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음혁명을 통한 독립국가 완성과 국민 만들기

        김석근(金錫根)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8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8 No.-

        이 글에서는 정산(鼎山) 송규(宋奎, 1900-1962)가 쓴 『건국론(建國論)』에 담겨 있는 건국철학에 대한 독해와 아울러 그 건국 철학이 어떤 함의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서 검토해보고자 한다. ‘종교인’으로서 그가 ‘건국’ 문제를 다루고 있는 『건국론』을 저술했다는 점, 그 저작 시점이 1945년 10월, 그러니까 해방 직후에 내놓았다는 점, 그 논의가 상당히 구체적인 차원까지 들어가 있다는 점, 그리고 그 저작을 원불교 및 정계의 주요 인사들에게 배포했다는 점 등에서 주목을 끌기에 충분하다. 정산의 ‘건국(建國)’론을 구성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였다. 첫째, ‘자유’와 ‘독립’을 지니는 독립국가의 완성, 즉 ‘State-building(국가 만들기)’, 그것은 세계 속에서 독립된 국민국가로 우뚝 서는 것이기도 했다. 둘째, 종래의 ‘인민’ ‘민중’ ‘대중’ 차원에서 벗어나 ‘국민’으로 올라서는 것, 종래의 ‘동포’와 ‘민족’에서 벗어나 분명한 국가의식을 갖는 ‘국민’으로 서는 것, 곧 ‘Nationbuilding(국민 만들기)’. ‘State-building’과 ‘Nation-building’이라는 용어를 쓰지는 않았지만, 정산은 그들이 갖는 의미는 충분히 알고 있었다. 그의 건국론은 그들 두 개의 과제를 동시에 포괄하는 것이었다. 그들 위에서 ‘애국’(愛國)이, 그것을 떠받쳐주는 정신으로서의 ‘애국정신’이 가능해진다. 그런 ‘정신’을 제대로 가르쳐야 한다고 보았다. 정산은 ‘교육’을 중시하고 ‘훈련’과 ‘준비’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종교인으로서의 정산은 특정한 종교를 건국의 원리로 삼을 것을 주장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건국 철학에서 ‘정신’과 ‘마음’을 강조하고 있다. ‘마음혁명’을 통한 ‘독립국가’ 완성과 ‘국민’ 만들기, 이것이야말로 정산이 종교인으로서 제시한 ‘건국론’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reviews the implication of Prime Master Jung-san(1900-62)’s philosophy on Nation State Foundation by reading Theory of Nation State Foundation[Kongugnon].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some notable features. First, Jung-san dealt with the idea of Nation State Foundation at October 1945,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Second, he studied the specific details on this theory and shared his work with major figures of Won -Buddhism and the politicians. This paper investigates two elements to construct Theory of Nation State Foundation: One is State-building. It is about to establish an independent state with “freedom” and “Independence” in the world; the other is Nation-building. It means to become ”Nation[Kukmin]” away from the concepts of “People[Inmin]”, “Minjung” and ”Mass[Dae-jung]”, and have the consciousness for a nation away from the concepts of “Compatriot[Dongpo]” and “Ethnic group[Minjok]”. Although Jung-san didn’t use the words, “Statebuilding” and “Nation-building”, he knew what they meant. The goal of his theory was to embrace those two elements at the same time. In this context, it is possible to have “Patriotism” as a spirit. Especially, Jung-san thought it was necessary to prepare and practice for having this spirit. Jung-san as a religious person didn’t agree with that some religion had to be the principal of Nation State Foundation. Jung-san focused on the Spirit and the Mind in his philosophy of Nation State Foundation. In Theory of Nation State Foundation, he emphasized on “State-building” and “Nation-building” on the basis of “Mind/Heart Revolution”

      • KCI등재

        한국전쟁기 군가와 국민국가 만들기

        남영희 한국문학회 2024 韓國文學論叢 Vol.96 No.-

        이 연구에서는 한국전쟁기 군가의 창작과 보급 현황, 전쟁 상황의 변화에 따른 군가의 보급 배경과 목적을 고찰하고, 군가의 노랫말을 분석하여 군가가 상상하고 노래하고자 한 실체적 대상이 무엇인지 규명하였다. 먼저, 군가와 군가 보급의 사회적 맥락을 파악한 결과, 한국전쟁기 군가의 창작과 보급은 전황에 따라 달라졌다. 전쟁 초기 군가는 일선 장병의 정신무장을 강화하고 승전의지를 고취하는 결전음악의 꽃이었다면, 1951년 7월 휴전회담이 시작되고 전쟁이 장기전에 돌입하면서 후방사회에서 군민동체(軍民同體)를 실현하는 주요 수단으로 기능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전쟁기에 발간된 군가집 3종 소재 군가 72곡의 노랫말을 분석하였다. 전시 군가의 창작과 보급은 정신무장 강화와 군민동체 구현을 위한 국가의 문화정치적 장치였다. 이러한 점에서 노랫말의 의미를 승전의지와 호국정신, 반공이데올로기 강화라는 단순한 프레임으로 이해할 수는 없다. 이 시기 군가는 한국전쟁이 자유와 정의, 평화를 수호하기 위한 성스러운 전쟁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여 전쟁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민족주의적 상징을 호출하거나 공산당과 중공군을 비민족으로 타자화함으로써 민족 내부의 결속력을 강화하였으며, 국토사랑과 국토회복 의지로서의 통일을 내세웠다. 국민과 국토가 국가의 인격적․공간적 실체라는 점에서 군가는 군민동체의 결집력을 기반으로 국민국가 만들기(Nation-State Building)를 실현한 효과적인 미디어였다. 여기에는 필연적으로 배타적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한 애국심이 작동했다. 전시라는 특수상황에서 상상된 국민국가는 추상적 신성을 지니며 무조건적인 충성과 희생을 요구하고 전시국민들의 삶을 규율했다. 이처럼 한국전쟁기 군가란 노래의 얼굴을 한 국가(國家)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reation and dissemination of military songs during the Korean War, how the purpose of their dissemination changed with the changing war situation, and to analyze the vocabulary and expression of military song lyrics to identify the entities that military songs were intended to imagine and sing. First, newspaper and magazine article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social context of military songs and their dissemination. This revealed that military songs during the Korean War were an effective tool for structuring wartime emotions. In the early days of the War, military songs were used to strengthen the mental armor of the battlefield and to inspire a sense of determination. After mid-1951, as the ceasefire meeting began and negotiations entered into a protracted war that stretched far into the distance, military songs changed from the flower of battle music to the primary means of realizing Military-Private One Flesh in postwar society. Next, the lyrics of 72 military songs from three military song collections published between 1951 and 1953 were analyzed. The creation and dissemination of wartime military songs was a cultural and political device of the state with the aim of uniting front and rear societies, strengthening mental armament, and national reconstruction. In this regard, the meaning of the songs cannot be understood through a simple frame of nationalistic victory discourse, patriotic spirit, or anti-communist logic. Military songs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secured the war's legitimacy as a holy war to defend freedom, justice and peace; strengthened internal national cohesion by invoking nationalistic symbols or establishing the Communist Party and the Chinese Communist Army as non-nationals; and presented unity as love for the homeland and the will to restore it. Considering that the people and the homeland are the personal and spatial entities of a nation, respectively, Military Songs was a strategy to realize nation-state building based on the cohesion created between the military and civilians as if they were one. Patriotism based on exclusive nationalism was inevitably at work here. The nation-state created in wartime had an abstract sanctity and regulated life, demanding unconditional loyalty and sacrifice as a matter of course. Military Songs of the Korean War period can be characterized as a nation with a song face.

      • KCI등재

        이광수의 「농촌계발」과 '문명조선'의 구상

        정선태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2 No.-

        In this Essay I make an attempt to clarify the meaning of civilization in early colonial korean society by looking at Lee Gwang-su(李光洙·1892~1950)’s writing Nongchongyebal(農村啓發 I.e. The Enlightenment of a Rural Community). In order to understand Lee’s view on civilization, I investigate what is the Hukuzawa Yukichi(福澤諭吉·1835~1901)’s view on civilization in Japan at Meiji Era. Lee’s “mental teacher” Hukuzawa find out the core of civilization in the independence of a nation-state. On the contrary Lee in the pursuit of individual happiness. In modernization process, nation-state building has a deep relation with civilization process. Its good example is Hukuzawa’s case. As Korea fall down to Japanese colonial, however, the possibility of nation-state building disappears. In this circumstance Lee places the aim of civilization on the individual happiness and comfort. According to his writings, the precondition of living a happy life is the conquer of nature and will-power of a person. Man dreaming of liberation has to get rid of all unhappy factors and establish “a ideal paradise”. This is the way to the civilized society. Nongchongyebal is the vision showing “a ideal paradise” in colonial korean society. Hangyangchon(向陽村) which is the setting of Nongchongyebal symbolizes degraded and undeveloped korean society. People in this village are very poor and lowly as well as ignorant and primitive. Kim-il, the leader of Hangyangchon, cures village people’s “deep disease” step by step and teaches them the morals and ethics of civilized person. And they imagine “a ideal paradise”. “The vision of Hangyangchon” shows the maximum state an intellectual who accepted japanese imperialism reached in 1910’s. In order to reach the vision he pay the price, surrender of political independence or “autonomy”. It is possible to say that Kim-il’s choice is Lee’s choice. And this is the goal which Lee Gwang-su’s view on civilization came to. 이 논문에서 나는 춘원 이광수의 논설 「농촌계발」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문명론이 가진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했다. 먼저 근대계몽기와 식민지 시대 대표적인 지식인이었던 이광수의 문명론이 지닌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 일본의 대표적인 계몽사상가인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의 문명론이 무엇을 겨냥하고 있었는지 구명할 필요가 있다. 이광수가 정신적인 스승으로 삼았던 후쿠자와 유키치는 문명론의 핵심을 국가의 독립에서 찾았다. 이와 달리 식민지 지식인 이광수는 개인들의 행복 추구에 문명론의 목표를 두었다. 그에게 문명화란 정신적·물질적 욕망을 실현할 수 있는 상태에 이르는 것을 의미했다. 따라서 인간을 문명인으로 이끄는 핵심적인 수단 중 하나인 교육의 목표도 그들로 하여금 강렬하고 웅대한 욕망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열정적이고 진취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 것으로 설정되었던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일본과 조선이 걸어야 했던 근대의 상이한 양상과 그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후쿠자와 유키치와 그의 영향력 아래 놓여 있던 이광수와 민족개량주의자들의 문명관이 달라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독일 및 일본을 포함한 후발 근대국가에서 국민국가의 형성은 문명화와 깊은 관련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그 단적인 예를 후쿠자와 유키치에게서 볼 수 있다. 그에게 문명화의 궁극적인 목표는 서구적인 근대 국민국가를 형성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면서 국가만들기의 가능성이 사라진 상황에서 이광수는 문명화의 목표를 개인의 행복과 안락에서 찾았다. 이성에 대한 전폭적인 신뢰가 인간 해방의 바탕이 되었다는 것을 믿고 있었던 그는 해방된 인간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행복이라고 강조한다.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그가 제시하는 것은 자연의 정복과 자기 의지에 따른 행동이며, 이를 토대로 하여 모든 불행한 요소를 제거하고 ‘이상적인 복락향’을 건설하는 것이 해방된 문명인의 목표로 설정된다. 바로 그 ‘이상적인 복락향’의 청사진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농촌계발」이다. 「농촌계발」의 배경이 된 ‘향양촌’은 조선을 표상한다. 이 마을 사람들은 무지몽매하고 유치하기 짝이 없으며, 지극히 가난하고 추악하며 천한 상태에 놓여 있다. 이 마을은 계몽적 지식인 김일의 지도 아래 ‘중병’들을 하나씩 치료하면서 문명인의 덕목들을 배워나간다. 그리고 ‘이상적인 복락향’을 상상한다. ‘향양촌의 미래상’은 일본제국의 통치를 수락한 1910년대 식민지 지식인의 사유가 도달한 최대치를 보여준다. 그리고 이것은 국가의 정치적 독립을 포기 또는 유예한 대가로 얻을 수 있는 것, 다시 말해 제국 지배하의 ‘자치’를 전제 조건으로 삼고 있었던 것이다. 국가의 독립을 완전히 상실한 상황에서 이광수를 사로잡은 화두가 문명이었다. 그는 문명을 키워드로 하여 문명화의 목적은 개인의 행복이라는 자신의 계몽적 열정을 펼쳤으며, 그 귀결점 중 하나가 「농촌계발」이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농촌계발」이 그의 소설을 독해하는 데도 하나의 유효한 참조항이 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단정 수립 이후 ‘전향’과 문학자의 주체구성-박영준의 해방기 작품을 중심으로

        손혜민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1 사이 Vol.11 No.-

        This study considers the logic of convers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and independent government and examines the aspect of embodying “life” as ethics in the novels of Park Young- jun after liberation. This article also touches on the conversion of Park Young-jun, focusing in particular on the novels published after liberation.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logic of conversion after an independent government was established. In general, the meaning of “conversion” is to abandon communism. However, after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ce government, not only communists but also the middle-of-the-roaders had to make an announcement of conversion according to the law, which means that conversion after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ce government was not a matter of ideology:rather, it followed a logic of “nation building.”In this period, the novels of Park Young-jun focused on “life.” This concept of “life” is different from the concept used by writers to justify the pro-Japanese activities in which they had been involved. Furthermore, it is not the same as the “life” that writers with socialist tendencies embodied for the logic of abandoning communism in their nove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Park Young-jun’s novels, we can see that “life” is utilized to describe “a feeling of ineffectualness” that came to the surface:by keeping one’s “love affair” at a distance, this feeling was reflected in the sense of ethics. This ethics of “life” and the desire for “a veritable (true) life” were concluded in building the new Subject ultimatel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life” as ethics reveals doubt about “national” desire, keeping its distance with meta-narratives such as “nation” and “nation building.” This idea is interlocked with convers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government. 이 글은 좌/우의 양극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분기점으로서 단정 수립 이후 시행된 전향에 주목하고, ‘전향’의 제도적 특성을 분석하여 ‘전향’이 내포한 ‘국민/국가 만들기’의 내적 논리를 논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박영준의 작품에 새겨진 ‘전향’의 문학적 의미를 되묻고자 했다. 단정 수립 이후의 ‘전향’이란 국민국가 건설기에 국가가 폭력의 합법적 사용을 통하여 스스로를 정당화하는 과정을 명시적으로 드러내는 제도였으며, ‘반공’ 이외의 사상적 가능성을 말소하는 계기적 사건이었다. 이 시기에 ‘전향’을 강요받은 이 시기 박영준을 비롯한 다수의 문화인들은 체제선택을 강요받고 ‘전향’을 선언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는 ‘국민 되기’의 자기선언에 다름 아니었다. ‘전향’의 선택은 그러나 이처럼 단일하게 의미화될 수 없다. 좌/우의 어느 편에도 속하지 않았던 박영준은 ‘전향’을 전후하여 ‘무력함’을 내세워 주체의 구성에 자발적으로 실패하는 서사들을 창작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보았을 때, 박영준의 작품 속에서 ‘정치’에 대응하여 주어지는 ‘생활’의 윤리는 ‘전향’에 대한 박영준 개인의 회의를 투영한 것으로 독해된다. 선택을 연기하고 무기력하게 생활의 문제를 마주하는 주인공들의 모습은 ‘국가’나 ‘민족’, ‘정치’에 대한 회의를 담아내고 있는 것이다. ‘전향’이라는 사건은 이데올로기의 대립을 ‘국가’의 문제로 전환하여 ‘국민/국가’라는 새로운 사상을 제출하는 일종의 정치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 시기 발표된 박영준의 작품은 이처럼 국가와 민족에 대한 성찰이 불가능해지고, 획일적 이념이 강제되는 상황에서 ‘전향’의 강제가 야기하는 문학자의 번민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2022년 종교 교육과정 : 종교인 만들기와 ‘유사종교’ 발명 교육

        고병철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3 대순사상논총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on religions. The perspective of this reflection is that since the religious curriculum is meant to be a national curriculum, it should be applicable to all high school students, be shareable, and function as a place for meta-reflection regarding the proper use of the category of religion. For this purpose, I reviewed the form and content of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in Section 2. The form of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looks similar to the previously utilized curriculum. However, the main change is that the subject of religions was arbitrarily placed into the category of ‘subjects for choosing a career.’ And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has two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ntent: the orientation of ‘making religious people (spiritual formation)’ and the reemergence of the concept of ‘pseudo-religion.’ In Section 3, I delved into the orientation of 'making religious people through religious reflec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In this process, I discovered that the concept of ‘reflection as a metacognitive technology,’ which was the core of the prior curriculum and school education, was transformed into the concept of ‘religious reflection,’ and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were also added. In Section 4, I delved into the dichotomy of ‘religion and pseudo-religion.’ ‘Pseudo-religion’ is a new focus in the 2022 curriculum on religions. In this process, I revealed that the concept of ‘pseudo-religion’ is a combination of an outdated administrative ter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Japan’s occupation of Korea, and as such, the term is inherently value-laden and harmful. I also revealed that determining ‘pseudo-religion’ in school education regenerates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General’s biased attitudes toward Korean religions and forces teachers to ‘invent’ (detect or personally appraise) modern day pseudo-religions through arbitrary judgements. The ‘curriculum to emphasize religious reflection and detect pseudo-religions in order to create religious people’ can distort the subject of relig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as into a ‘subject for religion (promotion or degradation).’ If this distortion continues, the appropriateness of curriculum on religions existing within the national curriculum will eventually become a subject of debate. 이 글의 목적은 2022년 종교 교육과정의 형태와 내용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데에 있다. 성찰의 관점은 종교 교육과정이 국가교육과정인 이상 모든 고등학생에게 적용될 수 있어야 하고, 공유될 수 있어야 하며, 종교 범주를 활용한 성찰의 장(場)으로 기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제2장에서는 2022년 종교 교육과정의 형태와 내용을 고찰하였다. 형태상으로는 종래 교육과정과 유사하다는 점과 함께, 특히 종교 과목을 ‘진로선택’에 배치한 근거가 약하다고 지적하였다. 내용상 특징으로는 ‘종교인 만들기’라는 지향성과 ‘유사종교’론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내용상 특징 가운데 ‘종교적 성찰을 통한 종교인 만들기’라는 지향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종교인 만들기라는 지향성을 위해, 기존 교육과정의 핵심인 ‘메타 인지적 기술로서의 성찰’ 개념을 ‘종교적 성찰’로 변형시키고 영성과 종교성 개념을 추가했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제4장에서는 내용상 특징 가운데 ‘종교와 유사종교’의 이분법을 고찰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유사종교’ 개념이 조선총독부의 행정 용어(‘종교유사의 단체’)에 ‘해롭다는 인식’이 결합된 것이라는 점을 밝혔다. 또한 학교교육에서 ‘유사종교’를 판별하려는 것이 종교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태도를 재생하는 것이고, 교사에게 종교와 유사종교를 판별하는 ‘자의적’ 기준을 만들어 끊임없이 유사종교를 ‘발명’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결과적으로, 2022년 종교 교육과정이 ‘종교적 성찰을 통해 종교인을 만들면서 유사종교를 발명하려는 교육과정’이라면, 종교 과목은 ‘종교를 위한 과목’이라는 시선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된다. 게다가 이러한 시선이 정당성을 얻게 된다면 향후 사회적 논제는 종교 교육과정이 국가교육과정에 존재해야 하는지의 여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노래부르기와 국민 만들기: 근대 초 한·중·일의 창가문화

        주자영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4 이화음악논집 Vol.28 No.1

        본 논문은 근대 초 한·중·일 3국의 국민국가 수립 과정에서 창가가 수행한 역할에 관해 검토한다. 여기서 창가란 서양 악곡의 선율을 차용하거나 서구식 음악 문법으로 쓰여진 노래를 지칭함과 동시에 노래 부르기, 특히 집단적 제창 실천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시기 도입된 근대적 교육 체제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찬송가나 서양 민요 등의 서구식 선율에 문명개화, 부국강병, 애국과 자주독립 등을 내용으로 하는 가사를 붙인 노래들을 대열을 이룬 학생들이 한목소리로 부르게 함으로써 근대적 국민의식 형성과 국민적 통합을 도모하는 이 새로운 노래 부르기 방식은 근대 초 일본과 중국, 그리고 한국 모두에서 나타났던 공통의 문화 현상으로, 일본에서 창가(唱歌, 쇼오카), 중국에서 학당악가(學堂樂歌), 그리고 한국에서 창가라는 이름으로 전개되었다. 메이지 일본은 창가 문화가 처음 시작된 곳으로, 근대 국민 만들기의 도구로 집단 가창 실천을 활용하는 하나의 모델을 만들어냈고, 이것은 인접국들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1900년대 초 시작된 중국의 학당악가는 일본에서 창가 문화를 접한 중국 유학생 및 지식인들의 주도로 전개되었다. 한편 개화기 조선의 창가 운동은 개화파 지식인들이 중심이 된 『독립신문』과 독립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독립신문』에 다양한 애국가류의 창가(가사)들이 게재되었고 이것들은 당시 유입된 찬송가의 선율들을 차용해 불리워졌다. 이 창가들은 독립협회의 주도로 개최된 각종 개화 행사 및 의식들에서 학생들에 의해 가창되었는데 배재학당과 같은 미션스쿨뿐만 아니라 관립 소학교 등 다양한 학교의 학생들이 새롭게 제정된 국가의례에 동원되어 집단적 가창 실천을 수행했다. 그러나 개화기 창가 운동은 국가 주도로 전개된 교육제도의 근대화 과정에서 일본의 개입과 영향을 보다 직접적으로 받은 것이기도 했다. 갑오개혁을 통해 근대적 학제가 수립되는 과정에 일본인들이 직접 관여하고 일본의 학제가 그대로 모방되면서 일본 창가 또한 개화기 학교 창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changga (唱歌) play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nation-states in the early modern era of Korea, China, and Japan. Changga, in this context, refers to songs that adopt Western melodies or are written in Western music style. Simultaneously, it denotes singing songs, especially those involving collective singing practice. This practice is closely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modern educational systems during this period. Students sang songs that incorporated Western melodies such as hymns or Western folk tunes, with lyrics addressing topics like civilization enlightenment, national strengthening, patriotism, and independence. This new way of singing aimed to promote the formation of modern nation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unity. The phenomenon of adopting changga, characterized by students singing in unison, emerged as a common cultural trend in early modern Japan, China, and Korea. In Japan, it unfolded as Shoka (唱歌), in China as Xuetang Yuege (學堂樂歌), and in Korea as Changga. The Meiji era in Japan is identified as the birthplace of changga culture. Japan created a model for utilizing collective singing practices as a tool for nation-making in the early modern era, influencing neighboring countries. The Xuetang Yuege movement in China, which started in the early 1900s, was led by Chinese students and intellectuals who had observed changga culture in Japan. Meanwhile, the changga movement in Korea during the enlightenment era was centered around the activities of intellectuals such as Seo Jae-pil, associated with the Independence Club and the Dongnip Sinmun newspaper The Independent. Various patriotic changga lyrics were published in the Dongnip Sinmun, and these songs, using the melodies of hymns introduced at the time, were sung by students in various schools, including mission schools and public elementary schools, as part of newly established national ceremonies. However, the changga movement during the enlightenment era was also directly influenced by Japan's intervention and impact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the education system led by the state. Through the Gabo Reform, the modern education system was established, with Japan’s educational system being directly imitated, and the Japanese involvement led to the influence of Japanese changga.

      • KCI등재

        제2차 세계대전 후 미국의 군사점령 논리와 냉전

        김득중(Kim Deugjoong) 동북아역사재단 2016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1

        1945년 8월과 9월에는 한반도에서는 일제의 패퇴와 ‘해방’과 ‘38선 분할과 점령’이라는 두 가지의 결정적 사건이 동시에 발생했다. 이러한 사건은 남북 각각의 정부 수립(1948) 과 한국전쟁(1950)을 결정짓는 구조적 요인이 되었다는 점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1945년 8월과 9월에 발생한 ‘해방’과 ‘점령’이라는 두 가지 계기는 한국현대사의 흐름을 결정짓는 분수령이었다. 군사점령은 미소가 내걸었던 대의명분과는 달리, 식민지 해방으로부터 구 식민지 재점령으로 빠르게 변화되었다. 한반도의 군사점령은 연합국에 맞섰던 적대국가(독일, 일본)에 대한 응보적 점령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이 논문은 미군이 1945년 남한 점령을 스스로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지, 이를 정당화하는 국제법적 근거는 무엇이었는지를 당시 미군정의 법률 고문이었던 에른스트 프랑켈의 글을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독일에서 노동법을 전공한 에른스트 프랑켈(Ernst Fraenkel)은 미국 망명 뒤, 『이중국가』를 출판하여 독일 나치 체제를 비판하였다. 1944년 프랑켈은 전략정보국(OSS)에서 일하면서, 제1차 대전시 프랑스의 라인란트 군사점령을 연구하였다. 전쟁이 끝나자, 프랑켈은 국제법 전문가로서 미군정 사법부에서 일하게 되었다. 프랑켈은 1948년 초, 유엔조선임시위원단(UNTCOK)에 제출할 예정으로 「주한미군정의 구조」라는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 보고서에서 프랑켈은 미군의 남한 점령을 ‘국제법적 관점으로 보아, 임자 없는 땅을 점령한 것’이라는 논리를 제기했다. 이는 주권의 부재로 점령을 합리화하는 논리였다. 국제법에서 주권자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을 ‘무주지(無主地, Terra nullius)’로 규정하고, 최초로 점유한 자가 이 땅에 대한 소유권을 가진다는 이른바 ‘선점의 논리’는 19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식민지를 지배할 때 유럽 제국주의가 즐겨 사용하던 방식이었다. 군사 점령을 정당화하는 국제법의 무주지론은 식민지에 대한 폭력의 다른 이름에 불과했다. 1951년 프랑켈은 무주지론을 수정했지만, 제국주의 국가가 내세웠던 무주지론을 다시 들고 나와 미군의 남한 점령을 합리화 한 것은 연합국이 전체주의·파시즘 국가와 싸우면서 내걸었던 세계대전의 이념적 좌표를 흔들어버리고, 결국 자국 이익의 확보를 위해 과거로 복귀하는 시도로 비추어질 수 있었다. 미군정이 주장한 것처럼, 조선이 원래부터 무주지인 것은 아니었다. 조선을 무주지로 만든 것은 미군정 통치의 결과였다. 일제 패망 후, 남한에서는 새로운 국가를 수립하려는 자치 활동들(건국준비위원회, 인민위원회)이 계속 나타났다. 이 활동들은 미군정에 의해 제지당했다. 무주지였기 때문에 점령한 것이 아니라, 점령했기 때문에 주권 없는 무주지가 되었다. 주한미군 사령관은 조선총독보다 더 강력한 권한을 소유하고 있었다. 남한에서 미 군정은 절대적 권력이었다. 세계질서를 새롭게 만드는 전후의 혁명적 상황에서 군사 점령은 권력자가 법을 창출하면서 완전히 새로운 질서를 수립해 나가는 일종의 ‘예외 상태’라고 할 수 있었다. 미소가 주조한 전후 신질서는 군사 점령을 통해 창출된 절대적 권력을 통해 만들어졌다. 군사 점령은 점령 지역 내에서 질서를 굳건하게 다져 나갔고, 자본주의적이고 반공주의적인 미국 주도의 ‘냉전’으로의 급속한 변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 KCI등재

        공유된 역사, 엇갈린 국경 - 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경계 논쟁

        최아영 숭실사학회 2021 숭실사학 Vol.- No.47

        1920~1930년대 소련 정부가 중앙아시아에서 소비에트 공화국을 수립하기 위해 국경을 획정한 결과 5개의 국가가 만들어졌다. 그 결과 부하라, 사마르칸트와 같은 타지크인 최초의 왕조라 일 컬어지는 사만조가 번성했던 곳, 그리고 타지크인들의 문화유산이 집중되어 있는 문화 중심지가 모두 타지키스탄이 아닌 우즈베키스탄의 영토에 위치하게 되었다. 이 글은 소련 정부의 국경 획정 결과 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 사이에 존재하는 물리적 국경 과 역사 및 문화유산 경계가 일치하지 않는 상황이 양국의 역사 교과서에 어떠한 내러티브로 기록 되어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고 이것이 독립 후 양국의 국가건설과정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살 펴본다. 타지키스탄의 역사 교과서는 중앙아시아 국경 획정 과정에서 타지크인이지만 범투르크주의자 였던 자디드들이 타지크인들의 이해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우즈베키스탄에 유리하게 국경을 획정 했다고 비난한다. 그러나 사만조 이후 타지크인들이 민족국가를 가지게 된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 인 입장을 보인다. 타지키스탄 역사 교과서는 현재 타지키스탄 영토의 지리적 경계를 넘어서 예전부 터 지금까지 타지크인들이 거주했던 모든 지역을 타지크인들의 역사 공간으로 포함한다. 한편 우 즈베키스탄의 역사서술은 우즈베키스탄의 영토에서 형성되었던 모든 왕조를 자신들의 역사로 편입 시키는 원칙을 가지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교과서는 타지크인을 ‘페르시아어를 말하는 투르크인’ 이라고 규정한다. 타지키스탄 교과서는 이를 반박하기 위해서 타지크인의 인종과 언어는 우즈베크 인과는 다른 인도유럽 계통에 속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양국 교과서는 타지키스탄과 우즈 베키스탄이 독립 이후 국가건설 과정에서 트란스옥시아나에 활동했던 중세 이슬람 학자들을 모두 자신의 조상으로 소환하여 대대적으로 기념하면서 각기 민족정체성 형성을 도모하고 있음을 기록 한다. 이러한 타지키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논쟁은 2000년대 양국의 국경통과 문제, 수자원문 제 등의 분쟁 이슈를 배경으로 공격적으로 진행되었지만, 2010년대 후반 중앙아시아 정상들의 지 역협력 의지가 강화되면서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소비에트 정부의 정교하지 못한 국경 획정으로 발생한 우즈베키스탄의 타지크인 집중 거주 지역, 접경지대에는 민족 간 충돌의 가능성이 상존하고, 이것은 또다른 역사 논쟁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As a result of the national-territorial delimitation of Central Asia by the Soviet regime in the 1920s and 1930s. 5 independent states appeared in this region. However, the region where the Samanid dynasty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Tajik state prospered, a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enters of Tajiks, such as Bukhara and Samarkand, found themselves outside the ter ritory of Tajikistan. This work aims to analyze how such discrepancy between the state border a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order is described in history textbooks of Tajikistan and Uzbekistan. The Tajik history textbook negatively describes the Jadids for the fact that they ignored the national interests of Tajik people in the process of national-territorial delimita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y themselves are Tajiks. However, the Tajik textbook has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fact that Tajiks now have their own national state. The textbook of Tajikistan includes in the pages of its history all the regions where the Tajiks have lived. In turn, the textbook of Uzbekistan shows that all the dynasty that existed in the territory of present-day Uzbekistan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history of Uzbekistan. Uzbek textbooks describe Tajiks as Persian-speaking Turks. In turn, the Tajik textbook emphasizes the Indo-European root of the language and race of the Tajiks. Also, both textbooks describe how Tajikistan and Uzbekistan have been trying to consolidate national identity by commemorating famous medieval Islamic scholars of Transoxiana as their own ancestors in the process of nationbuilding of newly independent states. Historical debate between Tajikistan and Uzbekistan escalated amid conflicts over border crossings and water resources in the 2000s. However, in the late 2010s, the leaders of Central Asian countries have shown their desire for regional cooperation and such a historical dispute has been suspended. But the risk of inter-ethnic conflict still exists in the regions of Uzbekistan, where ethnic Tajiks make up the majority of population or in the border region and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rising another historical debates between two countries cannot be excluded.

      • 근대 중국 사학(史學)의 형성과 변용

        정지호 ( Jeong Ji Ho ) 국민대학교 중국지식네트워크 2011 중국지식네트워크 Vol.1 No.-

        중국 근대사학의 기본적인 목표는 천하관에서 국가관으로의 전환이었으며, 민족의식과 국민의식을 부여하기 위한 계몽적 서사였다고 볼 수 있다. 량치차오의 신사학에서부터 리다자오의 마르크스주의 사학에 이르기까지 근대사학의 여정은 각각 다양한 방식을 통해 중국이라고 하는 국민국가를 어떻게 건설해 나갈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그런데 각각의 논의는 비록 역사의 주체로서 민족의 개념 및 범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해 논란이 분분했지만, 결국 ‘민족 만들기’라고 하는 큰 틀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중화민족론’은 역사적으로 ‘중국’이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는 비(非)한족집단을 위협하여, 규모가 큰 소수민족 공동체의 정체성을 오히려 강화하는 역기능을 낳았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에도 ‘중화’라고 하는 거대한 용광로 속에 각 민족의 역사적·문화적 특성을 모두 녹여서 하나로 만들려고 하는 노력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점을 볼 때, 근대사학의 ‘민족 만들기’ 작업은 진행형의 과제로 남아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view of nation-state construction as the genealogy of modern Chinese history. Dur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crisis from Western powers in the late Qing dynasty and the invasion of Japanese imperialism, the intellectuals tried to go through those difficult situations with the project of nation-state construction. As everyone knows, it can be said that the nation-state construction has shared its fate with ‘people(nation) making’ as a collective historical subject as well as physical aspect of determining exclusive area. In those days China needed to solve two significant problems to construct the nation-state. The first was to divert from the monistic world view of ‘Sinocentric = World’ to the unitary state with pluralistic world view of ‘China= Nation.’ And the second was to divert from the view of local or racial notion to the national consciousness(people’s consciousness) as the member of a nation. In this aspect, the primary goal of modern Chinese history was to convert from the world view to the nation view and it was a kind of enlightening narrative providing the national and people’ s consciousness. Therefore the creation of ‘China’, ‘Chinese history’ penetrating each age by diverting from the traditional description of history, whose focus was on the dynasty, became the goal as well as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history. The journey of modern history from Liang Qichao’s(梁啓超) new history to Li Dazhao’s(李大釗) Marxist history had focus on how to build nation state of ‘China’ through various ways. Even though there were lots of debates about the concept and range of people as a subject of history, they did not divert much from the big frame of ‘people making.’ Of course there were some challenges to deal the ‘history’ with globalization as in the case of Gu Jiegang(顧?剛). In fact some criticisms on national mythology making of ‘doubting antiquity history’(擬古史學) were outstanding during a specific period and acutely mentioned the problem of grasping Chinese history and culture as globalization. Gu Jiegang published his book, zhongguo jiangyu yangeshi(中國疆域沿革史) during the Manchurian incident(滿洲事變) and January 28 Incident(上 海事變) resulted from the blatant aggression of Japan but also described “the purpose of writing was to enlighten the Chinese people as well as Japanese imperialist that the Han race had extended its area to Machuria, Mongolia and even to Korea those days and before so it had the right on them in the historical view.” It shows that he also did not divert from the big frame of ‘people making’. That is to say, he seemed not to divert from the frame of nationalist project by proclaiming the identity of Han race in China and its historic right on those areas in his book of the 1930s. Is modern history as ‘people making’ successful or not? It needs to understand that ‘cinocentrism(中華民族論)’ which integrated minorities on the base of the Han race after Chinese revolution resulted in the adverse effect rather reinforcing the identity of large minorities by threatening non-Han race that had never been thought as ‘China’ in history. When considering that there is still an effort, even today, to make historical and cultural traits of each people melted in a large blast furnace of ‘sinocentric’, ‘people making’ project of modern history seems remain in progress.

      • KCI등재

        연구논문 : 두 근대의 마주침 "급진 민주주의"와 "중국 특색의 민주주의"

        정규식 ( Kyu Sik Jeong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2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22 No.-

        본 논문은 냉전체제의 구조 속에서 상이한 경로를 통해 ‘국민국가형성’이라는 과제의 수행과 ‘국민(인민)만들기’의 과정을 경험한 것으로 인식되는 한국과 중국이 어떻게 ‘민주주의’라는 쟁점으로 마주치게 되었는지를 추적해 보고, 두 국가에서 현실적인 위기상황들을 돌파하기 위한 대안담론으로 제시되고 있는 ‘급진민주주의’에 대한 논의들과 ‘중국식 민주주의’에 대한 시각들을 검토함으로써 ‘민주주의’와‘정치’ 그 자체에 대한 새로운 사유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냉전체제하의 한국과 중국에서는 무엇이 정치적 의제가 될 수 있는지, 또 누가 정치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 하는 문제가 항상 ‘전쟁정치’의 구조 안에서 사고되었기에 ‘정치’ 자체의 심각한 왜곡과 축소가 나타났으며, 이것이 바로 민주주의의 위기로 이어졌다. 특히 현재 한국과 중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실적인 위기들은 우리에게 새로운 ‘민주주의적 형식’을 재발견할 것을 더욱 촉구하고 있다. 제도화된 정당이나 당-국가 체제를 뛰어넘는 사회적 역동성, 그 일부로서의 사회운동이 제기하고 있는 ‘정치’와 ‘민주주의’에 대한 새로운 요구들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 것인지가 향후 두 국가에서 ‘민주주의’의 수준과 범위를 확장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다. 대중의 다양한 저항적 잠재력을 ‘정치화’하고 민주주의의 재구성을 도모하는 ‘정치의 전복’을 통해 기존 사회질서의 모순과 적대를 극명하게 드러냄으로써 사회적 삶의 양상을 바꾸고, 민주주의의 범위와 수준을 확장하는 것, 이것이 ‘급진민주주의’와 ‘중국 특색의 민주주의’의 마주침이 우리에게 제기하는 가장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to trace how South Korea and China have encountered ``democracy`` in their own historical processes of ``the making of nation-state`` and ``nation-making``, and to re-examine the meaning of ``democracy`` and ``politics`` in the contemporary era. This paper deals with the first purpose with the consideration on the historical processes of ``formation of nation-state`` and ``nation-making`` in each country under the structural weight of the Cold War, the one hand.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analyse ``the meaning of democracy and politics as the second purpose in order to suggest ``Radical Democracy`` and ``Chinese-style Democracy`` as alternative political discourse to dissolve current political crises in two countries. During the Cold War, the range of political agenda and subjects have been not only limited, but also distorted and shrunken by the structural logic of ``war-politics`` in two countries. This negative phenomena resulted in the crisis of democracy. In particular, the newly emerging crisis of democracy in each country urges us to recover new alternative model of democracy. This new alternative model should include social dynamics beyond the party politics and the state-party system and should extend the scale and limit of democratic demands. As a conclusion,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encounter of the two moder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mode of social life can be radically changed by subverting the politics promoting the reconstitution of democracy and the resistant potential, and by revealing the contradiction and antagonism of the existing social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