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시회를 활용한 국가문화브랜드 제고 방안 연구

        박기천,황금들,유동환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2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 to raise the national brand in the cultural aspect by taking advantage of the exhibition. In particular, focusing on improvement of cultural brand by regarding the cultural elements as the main component element of national brand. regarding the language and literature as the categories of cultural brand configuration area, take the international book fair as the example of the cultural brand exhibition to show the cultual of one country in one place. Holing the national level of the international cultual brand international exhibition improves the national brand image and gives the positive effect on competitiveness of businesses and countries by promoting a positive image of the country. This study is to know the function and role of exhibition, and suggest the future continued successful managing solution of exhibition as the key to raise the national culture brand by comparative study for world famous international book fair held in developed countries 본 연구는 전시회를 활용하여 문화적 측면에서의 국가브랜드를 제고하기 위한방안을 제시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국가브랜드 구성요소 중 문화적 요소를핵심적 요소로 보고, 전시회를 활용하여 국가 문화브랜드를 제고하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언어와 문학을 문화브랜드 구성 영역의 범주로 정하고, 세계인들을 대상으로 한 국가의 문화를 한자리에서 보여줄 수 있는 국제 도서전을 문화브랜드 전시회 사례로 선정하였다. 국가적 차원에서의 문화브랜드 국제전시회의 개최는 긍정적 국가브랜드 이미지를 홍보함으로써 국가이미지를 개선하고, 더 나아가 기업 및 국가 경쟁력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 본 연구는 국가브랜드 선진국들이 개최하는 세계 유명 국제도서전의 비교 연구를 통해 국가의 문화브랜드 제고수단으로서 전시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지속적인 국가브랜드 제고를 위한 전시회의 성공적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가브랜드 이미지와 평가요소에 대한 내국인과 외국인 인식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최창원,문빛 한국광고PR실학회 2015 광고PR실학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한국의 국가브랜드 이미지와 국가브랜드 평가 요소들에 대한 내국인과 외국인의 인식을 비교분석하고, 한국의 국가브랜드 이미지와 국가브랜드 평가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가 내국인과 외국인 사이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탐색하였다. 국내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 111명과 국내에 방문한 외국인 129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국가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내국인과 외국인의 인식은 ‘열정’, ‘선도’, ‘평안’의 차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세련’과 ‘전통’ 차원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한국의 국가브랜드 평가요소에 있어서는 ‘과학기술’을 제외하고, ‘경제’, ‘관광’, ‘문화’, ‘정치’에서 내국인과 외국인의 인식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국인은 내국인보다 한국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데 비해 내국인은 외국인보다 한국이 ‘안정적이며 평화롭다‘라는 인식을 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정치 분야에 있어서 부정적인 평가가 두드러졌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결론 부분에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nation brand image and nation brand performance on South Korea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A survey of 111 Koreans and 129 Foreigners visiting South Korea was conducted in June, 2014.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assionate', 'leading', 'peaceful' among nation brand image dimensions.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economics, sightseeing, culture, and politics except for science technology. More specifically, foreigners had more positive impression about South Korea than Koreans do. Koreans, in particular, did not agree with the fact that Korea is carefree and peaceful place. They also had negative perception about politics of South Korea.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국가브랜드 향상을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체크리스트 제안 -국가브랜드 가치평가 요인에 기초하여-

        차은수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4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 간, 국가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많은 국가들은 긍정적 이미지 구축 및 브랜드가치 향상을 위해 국가브랜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이에따라 국가브랜드와 관련된 연구들은 지난 20 년 동안 외교, 경제, 마케팅 분야 등에서 진행되었으나, 국가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 접근방법 및 실제 적용 도구에 관한 연구는 부재하다. 국가브랜드 아이덴티티는 기업브랜드 아이덴티티와는 차별화되는 국가브랜드 평가 요인에 근거하여 그 특성이 추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확장된 개념의 국가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를 제안하고, 국가브랜드의 특성 및 국가브랜드 가치평가 요인에 근거하여 국가브랜드 전략 수립과 실행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가 체크리스트를 제안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은 문헌 고찰을 통해 국가브랜드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국가브랜드 가치평가 요인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를 종합하여 국가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체크리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NBI, BSI, SERI-PCNB NBDO 측정법을 종합하여 국가브랜드 가치평가 요인을 4개의 항목으로 분류하고, 이를토대로 총 20개 항목의 체크포인트를 제안하였다. 또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캐퍼러, 아커, 캘러, 뉴마이어의 이론을 재구성하여 4개의 대항목, 11개의 중항목, 24개의 소항목으로 세분화하여 체계화시켰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국가브랜드 아이덴티티는 국가브랜드의 특성, 국가브랜드 가치평가 요인,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성에 기초하여 접근하였다. 그 결과, 24 개의 항목의 국가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와 국가브랜드 가치평가 시 요구되는 20개의 항목의 체크포인트로 구성된 국가브랜드 아이덴티티 평가 및 측정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였다.

      • 수입농산물 과일의 원산지국가이미지, 브랜드이미지 및 지각된 품질 간의 관계연구: 자기해석의 조절효과

        권기대,김신애(Kim, Shine)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17 한국농식품정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2

        오늘날 소비자들은 국가 간의 FTA 체결로 여러 유통경로를 통해 열대과일들을 언제든지 볼 수 있으며, 수입된 열대과일들을 구입할 때, 농산물 평가에 중심단서로서 영향을 주는 원산지국가이미지, 브랜드이미지와 지각된 품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高潮)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6년 제 63회 백제문화재가 개최되는 기간 동안 굿뜨래 경영사업소를 방문한 172명의 최종 소비자를 대상으로 특정한 수입농산물 과일의 원산지국가이미지, 브랜드이미지 그리고 지각된 품질 간에 영향관계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경제사회지향 원산지국가이미지를 제외한 문화예술지향 원산지국가이미지는 현대적 및 매력지향 브랜드이미지에 유효하게 나타났으며, 또한, 경제사회지향 원산지 지향국가이미지는 친환경 건강지향 브랜드이미지에 기각된 반면에 문화예술지향 원산지국가이미지는 친환경건강의 브랜드이미지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경제사회 및 문화예술지향 원산지국가이미지는 전통 및 소박지향의 브랜드이미지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산물 브랜드이미지(현대적 및 매력지향, 친환경건강지향, 전통 및 소박지향)는 지각된 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기해석은 전통 및 소박지향 브랜드이미지를 제외한 농산물브랜드이미지(현대적 및 매력지향, 친환경건강지향)와 지각된 품질 간에 조절효과의 역할이 나타났다. 결론에는 농산물의 원산지국가이미지, 브랜드이미지, 그리고 지각된 품질 간의 영향관계와 자기해석의 조절효과에 대한 요약,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한계와 미래연구의 건설적 제언을 언급했다.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analyzed the relationship study among country of origin, brand image and perceived quality in import agricultural product which is focused on the effect of self construal perspective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ountry of origin images themes with respect to brand images of agricultural products based buying decision making theory. Sample size of analysis were 172 questionnaires. Analysis methods made the good use of SPSS Ver. 21.0. Analysis results verified that, first, except of advanced social-economic image of origin, culture art images of country of origin had positive effects on modern & attract driven brand images. eco-environment & healthy driven brand images. and Second, hypothesis showed that advanced social-economic image of country of origin & culture art images of country of origin had positive effects on traditional & naive driven brand images. Third, brand of multidimensional images(modern & attract, eco-environment & healthy) supported perceived quality. and self construal had moderated effect between brand images and perceived quality. Summary and strategy implication on franchisee will be mention in conclusion.

      • 영국의 국가 브랜드 전략 사례연구 : 對 중국 Think UK 캠페인을 중심으로

        최창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08 東西言路 Vol.23 No.-

        국가 이미지는 국가 경쟁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 인으로, 국가 간의 경쟁이 심화되어가고 있는 글로벌 시대에 그 중요 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많은 국가들이 국가 이미지 개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전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성공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가 이미지는 오랜 기간동안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일시적이고 단편적 인 홍보활동에 의해 쉽게 개선되지 않는다는 어려움이 있다. 영국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보다 장기적이고, 체계적이며, 통합적인 국 가 브랜드 관리전략을 수립ㆍ전개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영국은 국가 이미지 개선을 위한 ‘Think UK’ 캠페인을 2003년 중국에서부 터 시작하여, 2007에는 한국에서 전개하였다. 영국은 각종 국가 브랜드 경쟁력 조사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속적이고 일관된 캠 페인을 통해 영국만의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해나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3년 중국에서 실시한 Think UK 캠페인의 전개 배경과 실행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가 브랜드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 고자 하였다. 영국은 과거 Cool Britannia 캠페인의 실패를 교훈삼아, 국가 브랜드 전략을 위한 민관 협의체인 Panel 2000을 구성하고 국가 정체성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었으며, 공공외교위원회를 구성하여 다 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긴밀한 협력체제를 마련함으로써 국가 브랜딩 활동에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영국은 정기적인 조사를 통해 국가 이미지를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도출하고, 캠페인 효과를 측정함 으로써,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국가 브랜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이러 한 일련의 활동을 통해 영국은 중국에서 성공적으로 Think UK 캠페 인을 전개할 수 있었으며, 영국에 대한 인식 개선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었다. 국가 브랜드 구축은 상당히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질 때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Nowadays, country image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t is emphasized as a crucial factor in building the competitiveness of a country. Although many countries implement country brand campaign to build unique, strong and favorable country image abroad, most of the activities have not yet been successful. Country branding process is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and differs from branding companies and produc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nited Kingdom's country brand campaign and to find out implications for managing country image. The U.K. is the representative country to establish the long-term, systematic and integrated country brand management strategy. In 2003, it unfold the successful "Think UK" campaign in China. The secondary data of the U.K.'s country brand strategy were collected in British government's official websites and documents published and distributed by British Council, Foreign & Commonwealth Office and Public Diplomacy Board. The case of UK's campaign in China showed a number of important strategic implications. First of all, national consensus of country identity is most imperative. If there is no process to reach an national agreement, country branding will be failure. Second, various stakeholders' cooperation system makes country branding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Third, country brand campaign goal and strategy should be based on the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 Also, country brand managers must constantly evaluate the impact of brand campaign on country image and adjust their communication plans accordingly. Finally, IMC(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is essential. Most country branding organizations have very small marketing resources with which to unfold global campaign. Therefore, they are important to use non-mass-media in a creative way and to make brand message look and sound alike in all communication channels.

      • KCI등재

        브랜드 글로벌성, 국가이미지, 국가친밀성이 지불의사에 미치는영향과 브랜드 글로벌성과 전형성의 조절 역할

        조성도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4

        Traditionally country-of-origin effects and country image have been important topics in international marketing. However influential global brands brings about practical and academic interests toward the roles and impacts of brand globalness. Furthermore recently country affinity is considered as a critical cue for evaluating global products. It is an emotional construct that can be measured through attachment and sympathy. Unfortunately despite this trend prior studies have not analyzed the relationships systematically among brand globalness, micro country image and country affinity. Moreover perceived quality, brand prestige and purchase intention have been main consequences without considering the profit-related construct like willingness to pay. Recently some research is interested in antecedents that affect willingness to pay because it is more closely related to profit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mpacts of brand globalness on willingness to pay and micro country image and its positive moder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 country image and willingness to pay. Furthermore the influences of country affinity on micro country image and willingness to pay a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brand globalness plays three roles. This research reveals that brand globalness directly influences micro country image and willingness to pay and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 country image and willingness to pay. Moreover whereas prior studies have not tested the impact of country affinity on micro country im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s that country affinity affects micro country image and willingness to pay significantly. 개별 브랜드의 글로벌화가 활성화되면서 브랜드 글로벌성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있다. 전통적으로 원산지 효과, 국가이미지가 중요한 연구 주제였는데 글로벌 브랜드들이 많아지면서 브랜드 글로벌성의 역할과 영향력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공감과 애착을 통해 형성되는 국가에 대한 감정적평가인 국가 친밀성이 중요한 평가 단서로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브랜드 글로벌성, 국가이미지, 국가 친밀성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지 않았다. 그리고 기존 브랜드 글로벌성, 국가이미지 연구는 주로지각된 품질, 명품성, 구매의도와 같은 결과 변수에 초점을 두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지불의사와 같이 기업의 수익성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종속변수에 관심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5개국 10개 브랜드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브랜드 글로벌성이 세 가지 역할을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브랜드 글로벌성과 국가이미지를 독립된 관계로 설정하였으나 본 연구 결과에서는 브랜드 글로벌성이 미시 국가이미지와 지불의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미시 국가이미지와 지불의사의 관계를 향상시키는 조절변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존 연구에서는 국가 친밀성과 미시 국가이미지의 관계를 검증하지 않았는데본 연구 결과에서는 국가 친밀성은 미시 국가이미지를 향상시키면서 지불의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융합형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국가브랜드 전략 연구 - 문화창조융합벨트 ‘cel’ 사례를 중심으로 -

        박혜영,김상수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2

        국가 정책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국가 정책브랜드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국가 정책브랜드의 전략 수립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박근혜 정부의 국정 기조인 창조경제 정책을 해외 선진국 사례와 비교분석하여 국가 정책을 브랜드 전략 관점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정부 주도로 창조경제를 육성, 추진하고 있는 영국의 테크시티(TechCity)와 민간 주도로 창업 생태계가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의 실리콘밸리(Silicon Valley)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국의 창조경제 정책을 통해 개발되고 구축되고 있는 문화창조융합벨트(cel)의 브랜드 전략을 수립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창조융합벨트 cel은 융합형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브랜드 전략을 수립하여 기존 정책과의 차별화를 추구하고 지속적으로 정책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cel 거점 브랜드간, 정책 브랜드간 연계를 통해 거점간 기능과 역할, 장점에 집중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창출해야한다. 본 연구는 국가브랜드를 단순한 커뮤니케이션과 홍보 차원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국가 정책을 중심으로 국가 브랜드의 전략을 연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국가브랜드의 실체를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국가 정책과의 긴밀한 연관성을 창출해야 한다. 국가 브랜드 전략을 통해 국가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성공적으로 정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t recognizes the need for a national policy framework for brand management and consistent national policies and to propose a strategy of nation brand. This study compared the creative economy of Park Geun-hye government and foreign advanced practices derived the implications for national policy from the stand-point brand strategy.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ted Kingdom in promoting the creative economy to foster government-led , TechCity and the US Silicon Valley is a startup ecosystem to enable private sector were studied. Based on this, develop a brand strategy, creating a fusion of cultures that is being built and developed by the Korea Creative Economy policy of the cultural creation and convergence belt (cel) and proposed a plan activation. The cultural creation and convergence belt should be so that you can establish brand differentiation strategy with existing policies and ongoing management policies to enable the convergence startup ecosystem. Focus on the functions and roles, strength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stronghold of cel brand and brand policies and must create a variety of programs.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study the strategies that national brand around the core policy of the country, rather than a simple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brand communications and PR levels.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reality of national brand it should create a close association with the national policy. Through the national brand strategy and consistency of national policies will have to be successfully carried out this policy.

      • KCI등재

        국가브랜드로서 호랑이를 이용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마스코트 디자인 안

        황순선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4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5 No.39

        1980년 모스크바올림픽 미샤와 2014년 소치올림픽 폴라베어는 러시아 상징동물인 곰을 이용한 올림픽마스코트로 국가브랜드 파워의 대표적인 예다. 연구목적은 국가브랜드 파워로 서울올림픽 호돌이에 이은 2018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로 호랑이(백호)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상징동물인 호랑이가 국가브랜드로 가능한가? 를 연구문제로 기초연구는 상징동물과 국가브랜드에 관하여 조사했다. 이는 상징 동물 및 국가브랜드로서 호랑이, 호랑이민화와 이야기, 마스코트와 국가브랜드 캐릭터로 호랑 이를 포함한다. 응용연구는 서울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 디자이너인 김현 대표의 백호 캐릭터 스토리텔링을 기초로 디자인된 2018 평창동계올림픽 마스코트로 백호 캐릭터를 기획하여 포스터 및 문화․관광 상품으로 응용이포함된다. 결론으로 국가브랜드 조건은 역사․문화적 가치가 있어야 하며 둘째, 국민의 바람이 일치해야 하며 셋째,국제적 보 편성을 가져야한다. 이 조건에 맞는 대한민국의 유일한 상징동물은 호랑이며 국가브랜드로서 문화콘텐츠 상품이 될 수 있음을 디자인 예를 제시하여관련 분야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 Misha of Moscow Olympic mascot and PolarBear of Sochi mascot are the representativeexample of Nation Brand power, that used abear that is a symbolic animal of Russia.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anidea to use Tiger (white Tiger) as a mascotfor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following Hodori of 1988 Seoul OlympicGames as a nation brand power. The basic study of this paper researchessymbolic animals and nation brands, under thequestion ‘Is Tiger, a symbolic animal ofKorea, appropriate as a nation brand?’ Itincludes the concept of Tiger as a symbolicanimal and nation brand, Tiger in folktales andstories, and Tiger represented as a mascotand nation brand character. The application study of this paper presentsa character design of white Tiger based onthe character storytelling developed by Kim,Hyun. It then extends to the applicationdesigns for posters and promotional itemsrelated to culture and tourism, proposing thiswhite Tiger character as a mascot for 2018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In conclusion, nation brand needs toposses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beunited with the public’s wishes, and presentinternational universality. The only symbolicanimal that satisfies these criteria is thoughtto be a Tiger.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to contribute to the related field by presentingdesign examples in order to propose a Tigeras a nation brand and cultural contents.

      • KCI등재

        국가브랜드 이미지의 차원과 영향에 관한 연구

        김유경(You Kyung K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90

        본 연구에서는 서구인들이 평가하는 아시아 4개 국가의 브랜드 이미지 유형들을 브랜드 관점의 총체적 차원에서 표준화하고 이를 소비자조사를 통해 요인화하는 한편, 각 유형의 이미지들이 전반적 태도, 거주의도, 구매의도, 관광의도라는 4가지 차원의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들을 밝혀내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한국의 국가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서구인들의 인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궁극적으로 서구인들이 평가하는 한국의 긍정적 행동유발 국가브랜드 이미지가 무엇인지를 밝혀 국가브랜드 전략의 바람직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북남미권 미국과 브라질, 유럽권 프랑스와 러시아 국민 1,653명을 대상으로 아시아 4개국 한국, 싱가포르, 일본, 중국에 대한 국가브랜드 이미지와 소비자행동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서양인들이 인식하는 동양 4개 국가의 국가브랜드 이미지 차원은 역량적, 인격적, 활동적, 관계적, 성향적 이미지의 5개 차원으로 유형화된 결과가 도출이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국가브랜드 이미지의 5가지 차원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에 국가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서구인들의 국가 별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브라질은 역량적 이미지 차원, 러시아는 인격적 이미지, 프랑스는 관계적 이미지 차원에서 한국의 국가브랜드 이미지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의 유의미한 해석을 제공하는 다양한 결과와 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졌다. Although a substantial amount of research in place brand has been done to conceptualize national image, identify diverse dimensions, and explore the proper significances of each dimension, no paralle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consumer behavior on national brand image. In this research, the author develop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national brand image as well as its influencing factors, This was constructed by determining the number and nature of dimensions of national brand image(Competence-related, Human characters-related, Activity-related, Relationship-related, Propensity-related). The effects of each dimension on 4 aspects of consumer behavior were also identified: overall attitude, residence intension, tourism intension. and purchase intension. Survey was conducted on 1653 respondents from the United States, Brazil, France and Russia to evaluate country`s brand image and consumer behavior of 4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Singapore, Japan, and China. With a view to measuring the five national brand image, a reliable, generalizable and valid measure scale was created. Finally, a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symbolic meaning and use were discussed.

      • KCI등재

        이명박 정부 국가브랜드정책의 평가

        홍기원 한국국정관리학회 2014 현대사회와 행정 Vol.24 No.2

        국가브랜드정책은 국가의 이미지가 자국의 상품 및 서비스의 국제적 판매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착안하여 정부 주도로 한 국가의 대외적인 정체성을 구축하고 이미지화하여 이를 전파하는 작업이다. 국가브랜드정책의 목표는 국가이미지 제고를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국가가 생산하는 상품과 서비스 판매를 늘림으로써 국가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러나 국가브랜드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의 문제나 다양한 정책영역을 포함하게 되는 문제로 말미암아 정책 목표와 정책 내용은 괴리를 보이게 된다. 본 논문은 이명박정부에서 추진되었던 국가브랜드정책의 정책목표와 정책내용 및 추진체계를 분석하여 국가브랜드정책이 정책영역으로서 갖는 특수성을 설명한다. 국가브랜드정책은 브랜드를 정의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국가문화정체성을 차용하게 되어 문화정체성의 내재화를 목표로 하는 문화정책의 특성을 띠게 된다. 이명박정부의 국가브랜드정책은 산업적 차원에서의 마케팅적 목표, 국제정치환경에서의 한국의 역할강화라는 국제정치적 목표, 한국문화정체성의 우수성과 자긍심 확산이라는 문화정책적 목표의 혼재와 추진체계의 취약성이 결합하여 국가브랜드의 내재화를 통한 대외적 확산이라는 국가브랜드정책 목표 달성의 실패 사례를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