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의 관계에 대한 헤르바르트의 이해

        김창환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5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1 No.1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의 관계에 대한 헤르바르트의 이해와 그가 제시하는 모델은 이후 독일 교육학에서 계속되는 토론의 기초를 제공하였다. 특히 정신과학적 교육학자들은 교육학에서 이론과 실천의 관계문제를 그들 교육학의 성격을 규정하는 기본 요소로 받아들이고 있다. 정신과학적 교육학자들은 이 토론과정에서 물론 헤르바르트의 이론보다는 슐라이어막허의 이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발전시켰다. 교육학이 그 성격상 실천학인 점을 고려해 볼 때, 헤르바르트가 이론과 실천의 관계에서 이론에 우위성을 둔 점을 그들은 비판하고, 실천의 우위성을 강조하였다. 헤르바르트의 교육이론이 일차적으로 교육실천을 인도하는 이론(Theorie fu¨r die Praxis)인 반면, 정신과학적 교육학의 교육 이론은 교육실천으로부터 성립된 이론(Theorie von der Praxis)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그리고 헤르바르트의 이론과 실천의 관계에 대한 모델이 이론으로부터 출발해 실천을 향한 일직선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면, 정신과학적 교육학자들은 이론과 실천의 관계를 순환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즉, 교육이론은 실천을 바탕으로 성립된 것이고, 교육실천은 이론의 인도를 받고 있기 때문에, 이론과 실천의 관계는 상호의존적이고 순환적이라는 것이 그들의 의견이다. 이론과 실천의 관계에 대한 헤르바르트의 이해를 정신과학적 교육학자들이 비판하고 반론을 제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헤르바르트가 제시한 이론과 실천의 중재자로서의 교육적 지혜(pa¨dagogischer Takt)는 그들에 의해 건설적으로 받아들여졌다. 교육적 지혜는 헤르바르트에게 있어서 이론의 인도를 받는 교육실천을 위한 교사의 실천적 능력이다. 그것은 배울 수 있고 연습할 수 있는 능력이다. 그것은 특별히 예측불가능하고 복잡한 교육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다. 헤르바르트의 이러한 교육적 지혜 개념은 이론과 실천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따라서 여기서 교사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한 정신과학적 교육학자들에 의해 깊은 관심대상이 되었다. 그 결과 교육적 지혜는 현대적인 개념으로 재해석되었다. 블로흐만(E. Blochmann)은 그것을 교사의 덕(Tugend)으로, 볼노(O. F. Bollnow)는 그것을 교사의 특수한 능력(Ko¨nnen)으로, 폽(W. Popp)은 교사가 모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된 능력(Disponibilita¨t)으로, 그리고 슈바이쩌(H.-M. Schweizer)는 교사의 판단능력(Urteilskraft)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개념들은 이론과 실천을 연결하고, 교사교육의 성패를 가늠하는 척도로 제시되었다. 헤르바르트의 교육실천(Praxis) 개념에서 드러나는 또 다른 관점은 그의 교육실천 개념이 경험과학적 교육학자들의 기술(Technik) 개념과는 분명히 구분된다는 점이다. -이 점에서 그는 정신과학적 교육학과 입장을 같이한다 - 경험과학적 교육학자들은 교육 이론을 보편성을 띤 하나의 법칙(Gesetz)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것을 바탕으로 그들은 교육상황을 재구성하고 예견하고 계획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본다. 여기서 교육실천은 바로 그러한 법칙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들은 교육의 목적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목적은 교육외부로부터 이미 주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단지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에만 관심한다. 주어진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법칙에 따라 이루어지는 교육행위, 이것이 경험과학자들이 생각하는 교육실천이다. 그러한 교육실천은 곧 교육기술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경험과학적 교육학이 갖고 있는 오류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지는 않겠다. 단지 교육실천과 관련해 두 가지 문제점만 지적하고자 한다. 먼저 경험과학적 교육학자들은 이론 성립의 바탕이 되는 교육상황을 근본적으로 잘못 파악하고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교육상황은 대단히 복잡해 어떤 법칙에 따른 예측과 계획은 가능할 지 모르나, 그것이 실제 상황에서 그대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오산이다. 한 예로 무의도적인 잠재적 교육과정이 표면적 교육과정과 함께 교육상 황을 움직이는 중요한 힘이라는 젊은 경험적으로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더 나아가 경험과학적 교육학자들은 교육대상인 어린이를 교육의 주체에서 교육의 객체로 그 지위를 격하시켰다. 교육의 대상인 어린이는 교육이 하나의 기술로 이해되는 곳에서 인격적인 존재가 아니라, 목표에 따라 생산된 하나의 결과물이다. 여기서 교육실천을 구성하는 핵심인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나와 너의 관계(Ich-Du-Verha¨ltnis) 그리고 주체와 주체와의 관계(Subjekt-Subjekt-Verha¨ltnis)가 아니라, 나와 그것과의 관계(Ich-Es-Verha¨ltnis) 그리고 주체와 객체와의 관계(Subjekt-Objekt-Verha¨ltnis)로 변질된다. 교육적 지혜(pa¨dagogischer Takt)에 대한 헤르바르트의 이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헤르바르트는 교육실천(Praxis)을 하나의 예술(Kunst)로 파악하고 있다. 예술이란 여기서 교사의 자의적인 행동이 아니라, 이론의 인도에 따르는 반성적인 교육행위를 말한다. 동시에 어떤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적인 성격을 띤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교육적인 의미를 지닌 행위이다. 이론과 실천의 관계에 대한 헤르바르트의 이해는 교사교육과 관련해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오늘날 우리의 교사교육 특히, 중등교사교육을 보면 이론교육과 실습이 분리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먼저 이론을 배우고 졸업전에 실습을 하면 교사자격이 부여된다. 이론교육과 실습이 상호관련성 속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여기서는 배제되고 있다. 그 결과 교육이론과 교육실천 사이의 괴리는 더 깊어진다. 헤르바르트는 교사교육에서 실습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이론교육과 실습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할 때 비로소 이론과 실천은 상호관련성 속에서 움직이게 되며, 학생들은 구체적인 교육상황에 대한 이해를 갖출 수 있고,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고 헤르바르트는 본다. 그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 헤르바르트는 대학 내에 교육연구소나 실험학교를 설치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미루어 볼 패, 헤르바르트의 이론-실천 관계 이해는 그의 시대적 한계를 뛰어 넘어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교육의 이론과 실천의 관계를 해명하고, 이론-실천간의 밀접한 관계를 모색하는 데 있어 하나의 길잡이가 되고 있다.

      • KCI등재

        학교미술교육에서 문화적 환경으로서의 교사 위치와 역할

        진은정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8 No.-

        On the ground of current curriculums which are centered on contemporary art education and capability, this thesis will examine the teacher's role and position as an environmental influence on art education in school. Discussion on an environment for learning art will focus on teacher, one of the integral elements in building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fundamental, intrinsic angle where human behavior itself is seen as learning environment, while it has been focused on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ll the while. To do so, it is necessary to look over the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 and trends in general education and also to examine art-education condition at school through schoolteachers' perspectives on and insight into art education, and features of the faculty culture. This can reestablish schoolteachers' positions and roles in art education and project how important their behaviors are in creating environment for learning art to understand life and culture better. Additionally, since their demeanor, utterance, facial expressions, including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which are naturally exposed to students, can play involuntary but critical roles at school, serving as curriculums unknowingly, teachers should introspect continuously and make an effort to utilize such daily school life as the very art education. 이 논문은 삶과 문화의 맥락이 강조되는 현대미술교육과 역량 중심의 현행 교육과정에 따라, 학교미술교육을 위한 환경적 요인으로서의 교사 위치와 역할에 대해 논한다. 그동안 미술교육환경에 대한 논의가 물리적 환경론에 치우쳐왔다면, 인간 활동 그 자체를 환경으로 보는 내재적 관점에 입각하여 미술교육환경 구성의 주체 중 교사에 초점을 맞추어 미술교육환경에 대한 논의를 풀어간다. 이를 위해 오늘날 미술교과교육의 특성과 현대교육일반의 동향 및 새롭게 주목받는 지식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현장 교사들의 미술교육에 대한 이해와 인식 정도, 교사문화의 특징을 통해 학교미술교육의 상태 및 교육 여건에 대해 진단해보면서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오류와 간과 지점들을 검토할 것이다. 끝으로 학교미술교육에서 교사의 위치와 역할을 재설정하고, 교사의 역량 문제에 대한 해결이 학교미술교육의 정상화와 활성화를 위한 선행 조건임을 지적한다. 생활공간인 학교에서 학생들이 마주하는 교사의 태도, 언행, 표정 등 교사의 언어적 행위뿐 아니라 비언어적 행위까지 교육내용이 되어 전달되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역할을 하는 만큼, 교사는 문화적 환경의 속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에 교사는 자신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 지속적인 성찰적 실천을 이어갈 수 있어야 하고, 학교생활 자체가 학교미술교육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학교미술교육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프랑스 역사교육의 제도화와 현대사 중심 교육의 의미

        金楨仁(Kim, Jung-In) 역사교육연구회 2020 역사교육 Vol.154 No.-

        Where the French’s passion for national history came from? This exceptional phenomenon can be easily understood by looking at the long history of the France. During the Great Revolution, the French formed a consensus that education for citizens, the sovereigns of the newly constructed state, was needed. However, it took a long time, almost 100 years, before the plans of the Revolution were put into effect. The stability of each government after the Great Revolution, could only be obtained through the support of the people, through history education. In the text we cross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the history of educational system, the history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history of history. We were able to examine the process of organization of history education in France and the establishment of a history education curriculum centered on contemporary history. In fact, this was a process in which France formed an identity as a modern nation-state. The formation of people through history education was a process of justification of the republican system that formed the national unity by using the Great Revolution as a new starting point for contemporary epoch.

      • KCI등재

        예비체육교사 교육에서의 전공교육 혁신을 위한 문제해결형 교과 운영 사례 탐색

        권민정(MinJung Kwon),김영욱(YoungWook K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체육교사 교육에서의 전공교육 혁신을 위한 문제해결형 교과 운영 사례를 탐색하여 미래의 체육교사 교육이 담당해야 할 교육 방향은 무엇인지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내용은 예비체육교사를 위한 문제해결형 교과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 교과 운영 지원을 위한 혁신적 교육 환경 구축, 교과 운영의 효과 검증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팀티칭 연구회 협의, 전문가 협의, 문헌분석, 설문조사 및 IPA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서는 첫째, 문제해결형 교과 개발의 방향 설정, 팀티칭 연구회 협의를 통한 교과 선정, 총 16주차를 4단계(기초학습/현장연계학습/심화학습/평가학습)로 조직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사례를 제시하였다. 둘째, 혁신적 교육환경 구축 결과로 크롬북활용 및 강의실 공간 디자인, 이동식 스마트 전자칠판 활용, 라이브 스트리밍 체육수업 실습 환경 지원, 현장 역량 강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활용 기회 제공 사례를 제시하였다. 셋째, 교과 운영의 효과를 5개 설문영역(교육내용, 방법, 환경, 분위기, 평가)의 평균값과 IPA 매트릭스의 4개 사분면(유지, 과잉, 저순위, 집중)에 위치한 선택 속성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시사점 및 제언에서는 체육교육과 문제해결형 교과는 현장 연계형 교과, 교과 교육 및 비교과 교육에서의 문제해결 역량을 교육하는 교과, 다양한 테크놀로지 기술의 교육과 융합하는 교과, 과정중심평가를 실시하는 교과로 운영되어야 함을 논의 및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implication of the educational direction for physical education(PE) teachers in the future, by exploring the operation cases of problem-solving(PB) subject for the innovation of major education for pre-service PE teach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contents were set up as the development/operation of PB subject curriculum, establishment of innovative education environment for supporting the subject operation, and the verification of effects of the subject operation. In th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consultation with team-teaching research society/experts, literature review, and IPA method through the survey were utilized. In the results, first, this study presented setting up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B subject, selection the subject through operation of the team-teaching research society, and the cases developing/operating the curriculum composed of four steps(basic/field-connected/intensified/evaluation learning). Second, this study presented the cases of utilizing Chromebook, space design of classroom, smart e-blackboard, the practical environment of live streaming PE clas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to utilize softwares for strengthening the field competencies. Third, this study explained the effects of subject operation through the mean value of five survey domains and the meaning of selection attributes located in the four quadrants of IPA Matrix. In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his study discussed the PB subject of PE should be the field-connected subject, the subject teaching the PB competency within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the subject converged with the education of various technologies, and the subject applying the process-centered evaluation.

      • KCI등재

        과거사를 통한 동아시아 공생과 평화교육: 일본 초등학교 사회과교육 사례연구

        차보은 한국일본교육학회 2023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과거사를 중심으로 역사 수업을 하는 초등학교 사회과교육의 특징과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일본 S 초등학교의 사회과교육 중 역사 수업은 조몬시대부터 시작하는 국가 교육과정 달리 1945년 8월 15일 패전 날부터 어두운 과거사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례연구 방법으로 S 초등학교의 독특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2019년부터 2020년까지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학교 교육과정, 수업 자료, 교사 수업 일지, 학생 수업 활동지, 소감문, 수업 보고서 등을 수집하였고, 현장의 경험과 관찰 내용을 현장 일지로 공책에 기록하거나 녹음하여 의미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S 초등학교는 동아시아 타자들과의 공생을 중요한 교육 목표로 여긴다. 이를 위해 국가 중심의 집단 기억을 해체하고, 평화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한다. 일본의 역사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해석과 구축으로서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둘째, 어두운 과거사를 중심으로 일본의 역사를 재구성하여 평화교육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동아시아 공생을 위해서는 가해의 역사, 과거사를 제대로 마주하고 다시는 이와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긴다. 이를 위해 천황의 전쟁 책임, 난징대학살 등 국가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다양한 기억을 통해 집단 기억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역사교육을 통해 동아시아의 타자들과 정서적 유대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이와 같은 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다른 나라의 아픈 역사에 공감하고 과거사를 기억・ 전달하며 평화를 위하여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S 초등학교의 사례는 과거사를 제대로 마주하는 교육과정이 혐오를 넘어 동아시아 역사 화해와 평화로 이어지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Kano모형을 통한 평생교육기관 교육서비스품질 속성분류 연구

        심지연(Ji Youn Shim)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3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 No.1

        연구배경 : 평생교육의 확대와 성장의 선상에서 ‘학습자 중심’의 평생교육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평생교육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여 평생교육 학습과정을 설계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목적 : 교육서비스제공에 있어서 고객인 학습자가 인식하는 품질 속성을 Kano모형을 통해 분류함으로써 학습자의 니즈를 파악하여 평생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 제공에 구체적이고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평생교육서비스품질 관련 선행연구를 근거로 평생교육기관 학습자 및 교수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평생교육기관 교육서비스 품질 요인을 도출한 후 Kano 모형을 통해 품질속성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 학습자의 교육서비스 품질 만족의 증가를 위해서는 교육의 물리적 환경의 관리와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배려, 교육내용 요인, 학습자의 다양한 상황을 고려, 다양한 교류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 평생교육분야의 교육환경과 특성을 고려한 교육서비스품질 요인과 요소를 도출하고 Kano모형을 교육서비스품질에 적용한 연구를 통해 평생교육분야의 교육서비스품질 요인과 요소 도출과 Kano모형을 학습자의 니즈파악 측면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는 평생교육분야의 선행연구로서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Background : The paradigm is shifting to 'learner-centered' lifelong education on the line of expansion and growth of lifelong education. Purpose : To present specific and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services b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by identifying the needs of learners by classifying the quality attributes recognized by learners, who are customers, through the Kano model in providing educational services. Methodology / Approach : This study derived quality factor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learners and instructor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lifelong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then classified quality attributes through the KANO model. Findings / Conclusions : In order to increase learners'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service quality, manage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education, consideration for various situations of adult learners, educational content factors, and opportunities to form various exchanges and networks by considering various situations of learners provided was found to be important. Implications : Derivation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actors and elements consider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and deduction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actors and element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through research applying the Kano model to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KANO model to learner's needs The evidence as a preceding study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that it can be used in the aspect of identification is presented.

      • KCI등재

        통일미술교육 방법으로 신문화사적 관점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조영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8 No.-

        Restoration of homogeneity in the ethnic community is the main purpose and justification for the conventional art education on unification. However, the ‘homogeneity’ in the current art education on unification is limited solely to traditional culture, which brings about the problem of being isolated from the daily lives of the students and eliminating their judgments on forming a perspective on unifi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new cultural history and its perspectives to suggest a resolution to the issues associated with the current art education on unification that relies on ‘homogeneity’, and to present a new direction on art education on unification. New cultural history is an expression of a micro-level cultural historical perspective which seeks to understand and respect the various cultures of the world away from the existing ideological and political historical narratives. New cultural history is focused on the regionality and individuality in human history and seeks to describe history on perspectives from the ways of life of an individual identified by the effects from the environment and geography. As such, this perspective of new cultural history shows great interest in the thoughts, judgments, and influences of an individual on various issues of life, and shows a deep correlation with the social changes through education in that the insight, creativity, and actions from individuals become the driving force of the development of histo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new cultural historical method of art education on unification is characterized by the ‘expansion of perceptions’ and ‘creating individual texts.’ These characteristics allow for the expansion and fusion of an individual’s world-view through art education on unification, and constitute an effective method of education for moral values. Furthermore, by pursuing a post-modernist interpretive method that allows for the student to understand unification in various contexts, this method of education ultimately allows for the student to experience social changes through art. 그동안 통일미술교육의 당위성은 민족공동체의 동질성 확립으로 귀결된다. 그런데 전통문화중심의 동질성 회복만을 통일미술교육의 목표나 당위성으로 설정했을 때, 통일교육이 아이들이 사는 현실과 동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통일은 이제 교육이나 정책적 문제가 아닌 학생들에게는 현실 문제라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질성’에 의존하는 기존 통일미술교육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통일미술교육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기존 통일미술교육 연구내용을 확인하고 새로운 통일미술교육 관점과 방향으로 신문화사적 역사 해석 방식에 주목하고자 한다. 신문화사는 기존의 이데올로기적, 정치사적 역사 서술에서 벗어나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려는 태도를 지닌 미시적, 문화적 역사 인식의 발로다. 신문화사는 인류사의 지역성, 개별성 진행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따라 역사를 환경과 지리적 영향 하에 나타나는 개별 구성원의 생활양식에 초점을 맞춰 서술하려고 한다. 이런 관점은 다양한 생활 속 이슈에 관해 개인의 사고와 판단, 개인의 영향력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각 개개인의 통찰력과 창조력, 그리고 행위를 역사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에 의한 사회변화와도 깊은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기존 통일 담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통일미술교육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해 신문화사의 역사해석 관점을 통일미술교육에 적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대학 교육과정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인증평가 지표 개발

        오종욱,나은창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ertification evaluation index for a curriculum that integrates major education, general educa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research conducted a tho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urriculum accreditation and examined cases in domestic universities. Additionally, a Delphi survey of experts was conducted to derive the final draft of the curriculum certification evaluation index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The evaluation indicators consist of four areas, five items, and 26 indicator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managing a curriculum that integrates major, general educa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o enhance curriculum performa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esents curriculum certification evaluation indicators that facilitate the redesign of the major-general education-extracurricular curriculum into a comprehensive integrated curriculum, rather than treating them as separate components. Moreover, this study proposes, for the first time in domestic universities, an integrated curriculum certification evaluation system that surpasses the traditional separate certification evaluations conducted for major, general educa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se university curriculum certification evaluation indicators are expected to be valuable for integrated curriculum quality management. Lastly, this study also developed items to evaluate the specific domains of the major, general educa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이 연구는 대학의 전공, 교양, 비교과 교육을 통합한 교육과정 인증평가 지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 인증 관련 선행연구와 국내 대학 사례를 분석한 후 전문가 대상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여 CIPP 평가모형 기반의 교육과정 인증평가 지표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 교육과정 인증평가 지표 범주를 공통지표(전공, 교양, 비교과)와 공통지표에 포함되지 않는 전공, 교양, 비교과 특성을 반영한 지표를 반영하여 4개 평가영역, 5개 평가항목, 26개 평가문항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전공, 교양, 비교과를 통합한 교육과정 운영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교육과정의 어느 한 부분이 아니라 총체적 관점에서 전공-교양-비교과 교육과정을 하나의 유기적인 연계 교육과정으로 재설계할 수 있는 교육과정 인증평가 지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그동안 전공, 교양, 비교과 교육과정으로 각각 나누어 수행해온 대학의 인증평가 관행을 탈피하여 국내 대학 최초로 하나의 교육과정 인증평가 체계를 고안했다는 점이다. 대학의 인재상과 교육목표에 근거한 총체적 전공-교양-비교과 교육과정 인증평가 지표는 통합적 교육과정 질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셋째, 통합적인 평가지표 이외의 전공, 교양, 비교과 개별 교육과정 영역이 갖고 있는 본래적 성격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문항을 추가함으로써 교육과정 간 상보적 운영 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한국미술교육에 나타난 후기모더니즘적 성향과 정체성에 관한 비평적 연구

        장준석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post-modernism, the mainstream trend of the world, influences Korean art education and figure out art university’s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Korean art culture and the situation of art education critically. Unfortunately, so far, the Western tastes or phenomena have been often adopted uncritically, or the trends of art modernized in a wrong way have existed mixedly in Korean art university education under the name of nationalism or Korean styles. Active induction of advanced culture means not only to absorb the world’s trends promptly and realize cultural communion but also to combine and apply them more properly as more Korean-style art and art education. Instead of accepting the internationality of Western post-modernism as simple logic, it would be needed to understand the ground directly as well as aggressively and also filtrate and consider it retrospectively. This should be essential for our art and art education, too. It would be just cursory imitation or copying to accept what is Western just as it is with no verification. This is naturally against post-modern thinking and causes confusion in Korean art and education. Within the diverse changes and aspects of the West, we should absorb some common denominators. In other words, for Korean art education to present desirable conditions for art education, it is needed to grope for realistic gaps between Western patterns and our art concretely and then accept them. Only when Western post-modern art is improved appropriately for Korean art education, we can see the potentials of Korean art equipped with its own legitimacy. Above all, when it creates the lives of ours genuinely and when we participate in the history of global art actively with thorough understanding and affection for our history, we can revitalize our art and art university’s art education. The world today demands homogeneity in many ways. So far, we have maintained silence about the demand for homogeneity. Instead of being silent about the Western art trends literally, it is important for us to present desirable directions for our lives and discuss in order to find ways for Korea art and art education to proceed newly.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미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후기모더니즘을 미술교육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따라서 후기모더니즘 담론이 지니고 있는 교육적인 현상을 고찰하고, 기존 교육과정과 새로운 탐구 학습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후기모더니즘 이론을 확대 해석하고 비평적 관점을 견지하였던 1980년 이후의 이론들에서 교육적인 영향관계를 정리·분석함은 한국미술교육의 한 부분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고 체계화시키는 일이다. 이를 위해 먼저 후기모더니즘의 틀에서 정체성을 형성·발전시킨 미술 교육의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미술교육의 중심을 정체성에 두고 미술교육이 보다 체계적으로 융화·발전해가는 현상을 살펴보았다. 후기모더니즘과 후기구조주의 시대의 정체성의 방향과 특징 등을 미술교육과 관련 자료들을 통해 학술화 및 체계화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로 근대 이후 서구화된 한국미술 교육의 열악한 교육 환경을 극복하며, 보다 생산적인 방향에서 한국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후기 모더니즘 시대의 정체성이 담긴 새로운 미론과 미술교육 그리고 비평의 틀을 체계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후기모더니즘 이론에서 정체성을 지닌 미술이론을 추출하여 새로운 형태의 미술이 전개될 수 있도록 미술교육에 대하여 향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이론적·실천적 계기를 부여하는 데 있다.

      • KCI등재

        독일 역량중심 미술과 교육과정의 과정역량과 내용영역 분석

        이슬기(Lee, Seul Ki),배지혜(Bae, Ji Hye)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4

        본 연구는 독일의 역량중심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독일의 바이에른, 바덴-뷔르템부르크 주의 김나지움 교육과정이며, 두 교육과정에 제시된 미술 교육의 목표, 과정역량, 내용영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독일 역량중심 미술과 교육과정의 역량 모형은 이미지 역량의 학습과 관련된 활동을 제시하는 과정역량과 미술의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는 내용영역으로 구성되고, 교육목표로서 교과 역량인 이미지 역량을 강조하며, 미디어를 내용영역에 제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술과 교육과정의 개정을 위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영역은 미술의 다양한 장르를 반영하여 구체적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 목표로서의 교과 역량과 일관성을 갖는 구체적인 하위역량을 내용체계에 제시해야 한다. 셋째, 시각문화 환경의 변화에 따라 미디어를 내용영역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art curricula of two German states, Bavaria and Baden-Württemberg, to find potential areas of improvement for the curriculum revision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process competency, and content areas presented in the curricula are analyzed and compar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Competency models in German art curricula are presented as a combination of process competencies and content area. The process competencies represent the procedure of art, such as reception, production, and reflection. The content area consists of various art genres, such as graphics, painting, plastic arts, architecture, and media. Furthermore, the curricula emphasize image competency as visual literacy and media constitutes one of the content area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art curricula should accommodate the content areas that cover a comprehensive repertoire of artistic mean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fine sub-competences which are in consistency with the upper-class subject competency in terms of the educational goal in the content system. Last but not least, the content areas should include media considering the current visu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