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교사가 생각하는 ‘연구자로서의 교사’

        권의재 ( Kwon Uijae ),조부경 ( Cho Booky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4

        본 연구는 ‘연구자로서의 교사’에 대하여 유치원 교사가 어떠한 생각을 하고 있는지 들여다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연구자로서의 교사에 대한 생각을 충분히 드러낼 수 있다고 판단된 공립유치원 교사 6명이었다. 2019년 5월부터 11월까지 교사별로 3회씩 총 18회 심층 면담이 이루어졌으며, 이 외에 동료 교사와의 면담, 연구보고서, 출판 서적 등 기타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가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의미 있는 진술문을 표시하고 해석적 메모를 작성한 뒤 범주화하는 해석적 분석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자료 분석의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해 구성원 확인과 관련 분야 대학원생 3명의 동료검증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첫째, 참여교사들은 교사와 연구자를 분리하기도 하고 동일시하기도 하였다. 일부교사는 교사와 연구자의 역할이 서로 다르다거나 연구자의 삶은 교실을 벗어난 곳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또 다른 교사는 교사가 연구자 역할을 해야 하지만 체계적인 연구결과로 교실에 기여해야 한다거나 교사의 교실개선을 위한 모든 노력이 연구이므로 교사는 마땅히 연구자라는 등 다양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 개인의 앎과 삶의 방식에 따라 연구에 대한 생각과 그에 대한 맥락도 다르게 형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치원 교사들의 연구자적 삶을 더 깊이 이해하고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the concept of teacher as researcher. Six experienced teachers were invited to share their thoughts about the concept of teacher as researcher.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total of 18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three times for each participant from May to November, 2019. The data from interviews were reviewed by peer checks and analyzed as analytical framework to derive common categories and sub-characteristics. The results indicated the disposition as to how teachers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researcher, and how the concept of ‘researche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ir own ‘knowledge’ and ‘life experience’.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as a researcher needs to be further understood and examined.

      • KCI등재

        연구자로서의 교사 되기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최예슬 ( Choi Ye Seul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1 교육인류학연구 Vol.24 No.4

        이 글은 연구자인 ‘나’가 ‘연구자로서의 교사’로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린 자문화기술지이다. 나는 이 글에 내 삶의 모습을 생생하게 재현하고자 했고,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이 나의 자전적 이야기를 통해 연구자로서의 교사 되기 과정 속 진솔한 체험과 그에 관한 의식들에 주목하기를 바랐다. 이 글은 독자들이 연구자로서의 교사 삶의 문화적 맥락을 깊이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연구자로서의 교사 되기 과정을 ‘태어나기’, ‘날아보기’, ‘떨어지기’, ‘날아가기’라는 의미적 틀로 제시하였다. ‘태어나기’에는 교육의 목적 찾기에 대한 열망으로 연구자 삶을 시작한 이야기가, ‘날아보기’에는 연구자로서의 교사상에 관한 긍정적 자아개념이 형성·발달되며 연구자로서의 교사로 성장을 해나가는 이야기가, ‘떨어지기’에는 연구자로서의 교사상에 관한 부정적 자아개념이 형성되며 성장에 어려움을 겪는 이야기가, ‘날아가기’에는 좌절을 극복하고 다시, 진정한 연구자로서의 교사가 되기를 꿈꾸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나는 연구자로서의 교사들이, 이상으로만 여기던 생각들을 우리 교육의 현실로 만들기 위해 끝없는 비상을 꿈꾸기를 바란다. 수많은 실속(失速)을 경험하더라도 날갯짓을 멈추지 않고, 푸른 하늘을 더 높이 더 멀리 비행하며 숭고한 목표를 추구하는 조나단 갈매기 무리처럼 빛나기를 빈다. This study is an autoethnography that tells the story of my growing up as a ‘teacher as researcher (TAR).’ The process of becoming a TAR is reproduced in this article. I tried to honestly describe my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lated to the process. Through this, I expect that readers of this article would be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cultural context of the life of TARs. In this article, the growth period of TAR is divided into four stages of ‘Birth,’ ‘Flying,’ ‘Falling,’ and ‘Flying high.’ In ‘Birth,’ there is the story of a teacher trying to be a passionate TAR. In ‘Flying,’ there is the story of growing up as a TAR by forming and developing a positive self-concept regarding the image of TARs. In ‘Falling,’ there is the story describing difficulties in growth as a TAR by forming a negative self-concept. In ‘Flying high,’ there is the story of overcoming setbacks and dreaming of becoming a genuine TAR again. I want TARs to dream of a leap forward in order to make a story that was only dreamed of as an ideal to become a reality in our education. Even after experiencing numerous stalls, I hope that they will not stop flapping their wings, fly higher and farther in the blue sky, and shine like a flock of Jonathan Seagulls pursuing a noble goal.

      • KCI등재

        교사 연구자가 연구 과정에서 경험하는 ‘역할 갈등’분석

        이은주(Lee Eun Joo)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연구 과정에서 경험한 교사 연구자의 ‘역할 갈등’을 분석하여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교사 연구의 실제를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연구자’로서 교사 연구자의 어려움, ‘실천가’로서 교사 연구자의 어려움, 연구자와 실천가의 ‘역할 충돌’에 의한 갈등으로 나누어 3가지 주제를 통해 분석되었다. 첫째 연구의 맥락에서 교사들은 현실 적용이 어려운 연구 방식과 방법의 엄격성에 대한 회의를 느끼고 자기 연구와 자기 성찰의 한계를 경험하였다. 연구자로서 교사 연구자의 갈등은 교사의 변환적인 역할에 대한 가능성을 내포하기도 하지만 실천의 맥락에서 한계를 드러내며 그 원인은 교사가 교직으로부터 느끼는 현실적 만족의 부재 때문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천의 맥락에서 교사들은 실천에 대한 높은 이상을 가졌으나 전문적 확신이 부족한 상태에서 실천의 불완전성을 호소하였다. 게다가 교사 연구의 범용적인 네트워크와 기록의 문화가 부재한 상황에서 교사들은 소통과 공유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갈등은 이론과 실제의 통합적 관련성을 찾는 과정에서 전통적 연구관을 탈피하지 못한 데서 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연구자와 실천가의 역할 충돌에 의한 갈등이 나타났는데, 교사는 연구 과정에서 시공간 제약을 받고 이중 역할을 완수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겪으며 소진과 번 아웃을 경험하였다. 또한 연구하는 교사에 대한 주변의 시선과 편견이 교사 연구자의 정체성에 고뇌와 갈등을 불러일으켰고, 교사들은 진로 전환에 대한 고민과 더불어 이중적인 역할을 조화시키는 데 한계를 경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eacher research through the voices of the experienced individuals by analyzing the Role Conflict of teacher resear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ole conflict of teacher researchers experienced by teachers is divided into the difficulties of teacher researchers as Researcher , the difficulties of teacher researchers as Practitioner , the conflicts of Role Clash as a researcher and practitioner. First of all, the difficulties of teacher researchers as the Researcher are experienced in the context of the research. Teachers feel Skeptical about the Strictness of the Method which is difficult to apply for field texts and research methods and have raised doubts about whether the traditional research method is suitable for their research. In addition, teachers have difficulty in revealing the narrative and reflective experiences of practice as a self-study in the research in a genuine and active way and have experienced the limit of self-reflection through researches. Therefore, the role and perspective of teacher researcher as a Researcher guarantees the possibility of the transformative role of teacher researcher, but it also has limitations in the context of practice. The fundamental cause of this limitation is the lack of real satisfaction from the teaching profession and career. On the other hand, the difficulties of the teacher researchers as the Practitioner appeared in the context of practice. When teachers study their practice, they have a high ideology of practice and a lack of professional confidence and call for Incompleteness of Practice . Teachers were not able to pinpoint and inspect the sophisticated direction of curriculum design in terms of how effective or theoretically it was in practice. At this time, the research of the teacher was not a reflective praxis, but just a teaching action. In addition, teachers experience limitations of universal application due to Lack of Communication and Sharing in the absence of a general network of communication and documentation culture of practice through researches. Such difficulties as a practitioner and a researcher can be summarized as difficulties in finding an integrated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conflicts stemming from failure to move away from traditional researchers. Next, the researcher and the practitioner showed Conflict due to Role Clash . Teachers are constrained by temporal and spatial aspects and feel pressured and burdened to fulfill a dual role. They also feel physical and mental extreme fatigue and experience Burn Out . The images of teacher researchers are relatively negative or distorted in the field and such Prejudices against the Teacher Researcher have caused agony and conflict in their identity. In addition, they experienced the limitations of harmonizing the dual role by experiencing the related conflict on A Career Change .

      • 국어교육 현장연구의 필요성

        김상욱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1

        In the past, most researchers had been teachers or the people who were not teachers at least started with the view of teaching in the classroom when they tackled with the educational topic. However, in current situation, the role of a teacher and the role of a research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much as the practice of a teacher and that of a researcher are. This strict separation of two parts is not desirable because theories which do not reflect teachers' perspectives can not be guaranteed to have validity and practicality. The practice of teachers without theories as well is likely to limit its role only to the delivering knowledge. It looks almost impossible to change the school education with the dichotomy between a researcher and a teacher. What we need to do is establishing perspectives on school education through theories with concrete and rich supporting evidence. In addition, every effort should be made to apply the theories to the field and to prove their practicalities for a consensus among researchers, teachers and policy-makers. To do this, different ways of research and practice should be explored. Now,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come back to alpha, the classroom.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should be actively employed other than literature-based review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the issues should come from the classrooms not to verify the theories but to provide theories. Teachers' perspectives, observation and participation are essential in this renovative process. The awareness that teachers themselves are researchers not just mediator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s requisite. 대부분의 연구자들 또한 교사의 시기를 거쳐 왔거나 교사의 지향으로부터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현재 교사의 역할과 연구자의 역할, 교사의 실천과 연구자의 실천을 제도는 엄격하게 분리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이는 교사의 관점으로나 연구자의 관점으로나 불행한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적어도 교사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교실 현장의 관점을 투영시키지 못하는 한 이론은 정합성과 타당성, 현실적합성을 보증 받을 가능성이 없다. 교실 실천 또한 이론적 탐구에 기대지 않고서는 이미 만들어진 지식을 전달하는 기능적인 역할만을 수행하기에 이르며, 국어교육 전반의 변화 가능성은 찾기 어려울 것이다. 교사/연구자, 연구자/교사라는 이중의 역할들을 동시에 실천함으로써 접점을 더 없이 확장해 가지 않는 한 학교교육을 변화시키기는 난망하다. 지금 필요한 것은 이론을 통한 시각의 확립과 함께 그 이론을 뒷받침할 구체적이고 풍부한 논증이다. 저마다의 영역 속에서 이론을 현실에 적용하고자 하는 정책적인 노력들과 이론의 현실 적합성을 누구라도 수긍할 수 있는 형태로 개진해 나가는 노력들이 동시에 진척되어야만 국어교육을 보는 새로운 시각의 확립이 가능할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연구, 다른 실천들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제 국어교육연구는 다시금 그 시원인 교실로 되돌아와야만 한다. 연구방법론 역시 이론적인 문헌연구에 그칠 것이 아니라 그 이론들를 끊임없이 검증하는 실질적인 양적, 질적 연구방법론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론이 아니라,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현실의 국어교육을 통해 새로운 성찰을 감행하는 방법론이 되어야 한다. 교실을 연구의 중심으로 설정한다면, 의당 연구의 주체 또한 달라져야 한다. 대학을 배경으로 하는 연구자들이 이론을 검증하는 교실이 아니라, 문제의식 자체가 교실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그러자면 교사의 시각, 교사의 관찰, 교사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더욱이 교사는 단순히 이론과 실천을 매개하는 중개자이기를 넘어, 그 자신이 새로운 연구 주체로 우뚝 서지 않으면 안 된다. ‘실천의 이론 Theory-of-Practice'이 필요한 것이다. 이를 교실이란 동일한 경험의 공간을 공유하고 있는 교사의 실천적인 연구를 조직화해야 한다. 공유하고 수정하고 다시금 공유하는 역동적인 순환의 과정이야말로 교사/연구자의 ‘실천에서의 이론’이 갖는 압도적인 장점이기 때문이다. 이제 국어교육은 현장으로부터의 조용한 혁명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교사 연구와 교사 연구자의 실제에 대한 교사 연구자의 인식

        이은주 ( Lee Eun-jo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8 교육인류학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당사자들의 목소리와 경험을 바탕으로 교사 연구와 교사 연구자의 실제에 대한 교사 연구자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사 연구의 실제에 대해 이론적 가정과 달리 여전히 연구와 실천 사이의 ‘모호한 경계’를 느끼며 기존의 연구관과 실천적 당위 사이에서 충돌과 통합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이 연구의 성격과 방식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교사가 가장 우선시하는 것은 연구가 자신에게 의무로 주어지느냐 혹은 선택의 문제인가에 관한 것이었다. 이처럼 교사들은 자신들의 연구 활동에 대해 ‘이중 잣대’를 적용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사 연구자의 실제 역할에 대해 전통적인 관점에서 연구자와 실천가의 역할로 ‘인위적으로 구분’하여 인식하였다. 참여자들은 연구 과정에서 문제 해결과 대안에 집중하는 실천가와 본질적 양상에 대한 인식에 집중하는 연구자라는 이중 역할을 부여받으면서 역할 충돌과 갈등을 경험하였다. 그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교사 연구자 역할로서 새로운 정체성을 가지고 다중적ㆍ변환적 관점을 취하며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지적 성장을 통한 내적 만족감, 전문성을 인정받기 위한 욕구와 같은 교사들의 ‘실존적 욕구’가 연구의 원동력으로 작용하였고 연구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teacher research and teacher-researcher through the voices of experienced individuals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eacher-resear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practice of teacher and perceptions of teacher research, teachers have found that there is an 'Ambiguous Boundary'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Teachers also applied 'Double Standards' to their research while they recognized that the research was not only 'Obligatory' but 'Selective' as well.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teacher-researchers, teachers perceived to 'Artificially Distinguish' the role of teacher researcher as researcher and practitioner. In the context of practice, 'Practitioners' take the role of teacher-researcher and put more effort into creating alternative methods of the action and are more interested in technical refle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ext of research, 'Researchers' are more likely to focus on the awareness of essential aspects acting as teacher-researchers and are more interested in interpretative and critical reflection. When confronted with the role conflict, the teachers chose the 'Role Transition' strategy that fulfills the 'Dual Role' of the practitioner and the researcher as a 'Transformative Countermeasure' or performs only one role.

      • KCI등재

        해방 이후 한국의 교사 겸 연구자와 교육 중심 연구의 정보질서: 전국과학전람회(1949-1970년대)를 중심으로

        서민우(Minwoo SEO) 한국과학기술학회 2020 과학기술학연구 Vol.20 No.2

        이 논문의 목적은 해방 이후 약 한 세대에 걸쳐 독자적 지식 생산 체계를 건립하기 위해 부심한 초중등학교의 ʻ교사 겸 연구자ʼ들의 활동을 스케치함으로써 포스트식민 사회의 교육과 지식 생산의 관계를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하는 것이다. 교사 겸 연구자들은 초중등 교사로서 학생들에게 공인된 지식을 전수해야 할 임무가 있었으나 식민지의 지배적 지식 생산 체계가 붕괴한 뒤 독자적인 지식 생산 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상황은 지식 생산과 재생산의 경계를 흐릿하게 만들었다. 해방 이후 한 세대 가까이 이어진 이러한 상황을 지금껏 과학학자들은 주로 현대적 과학적 제도와 인력의 출현, 과학과 기술의 착종, 통치 권력과 경제적 자본의 헤게모니 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이러한 관점의 연구들과 결을 달리하여 이 논문은 지식 생산과 재생산의 경계가 흐려진 가운데 과연 어떤 지식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또 어떻게 유통되었는지 탐구하려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인도의 지식 통치를 연구한 크리스토퍼 베일리나 그의 접근 방식을 과학사로 확장한 사이먼 셰퍼와 같은 학자들이 개척한 ʻ정보질서(information order)ʼ 개념을 활용할 것이다. 과학사에서 정보질서는 전문가들과 엘리트들이 공식적이고 형식화된 지식 생산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의존할 수밖에 없는, 그럼에도 그러한 지식 생산 체계의 수면 아래에 있어 잘 드러나지 않는 다양한 자생적 정보 네트워크를 가리키는 개념이다. 그러나 이 글에서 주목한 교사 겸 연구자들의 활동은 공식적이고 형식화된 지식 생산 체계와 지역의 자생적 정보 네트워크가 교차하는 영역에 놓여 있어 어느 하나의 개념으로 포착하기 어렵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정보질서 개념을 ʻ교육 중심 연구의 정보질서ʼ라는 개념으로 변형할 것이다. 초중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겸 연구자들이 창출한 지식은 전문적 지식 생산자들의 눈에는 여전히 비공식적 정보질서의 산물에 가까워 보일 수 있었으나 지역의 주민들이나 학생들이 보기에는 분명 공식적 지식 생산체계의 언어로 씌어져 있었다. 그러므로 ʻ교육 중심 연구의 정보질서ʼ라는 개념은 이처럼 상이한 인식적 네트워크들의 교차점에서 생성된 지식의 이중성을 드러내기 위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교사 겸 연구자의 본분이 지식 생산자가 아닌 만큼 이들의 활동이 대부분 활자화되지 못하고 사라지기 일쑤라는 점이다. 이 글은 그들의 활동을 어렴풋이 더듬어볼 수 있는 사료로서 해방 이후 거의 매해 시행되어온 전국과학전람회에 주목한다. 전국과학전람회는 오랫동안 학생들과 교사들의 아마추어 전시에 불과하다는 오명을 써왔다. 그러나 이 연구의 관점에서 보자면 바로 그런 이유로 교사 겸 연구자들의 활동과 그 활동의 바탕인 교육 중심 연구의 정보질서가 수면 위로 부상하는 드문 공간이었다. 이 정보질서의 부상과 쇠퇴를 좇는 것은 해방 이후 한국의 포스트식민 지식 생산 체계의 이행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제안으로 이 글의 말미에서는 교사 겸 연구자들과 과학고등학교의 관계, 그리고 교육 중심 연구의 정보질서와 시민과학의 관계에 대해 간략히 논의한다. Historians and sociologists have analyzed the (re)building of the postcolonial knowledge production systems of the liberated Korea, largely in terms of the emergence of the modern scientific institutions and personnel, the amalgam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construction of the statist and capitalist hegemony in so-called ʻscience-technology(과학기술).ʼ However, they have rarely paid attention to how and which specific knowledge was produced and circulated, and that much worse in the context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systems. Yet, those who could be called as the teacher-cum-researcher in the colonized and postcolonial Korea, were at the center in (re)building the post-colonial knowledge production systems,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research and teaching often became blurred and porous. The deficiency in teaching materials and resources usually led teachers at school not just to draw upon any information available from books and experts for their pedagogic purposes, but to garner and produce various forms of useful knowledge in their local contexts, alone and together, often with the help of their students and neighboring resident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ed new light on that knowledge systems and their reproduction by following the practices of a couple of groups of those teacher-cum-researchers, roughly between 1949-1970s. Here, the focus is put on the National Science Fair, where teachers and their students were annually invited to present their observations, investigations, and researches in order to promote the scientific spirit in postcolonial Korea. The Science Fair is a very rare case for historians and sociologists of science in Korea, it is argued, to be able to look into how and which scientific knowledge was produced and circulated,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eaching situated between the official knowledge-making systems and the local information orders, that is the information order of the teaching-led research of the postcolonial education systems.

      • KCI등재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교사연구자 인식과 실천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전공심화 재학생을 중심으로-

        김화영,정은선,이성원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2022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2 No.1

        유아교사는 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해 교사연구자 역할을 인식하고 실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전문대 유아교육과 전공심화 과정에서 교사 연구과목이 주요하게 다루어지지만, 전공심화 재학생의 교사연구자 실천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이들의 성장을 지원할 실질적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전공심화 재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연구자에 대한 인식과 실천에 대해 포괄적으로 탐색하고자 서울 지역 H 대학교 유아교육과 전공심화 과정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 중 현직 유아교사인 9명을 대상으로 인터뷰하여 합의적 질적 연구(CQ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공심화 입학 동기(개인적 필요, 직업적 필요), 교사연구자에 대한 개념과 역할(교육전문가, 현장문제 해결자, 변화에 능동적인 교수자), 교사연구자로 여겨지는 경험(자발적 참여, 의무활동), 교사연구자 실천 어려움(연구자 역할에 대한 부담, 교사업무 과중), 교사연구자 실천을 위한 요건(유아교사의 의지, 교육적 지원, 재정적 지원, 제도적 지원)의 5개 영역과 13개 범주, 3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하였다.

      • 국어교육 현장연구의 필요성

        김상욱(Kim Sang-wook)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

        대부분의 연구자들 또한 교사의 시기를 거쳐 왔거나 교사의 지향으로부터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현재 교사의 역할과 연구자의 역할, 교사의 실천과 연구자의 실천을 제도는 엄격하게 분리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이는 교사의 관점으로나 연구자의 관점으로나 불행한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적어도 교사를 매개로 이루어 지는 교실 현장의 관점을 투영시키지 못하는 한 이론은 정합성과 타당성, 현실적합성을 보증 받을 가능성이 없다. 교실 실천 또한 이론적 탐구에 기대지 않고서는 이미 만들어진 지식을 전달하는 기능적인 역할만을 수행하기에 이르며, 국어교육 전반의 변화 가능성은 찾기 어려울 것이다. 교사/연구자, 연구자/교사라는 이중의 역할들을 동시에 실천함으로써 접점을 더 없이 확장해 가지 않는 한 학교교육을 변화시키기는 난망하다. 지금 필요한 것은 이론을 통한 시각의 확립과 함께 그 이론을 뒷받침할 구체적이고 풍부한 논증이다. 저마다의 영역 속에서 이론을 현실에 적용하고자 하는 정책적인 노력들과 이론의 현실 적합성을 누구라도 수긍할 수 있는 형태로 개진해 나가는 노력들이 동시에 진척되어야만 국어교육을 보는 새로운 시각의 확립이 가능할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연구, 다른 실천들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제 국어교육연구는 다시금 그 시원인 교실로 되돌아와야만 한다. 연구방법론 역시 이론적인 문헌연구에 그칠 것이 아니라 그 이론들을 끊임없이 검증하는 실질적인 양적, 질적 연구방법론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론이 아니라,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현실의 국어교육을 통해 새로운 성찰을 감행하는방법론이 되어야 한다. 교실을 연구의 중심으로 설정한다면, 의당 연구의 주체 또한 달라져야 한다. 대학을 배경으로 하는 연구자들이 이론을 검증하는 교실이 아니라, 문제의식 자체가 교실에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그러자면 교사의 시각, 교사의 관찰, 교사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더욱이 교사는 단순히 이론과 실천을 매개하는 중개자이기를 넘어, 그 자신이 새로운 연구 주체로 우뚝 서지 않으면 안 된다. ‘실천의 이론 Theory-of-Practice’이 필요한 것이다. 이를 교실이란 동일한 경험의 공간을 공유하고 있는 교사의 실천적인 연구를 조직화해야 한다. 공유하고 수정하고 다시금 공유하는 역동적인 순환의 과정이야말로 교사/연구자의 ‘실천에서의 이론’이 갖는 압도적인 장점이기 때문이다. 이제 국어교육은 현장으로부터의 조용한 혁명을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In the past, most researchers had been teachers or the people who were not teachers at least started with the view of teaching in the classroom when they tackled with the educational topic. However, in current situation, the role of a teacher and the role of a research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much as the practice of a teacher and that of a researcher are. This strict separation of two parts is not desirable because theories which do not reflect teachers" perspectives can not be guaranteed to have validity and practicality. The practice of teachers without theories as well is likely to limit its role only to the delivering knowledge. It looks almost impossible to change the school education with the dichotomy between a researcher and a teacher. What we need to do is establishing perspectives on school education through theories with concrete and rich supporting evidence. In addition, every effort should be made to apply the theories to the field and to prove their practicalities for a consensus am ong researchers, teachers and policy-makers. To do this, different ways of research and practice should be explored. Now,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come back to alpha, the classroom.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should be actively employed other than literature-based review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the issues should come from the classrooms not to verify the theories but to provide theories. Teachers" perspectives, observation and participation are essential in this renovative process. The awareness that teachers themselves are researchers not just mediator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s requisite.

      • KCI등재

        한 교사 연구자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동성 ( Dong Sung L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1 교육인류학연구 Vol.14 No.2

        이 글은 현장교사에서 교육연구자로 되어가는 연구 여정에서 저자가 직접적으로 체험한 교사 연구자로서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을 자기연구의 하나인 자문화기술지를 통하여 이야기하였다. 나는 자신의 목소리와 자기반성, 그리고 반영성에 기초한 개인적 이야기를 통해 교사 연구자의 역할과 관점을 논의함으로써 교사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교육적 통찰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교육이론과 교육실천 사이에서 형성된 교사 연구자의 변환적인 역할과 관점을 세 가지의 은유로 이야기를 하였다. 첫째, 실천가로서의 교사 연구자는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의 관계를 마치 만날 수 없는 ‘평행선’으로 비유하였다. 둘째, 연구자로서의 교사는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이 만나는 ‘합류점’으로 비유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자로서의 교사는 이중적인 역할과 관점을 조화시키는 과정에서 한계를 경험하였다. 셋째, 교사로서의 연구자는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이 특정한 시공간적, 사회문화적 그리드에서 교차적으로 구성되는 ‘교차점’으로 비유할 수 있었다. 현장교사의 실제적인 교수기술의 향상은 수많은 교수경험에 기초한 반성적이고 국지적인 이론화 작업을 통해서 가능하다. 따라서 교사 연구자는 자신의 실천 속에서 이론화 작업을 시도하는 국지적인 이론가(local theorist)로 거듭나야 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transformative roles and perspectives of a teacher-researcher who had experienced a research journey from a school teacher to an education researcher through autoethnography, which is a form of self-study.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educational insight for facilitating teacher research by my personal narrative, which was based on voice, self-reflection, and reflexivity. This study expressed transformative roles and perspectives that were derived from educational theory and educational praxis of a teacher-researcher through three metaphoric concepts such as ``parallel``, ``the confluence``, and ``intersecting point``. First, teacher researcher as practitioner represented estrangement of educational theory and praxis as a disparate ``parallel``. Second, teacher as researcher was ``the confluence`` of theoretical river and practical river. But teacher as researcher didn``t harmonize identity and role of school teacher and identity and role of researcher. Third, researcher as teacher was ``intersecting point`` that educational theories and praxes overlapping in the spatial-temporal and sociocultural grid. The improvement of practical teaching skill of a school teacher is rooted in personal and local theorizing in pedagogical practices of everyday life. Therefore, teacher-researcher should be a local theorist who try to theorize on his/her practice.

      • KCI등재

        초등영어교사의 교사연구자로서의 인식 및 정체성

        안경자 ( Ahn Kyung Ja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본 연구는 대학원 재학생 및 박사과정에 있는 초등영어 교사들의 교사연구자로서의 인식 및 정체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대학원생인 초등 교사 22명을 대상으로 설문 응답 및 자서전적 에세이를 수집했고, 박사과정에서 연구 수행 중인 초등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설문 응답, 자서전적 에세이, 성찰 일지, 연구 산출물 등을 수집하여 내용분석을 통해 질적으로 분석했다. 대학원생들의 교사연구자로서의 인식과 정체성에는 대학원 수학 경력 및 연구 경험이 큰 영향을 미쳤다. `입문 단계`에서는 대학원 수학 및 연구 경험이 적어 연구에 대한 불안감과 초조감이 높았다. `진행 단계`는 주로 학위논문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났으며 수업 개선 연구를 시도하고 그 성과를 기대했다. `확장 단계`는 연구 경험에 대한 성찰과 함께 다른 연구로 확장해 나가는 양상을 보였다. 박사과정 대학원생의 경우는 한 학기 동안 연구를 수행해 가면서, 우선, `연구학습자`로서 대학원 수업 및 자율적인 학습을 통해 연구 방법을 습득하며 연구자로서의 역량을 향상시켰다. 둘째, `연구탐색자`로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서 본인 연구의 범위, 주제, 설계에 대해 탐구해 이를 구체화시켰다. 셋째, `연구협상자`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연구 맥락에 따라 연구 방향, 방법 및 논문의 논리 전개에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하며 연구를 수정·보완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성찰자`로서 본인이 수행한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되돌아보고 교육적, 학문적인 시사점을 찾고자 했다. 교사연구자 4명의 차이를 가져온 것은 진행하려는 연구에 대해 연구 수행 이전에 가진 연구 경험, 연구 주제, 방법 및 맥락에 대한 구체성 및 준비성의 정도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교사, 교사연구자, 교사교육가 및 정책입안자에게 초등영어교육 및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dentities of elementary English teachers as teacher-researchers in a graduate program in general and those in the doctoral program in particular. Survey responses and autobiographic essays from 22 graduate students were collected. Also, survey responses, autobiographic essays, reflective journals, and final papers from four doctoral students were gathered. All the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rough cont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graduate students went through three different stages as teacher-researchers based on their amounts of experience in research and how long they had been in the graduate program: The initial, implementation, and expansion stages. While conducting their own research during the semester, the four doctoral students each displayed four types of teacher-researcher identities: research learners, research explorers, research negotiators, research reflectors. Individual differences were mainly related to how specific their research topics and methodology were and how prepared they were when they started their research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Important implications for teachers, teacher researchers, teacher educators, and policy makers surrounding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