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군체성 사건의 새로운 변화와 특징: 분절적 저항행위에서 사회운동의 맹아적 형태로

        이정남 세종연구소 2015 국가전략 Vol.21 No.2

        Although the recent developments of popular protests in China have been seen as part of a special social phenomenon or demands for structural reform, they have not yet taken on the characteristics of a mature, national-level social movement. However, with regards to the opinions being discussed and the influence and scale of public mobilization, the situation is developing into the beginning of such a social movement. The assertions being put forth by the public are not just limited to economic benefits, as demands for political and social rights are also spreading. Moreover, internet discussions have allowed for issues to become nationalized, extending the influence and scope of such movements to the national level. The majority of scholars argue that these public protests are isolated incidents and merely for the sake of economic interests. On the contrary, I argue that these developments show that such protests are tak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a more organized and mature social movement. This drastic change in Chinese civil society is the result of an increasing public consciousness of civil rights and spreading of information through the growing use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With these points in mind, when political opinions are tied to demands for political change, public mobilization can spread almost instantly at the national level in the form of popular protest. Therefore every year hundreds of thousands of cases of popular protests have erupted. As a result, the central government has taken strong measures in order to keep the situations under control. Despite such measures, the populace’s insistence on political participation has continued to grow, exposing the limits of the government’s actions. Thus, popular protests have the potential to drive drastic political change in China. 최근 전개되는 중국의 군체성 사건은 특정사회 현상이나 구조에 대한 변혁요구를 목적으로 하여 전국적인 수준의 조직적인 연대에 기초한 성숙한 형태의 사회운동의 성격을 띠고 있지는 않지만, 제기되는 주장이나 대중동원과 영향력의 범위라는 측면에서 초보적인 사회운동으로 발전하고 있다. 제기되는 주장이 단순한 경제적인 이익요구에 한정되지 않고 정치, 사사회적 권리에 대한 요구로 확산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시위의 조직화를 통해서 시위에서 제기되는 이슈를 전국화시켜 시위의 파급력의 범위를 전국적인 수준으로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 중국의 군체성 사건은 개별 사건 단위 혹은 지역 단위에서 고립 분산적으로 발생하고, 구체적인 경제적인 이익 추구를 목표로 한 대중저항행위에 불과하다는 다수 학자들의 주장과는 달리, 사회운동의 형태를 띠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의 시민사회의 성장에 따른 대중의 시민적인 권리의식의 성장과 정보화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발전으로 인해 대중시위의 형태에 급격한 전환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루어졌다. 이런 점에 비추어 볼 때, 중국의 군체성 사건은 특정한 정치, 사회적인 계기가 주어진다면, 언제든지 정치적인 주장과 결부되어 정치적인 변혁요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삽시간에 전국적인 수준의 대중동원과 참여를 이끌어내는 정치적인 사건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매해 분출되어 나오는 수십만 건의 군체성 사건은 현재 중앙정부의 강력한 통제와 정책적 대응으로 통제 가능한 범위 내에 머물고 있지만, 대중들의 정치적인 참여요구가 더 확대되고 이에 대한 중앙정부의 제도적이고 정책적인 대응이 한계를 드러낸다면, 현재 매년 분출되는 수십만 건의 군체성 사건은 중국의 급격한 정치적 변화를 추동할 수 있는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회갈등론적 시각에서 본 중국의 조화사회건설: 군체성 사건(群體性事件)을 중심으로

        박동훈 한국동북아학회 2009 한국동북아논총 Vol.14 No.4

        From the social conflict theory perspective, this article analyzes the difficulties that China encountered in transition period of China's construction of a harmonious society. In sum, the social structure changes and the reform of the system are the main reasons for conflict of interest. So this paper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of all, we should find a balanced point between fairness and efficiency, the requirements of social justice should adapt to the social development in China's current stage secondly, we should further deepen political restructuring, establish and improve the public opinion expression mechanism and communication mechanism; Finally, change the ways of thinking, deepen the reform of conflict management mechanism. 이 연구는 사회갈등론적 시각에서 중국의 '군체성 사건'(群體性事件)을 중심으로 체제전환기의 중국이 어떻게 사회갈등문제를 해소하고 조화사회 건설을 순리롭게 진행해 나갈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문제에 대해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이원화 구조 속에서 계층간 상향유동성 상대적 약화, 절대권력에 대한 견제 및 감독기능의 저하, 사회적 소통구조의 협소화, 사회갈등 관리능력의 낙후성 등 문제들이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공평성과 효율성 균형점 문제, 정치개혁 심화 및 갈등관리에 관한 제도적 개혁의 필요성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인터넷시대의 출현과 중국 군체성 사건의 발전 -‘신공민운동’을 사례로-

        이정남 ( Lee,Jung Nam ) 한중사회과학학회 2016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4 No.2

        This paper investigates the new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popular protests in China through an analysis of the ``new citizen movement``: the dual emergence of the Internet as a medium and the rise of popular protests led by Chinese middle-class intellectuals. Despite the Communist Party`s powerful authoritarian control, rapid economic growth has been accompanied by a growth in awareness of rights for Chinese citizens. Also, at a quick pace, the Internet and online social networking services have become major ways of spreading public opinion. As such, a cyber public sphere and civil society have emerged which has created new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social movements. In particular, liberal public intellectuals have used the cyber public sphere to discuss and argue about social issues and thus have led civil society and civil movements in this new form. In these conditions, popular protests in China are no more cut-off regionally and hierarchically. Transcending concrete economic interests, social demands such as the public disclosure of assets of government officials, equal rights to education, the guarantee of human rights, and so forth have expanded to become a nationwide social rights movement. The ``new citizenship movement`` led by liberal lawyers, journalists, and intellectuals is the new form of popular protest in China, emerged as a result of the Internet era. Even though it is hard for such movements to escape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government`s control, in the long-term the "new citizenship movement" is an important development that can lead to the growth of civil society and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