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군부의 정치적 위상과 통제

        김종명 ( Kim Jong Myung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2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6 No.2

        본 논문은 현 러시아 군부의 정치적 위상을 민·군 관계의 발전과정을 검토해 봄으로써 재정립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러시아 군부는 체제 전환과정에서 많은 변신을 시도하고 있으나 역사적으로 국가와 당의 종속 변수로서 순응해 왔다. 러시아에서 군의 정치개입은 금기사항이며 러시아는 수많은 전쟁과 혁명과정에서 한 번도 군부가 통치한 적 없는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당·군 관계를 살펴보면 적군의 창설에서 트로츠키의 군 개혁, 스탈린의 군 강화와 기계화, 흐루시초프의 군 개혁, 브레즈네프의 군 팽창 전략, 고르바초프의 약화된 군 통제, 옐친의 군 축소와 위상하락, 푸틴의 강한 러시아군 육성, 메드베데프의 적극적 군사전략 등의 역사적 유산을 지니고 있다. 현 러시아 정부는 민주주의 헌법체제하에 대통령이 군의 최고 통수권자로서 효과적으로 군을 통제하고 있는데 과거 옐친은 의회와의 대결에서 군의 힘을 바탕으로 승리를 쟁취한 바 있다. 그러나 체첸전쟁을 비롯한 보스니아 내전, 그루지야 전쟁개입 등은 군의 정치적 위상을 추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특히 입법부는 국방예산을 심의하는 권한을 지니고 있어 군은 철저하게 의회의 통제를 받는다. 이와 같은 군과 정치의 상호작용은 군내부의 정치적 갈등, 군의 선거참여, 국가정책에 대한 군부의 입장, 군의 정체성 같은 관점에서 논의 된다. 그러나 현 러시아 군부는 낮은 경제적 처우, 군의 사병화, 도덕성 추락, 직업주의, 군범죄의 증가, 군내부의 부패, 징집제도의 취약성뿐만 아니라 군의 사기저하와 부대생활의 폭력성에 따른 탈영병의 증가 같은 어려운 문제점에 봉착하고 있다. 특히 낮은 방위비 지출과 광활한 국경선, 가상적군의 불분명 등도 군의 위상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그러나 푸틴과 메드베데프의 강한 러시아 부활정책은 향후 러시아군의 위상을 서서히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reviews and reexamiend the political phase and control of Russian military authorities in its development of civil military relationships. The Russian military authorities are trying to changes his position in the conversion process of system, but the state and party are dependent variables through the long history. It is abstrain from military to the political intervention in Russia and they maintained this tradition in the long history of many war and revolution. The historical relationships between party and military is like this : the creation of red army, military innovation by Trotsky, military strenghening by Stalin, military innovation by Khrushchev, extention strategy by Brezhnev, weakening control by Gorbachev, reduction and decline by Yeltsin, military strengthening by Putin, and positive strategy by Medvedev. According to the Russian constitution, the president of Russia has the supreme control power to the military as a top management. Yeltsin gained the victory to the strugges with Duma. But unfortunately he failed Chechen war and the Civil war of Bosnia. Moreover, the Duma reviews and control of military budget and defense expenditure. Also, We can discuss and explain the political conflict in the army,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military like election, the military position to the defense policy, the identity of military as the relationships between politics and army. But, Russian military confronted many problems like the low salary, individualization of army, decline of morality professionalism, increase of military crime, corruption of military, weakness of recruitment, decline of fighting sprit, increase of encampment. etc. It is also military problems of low defense budget, broad frontier and uncertainty of assumed enemy. But we expect the Russian military authority will increase their position according to the strong military policy by Putin.

      • KCI등재후보

        박정희 정부의 군 지휘구조 개편 실패원인 분석: 정치,안보환경의 변화에 따른 박정희의 정책선호 변화를 중심으로

        김인승 ( In Seung Kim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2 동북아연구 Vol.27 No.2

        한국군에 대한 군 지휘구조 개편은 잦은 시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실패를 겪어왔다. 군 지휘구조 개편 추진과정에서 발생하는 군과 정치권으로부터의 반발을 효과적으로 극복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설명이다. 이렇듯 군과 정치권으로부터의 반발이 군 지휘구조 개편 추진의 핵심 장애요인이라 본다면 역대 정부들 중 군 지휘구조 개편에 가장 개편추진에 가장 유리한 환경에 직면했던 것은 박정희 정부였다.군 지휘구조 개편을 추진하던3공화국 말기, 박정희 정부의 군과 정치권에 대해 영향력은 확고하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정희 정부에서 추진된 군 지휘구조 개편은 결국 실패로 끝났다. 본 논문에서는 박정희 정부의 군 지휘구조 개편 실패 원인을 당면 정치-안보환경의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군 지휘구조 개편 당시 직면하였던 정치-안보환경의 변화가 군 지휘구조 개편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본 것이다. 이를 통해 군 지휘구조 개편의 실질적 장애요인은 단지 군과 야당의 반발이기 보다는 당면 정치-안보환경의 성격과 군 지휘구조 개편의 특성 간의 조응결과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현재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reorganization of military command structure has repeatedly failed despite numerous trials. The general reason is that the response to the resistance by the military and political factions during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has not been effective. Considering resistance from the military and the political factions as a core obstacle to the reorganization scheme, perhaps it was Park Jung-Hee`s administration that had faced the most favorable circumstances for demonstrating the reorganization. Park`s administration had a firm influence over political parties and the military during the late periods of the third Republic, during which the administration promoted the plan of reorganizing military command structure. Nonetheless, the plan set out by Park`s administration ended in failure. In this research, we reviewed Park administration`s reorganization of military command structure and its failure. While launching the reorganization, we have encountered such environmental changes in both politics and security, and how it affected to the outcome of reorganization. Through this, we can assert that an implausible hindrance in the reorganization being attributed to environmental changes in political and security but to the characteristics of reorganizing process of military command structure such as the resistance by the military and political factions.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we have reached the current conclusion.

      • KCI등재

        군 장병이 인지한 가족건강성이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

        강부자,최연실 한국가족치료학회 2017 가족과 가족치료 Vol.25 No.1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oldiers’ self- resilience and sense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acts as an intermediary in relation to the military-service adaptations of soldiers perceived to have healthy family relationships. Method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and Sobel test methods, data were analyzed from 229 soldiers located in Cheolwon Kun and Kwangwon Provinces. Results: The perception of having a healthy family directly affected soldiers’ adjustment to military life; however, it also indirectly affected this adjustment by virtue of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healthy family and the soldiers’ self-resilience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Conclusions: A healthy family is one of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self-resilience in the military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parents. Such information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intervention programs designed to prevent negative issues and stress among soldiers. 이 연구는 군 장병들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군부대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독립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철원군에 소재한 군부대 장병 22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AMOS), Sobel test 방식을 통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장병들이 인지한 가족건강성은 군부대 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은 자아탄력성에 정적으로 유의하며, 군 장병이 가족에 대해 건강하게 지각할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건강성은 심리적 독립감에 정적 영향관계를 보여 군 장병이 가족에 대해 건강하게 인식할수록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건강성은 군 장병의 군부대 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독립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군 입대로 개인의 자율성 상실과 집단규범에서의 스트레스에 따른 군 생활 부적응을 예방하고,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독립의 획득의 실패로 초래될 수 있는 부정적인 문제에 개입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심리상담 개입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낙랑군 동부도위 지역 邊縣과 군현지배

        김병준(Kim Byung-Joon)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8

        본고에서는 최근 중국 호남성에서 발견된 里耶秦簡의 내용을 중심으로, 변군 내의 중심지역이 아닌 邊縣에서는 군현지배가 실현되기 어려웠다는 기존의 이해를 교정해 보고자 했다. 먼저 호구부를 통해 드러난 낙랑군 변현은 중심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교통이 불편할 뿐 아니라 호구수가 매우 적은 곳이었으며, 또 호당 구수의 비율도 내군이나 낙랑군 군치지역에 비해 높다. 이러한 현상은 里耶秦簡에 나타난 秦代 洞庭郡 遷陵縣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그런데 이처럼 작은 변현이지만, 천릉현에는 縣廷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정밀한 행정 조직이 잘 갖추어졌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내군의 현과 비슷한 규모의 관리가 배치되어 있었다. 또 隣郡으로부터 初吏를 차출하여 배치하고 있었다. 이는 낙랑군 변현에 설치되었다고 알려진 諸曹, 그리고 遼東郡으로부터 충원된 初吏와 동일한 모습이었다. 이와 같이 낙랑군 변현과 동일한 조건과 규모를 가진 천릉현의 사례를 통해, 변군의 변현이라고 하더라도 縣廷 업무를 위해서 내군 혹은 중심지와 동일한 군현지배가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기존에 변현 특히 영동 7현과 관련해서 군현지배의 후퇴를 강조했던 또 다른 까닭은 한제국이 蠻夷의 침탈에 대응한 형식 및 그 군현지배의 방식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먼저 토착민의 저항이 한사군의 개편을 불러왔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이 지역에 대한 군현지배를 약화한 것이 아니라 大郡과 합병하는 방식으로 변군의 과도한 부세 문제를 조정하려고 했던 것이 이른바 대낙랑군 형성의 중요한 배경이었다. 둘째, 이렇게 대낙랑군이 형성되면서 설치된 부도위는 군사방어의 영역이 넓어져 다시 추가 설치된 군사기관일 뿐이지 治民기관이 아니었다. 동부도위가 이곳의 군사업무와 행정업무를 모두 직접 담당했고 또 그렇게 할 수밖에 없을 만큼 이곳에 대한 군현지배는 약화되었던 것으로 이해했던 것은 잘못된 이해였다. 셋째, 동부도위가 폐지된 이후에는 이곳의 지배가 포기된 것이 아니었다. 동부도위의 폐지는 이곳 토착민의 침탈때문이 아니라 전국적인 정책의 일환이었다. 도위 폐지 이후 王調의 반란 진압과정 중 영동 7현의 渠帥들이 후한에 항복해 왔고 이에 대한 보답으로 이들을 영동 7현에 縣侯로 봉해주었다. 이 縣侯의 侯國은 이민족 거수에게 명목적으로 주었던 爵號가 아니라 열후에게 사여된 식읍으로서 여전히 郡으로부터 파견된 관리들이 행정업무를 담당했던 縣級 지방행정기관이었다. 즉 이들 縣侯는 군현지배에서 벗어난 자들이 아니라 군현지배체제 안의 존재였다. 적어도 고구려가 華麗城을 공격하는 118년까지는 군현제 하의 후국으로서 남아있었던 것이다. In spite of the household registration wooden slips excavated in Pyongyang, many previous studies have been still reluctant to accept the universal control of the Han empire over the Nakrang commandery. It may result from the assumption that peripehral prefectures must be different from the center of the commandery in terms of dominance. Some factors like small numbers of households in peripheral prefectures appeared in the household registration woonden slips might have supported this assumption. However, newly excavated wooden slips of Liye give a new light on this problem, which show important informations about how to control the peripheral prefectures of Tongting commandery during the late Qin period. The conditions of peripheral prefectures between Nakrang and Tongting were very similar. The scale of the households was very little and the ratio of the persons per household was very high. These aspects might come from the fact that these areas were composed of indigenous peoples. Despite of these small and indigenous features, the whole wooden documents of Liye show us that Qin government pushed the well-organized and tightened control over this peripheral area with a great amount of expenses. Therefore the peripheral prefectures of Nakrang commandery would be as same as the Tongting commandery. At least it could be said there were great efforts to carry through the dominance even to the peripheral prefectures. This paper also reviews some misunderstandings over the transmitted written materials. Many previous studies emphasizied the resistance of the native people against the empire too much. However, the way how the empire responed to this resistance should be equally studied. Firstly, Han empire did not withdraw on the ground that there was resistance. They strived to find some ways to continue the dominance over the peripheral areas, one of which in Korean peninsular was to make some commanderies into a big one, so called “Big Nakrang.” Secondly, unlike previous understanding, the “Eastern Section Defender” did not rule the “Seven prefectures” in terms of civil administration, it was installed to make active steps to conrol these areas militarily. Thirdly, the abolition of “Eastern Section Defender” did not mean the abandonment of the “Seven prefectures.” Previous studies misunderstood the Marquis as the independent indigenous power out of Nakrang commanery, but it was bestow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the native chiefs after their betrayal to Wang-Jo and surrender to the Later Han. The “Prefecture Marquis” was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under the Nakrang commandery. These marquises remained until the Goguryeo attacked the Hwaryeo Castle, which was one of the “Seven prefectures.”

      • KCI등재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모형 제안

        정경조(Chung, Kyung Jo),유현실(Yoo, Hyun Sil)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3

        2005년 GP 총기사건 후 군에서 상담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기 시작하여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운영, 군 상담에 관한 연구 등 많은 발전이 있었다. 그러나 병사들은 군 복무 중 진로문제를 가장 많이 고민하고 있지만 병영생활전문상담관에 의해 이루어지는 군 상담은 주로 병사들의 조직 부적응 문제에 치중되어 있고 진로지도나 진로교육, 진로상담은 제대로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발달상 직업 선택의 가장 핵심적인 시기에 있는 군 병사들이 제대 후 미래의 예측할 수 없이 급변하는 직업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직업사회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군 진로상담의 여건 등 군 조직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하여 요구분석과 환경분석, 체제분석을 바탕으로 군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에 대한 잠정모형을 구안하고, 구안된 잠정모형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군 병사 진로상담과 관련된 전문가 패널 23명을 선정하고, 2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최종 모형’과 관련하여 군 진로상담의 필요성, 군 진로상담의 정의, 군 진로상담의 목적, 군 진로상담의 기능, 군 진로상담의 과제, 군 진로 상담의 방법’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After the incidents of GP(military Guard Post) genocide and human rights violations in ROKA(Republic of Korea Army) basic training camp in 2005, the importance of military counseling has been on the rise. ROK forces have founded diverse systems including military counseling to prevent another possible human rights violations. However, ROK forces have not taken care of career counseling services for ROK soldiers because ROK forces have focused on the maladjustment issues of soldi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we can develop is career counseling programs for ROK soldiers, and finally suggest a career counseling model for the Korean armed forces, because it is expected to help the soldiers to adjust themselves to unpredictable career fields. For that, this study has referred to a draft model from the previous studies which included analysis of careering counseling demand, career counseling environment, and possible career counseling system. After that, we did Delphi survey with 23 expert panels to have a content validity to find out the final model for military career counseling system for ROK soldiers. As a part of the final counseling model,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purpose, challenges, functions, and procedures of military career counseling of ROK soldiers.

      • KCI등재

        군 보건의료 관련법령 개선방안 연구

        고인석 유럽헌법학회 2016 유럽헌법연구 Vol.20 No.-

        군 보건의료 관련법령은 군인 및 군무원 등 특정집단의 의료보장을 담당하는 법률에 해당한다. 군 보건의료시스템은 급속히 발전하는 민간 보건의료시스템을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여 항상 낙후된 의료영역의 문제로 남아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군인 및 군무원의 군 보건의료에 대한 만족도는 상당히 낮은 상태로 이들 조차도 민간의료의 영역에서 보건의료서비스를 주로 이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우리사회의 안보를 책임지고 국민의 안전한 경제활동과 생활을 보장하는 최전선에 있는 군인 및 군무원에 대한 최선의 보건의료혜택은 향후 모병제와 저출산 문제로 야기되는 국방력의 저하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도 군 보건의료서비스의 개선은 긴급한 해결문제이다. 그동안 군 보건의료서비스의 개선을 위하여 군 보건의료 관련법령은 꾸준히 정비가 있어 왔지만 여전히 군 보건의료서비스는 민간에 비하여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현재 민간영역에 대한 보건의료서비스의 영역에 관한 법령은 약200여개에 이르며, 군 보건의료 관련 법령이 약33여건 정도로 상당히 다양한 영역에서 보건의료정책이 시행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군 보건의료서비스는 국방예산의 문제, 군 보건의료 인력의 확충과 전문성의 문제, 군병원의 효율적 운영 등에서 민간의료영역과 많은 차이를 보임으로서 군인 및 군무원의 군 보건의료에 대한 만족도는 그다지 높지 않아서 꾸준히 민간의 일반 보건의료서비스에 준하는 군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효성 있는 법령의 개선이 필요하다. 군 보건의료 관련법령의 개선을 통하여 군 보건의료 혜택을 민간의료 혜택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향상하여 군 보건의료 수혜자들을 위한 실효적인 헌법적 보건권과 의료영역의 평등권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 군 보건의료 관련 법령개선을 통하여 군 보건의료의 내실화, 군 보건의료 인력의 전문화, 군병원의 효율적 운영, 군 보건의료 정책의 지속적 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The improvement of law and ordinance about the military health-care accompanied by the development of the latest medical technology, conscription system, low birth rate problem is increasing the need for rational improvement with the expansion of the military welfare-area. In accordance with the political change in domestic and foreign affairs,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the military health-care policy will be greatly enhanced the morale of the military by formed the foundation of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the military health-care policy. Meantime, the law and ordinance about the military health-care represents the number of too much as the law and ordinance about 33. The law and ordinance about the military health-care is required improvement of effective laws and ordinances to perform the duties of the military. Based on this reason, the military health-care system need to improve the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ivate health-care system by improvement and systematization of the law and ordinance about the military health-care. These developments of military health care legislation will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health and equal right for soldiers.

      • KCI등재

        육군 간부의 군 조직문화 유형이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

        구혜경,이하영,진영은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군사회복지학 Vol.9 No.2

        본 연구는 군 조직문화와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를 진단하여 군이 지향하는 가치관과 양성평등의식을 고양시키기 위한 실현 방향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군 조직문화와 양성평등 의식의 인구사회학적차이와 변인 간 상관관계 및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육군에 근무하는 간부(부사관, 군무원, 장교) 중총 1,023부를 배부하였으며 모두 회수 후 이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군 조직문화의 유형별 우선순위는 합리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 집단문화 순으로 나왔으며 연령은 군의 조직문화 전체와 집단문화에서는 26∼29세가 가장 높고, 위계문화에서는 56세 이상이 가장 높게나타났다. 합리문화에서는 30∼39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양성평등의식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 신분이 양성평등의식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있고, 여성이 남성보다 양성평등의식에 대한모든 영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성평등의식 전체에서는 연령이 ‘20∼25세’인 사람들이 ‘50세이상’인 사람들보다 그리고 ‘30∼39세’와 ‘40∼49세’인 사람들이 ‘50∼55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계층은 ‘장교’와 ‘부사관’이 ‘군무원’보다 양성평등의식 전체, 가정생활, 교육생활, 직업생활, 사회문화생활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군 조직문화와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상관관계는 군 조직문화 유형과 양성평등의식이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군 조직문화가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합리문화(t=11.733, p<0.001)와 발전문화(t=-3.593, p<0.001)만이 양성평등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군 조직구성원 간의갈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군 조직문화와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를 진단하여 이를 조직 간의 상호 이해, 조직문화 변화관리, 양성평등 교육이 필요하다는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military organizational culture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provide the way to raise military oriente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values. Thus, study analyzed correlation and impact of sociodrama graphic difference between military organizational culture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study includes the total 1,023 of Army executives (noncommissioned officers, military civilians and officers), and their survey results a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ypes of military organization culture are prioritizes by order of rational culture, developmental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 highest rage of age overall and in organizational culture is from 26 to 29, and over 56 in hierarchical culture. Seco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h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whole and also in gender, age, status. Females were found to be higher in all areas of gender equality than males. Moreover, result indicates people aged 20 to 25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eople aged over 50, and people aged 30 to 39 and 40 to 49 are higher than 50 to 55 in the entir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have shown significantly higher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erms of the overall gender equality, household life, education life, career life, careers, social life, and social welfare life than military civilians.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military organizational culture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hows positive statistical correlation, and the result of military organizational culture’s impact toward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statistically effects only in rational culture(t=11.733, p<0.001) and developmental culture(t=-3.593, p<0.001). These research results provide needs of policy implication in gender equality education, mutual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change in organizational culture by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military organizational culture and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at can coordinate conflict in organization members.

      • KCI등재

        호서동학군의 결성과 공주 출정

        이상면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8

        1894(甲午)년 가을 척왜항전에서 남북접 동학군이 함께 싸웠는데도 역사에서는 전봉준의 호남우도군 위주로 기술했고, 손병희가 이끈 호서동학군은 소홀히 취급했다. 북접군에는 전봉준 군과 공주 원정을 한 손병희가 이끈 남한강 동학군이 있었고, 청주 진남영에 대적하며 일본군과 싸운 금강상류 동학군이 있었다. 9월 18일 총기포령 후 동학교단의 손병희는 충의포를 중심으로 이종훈 이용구 등과 남한강 유역에서 동학군을 모집했다. 남한강 동학군은 10월 5일 음성 무극장터로 집결해 6일 보은으로 남하하다가 괴산에서 일본군을 조우해싸우던 중, 금강상류 동학군이 달려와 일본군의 배후를 쳐 패주시켰다. 두 동학군은 9-10일 보은으로 집결해 호서동학군을 결성했다. 최시형은 14일 청산에서 출정식을 열어 손병희에게 대통령기를 내리고 전봉준과 합세하여 공주성을 치라고 명령했다. 전령을 전봉준에 보내 손병희가호서동학군 1대(甲隊)를 이끌고 가 합세할 의사를 전달했다. 전봉준은 그 전갈을 받고 16일 논산에서 충청감사 박제순에게 양호창의영수 명의로 격서를 보냈다. 최시형은 금강상류 동학군을 이끈 손천민을 교단에 남게 하고 그의 송산포 동학군을 양성한 이종만 별동대장을 선도로 오일상의 문의포, 강건회의회덕포 동학군 등을 지명장(芝明場)으로 보내 2대(乙隊)를 강화해 청주 진남영에 대적하게 했다. 19일 전봉준 군이 논산에서 북상하자 손병희는 청산에서 1대(甲隊)를 이끌고 옥천으로 갔다. 전봉준은 21일 세성산 전투에서 동학군이 패하고 천안에당도한 관군 일본군이 공주로 내려올 것에 대비해 옥천에 와있는 손병희에게공주성 ‘북문외(北門外)’로 가 함께 공주성을 치자고 전갈을 보냈다. 손병희 군은 23일 새벽 옥천을 떠나 저녁에 한다리(大橋) 인근 ‘한솔벌’에 도착했으나, 24일 아침 홍운섭이 이끄는 경리청 군 350여 명의 기습을 받고 패퇴했다. 전봉준 군은 23일 이인에서 관군 일본군과 싸우고, 24일 아침 효포로진격해 성하영의 경리청군 2개 소대와 교전하면서 손병희 군이 오기를 헛되이 기다렸다. 저물녘 이틀 전에 천안을 떠난 이규태의 통위영 군과 모리오(森 尾)의 서로군 본대가 공주로 입성했다. 25일 오전 모리오 대위는 서로군을 능치 아래 고지에 두고 경리청군에 서로군 분대를 붙여 냉천 뒷산으로 진격하는 전봉준 군을 격퇴했다. 모리오는오후 2시 전봉준 군이 별것 아니라는 듯 서로군을 이끌고 금영으로 철수했다. 이규태의 통위영 군이 공산성 옆 납교 뒷산에 포진하고 각 진에 신호를 보내동시에 효포천을 건너 건너편에 있는 손병희 군을 공격했다. 동학군은 수성군에 비해 10여배나 많았지만 무장이 부실해 수성군에 밀렸다. 저녁에 백락완의 경리청 소대가 시야산의 전봉준 군 성채를 공격해 패퇴시켰다. 그 무렵손병희 군이 통위영 군을 공격해 공산성을 위협했으나, 시야산에서 돌아온 백락완 군이 동학군의 배후를 쳐 격퇴했다. 전봉준 군이 26일 경천으로 물러났다. 손병희군은 그날 2대(乙隊)가 지명진(芝明津)에서 중로군과 싸워 공주행을 막아낸 것을 확인하고 전봉준 군과 통해27일 이인으로 내려갔다. 28일은 교조 최제우의 탄신일, 전국 각 포에서 탄신제례가 열렸다. 홍주 청주 등지의 동학군도 제례를 지내고 관아 공격에 나섰다. 남북접 군도 28일 각기 교조탄신제례를 지내고 이튿날 공주성 공격에 나섰다. 전봉준 군은 공주성 동남 방면에 ... During the Donghak Anti-Japanese War in the fall of 1894(甲午) both the North Corps(北接軍) and the South Corps(南接軍)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nvaders and the subdued Korean government forces. However, the war history has been written focusing on the role of the South Corps led by General Jeon Bong-Jun(全琫準), whereas the tracks and achievements of General Son Byeong-Hi(孫秉熙), the Commander of the 1st Division(1隊,甲隊) of the North Corps have rarely been discussed. The role and contributions of the 2nd Division(2隊,乙隊) who conducted a series cooperative battles for them have mostly been ignored. Son’s 1st Division, mostly recruited from the South Han River(南漢江) basin, defeated a half of the Japanese platoon on the 6th of the 10th month at Goesan(槐山), while heading for Boeun(報恩), where Donghak Center(大都所) was located. The victory was due to the rear attack by the 2nd Division from the upper Geum river(錦江) basin led by the Detached Forces(別動隊) armed with Remington rifles. The two Divisions assembled at Boeunin Boeun(報恩) on the 9th-11th to organize the North Corps, and moved to Cheongsan(靑山) on the 12th, where the Provisional Donghak Center(臨時大都所) was located. At the ceremony of march on the 14th, Donghak Leader Choe Si-Hyeong(崔時亨) appointed Son as Commander-in-Chief of the North Corps, and dispatched a note to General Jeon that Son would lead the 1st Division to Gongju(公州) to join Jeon’s entry operation. Jeon in turn sent an ultimatum on the 16th to the Governor in Gongju as Commander-in-Chief of the two Corps. The 2nd Division was also dispatched to Jimyeongjang(芝明場) to counter the staunch military base Jinnamyeong(鎭南營) in Cheongju(淸州). As Jeon’s Division at Nonsan(論山) headed north for Noseong(魯城) on the 19th to attack on Gongju, Son at Cheongsan also led his forces westward to Okcheon(沃川). Jeon sent a note directing Son to join the entry operation to Gongju on the 24th. On the 23rd when Jeon’s Division attacked on Yiyin(利仁) in the southern suburb of Gongju without success, Son’s troops also marched to a field near Handari(大橋). The next morning a half of the government battalion in Gongju crossed the Geum, and turned eastward to Handari, and expelled the 1st Division. led by Son Jeon’s Division fought all day against the defending forces at the east mountain pass(陵峙) of Gongju waiting for Son’s 1st Division, but they could not come due to the defeat at Handari. In the evening the main wing of the Japanese Westway Company(西路軍) led by Captain Morio(森尾雅一), and the government forces led by the Commander-in-Chief Yi Gyu-Tae(李圭泰), crossed the Geum and entered into Gongju. In the early morning of the 25th, the Japanese Captain Morio stationed at the east mountain pass. Jeon’s Division launched a series of attacks, but the defending army fought back successfully. Son’s Division also confronted with Yi’s forces near the North Gate all day, and launched an abortive surprise attack in the evening. There was virtually no strategic alignment between the two Divisions. On the 26th Jeon’s Division retreated to Gyeongcheon(敬川). Son’s Division retreated to Yiyin(利仁) the next day. On the 28th Jeon’s and Son’s Divisions conducted ceremonies respectively marking the birthday of Choe Je-Wu(崔濟愚) the founder of Donghak(東學). The next day they launched attacks on Gongju, and almost entered into it in the late afternoon. but they had to retreat in the evening due to the storm. The two generals met at Nonsan(論山) for the first time in early 11th month, and set up a Unified Command On the 8th-12th of the 11th Month, Jeon’s Division along with the 2nd Division of the North Corps launched series of entry operations to the south mountain pass(牛禁峙) etc. without success. Son’s 1st Division also did the same through the pass of the west mountain (鳳 ...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군사회복지’ 현황 분석과 자격제도의 법제화 모색

        김도희,장재원,장용언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를 통해 지금까지의 군사회복지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군사회복지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것이다. 연구방법은 자료에서 중요한 단어를 찾는 텍스트마이닝과 분석단어와 핵심단어의 동시 연결 단어를 찾는 의미연결망분석을 사용하고 CONCOR분석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분석해 군사회복지현황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핵심단어 중 빈도가 높은 순은 사회복지사, 사회복지, 군, 취업, 자격증, 연구, 민간 등이고 연결중심성이 높은 순은 취업, 사회복지사 순 등이다. 또한 네트워크분석결과는 네트워크의 중심에는 군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 군, 취업, 분야 등이 위치하고 있다. CONCOR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네트워크 그룹은 군사회복지가 사회복지의 전문 한 분야로써 다른 영역의 자격증과 연관되어 형성되었고, 두 번째 네트워크 그룹은 민간기구 및 학회 중심으로써의 제도 및 방안모색과 관련된 단어들로 연결되어있으며, 마지막으로는 군에서의 군사회복지사 역할에 대한 새로운 대안 방안과 관련된 단어들이 네트워크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군사회복지사 자격제도와 향후 군사회복지의 발전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und and suggested present of military social work through big data analysis. The method of study is Textminig that found significant words among various text data. And then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CONCOR method perform for signifiant relationship and grouping between words in big data. As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rist, frequency of mentioned words are social worker, social work, military, job, study and private so on. Analysis of network of whole data related of military social work occupy of center of network. The result of CONCOR analysis divided three. Frist group is about licences of other social work flied and military social worker as specilized licence. Second group is for settling down military social work support meeting of study military social work and private organization. This group indicates to go ahead with a plan of other practice of military social work. This study suggests to pursue of train system of licence and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military social work filed.

      • KCI등재후보

        군 입영경로 분석을 통한 군의 사회화 기능 분석

        이정표 한국국방연구원 2005 국방정책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국민개병제를 채택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청년 남성층의 군 입영경로를 분석함으로써 군이 수행하는 사회화 기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군 입영경로 분석을 위해 육군 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입영 경로를 입영준비, 선발 및 지원, 신병교육 및 특기교육, 개인의 적성 및 소질과 군 직무간 연계 여부, 군 복무에 대한 만족 및 노력 여부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회에서 군은 국방이라는 본연의 기능 이외에 인적자본 및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주요 기능을 수행하며, 그 결과 청년층의 학교-군-직업세계로의 원활한 이행 지원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둘째, 현역병들은 의무복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부족하고, 입영전 군 관련 정보가 부족하여 준비가 미비하며, 징병검사 및 특기분류, 신병교육 및 특기교육 등 전반에 대해 낮은 만족감을 나타냈다. 또한 입영에 따른 유휴시간이 많고, 개인의 적성 및 소질과 군 직무간 연계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 복무 중 만족도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고, 군 복무 중 자기계발에 대한 의지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별 입영경로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으나 학력이 높을수록 입영 정보 및 자기개발에 대한 요구가 큰 경향을 보인다. 군 복무 만족도는 학력이 높을수록, 군 복무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하는 병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 및 사회에서 군으로의 원활한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군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제고와 병역관련 정보를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개인의 적성 발굴을 위한 선발 검사 절차 및 방법 강화, 신병교육 및 특기교육에 대한 개선, 자기개발을 위한 교육기회를 적극 제공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