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의 구음 "라라리(라라리)"와 "라리련(라리련)"의 한국적 존재 양상

        전경욱 ( Jeon Kyung Wook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4 No.-

        한중일에서는 ‘라라리(라라리)’와 ‘라리련(라리련)’이라는 구음이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열반경』 「실담장」 중의 로류로루(魯流盧樓)가 후대에 불교 분야에서는 ‘라라리 리라라’와 여기에서 파생된 ‘리리라’, ‘라리라’ 등의 구음을 중심으로 전승되었다. 그러나 남송대 남희 등의 희곡 작품에서는 처음에는 ‘라라리’ ‘리라라’ 와 여기에서 파생된 ‘리리라’, ‘라리라’ 등의 구음을 중심으로 전승되다가, 점차 ‘라리련’과 여기에서 파생된 ‘리라련’ ‘라련리’ ‘련리련’ 등이 섞여 사용되었다. 만당(晩唐)과 송대 불교 승려들의 시와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선문염송(禪門拈頌)』 등 불교서적에서는 한결같이 ‘라라리’ ‘리라라’와 이 구음의 변이형인 ‘리리라’, ‘라리라’ 등만 나타나고, ‘라리련’과 거기에서 파생된 ‘리련라’ ‘련리련’ 등의 구음은 나타나지 않는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열반경』 「실담장」 중의 로류로루(魯流盧樓)가 리리루루(釐釐樓樓), 리리율율(唎唎栗栗), 리리루루(離離樓樓), 리리려로(리리口呂로), 리려로로(리黎魯盧), 리리리리(唎唎利利)의 변이과정을 거쳐, 만당부터 ‘라라리’ ‘리라라’ 또는 여기에서 파생된 ‘리리라’, ‘라리라’ 등의 구음으로 전승되어왔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중국학자들의 논문에서 소개한, 남송대의 남희부터 명청대의 희곡 작품은 모두 만당과 송대 불교 승려들이 시와 어록에서 노래한 ‘라라리(라라리)’보다 후대의 작품들이다. 따라서 남송대의 남희부터 명청대의 희곡 작품에 나오는 ‘라라리’, ‘리리라’, ‘리라리’, ‘라리련’ 등은 모두 불교 구음 ‘라라리’와 ‘리라라’로부터 유래했음을 알 수 있다. ‘라리련(라리련)’은 주로 남희와 괴뢰희의 희신(戱神) 주문(呪文)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명대 탕현조(湯顯祖: 1550-1616)가 지은 「의황현희신청원사묘기(宜黃縣戱神淸源師廟記)」, 구준(邱濬, 1420-1495)이 지은 『오륜전비충효기(伍倫全備忠孝記)』 등의 남희, 그리고 현재 복건성에서 전승되고 있는 연극과 괴뢰희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 구음들이 한국에서도 『금강경오가해』, 『선문염송』등 고려.조선시대 불교서적, 고려.조선시대 불교 승려들의 시와 어록, 고려.조선시대 문인들의 시와 저서, 고려속요, 조선시대 언해본과 소설, 민요, 꼭두각시놀이 등 여러 분야에서 발견되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이 구음들의 한국적 존재양상을 살펴보았다. The oral sounds of “Lalari(라라리)” and “Lariryun(라리련)” appear universally in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Roryulolu(魯流盧樓)” of the Sutra of Nirvana(涅槃經), was later passed on through Sildamjang(悉曇章) in the field of Buddhism with the sounds of “Lalari Rilala” and “Ririla Larila” as the center. Ririla Larila is the derivative form of Lalari Rilala. However, in drama works of the South Song era such as the “Southern Plays(南戱),” at first, oral sounds were passed on through Lalari Rilala and the derivative form Ririla Larila. Then gradually the sounds were used with a mixture of Lariryun and derived sounds such as “Rilaryun Ryunriryun.” The poems of Buddhist monks from the late Tang era and Song era, along withthe Buddhist books The Five Monks` Annotation of Diamond Sutra(金剛經五家解) and Sunmunyeomsong(禪門拈頌), uniformly show only the sounds of Lalari Rilala and the alternant Ririla Larila, but not the oral sounds of Lariryun or its derived form Riryunla Ryunriryun. However, drama works from Southern Plays of the South Song era to plays fro m the Ming and Qing eras introduced in the papers of Chinese scholars are all of a later period compared to Lalari, which is sung in the poems and quotations of Song era Buddhist monks. Thus we can see that Lalari Ririla and Rilari Lariryun th at appear in drama works from Southern Plays of the South Song era to the Ming and Qing eras all come from the Buddhist oral sounds of Lalari and Rilala. Lariryu n was mainly used as the “God of Drama” incantation of the Southern Plays and puppet shows. This can be seen in the Southern Play Uihwanghyunheeshincheongwons -amyoki(宜黃縣戱神淸源師廟記) written by Xianzu Tang and Oryunjeonbichoonghyoki( 伍倫全備忠孝記) by Jun Qiu, along with plays and puppet shows that are curren tly passed down in Fujiansheng. In this manuscript,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se oral sounds are also found in various fields (Buddhist publications such as The Five Monks` Annotation of Diamond Sutra, Sunmunyeomsong from Goryeo and Joseon, poems and quotations of Buddhist monks from Goryeo and Joseon, poems and publications of literary men from Goryeo and Joseon, Goryeo folk songs, Korean annotations, novels, folk songs and puppet shows of Joseon), I look into the existing aspects of these oral sounds in Korea.

      • KCI등재

        守國寺 木造阿彌陀佛坐像의 腹藏典籍 硏究

        송일기 한국서지학회 2014 서지학연구 Vol.58 No.-

        This study contemplated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 and the literary character of the votive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stored in the wooden seated statue of Amitabha in the main sanctuary of Suguksa temple located in Eunpyeong-gu, Seoul Metropolitan City. There were 24 different Buddhism manuscripts/printed books and 20 books of dharani in the statue at the Suguksa temple. The Buddhism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include 7 books of Goryeo edition, 11 books of Joseon edition and 6 books of Yuan Boryeongjang edition. Most of them have been historically proven that they are the sole editions and they are introduced to us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found that the votive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at Suguksa had been dedicated in 1239 when the statue was enshrined and during the two major repairs in 1388 and 1562.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uscripts/printed books and the enshrinement background of the statue draws attention; because most of them are printed edition dharani and Esoteric Buddhism scripture. Among the votive manuscripts and printed books, the temple-published Avatamska Sutra, Esoteric Buddhism scripture and Jeongchuk-type edition Geumganggyeong Ogahae(金剛經五家解) draw the attention of scholars. 이 연구는 서울 은평구에 소재하는 수국사의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아미타불좌상에서 수습한 복장전적의 서지적 특징과 문헌적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수국사 복장유물에는 다양한 불교전적 24점과 다라니 20점이 들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중 불교전적은 고려본이 7점, 조선본이 11점, 그리고 원나라 보령장 6첩이 포함되어 있는데, 대부분 처음 소개되는 유일본으로 고증되었다. 수국사 복장본은 대략 1239년 조성과 1388년 및 1562년의 2차례 중수시기에 시납되었던 것으로 분석되며, 또한 인본다라니와 밀교부 경전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불상의 조성배경과의 상관성이 주목된다. 복장본 중 가장 주목되는 판본은 사간판 화엄경과 밀교대장, 그리고 정축자본 금강경오가해 등을 들 수 있겠다.

      • KCI우수등재

        〈구운몽〉에서 구름의 의미와 주제

        이강옥(Lee Kang-Ok) 국어국문학회 2009 국어국문학 Vol.- No.151

        Kim Manjoong used the cloud imagery in his poetry and essays to make concrete his yearning for someone and something. The cloud in Kuwoonmong is very similar to that of his poetry. However there also exist distinctively different imagery of cloud. The cloud in Kuwoonmong symbolizes non-beings that come into being through longing and thinking, while the cloud in the poetry represents the longing for the already existing world. This reveals a ver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his poetry and Kuwoonmong. The process of creating Kuwoonmong involves the elements that didn't exist in the process of creating his poetry. I would argue that the rhetoric of clouds in Kumkangkeoung left strong impact on Kuwoonmong. So to understand theme of Kuwoonmong, we have to consider the teaching of Kumkangkeoung. The cloud images of Kumkangkeoung represent the misled and fantastic thought. As the cloud covers the light of the moon, the misled thought covers the sincere being. In conclusion, the 'cloud' in the title of 'Kuwoonmong' means the misled thought and the fictitious world which was made by thought.

      • KCI등재후보

        청한(淸寒) 설잠(雪岑)의 『조동오위요해(曹洞五位要解)』 연구

        전준모 ( Jun Joon-mo ) 한국불교사연구소 2021 한국불교사연구 Vol.19 No.-

        청한 설잠은 어린 시절 전도유망한 유자(儒者)였으나, 단종 폐위 이후, 불자(佛者)로 전환하여 여생을 불자로 살았다. 평생 여러 저작을 남겼는데 그 중 『조동오위요해』는 그의 말년 작으로, 그의 사상의 정화가 녹아 있다고 평가 받는다. 조동오위 사상은 동산 양개와 그의 제자 조산 본적이 집대성한 사상으로, 선종의 수행, 실천의 요체에 대해 다섯 가지 측면으로 바라본 것이다. 설잠은 이에 대한 주석을 달아 『조동오위요해』를 저술하는데, 여기서 드러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잠의 주석의 논지 전개 방식은 우선 적절히 절을 나누고, 세밀하다 싶을 정도로 단어와 구절의 의미 파악에 공을 들인다. 그리고 후에 원문에는 상응하는 비유적인 시구를 덧붙인다. 이는 교학적으로 정밀한 분석과 선적으로 상징적인 접근을 동시에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은 함허 득통이 보여주었던 『금가경오가해설의』 글쓰기와 비슷하다. 무엇보다 『금가경오가해설의』가 교정·회편된 시기가 설잠이 막 출가 했던 시기와 비슷하기에 설잠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설잠보다 한 세대 앞의 선승으로, 유자에서 불자로 전환했던 이력까지 비슷한 기화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았으리라 짐작된다. 둘째, 설잠은 조동오위 사상을 만년의 자신의 사상의 정화로 삼고 이에 『요해』를 더한 것으로 사려된다. 이는 조동오위가 진여의 세계와 현실의 세계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겸대(兼帶), 즉 중도의 진리를 설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실에 좀 더 방점을 둔 조동종의 종지는 설잠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으리라 생각된다. 현실의 세계를 중시하는 그의 면모는 그가 평생 보여준 삶의 역정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설잠의 생애와 사상이 다면적이었던 만큼, 『조동오위요해』에서 드러난 설잠의 사상이 유교 중심인지 불교 중심인지에 관한 논쟁 역시 뜨거웠다. 여러 가지 주장들 속에서도 유교의 기일원론자로 보려는 주장과 선불교적 현실참여자로 보려는 주장이 그 중에서 설득력이 있다고 판단된다. 종합하자면 설잠은 『조동오위요해』를 통해 조동선의 종지를 드러내려고 함이 핵심이었으며 그 와중에 유교의 기일원론적 관점을 내비쳤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가 불교와 유교의 회통을 통해 보여주고자 했던 바는 어느 한쪽의 우월함이라기보다, 시대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자하는 지성인적 모습으로 파악해야 할 것이다. Cheonghan Seoljam was a promising Confucian scholar in his childhood, but after the dethronement of King Danjong, he changed to a Buddhist monk and lived as a Buddhist monk for the rest of his life. He left several works throughout his life, including “Jo-dong-Oui-yo-hae”, which is considered to contain the purification of his ideas. The idea of Jo-dong-Oui is a collection of images of Dongsan Yang-gae and his disciples, Jo San. The five aspects of Seonjong’s performance and practice were viewed in five aspects. Seoljam writes “Jodong Ouiyohae” with a commentary on this, which reveal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theory of Seoljam’s annotation first divides the clauses appropriately and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ds and phrases to the extent that they seem to be detailed. Later, the original text adds a corresponding figurative first pitch. This can be said to be both pedagogically precise analysis and shipping symbolic approaches, which are similar to the writing of the “The views of five people on The Diamond Sutra” demonstrated by Ham Deuk-Tong Above all, I think it had some influence on Seol-jam because the period of correction and reversal of the commentary was similar to the time when Seol-jam had just left.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he was influenced by similar vaporization from Yuja to Bulja, a generation ahead of Seoljam. Second, Seoljam is thought to have taken the idea of Jo Dong-ohi as a purification of his thoughts for later years and added “yo Hae”. This is because Jo Dong-ohi is explaining the truth of the middle course, which is not biased toward either the world of truth or reality. Jo Dong-jong’s end, which focuses more on reality, is thought to have been attractive to Seol-jam. His aspect of emphasizing the real world is also revealed through the journey of life he has shown throughout his life. As Seol-jam’s life and thoughts were multifaceted, there was also a heated debate over whether Seol-jam’s ideas were Confucian or Buddhist centers. Among the various arguments, the argument to be regarded as a Confucian monotheism and the argument to be considered as a prepaid reality participant are considered persuasive among them. To sum up, Seol-jam’s attempt to reveal the end of Jo Dong-sun through “Jodong Ouiyohae” was the key, and in the meantime, it is thought that he hinted at the monolithic view of Confucianism. However, what he wanted to show through the repentanc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is not the superiority of either side, but rather the intellectual figure who wants to stay out of the spirit of the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