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선 공항 여객터미널의 적정 규모 분석

        박정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국제선 항공수요 변화 요인을 고찰하고 각 공항별 항공수요에 따른 여객터미널의 적정한 규모를 분석한다. 이에 따른 각 공항의 여객터미널 면적의 과부족을 객관적인 기준에 의해 정량적으로 산정하여 각 공항별 적정규모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국제선 항공수요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국제선 공항 여객터미널의 활용계획 수립시 객관적인 기초자료가 되도록 한다.

      • KCI등재

        COVID-19가 항공권 가격 결정에 미치는 영향 - 대한항공 국제선 여객 운임을 중심으로 -

        김균 ( Kyun Kim ) 한국항공경영학회 2021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9 No.1

        COVID-19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항공 산업은 그 중에서도 특히 큰 피해를 받은 산업 중 하나로 꼽힌다. COVID-19의 확산을 막기 위한 국경 봉쇄나 이동 제한으로 인해 항공기의 운용이 제약을 받게 되었으며, 여행 중 감염 우려로 항공 여객 수요가 급감하기도 했다. 또한, 이러한 변화 때문에 항공사들의 항공기 운항 횟수 역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COVID-19가 항공 산업에 미친 영향은 기존의 다른 위기들과 비교할 때 그 규모가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더 오랜 시간 지속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항공 여객의 수요와 공급 모두에 감소 요인이 있는 상황에서 COVID-19의 확산이 항공권 가격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또한, COVID-19의 확산 속에서 여객 수요와 화물 수요의 변화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도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대한항공의 국제선 운항 관련 자료와 대한민국 내에 소재한 공항을 출발지 혹은 도착지로 하는 국제선 노선 관련 자료가 사용되었다. 2020년 3월부터 12월까지 102개 노선에서 수집한 18,669개 표본을 사용한 패널 회귀 분석에서 COVID-19의 확산과 수요 변동이 다음 달의 국제선 항공권 가격 변화에 주는 영향에 대한 세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먼저, COVID-19의 확산은 국제선 항공권 가격 상승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COVID-19로 수요와 공급이 모두 감소하는 상황에서, 항공기를 이용하는 여객의 수요가 필수 목적의 이용자 중심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COVID-19의 확산이 유발한 가격 상승 효과에 대해 여객 및 화물 수요의 변동이 갖는 조절효과도 분석했다. 여객 수요 변동의 경우, COVID-19 이후 여객 수요의 감소폭이 작을수록(가설과 실증 모형의 표현상 수요의 증가폭이 클수록) COVID-19로 인한 항공권 가격 상승을 강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또한, 화물 수요(수화물 및 우편 화물 제외)의 증가는 COVID-19의 확산이 유발한 가격 상승효과를 약화시키는 조절효과가 있었다. 이는 항공사들이 COVID-19가 주는 어려움(여객 및 매출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화물 운송을 증가시킨 전략적 선택이 항공 여객 시장의 가격 결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측면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점을 갖는다. 먼저, 기존의 재난 및 위기 관련 연구보다 훨씬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수준의 위기 속에서 항공 산업이 받은 영향을 항공권 가격 변화를 통해 실증하였다. 또한, COVID-19가 항공 산업에 미친 영향에 대한 현황과 전망을 제시한 기존 연구에 더하여, 수요와 공급의 변화 및 항공사의 전략적 변화와 소비자가 받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제시된 COVID-19에 대한 항공 업계의 대응 방안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 그 영향을 실증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향후 연구는 다른 나라의 항공 시장과 국내선의 수요ㆍ공급 및 가격 변동, 대한항공 외의 다른 항공사를 포함하여 본 연구 결과의 적용 범위와 일반화 여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대한항공을 비롯한 항공사들이 집중하고 있는 화물 운송의 수요가 지속 가능한 지 여부를 따져보고 그에 맞춰 항공사의 COVID-19에 대한 중ㆍ장기적인 대응 방안을 다룰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 The COVID-19 has affected various areas all over the world. The airlines industry is one of the most damaged industries during the pandemic. The Border shutdown and lockdown to prevent the COVID-19 have restricted air travel. Also, air travel demand has dramatically decreased because travelers have concerns about the COVID-19. The airlines’ operations also collapsed. The COVID-19 pandemic has a greater and deeper impact on the airlines industry than prior crises.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the impact of the COVID-19 on airfare under such a decline in both demand and supply. This research also examines the impact of changes in passenger demand and cargo demand. I used the international flights data of Korean Air and the routes data that depart from or arrive at the airports in the Republic of Korea. Using 18,669 samples from 102 routes during March 2020 and December 2020, all three hypotheses were supported. The empirical analysis supports that the spread of COVID-19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increase in international airfare. This is because passengers who go abroad under the current pandemic are more likely essential and/or business purpose travelers, which means they are less sensitive to the price. In addition to this, this research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changes in the passenger demand and cargo demand on the main effect that the spread of COVID-19 increases the international airfare. Regarding the passenger demand, it is also discovered that the smaller degree of the decrease in the passenger demand ― in the hypothesis and the empirical model, it is expressed as the increase in the passenger demand strengthens the main effect ― strengthens the positive impact of the spread COVID-19 on the airfare. On the contrary, the alteration in cargo demand can weaken the main relationship.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airlines’ strategic renewal (focusing more on the cargo market) to minimize the damage due to COVID-19 can affect the price (airfare) in the passenger market.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research in the airlines industry in three ways. First, this research empirically shows the impact of the crisis, COVID-19, which has a much broader and longer-term impact on the airlines industry than prior crises. Second, in addition to other research that introduces the present conditions of COVID-19 and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s,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impact of changes in supply, demand, and airlines’ strategy on consumers. Third, this research expands and empirically shows the current debates about COVID-19 and airlines’ responses towards the pandemic. Future research may include data from other countries, domestic routes, and airlines other than Korean Air to ensure the generaliza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lso,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further examine whether the current demand trends in the cargo market is sustainable in the future or not and how airlines renew their mid- or long-term strategies to deal with the COVID-19 pandemic depending on the sustainability of the cargo market demand.

      • KCI우수등재

        ARIMA-Intervention 모형을 통한 국제선 항공수요예측 연구

        김제철,손흥구,박진서 대한교통학회 2019 대한교통학회지 Vol.37 No.1

        항공운송시장에 빅데이터(Big Data) 시대가 도래하고 있으며, 많은 데이터와 함께 다양한 수요예측 방법론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수요예측 연구들이 장기적 관점에 연구였던 것에 반하여, 최근 중 ‧ 단기적 수요예측 연구가 크게 증가되고 있다. 항공운송시장에서 항공여객 수요에 대한 예측은 시장을 계획하고 운영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분야로, 특히 공항운영 및 항공사 운영에 있어서 중 ‧ 단기적 수요예측은 미래 운영계획 수립에 있어 우선적으로 제시되어야 하는 요소로 정확한 수요예측 방법론이 제시되어야 한다. 현재 국제선 여객수요는 매년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 국가들의 여객수요는 정치 ‧ 사회적 관계 등과 같은 외부적 영향으로 큰 변동이 발생하였다. 하나의 사례로서 한-중 여객수요는 한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 ‧ 사드) 배치 계획에 따른 조치로, 중국 당국의 2016년 말 한국행 단체여행에 대한 정원의 약 20%가량 축소 및 2017년 3월 중국여유국의 한국 관광상품 판매금지 조치 등으로 급격한 여객수요 감소가 발생하였다. 기존 국제선 여객수요의 중 ‧ 단기 예측을 위한 주로 ARIMA, 지수평활법과 같은 수요예측 모형은 외부적 영향을 고려할 수 없어, 수요 자료가 외부적 영향을 받을 경우 정확도가 낮은 예측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항의 중 ‧ 단기적 국제선 수요예측 시 개입효과를 사용한 개선된 방법을 고려하였다. 먼저, 단변량 시계열 모형인 ARIMA 모형에서 개입효과를 적용한 ARIMA-Intervention 모형에 대한 소개와 bottom-up (상향식) 방식의 국제선 항공여객 수요에 대한 실증 예측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해당 모형 선택에 있어 체계화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실증 분석으로서, 2013년 1월부터 2017년 10월까지의 월별자료를 사용하여, 2018년 수치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국제선 여객수요가 높은 중국, 일본, 미국, 홍콩, 태국, 필리핀, 베트남, 대만 노선의 각 여객수요예측 및 그 외 국가의 여객수요 예측을 결합하여 MAPE (mean abolute percentage error)기반 예측정확도를 검증하였다. 2018년 상반기 수요예측 결과, 실제 국제선 여객수요 대비 약 1.78%의 오차가 발생하며, 매우 안정적인 결과가 예측되었다. 마지막으로, 해당 방법론을 사용하여 2019년 전망치(BAU)는 약 9.34% 증가할 것으로 제시한다. The era of big data in the aviation market is coming, and various methods for forecasting air traffic passenger demand along with many data are being suggested. In addition, short and mid-term demand forecasting studie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 whereas existing air traffic passenger demand forecasting studies have been studied in the long-term view. Currently, demand for international air traffic passengers is skyrocketing every year. But air traffic passenger demand in certain countries has fluctuated greatly due to external influences such as national relations. Existing short and mid-term international air traffic passengers demand forecast is mainly used by ARIMA model and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In the condition that demand data is influenced externally, these models produce inaccurate forecasting result as they can’t consider about the external influences. In this study, an improved model is proposed for short and mid-term demand forecast of international flights at domestic airports. This paper introduces ARIMA-Intervention that is improved from univariate time series ARIMA model with the consideration of intervention effect and presents the results of an empirical predictive analysis in respect to the international air traffic passenger demand of the Bottom-up method. In addition, we proposed the process for model selection. Monthly data were used from January 2013 to October 2017 for analysis and this paper presents international air traffic demand forecasting result of domestic airport by combining the forecasting results of air traffic passenger demand on China, Japan, the United States, Hong Kong, Thailand, the Philippines, Vietnam and Taiwan with high demand of international flights and in the other counties. At the conclusion, the prediction results of the model using ARIMA-Intervention are presented with MAPE. Based on the proposed model, it was found that the demand prediction for first half of 2018 resulted an error about 1.78% contrasted with the actual international passenger demand, thus, it is able to confirm that it is highly reliable. Finally, we project the 2019 forecast (Business As Usual, BAU) to increase by about 9.34%.

      • KCI등재

        제주국제공항 여객터미널 건축계획을 위한 기초연구 - 항공수요에 따른 공항시설 포화시점 분석을 중심으로 -

        박정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5

        제주공항은 4차 공항계획에서 제시한 2030년을 목표연도로 가정할 경우 여객이용시설의 소요면적이 현재보다 2배 가까운 확충과 활주로의 슬롯 확충이 필요하다. 하지만 슬롯 증대 방안인 활주로 추가건설은 제주공항 부지여건상 환경, 민원, 거주자 이전 및 수조원의 예산 등 복합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한국공항공사 제주지역본부는 항공수요 증가로 인한 발생하는 활주로 용량 부족과 여객터미널 소요공간 부족 해소를 위한 단기적인 대처방안을 발표?시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활주로와 여객터미널 시설의 소극적인 부분 확충이 완료되어도 완공 후 곧 바로 2015년에 다시 포화용량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보다 중장기적인 제주국제공항 인프라 확충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제주국제공항의 중장기계획은 증가하는 항공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현행과 같은 단기적인 대처방안이 아닌 기존 공항시설의 대폭적인 인프라 확충 또는 신공항 계획과 같은 근본적이고 전략적인 계획수립과 시행이 절실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제주국제공항의 포화시점과 터미널 추가 규모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공항인프라 확충계획 시 건축계획분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f the target year is 2030 as proposed in the Fourth Airport Development Master Plan, the area of the passenger terminal should be expanded almost twice and the runway slots should be expanded. However, extra runways to increase slots have complex problems such as environment, relocation of residents, and a huge budget of a few trillion won due to the condition of the Jeju Airport lot. Currently, the Jeju branch of Korea Airports Corporation announced and carried out short-term action plans to solve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runways and passenger terminal areas due to the increase in aviation demand. Even when expansion of runways and passenger facilities is partially completed, the airport is expected to reach saturation again in 2015. Thus, it is necessary to have medium and long-term plans for expansion of the Jeju International Airport infrastructure. With regard to medium and long-term plans of Jeju International Airport, it is urgent to make and carry out not short-term action plans but fundamental and strategic plans such as expanding the infrastructure of the existing airport facilities and the new airport plan in order to cope with increasing aviation demand flexibly.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in the architectural plan area for the airport infrastructure expansion plan in the future based on the findings on the saturation time and additional terminal area of Jeju International Airport.

      • 제주국제공항의 항공여객동향 분석

        성연영 한국항공경영학회 2015 한국항공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5 No.-

        우리나라 항공시장은 국민들의 여행 수요증가와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국가의 방한수요 확대, 항공노선 개발과 공급력 확대 등으로 매년 꾸준히 성장하였다. 특히 제주지역은 저비용항공사의 급성장과 중국인 방문객 증가 등의 요인으로 국내외 관광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공항시설 확충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의 경제지표 및 입도객 현황, 제주국제공항의 항공 여객운송동향 등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제주국제공항의 발전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제주국제공항의 3/4분기 누적 항공여객을 살펴본 결과 약 1,022만 명을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9.1%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월별 항공여객 실적을 살펴보면 국제선의 경우 6월부터 9월까지 전년동월대비(-)성장을 보이며 아직까지도 메르스 여파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회복 중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내외 항공시장에서 세계 경제 저성장 및 정치적 불안과 같은 잠재적 리스크가 여전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제주국제공항의 항공여객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2018년 경에는 제주국제공항의 수요가 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속적인 공항시설 확충과 수요전망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 KCI등재

        김해국제공항 여객터미널 건축계획을 위한 기초연구 - 항공수요에 따른 공항시설 포화시점 분석을 중심으로 -

        박정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4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the area of Architectural plan in expanding the infrastructure of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saturation tim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unway saturation time is analyzed as the average of 2023 based on the annual operations of flights and as the average of 2021 based on the peak hour operations of flights. In addition, the saturation time of the domestic air demand is analyzed that the marginal capacity of air demand will not be reached within 20 years in which the domestic air demand will not increase sharply. However, it is analyzed that the saturation time of the international air demand has reached its marginal capacity in 2014 based on the annual number of the passengers and will reach it in 2016 based on the number of passengers in the peak hour. It is important to cope with an imbalance between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international air demand and the domestic air demand at a relative standstill in the medium-and long-term plan of Gimhae airport. Moreover, it is advisable that more proactive consultation system with the military airport for the expansion of the slots of the runways should be established to be flexible in dealing with the air demand.

      • 한중 국제여객선 항로의 운항 실태에 관한 연구 : 목포-상해 국제여객선 취항에 대비하여 To cope with opening Mokpo-Shanhai route

        윤명오 木浦海洋大學校 2005 論文集 Vol.13 No.-

        1990년 한-중 여객선항로가 개설된 이래 여객 및 화물의 양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왔다. 운항 초기에는 주요 승객이 소상인들로 구성되었으나 근래에 들어 일반승객으로 대체되고 있다. 또한 양국간의 컨테이너 화물도 정기 컨테이너선 항로가 개설될 만큼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은 대 중국 여객선 항로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현재 목포-상하이간 여객선항로 개설을 추진하고 있는 목포항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Since Korea-China passenger shipping routes have opened in 1990, the volume of passengers and cargoes has been increased gradually. At the beginning of the routes, most of passengers are consist of tradespeople, who are replaced by common travellers in these days. Also the volume of containers between two country are enlarged enough to establish full container shipping lines.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and to analyse the current passenger shipping marker for China, and to apply to Mokpo which has a project to open passenger shipping route for Shanhai, China.

      • KCI등재

        제주지역 크루즈터미널 계획 및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박정근 한국농촌건축학회 2018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1

        Although Jeju is the best cruise Secondary port in Northeast Asia, currently there are no dedicated cruise terminals. The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opened in 2015 has a ferry terminal for offshore passengers and a cruise passenger function. Jeju Island is therefore constructing a cruise only terminal with the aim of opening in 2018 to meet the growing passenger demand at the Seoguipo civilian and public ports along with construction of a naval base at Gangjeong Port in Seogwipo City. It also plans to build cruise docks and cruise terminals in the Jeju New Port according to the Jeju port construction basic plan. However, during the construction and planning process of cruise terminals in Jeju, the adequacy of the terminal size is being debated and the immigration facilities are being operated. Therefore, the study analyzed the size of terminals and operation of immigration facilities appropriate for cruise passenger demand by investigating the status of cruise related facilities and operation in Jeju area. Based on this, the Commission hopes to explore the rational direction of the cruise terminal plan to revive the cruise industry in Jeju and provide high quality service to cruise passengers. 제주는 동북아시아 최고의 크루즈 기항항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크루즈전용터미널은 전무한 실정이고 2015년 제주항에 개장한 제주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연안여객용 페리터미널과 크루즈여객용 터미널 기능을 겸용하고 있다. 또한 서귀포시 강정항에 증가하는 크루즈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2018년 개장을 목표로 크루즈전용터미널을 건설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해양수산부가 2016년 발표한 제주신항만건설기본계획에 의하면 제주신항에 초대형급 크루즈선 입항이 가능한 크루즈 부두 및 터미널을 건설할 예정이다. 이처럼 증가하는 크루즈수요 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추진한 제주지역의 크루즈터미널 계획과 건설사업은 터미널 규모의 적정성 논란과 출입국시설 운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크루즈관련 시설현황과 운영실태를 조사하여 크루즈 여객수요에 적정한 터미널 규모 및 출입국시설 관련 운영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제주지역의 크루즈산업의 활성화와 크루즈여객에게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크루즈터미널 계획의 합리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계절형 다변량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국제항공 여객 및 화물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윤지성,허남균,김삼용,허희영,Yoon, Ji-Seong,Huh, Nam-Kyun,Kim, Sahm-Yong,Hur, Hee-Young 한국통계학회 2010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7 No.3

        본 연구는 최근에 활발히 연구가 진행 중인 항공수요 예측을 위하여 계절형 다변량 시계열 모형을 기반으로 하고 다른 모형과의 비교를 RMSE(Root Mean Square Error)를 기준으로 비교한 것이다. 여기서 싱가폴 국제항공유가, 수출액을 추가하여 예측성능을 좋게 하고자 한다. Forecasting for air demand such as international passengers and freight has been one of the main interests for air industries. This research has mainly focus on the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s of the multivariate time series models. In this paper, we used real data such as exchange rates, oil prices and export amounts to predict the future demand on international passenger and fr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