studied the results in 33 cases with the plate. 35 cases with the Steinmann pin among total 68 cases of clavicle shaft fracture.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over a period of at least 12 months. The final postoperative outcome was analyzed with the clinical outcomes using Kang`s criteria. radiological union time and operation time. Results: The clinical outcome that was good or excellent according to the Kang`s criteria showed a distribution of 88% in the group using the plate with 29 cases out of total 33 cases. 91% in the group using the Steinmann pin with 32 cases out of total 35 cases. The mean radiological union time was 8.9 weeks in the group using the plate. 9.1 weeks in the group using Steinmann pin. The mean operation time was 72 minutes in the group using the plate, whereas was 18 minutes in the group using Steinmann pin. Conclusion: In the treatment of adult clavicle shaft fracture. two 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However, the operation time and postoperative functional recovery was significantly shorter and faster in the group using Steinmann pin. Additionally economic and cosmetic aspect was more satisfactory in the group using Steinmann pin.

      • KCI등재후보

        대퇴골 전자부 골절후 발생한 내고정 실패에서 칼날 금속판을 이용한 치료

        장재석 ( Jae Suk Chang ),오형근 ( Hyoung Keun Oh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4

        목적: 대퇴골 전자부 골절후 발생한 내고정의 실패 및 불유합에서 칼날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과 골이식술로 치료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8명의 환자에서 95도 칼날 금속판을 이용한 견고한 내고정을 시행하였고, 7예에서는 골 이식술을 병행 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73세 였으며, 추시 기간은 26개월(6~65개월)이었다. 임상적으로 술 후 동통의 감소 및 보행 능력 향상 등을 평가하였고, 방사선적으로 평균 골유합 시기, 정복의 만족도 및 유지 상태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 총 8예의 환자중 6예에서 최종 추시상 정복의 소실 없이 견고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평균 골유합 시기는 20주였고, 대퇴 경간각은 술 전 평균 118°에서 술 후 133°를 보였다. 1예에서 내고정 실패로 양극성 반치환술로 전환하였고, 1예에서 방사선 추시상 내반 전위 소견을 보였다. 임상적으로 술 후 동통의 감소 및 보행 능력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대퇴부 전자부 골절후 발생한 내고정의 실패 및 불유합에서 칼날 금속판을 이용한 견고한 내고정과 골이식술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blade plate fixation and bone grafting for the treatment of failed intertrochanteric hip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Eight patients were treated with 95°blade plate fixation and bone grafts were performed in 7 patien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73 years old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6 months (range, 6 to 65 months).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ere evaluated based on pain, walking ability, union period, and maintenance of reduction. Results: 6 of 8 patients obtained a solid union after a median period of 20 weeks. The neck-shaft angle was changed from 118°to 133°postoperatively. One patient underwent revision of a bipolar hemiarthroplasty due to failed blade plate fixation and varus malunion occurred in one patient Conclusion: Blade plate fixation and bone grafting for failed internal fixation of intertrochanteric hip fractures can provide a solid union and a good clinical result.

      • KCI등재

        근위 및 원위 경골 간부 골절에서 최소 침습적 경피적 금속판 고정술과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치료의 비교

        강준순 ( Joon Soon Kang ),박승림 ( Seung Rim Park ),김상림 ( Sang Rim Kim ),박용근 ( Yong Geun Park ),정재호 ( Jae Ho Jung ),최성욱 ( Sung Wook Choi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2

        목적: 골간단부로 치우친 경골 간부 골절에서 최소 침습적 금속판 내고정술을 이용한 치료군과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을 이용한 치료군의 술 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경골 간부 골절 환자 중 2003년부터 2006년까지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하여 수술한 환자 30명을 A군으로, 최소 침습적 경피적 금속판 내고정술을 이용하여 수술한 환자 29명을 B군으로 지정하였다. A군과 B군의 수술 후 방사선 사진으로 골유합 및 가골형성 시기를 평가하고, 관절부위 기능적 점수와 불유합, 부정유합 및 감염 등에 대한 합병증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방사선 사진상 골유합 시기는 A군에서 평균 17.4주에 나타났고, B군에서 17.0주에 나타났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불유합 및 지연유합이 A군에서 4예와 B군에서 1예 나타났고, 부정유합이 A군에서 6예 나타났다. 창상부 감염증이 A군에서 2예와 B군에서 1예 나타났다. 결론: 골간단부로 치우친 경골 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과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치료에서 가골형성 시기, 골유합 시기 및 임상적 기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교합나사만을 이용한 골수강내 금속정은 최소 침습적 금속판 삽입술에 비해 부정유합 및 변형의 발생율이 높았다. Purpose: To compare the efficacy of the surgical treatment through the comparison of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 and Intramedullary (IM) nailing in the treatment of the tibial shaft fractures expended to metaphysis retro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ith proximal or distal third fracture of tibial shaft from May 2003 to Aug. 2006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surgical method. Group A consisted of 30 patients treated with IM nailing, Group B was 29 patients treated with MIPO. Th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from the time for bone union and callus formation confirmed by X-ray, functional score of knee or ankle joint, and complications including nonunion, malalignment and infection. Results: Bone union was seen radiologically at a mean of 17.4 weeks in group A, and 17.0 weeks in group B. I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group A showed two nonunion, two delayed-union, six malalignment, and two wound infection while group B showed only one delayed-union and one wound infection.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me for bony union and functional score between IM nailing and MIPO. Conventional IM nailing with only interlocking technique showed higher incidence of malalignment and deformity than MIPO for the treatment of the proximal or distal third fracture of the tibial shaft.

      • KCI등재

        외측 만곡을 가진 대퇴골 간부 골절에서 반복적인 금속 파절 -증례 보고-

        김동수 ( Dong Soo Kim ),김용민 ( Yong Min Kim ),최의성 ( Eui Sung Choi ),손현철 ( Hyun Chul Shon ),박경진 ( Kyoung Jin Park ),조병기 ( Byung Ki Cho ),박지강 ( Ji Kang Park ),이현철 ( Hyun Cheol Lee ),홍경호 ( Kyung Ho Hong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2

        심한 만곡을 가진 대퇴골 간부 골절의 내고정에 있어 금속판은 대퇴골과의 접촉면적 감소, 골수강내 금속정은 만곡된 골수강 내에 삽입고정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있다. 저자들은 대퇴골의 심한 외측 만곡을 보인 80세 여자 환자의 대퇴골 간부 골절의 치료 중 2회의 잠김 압박 금속판 (locking compression plate)의 파절과 1회의 골수강내 금속정의 파절을 경험하였고, 결국 골수강내 금속정과 잠김압박 금속판을 함께 고정한 후에야 골절의 유합을 얻었다. 심한 만곡을 가진 대퇴골은 그 생역학적 특성이 다르므로 골절 치료 시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취지에서 이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Fractures of the femoral shaft with marked bowing face some obstacles in fixation of the fracture such as difficulty in insertion of the intramedullary nail (IM nail) or exact contouring plate. Locking compression plates (LCP) are an option to manage this problem. However, we experienced consecutive breakage of LCP twice and IM nail once in an 80-year-old female. Finally, union of the fracture was achieved after fixation of the IM nail and additional plate together. Fractures of the femur shaft with marked bowing are thought to have different biomechanical properties; therefore, we presen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원위 경골 골절의 최소 침습적 금속판 치료와 골수강내 금속정의 치료 결과 비교

        홍창화 ( Chang Hwa Hong ),박종석 ( Jong Seok Park ),이상선 ( Sang Seon Lee ),어수익 ( Soo Ik Awe ),김우종 ( Woo Jong Kim ),정기진 ( Ki Jin Jung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3

        목적: 경골 원위 골절에서 관절 주위 금속판을 이용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과 골수강내 금속정 삽입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및 임상 결과를 분석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원위 경골 골간단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총 2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소 침습적 경피적 금속판 고정술로 치료한 14예를 1군, 골수강내 금속정 삽입술로 치료한 14예를 2군으로 나누고방사선 사진과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1군과 2군의 골유합 시기는 평균 14주 (8∼17), 15주 (11∼20), 수술시간은 평균 58.0분 (55∼65), 82.7분 (70∼100)이었다. 내/외반 각변형은 각각 평균 1.5도 (0∼2), 2도 (0∼5)였고 전/후방 각변형은 각각 평균 1.8도 (0∼4), 2.3도 (0∼12)였다. 발목 관절의 운동 범위는 각각 족배 굴곡 평균 17.5도 (15∼20), 18도 (16∼20) 족저 굴곡 평균 45도 (42∼50), 44도 (42∼50)로 심한 제한은 없었으며, 모든 환자에서 정상 보행이 가능하였다. 술 후 합병증으로 내고정물로 인한 피부 자극 증상은 없었고 내고정물의 실패나 표재성 창상 감염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경골 원위부 골절의 치료에 사용된 관절 주위 금속판을 이용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은 골수강내 금속정보다 골유합기간이나 해부학적인 정복 정도, 임상적인 결과는 두 군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수술 시간의 단축에 도움이 되었다. Purpose: To compare the result of treatment between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 using periarticular plate and intramedullary nailing in treatment of distal tibia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28 cases of distal tibia fractures form Jan. 2006 to Mar. 2008 were divided into two group. Minimum follow-up was for 12 month. Group 1 consisted of 14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MIPO technique and group 2 consisted of 14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The results were compared by assessing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 Results: The mean bony union time was 14 weeks (8∼17) in group 1 and 15 weeks (11∼20) in group 2. Operation time was 58 minutes (55∼65) in group 1 and 82.7 minutes (70∼100) in group 2. The average angulation in AP view was 1.5 degrees (0∼2) in group 1 and 2 degrees (0∼5) in group 2, in lateral view was 1.8 degrees (0∼4) in group 1 and 2.3 degrees (0∼12) in group 2. The average range of motion for dorsi flextion was 17.5 degrees (15∼20) in group 1 and 18 degrees (16∼20) in group 2, for plantar flextion was 45 degrees (42∼50) in group 1 and 44 degrees (42∼50) in group 2, which means that there were no severe limitation of motion in all patients, resulting in satisfactory ambulation. There was no post 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skin irritation problem caused by internal device and no implant failure and superficial wound infection. Conclusion: There were no difference in bony union time, clinical result and anatomical reduction between Group 1 and Group 2 in distal tibia fractures, but operation time was shorter in MIPO than nailing.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과상부 대퇴 삽입물 주위골절의 치료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과 잠김 금속판 고정술 간의 비교-

        김진학 ( Jin Hak Kim ),김지형 ( Jee Hyoung Kim ),양승진 ( Seung Jin Yang ),유창욱 ( Chang Wook Yoo ),전태환 ( Tae Hwan Chun ),양종화 ( Jong Hwa Yang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4

        목적: 본연구의 목적은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과상부 대퇴삽입물 주위 골절의 수술적 치료로서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로 치료한 군과 잠김 금속판 고정술로 치료한 군간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시행한 역행적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 10예(제1군), 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술 13예(제2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군에 대하여 골절 전과 최종 추시에서의 관절 운동범위,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knee score, 대퇴 경골각 및 골유합 시기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슬관절 운동범위는 제1군은 평균 124.5˚에서 116.2˚, 제2군은 평균 118.2˚에서 110.1˚로 감소하였다. HSS knee score는 제1군은 평균 84.4점에서 75.8점, 제2군은 평균 82.3점에서 79.0점으로 감소하였다. 대퇴 경골각은 제1군은 평균 외반 6.3˚에서 5.8˚, 제2군은 평균 외반 6.1˚에서 7.2˚로 측정되었다. 골유합 시기는 제1군은 평균 2.7개월, 제2군은 평균 3개월이었다. 결론: 역행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과 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수술법 모두 견고한 고정 후 조기 관절 운동이 가능하여 좋은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and locking compression plate fixation. Both of these are surgical procedures for the treatment of periprosthetic supracondylar femur fractures that occur subsequent to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 population consisted of 23 cases: there were 10 cases that underwent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fixation (group 1) and 13 cases that underwent use of a locking compression plate (group 2), and in both groups supracondylar femur fracture subsequent to total knee replacement occurred during the period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8. The range of joint motion, th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knee score, the tibio-femoral angle and the time to achieve bone union in each group were comparatively analyzed. Results: The mean range of the knee joint motion decreased from 124.5˚ to 116.2˚ in group 1, and from 118.2˚ to 110.1˚ in group 2. The mean HSS knee score declined from 84.4 points to 75.8 points in group 1, and from 82.3 points to 79.0 points in group 2. The mean tibio-femoral angle changed from 6.3˚ eversion to 5.8˚ in group 1, and from 6.1˚ to 7.2˚ in group 2. The mean time to achieving bone union was 2.7 months in group 1 and 3 months in group 2. Conclusion: Both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and locking compression plate fixation, as surgical procedures for the treatment of periprosthetic supracondylar femur fractures that occur subsequent to total knee replacement, allow solid fixation and early resumption of joint movement withou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rocedures. So, both procedures appear to be good methods of treatment.

      • KCI등재

        후과 골절이 동반된 경골 원위부 나선상 골절의 치료

        김영성(Young Sung Kim),이호민(Ho Min Lee),김종필(Jong Pil Kim),정필현(Phil Hyun Chung),박순영(Soon Young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4

        목적: 본 연구는 족관절 후과 골절을 동반한 경골 원위부 나선상 골절에서 경골에 대한 고정술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과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의 기능적, 방사선학적 결과 및 후과 골절에 대한 고정술 유무에 따른 기능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족관절 후과 골절을 동반한 경골 원위부 나선상 골절(AO Foundation/Orthopaedic Trauma Association 분류 42-A1, B1, C1)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16명을 intramedullary nailing (IMN)군으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14명을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군으로 분류하여 양 군의 골유합 시기, 술 후 각 정렬, 족관절 후과 골편의 전위 정도 및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 군에서 후과 골절에 대한 고정술 유무에 따른 족관절 관절 운동 범위 및 AOFAS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골유합 시기는 IMN군에서 21.8주, MIPO군에서 23.1주였다(p=0.500). 최종 추시 평균 각 변형은 IMN군에서 관상면 1.8°, 시상면 1.6°를 보였고, MIPO군에서 관상면 1.2°, 시상면 1.7°를 보였다(p=0.131, p=0.850). 술 후 및 최종 추시 방사선 사진상 양 군 모든 환자에서 족관절 후과 골편의 전위는 없었고, 최종 추시에서 족관절 관절염은 없었다. 임상적 평가로 최종 추시에서 AOFAS 점수는 IMN군에서 평균 88.0점, MIPO 군에서 평균 87.6점을 보였다(p=0.905). 각 군에서 후과 골절에 대한 고정술 유무에 따른 족관절 관절 운동 범위 및 AOFAS 점수를 비교하였고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족관절 후과 골절을 동반한 경골 원위부 나선상 골절의 치료에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과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은 영상학적, 임상적 결과에서 차이가 없이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functional and radiologic outcomes of intramedullary nailing (IMN) and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 for tibia fractures in distal tibial spiral fractures combined with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as well as the functional and radiologic outcomes with and without fixation for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8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of 30 skeletally mature patients with tibial spiral fractures (AO Foundation/Orthopaedic Trauma Association classification 42-A1, B1, C1) combined with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were analyzed. Six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IMN, and 14 patients were treated with MIPO. Depending on the surgical methods, the radiologic and clinical outcomes were compared by evaluating the bone union time, postoperative alignment, postoperative displacement of the posterior malleolar fragment, and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Moreover, the functional and clinical outcomes with and without fixation for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were compared. Results: The mean bone union time was 21.8 weeks in the IMN group and 23.1 weeks in the MIPO group (p=0.500). At the final follow up, the mean alignment was coronal angulation of 1.8°, sagittal angulation of 1.6° in the IMN group and coronal angulation of 1.2° and sagittal angulation of 1.7° in the MIPO group (conoral angulation: p=0.131, sagittal angulation: p=0.850). The postoperative and final radiologic evaluation showed no displacement of the posterior malleolar fragment and excellent joint congruity in all cases. At the final follow-up, the mean AOFAS score was 88.0 on average in the IMN group and 87.6 on average in the MIPO group (p=0.905). The ankle range of motion and AOFAS score were similar in the fixation group and no fixation group for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Conclusion: Both IMN and MIPO for tibial spiral fractures combined with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result in satisfactory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