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대학의 균형성과표 도입효과

        이성재,홍정화,박문곤 한국회계정보학회 2010 회계정보연구 Vol.2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making empirical analysis on the adoption effects of BSC(balanced scorecard) in Korean universities. To put it concretely, We studied whether the characteristics factors of university(administrative characteristic,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perception characteristic) have an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university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ir implic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factors(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of work)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ing and growth performance of BSC. Though the education & training of administrative characteristic factor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ing and growth performance of BSC, the CEO‘ support has not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ing and growth performance of BSC. And the user's value of constituent's perception factor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ing and growth performance of BSC. but the perceived ease of use has not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ing and growth performance of BSC. Second,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factors(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of work)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nal process performance of BSC. Also, the administrative characteristic factors(education & training, CEO‘ support)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nal process performance of BSC. And the constituent's perception factors(user's value, perceived ease of use)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nal process performance of BSC. Third,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factors(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of work)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ustomer performance of BSC. Though the education & training of administrative characteristic factor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ustomer performance of BSC, the CEO‘ support has not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ustomer performance of BSC. And the user's value of constituent's perception factor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ustomer performance of BSC, but the perceived ease of use has not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ustomer performance of BSC. Fourth,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factors(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of work)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BSC. Also, the administrative characteristic factors(education & training, CEO‘ support)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BSC. And the constituent's perception factors(user's value, perceived ease of use)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BSC.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에 균형성과표가 새롭게 도입될 경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직특성, 관리특성, 구성원인식특성이 균형성과표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조직특성, 관리특성, 구성원 인식특성 요인이 균형성과표의 학습 및 성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관리특성 중 최고경영자 지원과 인식특성 중 사용용이성이 학습 및 성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기각되었으며, 다른 모든 요인은 학습 및 성장성과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BSC 도입에 따라 대학조직이 의사소통과 업무표준화가 잘 이루어지고 구성원에 대한 교육훈련이 잘 이루어지며, BSC가 이용가치가 높다는 것을 인식시킴으로써 BSC의 학습 및 성장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의 조직특성, 관리특성, 구성원 인식특성 요인이 균형성과표의 내부프로세스성과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BSC의 도입에 따라 대학조직이 의사소통과 업무표준화가 잘 이루어지고, 구성원에 대한 교육훈련과 최고경영자로서 총장의 지원이 원활이 이루어지며, 균형성과표의 이용가치 및 사용용이성이 인식된다면 균형성과표의 내부프로세스성과는 높아질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대학의 조직특성, 관리특성, 구성원 인식특성 요인이 균형성과표의 고객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관리특성 중 최고경영자 지원과 인식특성 중 사용용이성이 고객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기각되었으며, 다른 모든 요인은 학습 및 성장성과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BSC의 도입에 따라 대학조직이 업무표준화가 잘 이루어지고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며, 대학구성원에 대한 교육훈련이 잘 이루어져 균형성과표가 이용할 가치가 있다는 인식이 높아지면 균형성과표의 고객성과는 높아질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대학의 조직특성, 관리특성, 구성원 인식특성 요인이 균형성과표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BSC의 도입에 따라 대학조직이 의사소통과 업무표준화가 잘 이루어지고, 최고경영자의 지원과 구성원에 대한 교육훈련이 잘 이루어지며, 대학구성원이 균형성과표가 이용가치가 있고 사용이 용이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 균형성과표의 재무성과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성과관리체계와 균형성과표의 연계에 관한 사례연구

        이창대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2 경영컨설팅연구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성과관리체계와 균형성과표의 연계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출자·출연기관을 중심으로 경영평가를 바탕으로 성과관리시스템과 균형성과표를 연계해 보고자 사례연구를 시도하였다. 성과관리체계는 계획-집행-평가라는 경영관리과정에 근거하여 평가지표를 설정하고 평가대상 기관의 성과를 파악하고 있다. 균형성과표는 단기적인 관점의 재무적 측정치가 아닌 목표와 전략, 그리고 비전을 중심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핵심지표를 통하여 평가한다. 연구결과 성과관리체계인 계획(plan)-집행(do)-평가(see)를 균형성과표인 네 가지 관점으로 연계할 수 있다. 즉, 성과관리체계의 리더십과 전략은 균형성과표의 전략 및 가치로 동인할 수 있으므로 연계하였다. 다음으로 경영시스템의 조직관리, 인적자원관리, 그리고 재무관리는 균형성과표의 학습 및 성장관점으로 연계되었다. 경영시스템의 성과관리체계와 경영정보관리는 비즈니스 프로세스관점으로 연계되었다. 다음으로 경영성과인 콘텐츠 및 기술개발, 정보활동 및 연구 사업은 고객만족도로 기업육성과 산업기반 조성사업의 경우는 균형성과표의 재무적 관점으로 연계되었다.

      • KCI등재

        균형성과표(BSC)개념을 적용한 학교급식 운영성과 측정지표 개발

        곽동경,장혜자,송지영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5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0 No.6

        본 연구에서는 직영과 위탁의 두 운영형태에서 발생되는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서 국내·외의 연구 자료를 기초로 단편적인 부분의 평가가 아닌 학교급식의 올바른 운영 성과를 총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성과평가를 위해 전략적 성과 평가의 한 기법인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하여 학교급식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측정지표를 개발하였다. 문헌과 균형성과표를 적용한 연구의 고찰을 통해 1단계학교급식의 정의 및 급식 업무 영역에 대한 규정, 2단계 학교급식의 비젼 수립, 3단계 전략적 목표 수립, 4단계 핵심성공요인의 도출, 5단계 핵심 측정 지표의 개발, 6단계 인과관계 구현, 7단계 예비 균형성과표의 완성으로 균형성과표를 구축하는 단계를 설정하였다. 설정된 구축 단계에 따라일차적으로 국내·외의 학교급식에 관련된 문헌의 고찰을통해 본 연구의 기초 자료를 수집하였다. 학교급식의 비전은 우리나라 모든 학교 급식소의 목표인‘2003년 학교급식실시지침(서울시 교육청)’의 목표와 기본방침과 동일하게본 연구의 비젼을 설정하여 운영형태에 제한되지 않도록 하였다. 설정된 비전 및 문헌, 학교급식 실무 경험자, 행정 책임자, 전문가들과의 회의를 통해 균형성과표의 4가지 시각에 따라 시각별 전략적 목표, 12가지 핵심 성공요인과 39개의 측정지표를 설정하고 지표간의 인과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예비 균형성과표를 완성하였다. 핵심성공요인은 재무적 시각에서 효율적 저비용관리/매출증대, 고객 시각에서 고객 만족도 증가, 올바른 영양지도, 급식 이미지 향상이 내부 비즈니스 프로세스 시각에서는 철저한 영양 관리, 급식의 안전성 확보, 효율적 운영 시스템이, 학습 및 성장시각에서는 직원/종사원의 역량증진, 경쟁력있는 제품 개발, 전략적 정보 제공이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핵심측정지표에서는 재무시각의 제조원가비율/금액, 재해손실건수/감소율, 급식참여율, 매출목표 달성율이, 고객시각에서는 학생만족지수, 교직원만족지수, 잔반율, 교육수행건수/시간, 영양교육 평가 관리 지표, 고객클레임 건수/감소율, 고객클레임 처리건수/감소율, 학부모 만족지수가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내부 비즈니스 프로세스 시각에서는 영양요구량 충족비율, 영양관리 평가 점수, 식중독발생건수, 종사원 안전사고 건수, 위생 점검 평가점수, 노동시간당 식수(생산성지수), 운영 관리 평가지수, 구매 관리 평가지수, 업무 전산화 비율, 학습 및 성장 시각에서는 종사원 이직율/결석율, 연간 교육 훈련 건수, 종사원 만족 지수, 인적 자원 관리 평가 지수, 연간 메뉴 관련 고객 피드백 건수, 급식 직원/종사원 대상 급식 정보 제공 지표, 학부모/학교대상 급식 정보 제공 지표가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로써 4가지 시각별 전략적 목표, 11가지 핵심 성공요인과28개의 측정지표로 인과관계를 설정한 최종 균형성과표를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거시적으로는 운영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고 학교급식의 총체적인 성과를 점검할 수 있는 측정지표를 제시하고 현재 운영형태가 학교 및 학생에게기여하는 바를 바르게 평가 받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학교급식을 급식부서의‘업무’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급식경영’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학생 및 교직원에게 급식뿐 아니라 교육 등의 서비스까지 ...

      • KCI등재

        인간정보처리능력의 한계가 균형성과표의 활용에 미친 영향

        박준완 한국회계정보학회 2010 회계정보연구 Vol.28 No.2

        Traditional accounting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have problems of lack of comprehensiveness, inaccuracy, limited range, excessive emphasis on short-term performance as a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To solve these problems, the Balanced scorecard as the multi-dimens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include non-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process oriented long-term performance measures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financial, results based, short-term performance measures. Balanced scorecard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problem of the tradi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but it is likely to distort or decrease the effects of the balanced scorecard because of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of the evaluator.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of the evaluator on the use of various measures in the balanced scorecard in order to effectively use of the balanced scorecard. This study analyzed how evaluator uses the balance scorecard and the use of balanced scorecard is affected due to the limitations of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are evaluated on more weight than measures of non-financial perspective when make a comprehensive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a balanced scorecard consisting of a variety of perspectives of performance measures. About seven performance measures among multi-dimensional performance measures in the balanced scorecard were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that decision-makers use seven informations to judge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전통적인 회계성과측정시스템은 성과측정치의 포괄성 결여, 비정교성, 제한된 범위, 단기적 성과에 대한 과잉 강조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균형성과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면적 성과측정시스템으로, 전통적 성과측정시스템의 재무적, 결과물 중심, 단기적 성과측정치에 추가적으로 비재무적, 과정중심, 장기적 성과측정치를 포함한다. 균형성과표는 전통적인 성과측정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평가자의 정보처리능력의 측면에서 균형성과표의 도입 효과가 왜곡 내지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균형성과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평가자의 정보처리 능력이 균형성과표의 다양한 측정치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간정보처리능력의 한계로 인해, 평가자가 균형성과표를 활용하는데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자는 다양한 관점의 성과측정치로 구성된 균형성과표를 이용하여 종합적 평가를 내릴 때, 비재무적 관점의 측정치보다는 재무적 관점의 성과측정치에 더 많은 가중치를 두고 평가한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지적하는 확실성 효과가 본 연구에서도 일관성을 가지고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둘째, 평가자는 균형성과표에 포함된 다면적 성과측정치 중에 7개 전후의 성과측정치를 중심으로 활용했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인지처리능력의 한계 때문에 의사결정자는 다양한 정보단서 중 7개 전후의 정보단서를 활용하여 판단한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 KCI등재

        대학의 균형성과표와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정택문 ( Taekmun Jung ),정강원 ( Kangone Jeong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0 기업경영리뷰 Vol.11 No.2

        대학의 균형성과표와 성과주의 예산제도의 연계방안 즉, 통합성과관리에 초점을 둔 성과주의 예산제도에 의거하여 예산을 편성하고 집행과 통제를 할 수 있는지를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대학이 균형성과표와 성과주의 예산제도를 통합성과관리 모형으로 구축하고 산출된 성과측정결과를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 다음의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성과주의 예산제도와 성과관리가 유리되지 않아야 한다. 성과측정결과를 단순한 데이터의 집합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각 대학의 총장에게 조직 운영 및 통제를 위한 정량적·정성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성과지표는 너무 복잡하거나 많지 않아야 하며 조직 전체와 계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둘째, 통합성과관리에 의하여 산출된 성과측정결과는 행정업무에 바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한다. 대학은 고객만족도를 최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행정업무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배가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통합성과관리를 시행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대학의 예산편성·집행·통제 시 주요 요인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셋째, 통합성과관리는 단번에 구축된 시스템으로 운영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균형성과표와 성과주의 예산제도를 연계시킨 성과관리시스템은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하여 개선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성과지표 업그레이드를 통하여 성과측정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통합성과관리 틀에 의거하여 평가결과를 활용해야 한다. 대학의 조직 구성원들에게 금전적인 보상 이외에 각종 복리후생혜택, 인사반영, 표창 및 포상 등의 비금전적인 보상의 방법을 함께 활용하는 것이 제도를 정착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비영리조직 대학에 효과적인 경영기법의 하나로 받아들여져 그 도입 및 실행이 확산되어 가고 있는 균형성과표를 도입·적용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바람직한 성과지표 설정과 측정을 제시하는데 머무르지 않고 성과주의 예산제도와의 연계방안에 대하여 모색해 보았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Linking the Balanced Scorecard of University to the Performance-based Budge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tudy is deal with performance-based budgeting with approach to the integrated performance management. And, considers process of budget(allocation, implementation, monitor etc.) to performance-based budget. The university constructs the integrated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for linking the balanced scorecard to the performance-based budget. And, using performance measure results, have to considering as below; First, not separating to the performance-based budgeting and the performance measure of balanced scorecard. Second, its measure results of the integrate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use immediately for administrative service and process of the university. Third, the integrated performance management can not operating in just one time. Its continue to do feedback. Finally, get the utmost out of measure results on the integrate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is aimed not only to adopt the balanced scorecard model with a view to improving administration service of university(non-profit organization), but also to in advance search its indicated Critical Success Facto and Key Performance Indicators.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to help establishing linking the balanced scorecard to the performance-based budgeting by university of non-profit organization.

      • 조직의 인적자원 학습 및 성장성과, 재무적 성과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장충석 ( Chung Seok Jang ) 한국산학경영학회 2008 산학경영연구 Vol.21 No.2

        균형성과표(ESC) 모형은 기업의 경영성과를 비재무적 지표로서 학습 및 성장성과, 내부 경영프로세스 성과, 고객성과, 재무적 지표로서 재무적 성과를 중심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통합적 성과 측정 시스템이다. 이러한 균형성과표(ESC) 모형은 재무적 성과 지표를 중심으로 기업의 경영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있어서 나타나는 한계를 보완하고 종합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함으로써 합리적인 기업의 성과를 예측하고 측정하는 평가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균형성과표(ESC) 모형을 도입하여 활용하는 경우 도입전과 후의 성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구명하고, 비재무적 성과 지표와 재무적 성과 지표, 그리고 전반적인 경영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균형성과표(BSC) 모형을 도입하여 활용하는 경우 기업의 학습 및 성장성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분석되었으며, 비재무적 성과 지표들은 재무적 성과를 개선하여 전반적인 기업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centr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internal business process perspective, custom perspective, financial perspective, and general performance.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uses Kaplan and Norton`s(1996) Balanced Scorecard Model theory. A field survey was undertaken through questionnaire sampling a population of construction compani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85 firms in Korea for th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empirical study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F=7.68, p=0.000). Especially, Financial perspective appear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on-financial perspectives and general performance. It concludes that Non-financial perspectives significant affect the financial perspective and general performance. But,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at should be noted. The potential limitation of this study concerns sampling and for selection process. Future research needs to reduce potential bias by collecting data which allows multiple industries for a subset of the sample.

      • KCI등재

        균형성과표(BSC)를 적용한 사회적기업의 성과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김숙연(Kim, Suk-Yeon),김재준(Kim, Jae-Jun) 글로벌경영학회 201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에서는 영리조직 및 정부부처나 비영리조직에 활용되고 있는 Kaplan과 Norton(1996)의 균형성과표를 토대로 사회적기업과 같은 새로운 비영리조직의 성과측정을 위한 성과모형에 관한 성과지표를 개발하여 제시해보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기업의 BSC 관점별 측정지표로 우선 사회적 목적 실현을 위한 수익 및 이윤창출 달성이라는 비전과 미션을 설정하고, 고객이해관계자관점, 재무성과관점, 업무프로세스관점, 학습 및 성장관점, 공공성 관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Kaplan & Norton(1992, 1996)의 BSC관점의 기본 모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부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는 사회적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공공성관점‘을 추가하여 기존의 BSC 모형을 변형하여 총 5가지의 성과관점으로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 와의 차별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ing and applying a BSC model of social enterprises. BSC model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by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agencies or not-for-profit organization are being utilized in the Kaplan and Norton(1996) As an indicator measuring the BSC perspectives social enterprise-specific priority social purposes to achieve revenue and profitability to achieve that mission. And also the customer and stakeholder perspectives , financial performance perspective , the business process perspective , the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 and the public perspective are measurement indicators in BSC of social enterprises. BSC perspectives within the scope of the Government 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re being considered by social enterprise characteristics. BSC performance model were organized into perspective in terms of existing research and differentiation in addition to the existing the public perspective ,

      • 조직의 경영성과 측정과 평가를 위한 균형성과표(BSC) 모형의 도입 및 활용 효과에 관한 연구

        장충석,Jang, Chung-Seok 한국산학경영학회 2009 산학경영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조직이 균형성과표(BSC) 모형을 도입하여 조직의 경영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활용하는 경우, 도입하기 전에 비해서 균형성과표(BSC)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 및 성장성과, 내부 경영프로세스 성과, 고객성과, 재무적성과, 그리고 경영성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의 도급 200위 이내서 경영활동을 수행하는 건설기업을 대상으로 1차자료를 수집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경험적 연구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 균형성과표(BSC)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반적인 성과 지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 및 성장성과, 내부 경영프로세스 성과, 고객성과, 재무적 성과, 그리고 경영성과에서 조직이 균형성과표(BSC) 모형을 도입하여 경영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활용하기 전에 비해서 도입 후의 성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 of using Balanced Scorecard, and relationship among learning and growth performance, internal business performance, customer performance, financial performance, and business performance. To achieve this study,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Balanced Scorecard we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A field survey was undertaken through questionnaire sampling a population of construction firms. The established hypotheses related to Balanced Scorecard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re verified by the paired-t test analysis using SPS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 BSC firm's learning and growth performance are higher than those of before BSC adopting firms significantly. Second, BSC firm's internal business performance level is higher than that of before BSC firm's significantly. Third, BSC firm's customer performance level is higher than that of before BSC firm's significantly. Fourth, BSC firm's financial performance level is higher than that of before BSC firm's significantly. Fifth, BSC firm's Business performance level is higher than that of before BSC firm's significantl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BSC research by being the study focus on the BSC at the general indicators and provides evidence that may help understanding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BSC adoption and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 are some limitations, however, of this study. The result are based on a cross sectional sample of construction firms, which may not be reflective of the entire population.

      • KCI등재

        균형성과정보이용이 조직공정성을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장로(Zhang, Lu),김달곤(Kim, Dal Go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4 국제회계연구 Vol.0 No.58

        본 연구에서는 균형성과정보이용과 조직공정성, 경영성과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직공정성은 크게 절차공정성과 분배공정성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설문항목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선정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하여 측정되었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대상기업은 거래소에 상장된 404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회수율은 21%이었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84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정하기 위하여 PLS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균형성과정보이용은 경영성과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변수인 절차공정성은 균형성과정보이용과 경영성과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균형성과정보이용과 경영성과간의 관계에서는 분배공정성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는 균형성과정보이용이 조직구성원들의 절차공정성 지각을 증가시키며, 절차공정성의 증가는 궁극적으로 경영성과를 개선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경영자들이 경영성과를 개선시키기 위해 공정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재무 및 비재무적 성과정보를 균형있게 구축하고 활용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balanced performance indicator information, organizational justice and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two types of organizational justice are used;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All of questionnaire items in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prior studies, and were measured on five-point Likert-type scal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in 404 Korea manufacturers randomly selected from Korea Exchange. A total of 84 useable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a response rate of 21%. PLS method and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for the hypotheses tes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se of balanced performance indicator information is associated with improved performance. Second, the effect of balanced performance indicator information on performance is indirect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s of procedural justice. But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ibutive justice on relationship between balanced performance indicator information and performance was not exist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balanced performance indicator information influences employees" perceptions of procedural justice, which, in turn, influences managerial performance. From thes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ir managerial performance, many companies should consider the organizational justice, for which a variety of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indicator information should be used to build a well-balanced.

      • KCI등재

        균형성과표의 성과지표간의 인과관계와 시차효과에 관한 연구

        박준완 한국회계정책학회 2009 회계와 정책연구 Vol.14 No.3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measures included in the balanced scorecard and analyzed possible timing effects on this relationship. This study applied simple value-creation process and complex value-creation process in order to capture the process of value creating process. Simple value-creation process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performance measures when lower performance measures were directly reflected in the upper performance measure. In contrast, complex value-creation process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performance measures when the lower performance measures were reflected in a step by step manner in the upper performance measures. It was found that performance measures on the balanced scorecard followed Complex value-creation process and that there existed timing lag effects among these performance measures. 본 연구는 균형성과표에 포함된 성과지표간의 인과관계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 시차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재무적 성과지표와 재무적 성과지표와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재무적 성과지표가 직접적으로 재무적 성과지표에 반영되는 단순가치창출모형과 순차적으로 재무적 성과지표에 반영되는 복합가치창출모형을 이용하여, 균형성과표의 하위단계의 학습및성장관점, 내부프로세스관점, 고객관점의 성과가 최상위 단계의 재무적 관점의 성과에 반영되는 모형의 적합도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균형성과표의 성과지표는 비재무적 성과지표들이 순차적으로 재무적 성과와 연결되고, 이들 간에는 부분적으로 시차효과가 존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