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최고 지도자의 권력 공고화: 장쩌민의 사례

        조영남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7 중소연구 Vol.41 No.3

        This article analyzes the power consolidation of the CCP’s general secretary, focusing on the case of Jiang Zemin. For this, it investigates two things. First, this paper delves into power sources that the supreme leaders wield, and rectification campaign as a strategy by which the supreme leaders employ in order to consolidate their political power. Second, it investigates concretely the process and result that Jiang Zemin made his power base solid. Supreme leaders in China should take up military control, ideological authority, and network of corteges for their exercise of power, and they make use of rectification campaign as a method to make them possible. Jiang Zemin illustrates the prototype of power consolidation in the reform era. The sequence is as follows: the recruitment of corteges, implementation of rectification campaign, and establishment of a new ideology. It proves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ower consolidation has made progress in the reform era, as di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ower succession. 이 논문은 장쩌민을 사례로 중국공산당 총서기의 권력 공고화를 분석한다. 이 논문은 두 가지를 살펴볼 것이다. 첫째는 중국 정치에서 최고 지도자들이 행사하는 권력과, 권력 공고화를 위한 전략인 정풍운동(整風運動)이다. 둘째는 장쩌민의 권력 공고화다. 중국에서 최고 지도자는 군 통수권, 이념적 권위, 지지 세력을 획득해야 권력을행사할 수 있다. 또한 정풍운동은 이를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장쩌민은 개혁기 총서기가 어떻게 권력을 공고화 하는가에 대한 하나의 전형을 만들었다. ‘지지 세력의충원 → 정풍운동과 반부패운동의 전개 → 새로운 지도이념의 확정’이 바로 그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개혁기 중국의 엘리트 정치에서 ‘권력 승계의 제도화’와 함께‘권력 공고화의 제도화’도 진전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중국 후진타오와 시진핑의 권력 공고화 비교

        조영남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7 국제지역연구 Vol.26 No.4

        This article analyzes the power consolidation of Hu Jintao and Xi Jinping in terms of comparative perspective. For this, it investigates the meaning of power consolidation and rectification campaign. Then it delves into the concrete processes and results of power consolidation focusing on Hu Jintao and Xi Jinping in three aspects: the recruitment of corteges, implementation of rectification campaign, and establishment of new ideology. Hu Jintao and Xi Jinping as new generation leaders in reform era have been able to make power base solid by similar strategies and steps, and resultantly could exercise their power as general secretaries. In this sens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ower consolidation has made progress in the reform era, as di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ower successio 이 논문은 후진타오와 시진핑의 권력 공고화를 비교 분석한다. 이를 위해 먼저 권력 공고화와 정풍운동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후진타오와 시진핑의 권력 공고화를 세 가지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첫째는 자파 세력의 충원, 둘째는 정풍운동과 반부패운동의 추진, 셋째는 자기 통치이념의 공산당 지도이념화이다. 후진타오와 시진핑은 개혁기 신세대 지도자로서 유사한 과정과 절차를 통해 권력 을 공고히 했고, 그 결과 총서기로서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개혁기에는 ‘권력 승계의 제도화’와 함께 ‘권력 공고화의 제도화’가 진행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북한 최고지도자의 권력 공고화 과정 연구―숙청을 중심으로―

        권지민 대한정치학회 2024 大韓政治學會報 Vol.32 No.1

        북한은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3대 세습체제 동안 권력을 공고화하고 독재를 체계화하는 과정에서 숙청을 그 정치적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숙청을 단순한 정치적 수단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3명의 독재자의 숙청형태를 분석함으로써 숙청의 세부 범위를 범주화하고, 그 맥락에서 북한에서의 숙청을 재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숙청의 형태는 크게 그 정권에 반대하는 세력에 대한 숙청과 지도자에 반하는 세력, 그리고 지도자에 영향을 끼칠 만큼 확장된 세력에 대한 숙청으로 분류화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류는 다른 사회주의 체제국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집권 초기 ‘공포정치’로 일컬어 지는 김정은의 숙청을 통한 정치형태는 김정은 정권만의 독단적인 행태가 아니라 김일성, 김정일 정권부터 이어져 온 보편적인 현상이라는 것을 증명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During the three-generation hereditary succession system from Kim Il-sung to Kim Jong-il and Kim Jong-un, North Korea has employed purges as a means to consolidate power and institutionalize dictatorship. This study aims not only to view purges as mere political tools but also to categorize the scope of purges by analyzing the forms of purges under the three dictators, thereby reinterpreting purges in the context of North Korea. Purge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hose targeting opposition forces against the regime, those opposing the leader, and those expanded to include forces significant enough to influence the leader. Such categorization could also be applicable to other socialist regime countries. Furthermore, this study proves the significance of Kim Jong-un's purges, often referred to as “politics of fear” in the early stages of his reign, as not solely his autocratic behavior but as a universal phenomenon spanning from the regimes of Kim Il-sung to Kim Jong-il.

      • KCI등재
      • 북한 종교정책 변화과정과 그 함의

        김정수 남북문화예술학회 2008 남북문화예술연구 Vol.0 No.3

        북한의 종교는 8.15부터 현재 김정일 시대에 이르기까지 부분적이고 점진적이지만 일정한 변화의 흐름이 나타났다. 종교 제한정책(1945~49), 종교 말 살정책(1950~71), 제한적 이용정책(1972~85), 제도적 허용정책(1986~현재) 등과 같이 네 단계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북한 종교정책의 변화는 김일성(김정일) 권력의 공고화 수준, 국제사회와의 관계, 남북교류의 필요성, 북한경제 문제 등이 어우러져 복합적인 요소로 작용하면서 시 기마다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가장 중요한 핵심요소는 김일성(김정일) 권 력의 공고화임에는 두말할 필요가 없다. 또한 국제사회와의 교류의 확대 및 남북 종교단체의 교류 역시도 북한의 종교정책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음이 틀림없다. 북한 종교지형의 공간은 제약적인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점점 확대되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주체사상에서 종교와의 공존 가능성을 피력하였으며, 북한 종교단체들이 국제적으로, 남북교류 등에서 역할의 폭이 증대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한 종교단체들의 역할도 북한 종교지형의 확대에 순기능을 할 수 있도 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해 나가야 한다.

      • KCI등재

        중국 시진핑 정부 특징과 권력 공고화 분석 – 마오쩌둥 시기와 비교를 중심으로 -

        임진희 중국지역학회 2022 중국지역연구 Vol.9 No.2

        This study trie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Xi Jinping government through a review of the process of power consolidation. And to this end, this paper compared it with Mao Zedong, the only person in the history of CCP who built and actually operated a one-man-rule system. On this basis, this paper also tried to find answers to questions such as ‘Did Xi Jinping establish the one-man-rule system?', ‘Is the collective leadership system still valid?’ which frequently appeared in recent years. There are many analyses of the president Xi Jinping and comparisons with his predecessor, Hu Jintao. However, there were no analyses that were compared to the president Mao Zedong.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and compared the method of the power consolidation during the Mao Zedong government in Chapter 2 and the Xi Jinping government in Chapter 3. At the end, Chapter 4 summarized Chapter 2~3 and tried to present its own answers and implications to the above mentioned questions. 본 논문은 중국 시진핑 주석의 권력 공고화 과정 고찰을 통해 시진핑 정부의 특징을 정의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신중국 역사상 유일하게 일인지배 체제를 구축하고 실제로 운영했던 인물인 마오쩌둥 시기와 비교하고, 동시에 이로써 근래에 빈번히 등장한 ‘시진핑 주석은 일인지배 체제를 구축한 것인가?’, ‘집단지도 체제는 아직도 유효한가?’ 같은 질문에 나름의 답을 구하려 하였다. 현재 시진핑 시기 자체의 분석, 전임인 후진타오 시기와 비교한 분석은 다수 존재한다. 그런데 일인지배 여부를 검토하며 의외로 마오쩌둥 시기와 비교하여 살펴본 분석들은 적었다. 때문에 본 논문은 제2장에서 마오쩌둥 시기의, 제3장에서 시진핑 시기의 권력 공고화 방식을 고찰, 비교하였다. 그리고 제4장에서 이를 정리하며 상술한 질문에 나름의 답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려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