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운몽의 작자와 원본 재론

        이윤석(Lee, Yoon-Suk)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0 No.-

        고소설 연구자들 사이에서 『구운몽』의 원작이 한글본인가 한문본인가 하는 논란은 계속되고 있으며, 많은 이본 가운데 어떤 것이 원본에 가장 가까운가에 대해서도 여러 의견이 있다. 기존의 『구운몽』 이본 연구는 을사본, 서울대본, 강전섭본 등 세 종의 이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세 종의 이본 사이의 몇몇 단어나 문장의 비교만으로 『구운몽』 원본을 찾아내기는 어려우므로, 원본을 찾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다룬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이본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세책으로 유통된 한글본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이재(李縡)의 『삼관기』에 나오는 『구운몽』 관련 기록을 검토해서, 1689년 이전에 이미 한글본 『구운몽』이 서울의 부녀자들 사이에서 유행했다는 것을 밝혀냈고, 아울러 김만중이 선천(宣川)에 유배되었던 기간(1687.09-1688.11)에 『구운몽』을 썼다는 학계의 통설이 잘못임을 지적했다. 이재는 『구운몽』의 작자를 김만중이라고 말한 최초의 인물인데, 그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어떠한 증거도 제시하지 않았다. 그런데 김만중을 『구운몽』의 작자라고 지목한 조선시대의 기록은 대부분 『삼관기』를 그 전거로 삼고 있다. 이처럼 『구운몽』의 김만중 창작설은 믿을 만한 근거가 없으므로, 『구운몽』의 작자와 원본에 관한 논의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It is still controversial whether the original work of Kuunmong,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Korean old novel, is a Hangul version or a Chinese version. The original is not yet confirmed among the various versions. The previous studies of the different versions of Kuunmong was conducted mainly on three different versions. Because those studies only tried to find the original work with only a few different versions, the attempt to find the original of Kuunmong has not been successful. It is difficult to find the original by comparing some words or sentences between the three versions. In order to find the original of Kuunmong,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many more different versions. 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Hangul version distributed by lending library.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records related to Kuunmong in Lee Jae s Samgwangi, and found that the Hangul Kuunmong was already popular among women in Seoul before 1689. And I pointed out that the academia s popular belief that Kim Man-Jung wrote Kuunmong in 1687, when he was exiled to the Seoncheon district was wrong. Lee Jae is the first person to note that the author of Kuunmong is Kim Man-Jung, but he did not offer any solid evidence to support his claim. Some of these facts tell us that there is no reason to believe that the author of Kuunmong is Kim Man-jung. Therefore, the discussion about the author and the original of Kuunmong must be restarted from the beginning.

      • KCI등재후보

        조선민화박물관 소장《구운몽도(九雲夢圖)》의 시각화 양상과 특징: 포틀랜드박물관과 계명대박물관 소장품과의 비교 고찰을 중심으로

        장계수 한국민화학회 2023 한국민화 Vol.- No.19

        본 연구는 조선민화박물관 소장 《구운몽도8폭병풍》(이하 조선민화본)과 미국 포틀랜드박물관 소장 《구운몽도10폭병풍》(이하 포틀랜드본) 그리고 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 소장 《구운몽도6폭병풍》(이하 계명대본)의 화면 구성과 내용, 도상적 특징과 표현 기법 등을 살펴본 것이다. 이들 세 작품은 동일 도상을 공유하고 있으며, 소설 내용을 충실히 반영한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양소유와 첫 번째 여인 진채봉이 만나는 장면에서 시동이 등장하지 않는 점에서 그러하다. 소설에서 두 사람이 만나는 그순간에 시동은 여관으로 심부름을 갔었다. 다음은 양소유와 남해태자의 전투장면에서 남해태자는 용머리를 한 반인(半人)이 아닌 사람으로 표현되었기 때문이다. 소설에서 남해태자는 변신술을 사용해서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후 다른 작품에서는 도상의 오인(誤認)으로 용머리를 한 반인이 남해태자로 표현되기도 했다. 또한 조선민화본과 포틀랜드본은 모든 폭에서 양소유가 젊고 준수한 외모의 인물로 그려졌다. 소설에서 양소유는 남전산 도인과 헤어질 때 질병과 노화는 막을 수 있는 팽조의 방술서를 받았다. 때문에 은퇴한 만년에도 젊은이로 묘사되었던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내용으로 미루어 세 작품의 모본은 《구운몽도》의 초기 모본 중 하나일 것으로 판단했다. 소설에서젊은이로 표현된 양소유나 인간으로 묘사된 남해태자는 대부분 20세기 전후에 제작된 《구운몽도》에서는 다르게 그려졌다. 양소유는 수염이 있는 얼굴로, 남해태자는 용머리의 반인으로 변모되고 있다. 《구운몽도》는 한국 소설을 기반으로 한 그림이다. 때문에 초기에 제작된 모본은 소설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여 그려졌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세작품은 바탕 재질과 채색 안료, 금분과 금박의 사용 등으로 보면 상당히 고급품이다. 이런 고가의 병풍은 상류층 또는상당한 부(富)를 축척인 계층에서 사용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본래 소설 『구운몽』은 상류층의 독서대상으로 창작되었지만, 소설의 인기에 힘입어 이후 판매를 목적으로 다양한판본으로 제작되고 독자층도 확대되었다. 《구운몽도》 역시 소설 『구운몽』 독자층의 확산과 향유층의 저변화로 인해제작양상에도 변화가 일어났다고 여겨진다. 이처럼 소설 『구운몽』과 《구운몽도》는 우리의 사회 · 문화사적 변화를 읽어낼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 자료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구운몽도>를 통해서 본 19세기 후반의 채색화의 세 가지 계통

        이정희(Lee Junghee) 백산학회 2015 白山學報 Vol.- No.102

        『구운몽』 은 사대부였던 김만중(1637~1692)이 숙종(재위 1674~1692)시대에 유배지에서 1687~1688년사이에지은한문소설이요한글소설이다. <구운몽도>는민화로장식용병풍의그림으로 오해받아, 별로 회화사에서 제대로 된 위치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글에서<구운몽도>는처음에는화원의화가들이宮畫양식으로그려졌다가, 나중에사람들이 널리 즐기면서 양반사회와 상민들도 즐기게 민화식 작품도 나타났다고 주장한다. 필자는잔존, 19세기의 <구운몽도>들의 양식을 분석하고 계통과 연대를 추정해 보려고 한다. 그리고 추가해서 궁정회화 양식의 <구운몽도>의 계보를 세워보기 위하여 예를 분석하고 그 계통을 세우려 한다. 그러기 위하여 필자는 구운몽도의 배경에 나오는 산수화의 양식의 변화에 중점을두려고 한다. 포틀랜드미술관의 <구운몽도>는지금현존하는<구운몽도> 중에서 연대가가장이른것으로, 김득신(1752~1852)을 따르는 계통의 화원화가나 직업화가가 궁중양식으로 19세기 후반에 그린것 같다. 포틀랜드미술관의 <구운몽도>의 산수화의 양식은 김득신이 그렸다는 리움미술관의 <사계절도>(1815) 산수화의 양식에 가깝다. 성진이 팔선녀를 다리에서 만나는 장면의 산수화의 중점은원경인데, 성진과육관대사가사는곳을이상적으로걸작으로그렸다. 그리고포틀랜드미술관 병풍에 용, 게, 잉어, 새우가 半魚人으로 의인화하여 나타내는 것은 한국 미술의 새로운 주제로 이야기를 재미있게 그렸다. <구운몽도>의 두 번째의 계통은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상태가 좋고 직업화가가 자신있게 세세한 부분까지잘 그린작품이다. 샌프란시스코미술관의 <구운몽도>의 배경에는 산이 상반부를 거의 다 차지하고 중경이 거의 없다 싶게 되어 원경이 가까이 다가오게하였다. 높은산봉우리는 명암을 나타내고, 이것에기다란촉감의붓질로나타냈다. 이것은김홍 도(1745~1806?)의 산수화에서 보이는 양식이라서, 19세기의 김홍도 계통의 그림이라고 할 수있다. 성진이팔선녀를만나는그림에서는그림자같은것을검은색이아닌밝은색으로나타내서 물에 반사되는 것 같다. 샌프란시스코 그림의 정원의 구멍이 난 太湖石의 엷은 분홍색이나 대담하게 단순화된, 양식화된 것과 성진이 팔선녀를 만나는 장면에서 성진의 하얀 반투명한 모자를 통하여 부드러운, 검은 머리가 3차원적으로 명암대비가 되어 명암구사하여 나타나는 것은서양미술의영향으로보인다. 짙은푸른색안료들중의일부는“서양푸른색”이라고부르는데, 화학적 염료이다. 이 서양의 물감은 훨씬색깔이 진하고, 청명하고, 색이 선명하게 살아있는것같아서19세기말에그려진宮中繪畫(소위宮畫)에쓰여졌다. 샌프란시스코의그림이포틀랜 드의 그림보다 늦은 시기로 19880년대의 그림일 것이라고 추측된다. 온양 민속박물관에 있는 <구운몽도>는 김홍도 계통의 그림으로서, 산봉우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산봉우리들을 삼각형의 밝은 석청과 석록의 편편한 추상적인 모습은 1880년도의 궁화 <일월오병도>와 같이 산수가 추상적이고 큐비즘같이 면을 쪼개서 나타내듯이하였고 또 전통적인 평면적인 공간이 아니라 대각면으로 3차원적인 공간을 나타내었다. 온양 민속박물관의 구운몽은 그것을 궁중화적으로 창조적으로 그린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구운몽 스토리는 보통 일반인이나 상인들 사이에 유행하여서 19세기 말에 저명한 화가나 민화화가들이 여러 가지 변화있게 작품을 그린 것 같다. 이것의 좋은 예가 파리의 기메박물관(Musée national des arts asiatiques 이나Musée Guimet) 소장의<구운몽도> 한 폭이다. 이 작품은 연대가 확실한 19세기 말의 1888년경의 작품으로 <구운몽도>의 연대를 알 수 있는 단 하나의 작품이다. 이작품은배경의산수화가아주다르다. 중경의산수화는없어지고, 하늘은노란색으로 단순화되고 추상적이어서, 거의 빈 공간이 된다. 여기서 구름은 노을이 지듯이, 붉은색은 프랑스의 후기 인상파 그림같이 표현적인데 고갱의 후기 인상파 그림과 거의 동시에 일어 난일이다. 추상적인형상과단순한거의일차색의노랑, 빨강과파랑과연초록이색깔의조화로입체감이 있는 산을 나타낸 장식적 산수화 풍경이다. 전체 그림이 평면적이고, 공간의 깊이가 없이, 완전 추상적인 구도가 적응되었고, 탁월한 색채감으로 1880년경에 한국만의 민화적 채색화의 구운몽이다. 조선시대가 1910년에 막을 내리고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면서 화원제도가 사라지자, 전통양식의 화가나 유민화가들은 계속적으로 사람들의 요구로 그림을 그리게 된다. 이런 사회조건은 전통적 양식이나 기술의제약에서 화가들을벗어나게 하였고, 20세기의 민화양식의<구운몽도>가 발달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작품들은 기술적으로는 정제되지 못했고, 단순하 The novel The Nine Cloud Dream or The Cloud Dream of the Nine is a rare novel written by Korean scholar-official Gim Man-jung(1637~1692). The novel was written sometime between 1687 and 1688 in his exile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r. 1674-1720). The Nine Cloud Dream screen paintings or Guunmongdo were misunderstood as minhwa or folk-paintings and thus have been regarded as in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Guunmongdo was first painted in the court style by the court and professional painters, and later, as they became popular among the upper classes and the common people, they were painted by less established painters and even by itinerant painters in the minhwa or folk style. I plan to do an in-depth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amples of paintings of Guunmong or the Nine Cloud Dream of the 19th century and try to date them. In addition, I plan to analyze the aspects of the court-style paintings of Nine Cloud Dream painting to trace the lineages. For the lineages, I focused on the spatial treatment of the landscape elements, compositions and western elements. The ten-panel Nine Cloud Dream painting in the Portland Art Museum is probably the earliest extant painting. It was probably painted by court or professional painters following the lineage of Gim Deuk-sin(1754~1822) in the court style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style of the landscape in the screen is similar to that of the Landscape of the Four Seasons(1815) by Gim Deuksin. The focus of the landscape of the scene of Seongjin’s encounter with the eight fairies is the tall mountain retreat in the background. This portion of the painting is a masterpiece, ideally depicting the tall monumental mountains. The screen is unusual because it depicts the battle scene of the sea creatures as half human and half dragon, crab, or shrimp. This is new subject matter in Korean art and is a light-hearted depiction of the narrative. The second lineage of Nine Cloud Dream painting is found in the screen painting in the collection of the Asian Art Museum in San Francisco. This is a good painting in good condition, confidently painted by a professional painter with meticulous care. A large space is dedicated to the mountains in the background, and the middle ground is abbreviated thus bringing the background close. The mountain peaks are depicted with contrasting light and dark and defined with elongated soft brush strokes. This style is often found in the landscape paintings of Gim Hong-do(1745-before 1818), so this style can be identified as in the 19th century lineage of Gim Hong-do. The modeling of the stream below the bridge where Seongjin meets the eight fairies is defined not with gradations of black, but with different colors so that it gives the illusion of reflections on the water. Other more advanced features in this screen painting are the perforated rocks in the garden which are painted with light pink and are in boldly simplified geometric form. The treatment of the hair shown through the half-transparent hat of Seongjin is three dimensional, exposing the light and dark contrast modeling. The Asian Art Museum’s Nine Cloud Dream painting also shows the axe-cut strokes on the rocks and vibrant colors, similar to the Sun, and Moon and Five Peaks screen dated 1880 in the Jordan Schnitzer Museum collection. The Asian Art Museum’s Nine Cloud Dream painting uses strong blue and vibrant decorative colors. The chemical blue dye paint from the West was applied thickly, clearly, and boldly to enliven the painting, but it is found peeling off. Thus the painting probably dates after 1871, after the pigments were introduced. The Nine Cloud Dream painting in the collection of the Folk Art Museum at Onyang is another example of the Kim Hong-do lineage. The distinct mountains occupy most of the space, and the abstract bluish green abstract shapes and the patternized wrinkles of greenish blu

      • KCI등재

        <구운몽도>를 통해 본 <구운몽>의 회화적 성격과 그 의미

        강혜진 ( Kang Hyejin ) 한국고전문학회 2021 古典文學硏究 Vol.60 No.-

        본 논문에서는 고소설 가운데 유독 <구운몽>이 병풍화로 자주 그려진 요인을 기존 병풍화의 주제와 <구운몽>의 특징을 통해 고찰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우선 <구운몽>은 내용적 측면에서 기존 병풍화의 주제들을 포괄하기에 적합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고사인물도인 <곽분양행락도>의 대저택이나 <요지연도>의 초월적 세계 등을 아울러 담아내기에 유리한 서사 구성을 취하고 있었으며 매 첩마다 미인을 등장시켜 미인도 향유의 전통도 잇고 있었다. 한편 <구운몽>의 특징을 그와 비슷한 시기에 널리 읽혔으며 내용상으로도 기존 병풍화의 주제와 상통되는 <숙향전>, <소현성록>과도 비교하여 살핀 결과, <구운몽>의 미인에 대한 묘사는 <숙향전>의 묘사보다 구체적이었으며 <소현성록>의 묘사보다 개인별로 차별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그림으로 그려질 만큼 선명한 미인의 象을 제시하기에 <구운몽>이 갖는 利點이 컸던 것이다. 또한 공간 묘사의 측면에서도 <구운몽>은 등장인물의 시선을 따라가며 원경-중경-근경을 골고루 매끄럽게 이어 묘사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이는 화폭에서 배경을 구상하고 전체적인 구도를 설정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고소설 가운데 유독 <구운몽>이 병풍화로 그려졌던 이유를 어느 정도 해명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구운몽도> 병풍을 경유하여 <구운몽>을 읽어보면, <구운몽>의 향유가 미인이라는 캐릭터 중심으로 이뤄졌을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구운몽도> 향유자들은 <구운몽>으로부터 삶에 대한 통찰을 음미하기보다는 그에 표현된 초월적인 아름다움을 시각적으로 구현하여 감상하고자 했다. 동시대 그 어느 소설에서보다도 생동감이 넘치는 미인들, 그리고 그에 부대하는 개성적인 사건들과 이색적인 세계를 화폭에 담아 즐기려 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구운몽도>는 그림으로 된 <구운몽>의 異本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이를 가능하게 한 요인이 <구운몽>이 이룩한 표현 측면의 발전이었으니, <구운몽>에서는 인물과 공간에 대한 묘사가 실로 한 편의 그림처럼 구체화되고 차별화되어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이 <구운몽도>를 통해 읽어낼 수 있는 <구운몽>의 특장점이라 하겠다. This thesis tri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were frequently created as folding screens among the classic novels through the theme of existing folding scree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ine Cloud Dre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ine Cloud Dream was suitable for encompassing the topics of existing folding screens in terms of content. In particular, it had an advantageous narrative composition to capture both the great mansion of the narrative painting, the Gwak Bunyang Haengnakdo (the painting of Guo Fenyang’s Enjoyment-of-Life) and the transcendental world of Yojiyeondo(the Painting of Xiwangmu’s Banquet at the Jade Pond), and also had a tradition of beauty paintings by featuring beauties in each screen.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ukhyangjeon and the Sohyeonseongrok which widely read at the same time as the Nine Cloud Dream, it was foun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beauty of the novel The Nine Cloud Dream was more specific than that of The Sohyeonseongrok and differentiated by individual. In other words, the advantage of The Nine Cloud Dream was great because it presented the image of a beautiful woman that was clear enough to be painted. In addition, in terms of spatial description, the novel The Nine Cloud Dream was characterized by following the character's gaze and describing the longitude, the middle, and the near landscape evenly and smoothly. This works advantageously in devising the background from the canvas and setting the overall composition.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was possible to explain to some extent the reason why the novel The Nine Cloud Dream was painted as a folding screen among classic novels. Reading the novel The Nine Cloud Dream via the folding screens of The Nine Cloud Dream makes to find the possibility that the enjoyment of The Nine Cloud Dream was centered on the character of a beautiful woman. Instead of savoring the insight into life that appeared at the end of the novel, the enjoyers of the paintings of The Nine Cloud Dream tried to praise transcendent beauty; they tried to enjoy the lively beauty and the unique events associated with it in the canvas since the novel The Nine Cloud Dream depicted them better than any other contemporary novels. In this regar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paintings of The Nine Cloud Dream is a different edition of The Nine Cloud Dream in pictures. In addition, since the factor that made this possible was the development of the expression aspect achieved by the novel The Nine Cloud Dream,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escription of characters and spaces is actually embodied and differentiated like a single picture. This is the feature of the novel The Nine Cloud Dream that can be read through the paintings of The Nine Cloud Dream.

      • KCI등재

        동양 異文化의 표상一夫多妻(polygamy)를 둘러싼 근대 『구운몽』읽기의 세 국면 — 스콧(Elspet Robertson Keith Scott), 게일(James Scarth Gale), 김태준의 『구운몽』읽기 —

        李祥賢 동아시아고대학회 2007 동아시아고대학 Vol.15 No.-

        이 글에서는 스콧(Elspet Robertson Keith Scott), 게일(James Scarth Gale, 1863~1937), 金台俊 (1905~1949)의 전근대와 변별된 근대 구운몽읽기를 분 석했다. 근대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던 ‘서구 독자를 위한 구운몽서설’, ‘구운몽영역본’, ‘조선소설사 기술을 위한 구운몽연구’라는 글쓰기 형태로 구운 몽에 대한 이들의 독서체험․활동이 표출되었다. 이들의 구운몽읽기는 ‘동양 과 서양’, ‘전근대와 근대’, ‘한국어와 영어’, ‘남성과 여성’이란 인식론적 구별에 의거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한 언어에서 또 다른 언어로의 번역’을 상정하는 바 탕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근대적인 것이었다. 스콧에게 있어 구운몽은 ‘사랑이야기’(로맨스)였으며, 텍스트 속 남녀관계 는 서구의 ‘러브’와 동등한 층위로 가치를 지닌 ‘사랑’이었다. 스콧은 구운몽독 서체험을 통해, 그가 들을 수 없는 동양 여성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그리고 ‘스스로의 목소리’ 그리고 ‘스스로의 선택’이라는 자율성(혹은 주체성)을 지닌 여 성형상 그리고 결혼에 있어 ‘Love와 등가물적인 련’관념(낭만적 사랑)을 발견 했다. 그러나 그러한 독서체험의 전제에는 게일의 텍스트 변용이 있었다. 미성년 의 성진을 성년의 성진으로 변모시키고, ‘연애의 통로가 없이 직접적으로 이루어 지는 육체적인 정사’를 제거함으로 『구운몽』의 사랑을 ‘낭만적 사랑’에 근접한 것으로 번역했다. 이러한 『구운몽』의 일부다처제 속 여성형상은 그들이 이해할 수 없는 전근대의 동양 그러나 근대에 와서도 지속되는 전근대의 공간, 이상화된『구운몽』의 시공간 중국에 놓여 있기에 더욱더 정당화되었고, 스콧의 독서체험의 표출을 일으킨 셈이다. 그 속에는 『구운몽』속에 내재되어 있는 서구와는 다 른 남녀관계를 이해하며 읽어낸 게일의 독서체험이 있었다. 김태준은 『구운몽』이 일부다처주의를 정당화한다는 점을 비판했다. 스콧이 발견한 마음속의 불만을 말하는 『구운몽』의 여성들 자신도 불교적 숙명론에서 벗어날 수 없는 존재로 그는 파악했으며, 개별 여성들의 형상은 중요한 문제가 아니었다. 여기서 일부다처주의는 불교적 숙명론과 함께 귀족과 노비란 계급적 모순을 지닌 극복해야할 동양의 과거로 존재했는데, 『구운몽』은 이를 정당화해주는 텍스트였다. 이런 김태준에게 구운몽은 신비로운 동양의 이문화를 말해주는 텍스트로만 규정되어서는 조선의 고전소설일 수가 없었다. 그것을 가능하게 한 조건은 ‘조선말’의 중요성을 강조한 국민문학가 김만중이란 텍스트 외부에 놓인 조건이었으며, 이것이 게일, 스콧의 『구운몽』읽기와 변별되는 김태준의 『구운몽』읽기였다.

      •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구운몽도>연구

        이상국(Lee, Sang-kook) 한국민화학회 2021 한국민화 Vol.- No.15

        이 글은 가회민화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구운몽도>와 <구운몽혼합도>, <혼합고사도> 7점을 통해서 20세기 <구운몽도>의 양식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는 글이다. <구운몽도>의 원천이 되는 소설 『구운몽』은 서포 김만중이 자신이 선천에 귀양갔을 때 혼자 계실 어머님을 위해 저술한 한문소설로 조선후기에 가장 인기 있었던 조선 소설이다. 소설을 그림으로 그릴 때는 소설의 서사[이야기]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장면을 잘 연결하는 방식으로 묘사를 해야 하는데 <구운몽도>병풍은 소설의 이야기를 잘 설명하기 위해 대개 20여 장면이 그려졌던 것으로 보인다. <구운몽도>병풍은 20여 장면 중에 6-10폭을 결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구운몽도>의 대표적인 장면인 <석교장면>은 대부분의 <구운몽도> 병풍이나 <구운몽도>와 결합된 병풍들에서 빠짐없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18세기부터 <구운몽도>가 그려진 것으로 판단되는데 지금 남아있는 작품은 대개 20세기에 제작된 것이다. 남아 있는 작품들 중에서 19세기 작품들은 그림 자체만으로 소설을 묘사하는데 충실하게 보인다. 20세기 작품들은 소설을 묘사했지만 그 내용을 잘 이해할 수 없거나 화제와 다른 내용의 그림인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20세기 뿐만 아니라 남아 있는 대부분의 <구운몽도>병풍들이 소설의 이야기 전개 순서에 따라 장황[표구]된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현상은 가회민화박물관 소장의 작품들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연구된다. 이것은 20세기 이후 민화에서 보이는 장식성과 반복된 모사(模寫)에 따른 현상인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the stylistic features of <Guunmongdo> in the 20th century through the 7 pieces of <Guunmondo>, <Goounmonghonhabdo> and <Honhabgosado> in the collection of the Gahoe Museum. The novel Guunmongdo, the source of the novel Guunmong, was written in Chinese for Seopo Manjoong Kim’s mother, who was alone when he went to Seoncheon, and was the most popular Joseon novel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novel is described in a way that connects each scene that helps in understanding the story of the novel. The <Guunmongdo> screen consists of combining 6~10 widths out of 20 scenes. It is confirmed that the <Seokgyujanmuen>, a representative scene of <Gunnmongdo>, is included in most of the <Guunmongdo> screens or in screens combined with <Guunmongdo>. It is believed that <Guunmondo> was painted in the 18th century, but most of the works remaining today were made in the 20th century. Among the remaining works, the 19th century works seem faithful in depicting the novel with the picture itself. 20th century works depict novels, but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content is not well understood or there is a picture with content different from the topic. In addition, it seems that most of the remaining screens of <Guunmondo>, as well as the 20th century, are rarely shown in the order of the story development of the novel. This phenomenon is studied as a common occurrence in the works of the Gahoe Folk Painting Museum. This seems to be a phenomenon due to the decorativeness and repeated copying seen in folk paintings since the 20th century.

      • KCI등재

        일반논문: 구운몽도 연구

        정병설 한국고전문학회 2006 古典文學硏究 Vol.30 No.-

        There is a close relation between novels and paintings. However novels in Choseon did not have any paintings in their book. Some paintings concern with the novels in Choseon were painted in Byeong-poong[canvas for blocking the wind] or silk canvas. Just the scenes of several novels, Kuunmong[九雲夢], Sanguoji[三國志演義], Chunhangjeon[春香傳], etc. were painted. Sanguoji is Chinese novel, among the Korean novels, Kuunmong is a representative. Kuunmong Paintings had been probably painted since the late 18th century, Seoul. In the center of Seoul there was a art gallery in which Kuunmong Painting were sold, and some paintings had been painted by wandering painters in the rural area. Some Kuunmong Paintings were painted in a silk canvas, and others were painted in Byeong-poong that had 4-10, mostly 8 or 10 canvases. Kuunmong Byeong-poong have 4-10 pictures in sequence. The pictures of Kuunmong in sequence shows the romance of the characters, the fantasy and harmony that the peoples in Choseon had dreamed. For example, the meeting with Kyeseomweol, Gachunun shows the romance of the characters, and the meeting with Baekneungpa shows the fantasy. 대개 소설과 그림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조선시대 소설에서는 삽화를 하나도 찾아볼 수 없다. 이는 조선소설의 독특한 면모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삽화는 없어도 소설 내용을 그린 그림은 얼마간 전한다. 소설 그림이 전하는 소설로는 중국소설로 <삼국지연의>, 한국소설로 <구운몽>이 대표적이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별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또 관심을 가졌다 해도 자료의 한계로 본격적으로 연구되지 못했던, 조선시대 소설 그림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다. 이 글에서는 일단 한국소설 가운데 가장 많은 그림을 전하고 있는 <구운몽> 그림에 초점을 맞추었다. 각급 박물관의 도록 등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으며, 아울러 <구운몽도>의 연원을 문헌 기록을 통해 검토하여 그것의 문화적 위상을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운몽도>의 각 장면을 분석하였는데, 지면의 제한으로 인하여 충분히 논의하지 못했지만, 조선인들에게 <구운몽>이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는 볼 수 있었다. <구운몽도>를 통해 볼 때, <구운몽>은 주로 낭만성, 환상성, 조화성의 측면에서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던 것으로 보인다. 당대인들에게 <구운몽>은 유불도 삼교의 사상적 가치보다, 또는 다른 어떤 이념적 가치 지향보다, 현실에 지친 독자들에게 이상 공간을 마련해 주었다는 데 더 의미가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구운몽의 창작 동기와 주제의식

        설성경 ( Sung Gyung Sul ) 택민국학연구원 2008 국학연구론총 Vol.0 No.1

        서포 김만중이 살았던 17세기 후반은 정치적 격변기였다. 특히, 1680년대는 숙종의 환국정치와 노론과 남인간의 치열한 갈등으로 국정이 혼란 속에 있었다, 게다가 국왕의 왕비 교체 문제는 이런 혼란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정치적 혼란 속에서 서포 김만중은 경연 끝에 국왕 숙종에게 시정의 여론과 조사석의 인사 문제를 거론하다가 숙종의 분노를 싸서 선천에 유배되었다. 그는 선천 유배 중에서도 효심이 많은 학자 출신의 고급 관료답게, 효심의 토대로 한 한시「사친시」를 창작하였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사친시의 서사화에 비유될 수 있는 소설「구운몽」을 창작하여 한양에 있는 모친 윤씨에게 보내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 후 남해에 유배 중에는「사씨남정기」와 더불어 모친을 위해 다시 짧은 전기 형식의 「정경부인 윤씨행장」을 모친 사후에 지었다. 이러한 유배 중에 창작한 그의 창작물 중에서도 소설「구운몽」은 그의 효심을 발휘한 특별한 소설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왜냐하면, 당시의 선비들이 한시를 창작하는 것은 일상적인 것이었지만, 고급 관료가 소설을 창작한다는 것, 그리고 소설 작품을 창작하여 모친에게 바친다는 것은 일반 유학자로서는 아주 예외적인 일에 속하기 때문이다. 서포 김만중이 유배 중에「구운몽」창작한 이유에 대하여 조선조 시대의 실학자 이규경은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 모친을 위하여 지은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기록에 근거하여 그 이후의 다수의 비평가들은 「구운몽」의 창작 이유를 모친을 위한 파한거리로 이해하게 되었다. 필자는 서포 김만중이「구운몽」을 창작한 이유가 모친을 위한 단순한 파한거리로서 파악하기에는 너무나 진지한 주제가 작품 속에 담겨 있기에, 비록 모친을 위한 창작이라고 하더라도 모친을 위하는 작자의 의도는 파한거리의 차원이 아님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즉, 서포 김만중이 모친 윤씨를 위하여 「구운몽」을 창작하였다는 평가의 근거는 그의 모친 윤씨가 소설을 즐겨하였다는 사실과, 소설을 지어 모친에게 보냈다는 것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은 서포 김만중은 늙은 모친의 파한거리를 위해 창작한 것이 아니라, 효와 충을 주제로 한 소설로써 모친의 고통을 풀어주고, 국왕의 마음을 바로잡게 하려고 소설을 창작하였다. 즉,「구운몽」의 주제를 염두에 두고 모친을 위한 창작이라는 쪽에서 창작동기를 살펴보면, 그것은 일상적인 차원으로서의 여성들과는 위치에 놓여있던 모친을 위로하기 위한 창작으로 해석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구운몽」의 창작 동기와 관련한 작가 서포 김만중이 생각한 모친의 위로는 파한의 차원이 아니라,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친 남편 김익겸의 영혼을 위로할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그 무엇이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에「구운몽」의 주제의식과 관련된 창작 동기는 숙종이 보여준 왕후와 궁녀 사이에서 야기된 애정 갈등 내지 궁중 혼사 문제 제기와 그 갈등의 해소 방안과 연관하여 접근하여야 적절할 결과를 얻어내게 될 것이다. The latter half of 17th century that Seopo KimMan-jung lived was the era of political turbulence. Due to severe conflicts between factions the administration of the country was in confusion.. Moreover, the problem of the king’s replacing the queen made this confusion more complex.. Due to such political confusion, Seopo Kim Man-jung proposed honest words to the King and because of this he was exiled to Seoncheon. He was devoted to his parents and a high ranking government official of scholar origin and wrote a Chinese poem ‘Ode to Parents’ based on his filial devotion in the early period of exile. And in the middle years of exile he wrote a novel ‘Guunmong’. And in the latter period of exile, he wrote ‘Yoonsihaengsang’, which is a kind of a short biography. Of his literary works, the novel ‘Guunmong’ has a special meaning since it was very common for classical scholars of the times to write Chinese poems but it was very exceptional for a high ranking government official to write a novel. With regard to the reason why Seopo Kim Man-jung wrote a novel, a practical scientist in the Joeseon dynasty Lee Kyu-kyeong assessed that it was written for her mother. Based on such records, most of the critics afterwards understood that Guunmong was written for a pastime for her mother. Now, let’s reveal the fact that the reason that Seopo Kim man-jung wrote Guunmong was not just to present a pastime for his mother. The assessment that Seopo Kim man-jung wrote Guunmong for his mother Yoon is based on the fact that his mother Yoon enjoyed novels and he sent her the novel that he wrote. But in fact, Seopo Kim Man-jung wrote the novel to relieve her mother’s pains and correct the mind of the King by the novel whose theme is filial devotion and loyalty to the King, rather that just to present a pastime to his old mother. In other words, the theme of Guunmong contains the author’s intention to console the soul of his father Kim Ik-gyum who dedicated his life for the country, not just to ease her mother’s pains. Moreover, the theme of Guunmong includes the author’s intention to correct the mind of the King who fell in love with a court lady temporarily. In view of such a theme, the motive of writing the novel Guunmong can hardly be said to be a pastime for his mother.As such, the incident relating to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ist monk which Guunmong describes contains the author’s intention to have the King become aware of his confused mind. And a young Buddhist monk is reincarnated into Yangsoyu and leads a happy life with several wives and concubines, which implies that the King should select his subjects of different dispositions in a balanced manner.

      • KCI등재

        일반논문 : 구운몽>과의 현대적 소통 -현대역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송성욱 ( Sung Uk Song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1 한국고전연구 Vol.0 No.23

        <구운몽>과의 현대적 소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소통을 위한 텍스트가 전제되어야 한다. 이 텍스트는 원전으로서의 <구운몽>이 아니라 일반적인 독자들이 읽을 수 있는 현대역 텍스트여야 한다. 본고는 <구운몽> 현대역 텍스트의 번역 및 구성 양상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삼는다. <구운몽> 현대역 텍스트는 독자들의 연령대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어야 한다. <구운몽>을 원전에 가깝게 번역하는 것은 일반 독자 즉 대학생을 포함한 성인을 염두에 둔 것이다. 물론 독서 능력이 거의 완성된 고등학생까지 감안했을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상당히 까다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작품 곳곳에 서술되는 전고의 처리, 문장이나 문단의 구획, 문장의 서술어 처리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하나둘이 아니다. 지나치게 원전에 구속되면 가독성이 떨어지고 원전에서 벗어나려고 하면 원래 작품의 분위기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한다. 그런데 가독성에 치중한 나머지 단어를 생략하거나 표현을 바꾸었을 때 발생하는 중요한 문제를 놓치는 경우가 대부분의 텍스트에서 발견된다. 사소한 부분은 놓칠 수도 있으며, 굳이 청소년이나 아동들에게 전달될 필요가 없는 부분도 있다. 특히 아동이라면 오히려 전달되지 않는 편이 더 나을 법한 장면도 있다. 그런데 대개의 현대역 텍스트는 이러한 전략적 고려가 없이 편의에 따라 만들어졌다는 비판을 피할 길이 없어 보인다. <구운몽>과 현대적 소통을 시작하면서 복잡한 연구사적 맥락이 깔려있는 주제나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 우선적인 사안은 아니다. 이 문제는 뒤로 미루어도 될 듯싶다. 먼저 강조해야 할 것은 <구운몽>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고전소설의 미학이며, 고전소설 전체에 걸쳐 있는 지형도이다. 이 문제가 풀리지 않고서는 <구운몽>을 자발적으로 읽으려는 독자층을 확보하기 힘들다. <구운몽>과 현대적 소통을 시작하려는 현대역 텍스트들도 이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have an intention of inspecting on the trends of the text-studies and indicating the vision of future, focus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Guunmong>. It is a matter of common knowledge that the interpretation or re-writing of classical novel is very important to the read the korean novel. In matter of fact so many re-writing texts have been printed, but there are a few survey carried out. Text-studies is recognized as not the area of an essential study but an marginal study as well. Without re-writing text, contemporary communication to classical novel such as <Guunmong> is not possible. The study of text have an intention of the position of bibliographical study simultaneously whit the position of analytics. As a part of this studies, I suggest that the scholar who investigate text itself have to make the text as the model of example. The study of re-writing text and survey of interpretation to classical novel aims to make good text. I suggest here what the good text is, what the condition make good text. <Guunmong> is the most important novel in the side of history of novel and education of literature, so this study focuss on the <Guunmong>.

      • 「구운몽」남해 창작설에 대하여

        설성경 ( Sung Gyung Sul ) 택민국학연구원 2010 국학연구론총 Vol.0 No.6

        17세기의 소설 작가 김만중은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를 창작하였다. 그런데, 이들 두 작품 중에서 「사씨남정기」는 남해에서 창작한 것이 분명하지만, 「구운몽」은 그 창작지에 대한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다. 그 결과, 김만중의 「구운몽」이 언제 어디에서 창작되었는가 하는 것은 고전소설 연구의 과제가 되어왔다. 이 문제에 대하여, 1960~70년대에는 김태준, 김무조, 설성경 등은 남해에서의 창작을 주장하였고, 이가원, 김병국 등은 선천에서의 창작을 주장하였다. 그런데, 1988년 『서포년보』가 발견된 이후, 김병국은 『서포년보』에 있는 “김만중이 선천 유배 시절에 ‘몽환’이라는 저서를 모친에게 보내어, 모친을 위로하였다‘는 기록을 근거로 구운몽은 선천 창작을 주장하게 되었다. 이 논문이 발표된 이후, 국문학계에서는 「구운몽」의 창작지는 선천이며, 그 시기는 숙종 13년에서 14년 사이로 보는 것이 통설이 되었다. 그런데, 현재 김무조와 남해의 일부 향토학자는 『서포년보』의 ‘몽환’을 「구운몽」으로 해석할 수 없고, 『서포년보』를 신뢰할 수 없는 기록으로 파악하여 선천 창작을 부정하고 있지만, 이것은 오류라고 판단된다. 그 이유는 『서포년보』는 18세의 기록물로는 신뢰도가 높으며, ‘몽환’은 「구운몽」의 주제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러함에도 김무조가 남해 창작설을 거듭 강조하는 것은 남해 지역의 관광문화 자원 개발을 계기로 이런 주장을 남해 지역의 일부 향토 역사연구가들이 활용하여 구운몽은 남해에서 창작되었다는 점을특별히 부각시키면서 왜곡된 애향심을 발휘하는 쪽으로 나아가게 되어, 남해설과 선천설이 대등하게 맞서는 것으로 군민들이 오해하게 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이제 필자는 남해 지역에서는 조선조의 대학자요 한국 최고 수준의 소설가인 서포 김만중이 유배라는 절망적 상황 속에서도 좌절하지 않고 시시비비를 가렸던 「사씨남정기」를 창작한 문학정신을 재현시키기 위해서도 더 이상의 불필요한 창작지 논란을 잠재우고, 정통학자들의 정설 내지 통설을 수용하는 겸허한 자세가 필요한 때라고 판단한다. 왜냐하면, 그 길은 곧 민족문학을 높인 서포의 업적으로, 한국 최초의 남해유배문학관을 세웠고, 다시 이어서 서포의 유배지인 남해군상주면 노도에 <문학의 섬>을 조성하는 거대한 관광문화 사업을 시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Kim Man Jung, a 17th-century author wrote novels ‘Guunmong’and ‘Sassinamjeonggi (Ms.Sa’s Conquest of the South). However, among the two, Sassinamjeonggi is almost sure written in Namhae, but for Guunmong’s place of writing there is debate among scholars. As a result, it has been a subject of classical novel research where Guunmong was written by Kim Man Jung. On this, in 1960s to 70s, Kim Tae Jun, Kim Mu Jo and Seol Sang Gyeong argued for writing in Namhae, and Lee Ga Won and Kim Byeong Guk supported writing in Seoncheon. However, in 1988, as ‘Seoponyeonbo (Log in Seopo)’ was found, Kim Byeong Guk started argue that Guunmong was written in Seoncheon, quoting “Kim Man Jung wrote Monghwan and sent the work to his mother to console her, while he was exiled in Seoncheon.” After the thesis was released, in the literature area, a theory that says Guunmong was written in Seoncheon and between 13thyear to 14thyear of King Sukjong’s rule became wide spread. However, currently, Kim Mu Jo and some local scholars in Namhae argue that the ‘Monghwan’ in ‘Seoponyeonbo’ cannot be interpreted as Guunmong, and Seoponyeonbo is not a credible, denying the Seoncheon theory, but this is deemed as error. The reason is that ‘Seopomanpil’ is a credible source in 18thcentury,and Monghwan is theme of Guunmong, for 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