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 중, 고등학교 교사 연수와 직업 만족도와의 관계

        강호수(Ho Soo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국제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전문성 개발 연수의 중요성에 근거하 여, 우리나라 초, 중, 고등학교 교사들의 교사 연수의 질과 학교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교육 개발원에서 2006년부터 2008년까 지 수집한 한국 실태 연구 조사 자료 2차년도 자료 중,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를 대상으로 한 교사 설문지를 이용하여, 6개 항복의 연수 주제 (교육과정, 교수방법, 교 외활동, 생활지도, 학교재정, 교육정보화)을 선택하여 1)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를 이용하여, 교사 연수 참여 시간을 학교급별로 비교 분석하였고, 2) 일원분산 분석(One-Way ANOVA)를 이용하여, 교사 연수의 질을 학교급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특별히 교사 연수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교사들이 참여한 교사 연수의 만족도 항목을 사용하였다. 3) 마지막으로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이용하여 교사 연수의 질 과 교사들의 학교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학교급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초등학 교 교사들이 중, 고등학교 교사들보다 교사 연수 참여 시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2)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 고등학교 고사들보다 교사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왔고, 3) 교사 연수의 질과 교사들의 학교 만족도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는 초,중,고등학교 교사들 에게 모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의 현직 연수가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하나의 방안으로서의 실증적인 근거를 제공한 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 나라의 교사교육 정책 집행을 위한 하나의 기초 자료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Using the data from The Study on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in School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quality PD workshops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I use a teacher satisfaction score of PD workshops in which the teachers participated as a proxy of high-quality PD workshop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was employed. The results indicate that 1)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nd to attend high-quality PD workshops more than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2) high-quality PD workshops are statistical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 job satisfac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중등학교 교원연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여성희,강순자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중등교사들의 교원연수 인식조사를 하여 급변하는 현실에 적응하기 위한 교원 연수체제 및 교육과정 개선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과 일부 지방에 근무하는 23개 교과의 평교사 541명을 대상으로 교원연수 실태, 만족도, 요구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교원연수가 학교생활에 도움을 준다는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교직 경력이 많아질수록 교원연수에 대한 관심은 줄어들었으며, 일부 교사들은 최근 5년 동안 연수를 한번도 받은 적이 없었다. 교사들이 연수를 받는 목적은 직무능력 개선, 승진승급 등 보다는 교사 자신의 전문적 지식 증진, 개인적 욕구 충족 등 개인적 요구에 의해 연수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연수내용, 연수강사, 교육방법, 평가방법 등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교원연수를 비효과적으로 만드는 원인을 교원연수의 교육과정이나 운영상의 문제점보다는 업무과다, 시간부족, 연수비용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들이 교원연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개인적 환경을 개선해 주는 정책이 더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국가의 연수정책 및 운영방침이 연수기관에서 제대로 실천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 개발 및 적용

        서혜애,송방호,박종렬,권덕기,윤기순,김순남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추구하는 교육개혁을 보다 효율적으로 성취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연구로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효율성 높은 사이버 연수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과학교사 대상 연수의 현황 및 행재정 지원체제를 분석했고, 사이버 연수의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탐색했으며,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사이버 연수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체제를 모색했으며,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했다. 또한 한국-이스라엘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창의성 계발 교수학습방법을 실제 현장에 적용한 사례를 분석했고, 이들의 전문성이 어느 정도 성장되었는지를 분석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안)을 개발했으며, 시범운영과정을 통해 개선방안을 탐색한 후, 최종 모형을 개발했다. 본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은 준비, 기초, 실습, 적용, 평가, 심화의 6단계로 구성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연수자 중심 수업현장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실제문제 탐구중심학습모형과 구성주의학습이론에 기반을 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참여 교사들이 지도교사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여 새로이 참여하는 교사들을 지도하고 격려하도록 함으로서 학습자 공동체를 구축하고, 사이버 상 지속적 상호의견 교류 정보교환을 통해 온라인 학습자공동체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했다. 이와 같은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교사 사이버 연수 모형은 우리나라의 기존 연수의 비효율성을 극복함으로서 효율성 높은 교사 연수 모형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교사의 학교연수 참여 효과에 대한 경로분석

        임선빈(Lim, Sunbin),양민석(Yang, Minseok)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교사의 연수 참여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학생의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거시적인 관점에서 교사 연수의 유형을 구분하고 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 연수를 학교연수와 학교 밖 연수로 구분하였고, 학교연수에 초점을 맞추어 그 영향력의 경로를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로는 경기교육종단연구에 포함된 7차년도 교사 대상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변인들 간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경로분석 모델(Path analysis)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교사 자율성 및 사회적 자원은 교사의 학교연수 참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둘째, 교사평가 참여, 교사 자율성, 사회적 자원은 교사의 학교연수 참여를 매개로 하여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교사의 학교연수 참여는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교사가 인식한 학생의 수업이해도에 정적이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거시적 관점에서 연수 유형별 효과를 분석하려는 학문적 노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는 교사들에게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사 중심 연수” 시스템이 구축될 필요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PD) and students class understanding. Expecially, adopting OECD(2015) s categorizes, this study divided PD forms into two: school PD and non-school PD, and explored the effect of school PD and investigated what medicated the effect of school PD.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was utilized in this study, and path analysis model was employed to explore the hypothesized structure.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autonomy on their class and social resource are significantly connected to teachers participation in school PD. Second, teacher evaluation policy, autonomy on their class, and social resource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s self-efficacy through teachers participation in school PD. Third, teachers participation in school PD has positive impact on students class understanding through teacher self-efficacy. In other words, teacher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PD and students outco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 that we need to construct and provide teacher-centered PD system for teachers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교사의 인권인식에 영향을 주는 인권교육 연수 변인 분석

        구정화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2022 법과인권교육연구 Vol.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사 대상 인권교육 연수의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교사의 인권인식과 관련이 있는 인권교육 연수 변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독립변인은 교사 대상 인권교육 연수의 세부 사항(연수내용, 연수방법 등)으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인은 교사의 인권인식(인권교육 효능감, 학생인권 문서 이해, 학생인권 판단)으로 설정하였다. 인권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전국의 교사 4,300여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한 자료를 회귀분석하여 연구 결과를 얻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인권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연수내용은 ‘사회적 약자의 인권 이해’와 ‘학생인권 존중 태도와 옹호 실천’이며, 이들 변인은 교사의 인권인식에 정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의 인권인식 하위 항목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련이 있는 연수내용의 세부 항목은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인권교육 연수 참여를 자발적으로 하는 경우와 개인적으로 인권 공부 경험이 있는 경우 모두가 교사의 인권인식에 대하여 정적인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고려하면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 연수의 목적을 고려하여 연수내용을 다르게 설계해야 한다. 더불어 인권교육 연수방법에서 교사의 자발적인 참여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장애유아통합교육 연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강대옥 ( Dae Ok Kang ),박소영 ( So Young Park ),구신실 ( Shin Shil Ku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교사교육연구 Vol.47 No.1

        본 연구는 유아기관 교사들의 통합교육관련 연수실태 및 교사의 요구, 연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는 180명의 교사(보육시설: 30, 유치원:42)들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연수실태 및 연수에 대한 인식관련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은 평균 1년에 한 번 정도, 20시간의 연수를 받고 있으나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관련 연수는 거의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연수 유형에 있어서 일반강의식 연수 방법 보다 견학 및 현장 실습, 현장에 적용할 수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연수와 강사진, 이에 부합되는 평가방법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셋째, 연수 내용과 관련해서 는 문제 행동 지도 및 상호작용 방법, 통합교육에서의 상호작용 지도에 대한 연수를 요구하고 있다. 넷째, 연수내용과 운영 및 지원에 있어서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보통 정도의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합학급 당당 교사들이 타 교사들에 비해 만족도가 높다.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수기회의 확대 방안, 문제해결식 연수방법으로의 개선 및 질적 평가방법으로의 개선 방안 등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in-service condition, demand, and perception of teachers working in inclusive preschool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bout curriculum, operation, and support of in-servic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180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the preschools (38 educare centers & 42 kindergarten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Busan and Ulsan.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in the analysis of in-service condition, ``times of in-service`` during recent 3 years was over 3times. But in ``in-service time related with inclusive and special education``, ``no time`` was the most of the answers. Thus they demanded 1 time a year, 11 -20hours for in-service hours, during the vacation, and career in-service by local educational institutes of cities and provinces an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gether with inside in-service. Second, teachers preferred on-the-spot study and on-the-job in-service than general lecture style more. And they preferred evaluation by discussion and professional lecturer. Third, teachers perceived ``understanding and guidance of children`` was most helpful, and they demanded ``guidance of problem behaviors and interaction``. Also they perceived ``understanding and operation of inclusive education`` was mostly helpful, and they demanded ``interactive guidance of inclusive education``. Specially, they perceived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in-service was to learn professional knowledge of education is necessary, Fourth, general perception on in-service for inclusive educat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as satisfactory level, but the application for in-service was not as satisfactory as others.

      • KCI등재

        STEAM 심화과정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한인식 ( Insik Hahn ),황신영 ( Shinyoung Hwang ),유정숙 ( Jungsook Yoo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3

        본 논문은 융합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지닌 인재 양성을 목표로 시작된 STEAM 교육의 현장확산을 위한 교사연수 중 심화과정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정 및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STEAM 교사연수에 대한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STEAM 심화과정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들의 STEAM 역량 강화를 위하여 개발되었다. 총 60시간(4학점)의 직무연수로, 집합연수 38시간, 온라인 12시간, 현장적용 5시간, 성과발표 5시간으로 구성(3차년도 기준)하였다. 집합연수는 강의, 멘토교사수업, 실험실습 및 랩탐방, STEAM 수업자료 개발을 위한 조별활동, 포스터발표회로 구성되었다. 온라인 연수는 추가 강의 이수와 지속적인 교사 커뮤니티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집합연수와 온라인 연수를 통해 개발된 STEAM 수업자료의 현장적용을 의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과발표는 우수 수업 사례 발표를 통해 교사들이 STEAM 교수 경험을 공유할 수있도록 하였다. 2012-2014 동안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제주 지역의 초중등교사 약 700명이 본 연수를 이수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 으로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 및 구성을 개선해나가면서 연수참여자들의 연수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본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들의 STEAM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료개발과 현장 적용을 통해 교사들의 STEAM 역량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수 있었다. 본 연수는 앞으로 이와 유사한 STEAM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mplications for future STEAM education by analyzing the surveys by the in-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Advanced STEAM Teacher Training Program(ASTTP) for raising interests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nurturing STEAM litera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ASTTP was developed for promoting ``teacher competence for STEAM.`` ASTTP is a 60-hour program(4 credits), which includes offline intensive course of 38 hours, online training course of 12 hours, a course of implementation at schools for 5 hours, and a workshop for 5 hours (based on the 2014 program). For the offline intensive course, teachers take various professional development classes and activities, such as open-laboratory tours, advanced experiments, mentoring programs, and team projects as well as lectures on diverse disciplines. For the online course, teachers take online classes freely while they are encouraged to work with other teachers in groups. After taking both online and offline courses, the teachers are required to implement their STEAM lesson plans in their classrooms. Finally at the workshop, some selected teachers share how successfully they have implemented STEAM education. About 700 teachers have successfully taken the program from 2012 to 2014. Based on the surveys by the teachers, the program has been modified and improved. Our analysis shows incre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TEAM education for the participating teachers. This study can provide some implication and helpful insights for people who need to develop and manag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STEAM education and other education programs in general.

      • KCI등재후보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에 대한 참가자의 인식 연구

        홍준의 ( Jun Euy Ho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科學敎育硏究誌 Vol.3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한민국 과학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는 동티모르에서의 과학교사 실험 연수에 대해 대한민국과 동티모르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참여관찰과 설문 조사, 면담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대한민국 과학 교사들이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를 실시하는 이유는 동티모르 과학교사들의 자발적인 성장을 돕기 위한 것이며, 과학교사로써 국제적인 재능 기부 형태의 봉사활동 수행하는데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 과학교사들은 연수를 진행하면서 언어 및 실험 재료 등의 현지화가 절실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동티모르 과학교사 실험연수가 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동티모르의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육 현황에 대한 정확한 자료, 현지 과학교사들의 필요가 무엇인지 파악, 연수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연수에 참가한 동티모르 과학교사들은 10년 이내, 20-30대의 교사들이 많았고, 초등보다는 중등교사들의 참여가 많았다. 동티모르의 과학교사들이 연수를 통해 기대하는 것은 과학에 대한 전문성의 심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연수 참가시 어려운 점은 언어, 비용, 거리 등의 요인이었다.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동티모르 교사들의 평가는 모든 프로그램이 재미있고, 유용하고 학생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강력히 표현하고 있었다. 또한, 동티모르 과학교사 연수의 최종 목표는 동티모르 교사들의 자생적인 연수 능력 획득에 있었는데,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실마리를 얻었다는 것이 중요한 의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the cognitions of Korean science teachers and Timor-Leste``s science teachers about the teacher training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science teacher held by Korean science teachers. Most of the Timor-Leste``s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at the teacher training mostly had their 10-year teaching career and were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purpose of the teacher training is to provide the science educational support for them and to encourage their own development; to effectively donate their skills and talents as a science teacher in their countr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any Korean teachers recognized that it is necessary to localize the experimental materials and utilize an appropriate language for the science education of Timor-Leste. Furthermore, until the stable science teacher training system of Timor-Leste is set up, it is necessary to be the precise understandings of the curriculum, the correct data regarding the state of education in Timor-Leste, and the knowledge need to Timor-Leste``s science teachers. Meanwhile most of the Timor-Leste``s Science teachers mostly had some difficulties in using language due to double translation, paying the participant fee, and travelling long distance from their country in participating the teacher training. What they expected at the teacher training wa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 ability as a science teacher, and to be able to manage the teacher training for Timor-Leste`s science teachers by their own selves.

      • KCI등재

        국내 언어교사 연수체제 개선을 위한 요구조사 분석 및 시사점 : 경기도 지역 언어교사를 대상으로

        최희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敎員敎育 Vol.35 No.4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for language teachers in Korea. We conducted a survey to determine the needs of the languageteachers enrolled in the training program in Gyeonggi province so as to discuss development plansfor the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 In order to do this, we first examined the teacher trainingsystem in Korea: the legal basis for these programs, the types of training offered by the system,and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current language teacher training. Next, we used a questionnaireto identify and analyze the needs that local language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had with theteacher training system and program. Finally, after analyzing the data derived from the surveyresults, we made several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the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gram. These included: resolving imbalances that the teachers identified within various aspects of theprogram, elaborating on various training programs, actively reflect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needs of language teachers, operating programs linked with leading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abroad, and constructing an open network platform to function as a place of practical communicationafter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 본 연구는 한국의 언어교사 연수체제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언어교사 연수체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의 교원 연수체제 및 연수의법적 근거와 종류, 언어교사 연수의 정의 및 필요성 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연수체제 운영에대한 현장 교사들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 지역 언어교사들의 요구를 조사·분석함으로써향후 언어교사 연수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결과 다양한측면에서 확인된 불균형의 해소, 변화된 시대에 맞는 다양하고 현장 친화적인 연수 프로그램의 연구·개발, 연수내용이나 주제 선정, 연수과정 개설 및 운영에 있어 해당 지역의 특성과 교사들의요구 적극 반영, 해외 유수 교사연수 기관과의 MOU 체결을 통한 다양하고 실질적인 프로그램 운영, 언어교사들의 시·공간적 제약이 없는 실질적인 소통의 장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연수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강사진의 지속적인 질 관리 등, 향후 언어교사 연수체제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영재교육 교원 연수의 중요도와 효과성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최호성 ( Ho Seong Choe ),박경희 ( Kyung Hee Par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4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13년까지 우리나라 영재교육 교사 연수에 참여한 교사 2,00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내용으로는 교사 연수 경험과 연수 이수 후 영재교육교사로 활동하고 있는지의 여부, 그리고 영재교육 교사 연수의 교육내용으로 각 문항의 중요도 및 전문성 향상의 도움 정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 관련 연수경험은 기초연수, 심화연수, 전문연수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수이수 시간은 60시간, 120시간, 180시간, 240시간 순이었다. 연수영역은 과학, 수학, 관찰 추천 순이었다. 연수 후에 86.3%는 강사로 활동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수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교사의 전문성 도움 정도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영재의 창의성 신장기법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기법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재교육 철학, 이론, 모형 및 연구방법과 국가 및 시·도 교육청 영재교육정책 이해는 덜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재직학교별로는 초등교사들과 중등교사들 모두 창의성 신장기법을 중요하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초등교사들이 중등교사들보다 각 연수 내용의 중요도와 도움정도를 유의미하게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넷째, 재직기관별로는 영재학급 교사들이 영재교육원 교사들보다 연수 내용의 중요도와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았는데, 특정영역(과학, 수학, 발명, 정보)에 대한 도움은 영재교육원 교사들의 인식이 높았다. 다섯째, 교과영역별 차이로는 수학 교과 교사들이 과학이나 여타분야 교사들보다 연수내용의 중요도나 도움정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Promotion Act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and Enforcemen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00), there has been increasing need to have well-prepared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In its early days,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al Institute has led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Based on such early efforts to establish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the Office of Education at the local level (each province and metropolitan city), universities, and special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has been rapidly expanded and qualitatively developed. This study administered a 62 question survey to 2,007 tea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formal in-service training programs specializing in gifted or talented education to measur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nd their perceptions of program’s cont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as a whole are highly satisfied with the content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and have directly applied the course content to their current teaching situations. Second, the in-service program needs to provide courses which differentiate teachers who have already successfully completed the basic level training to motivate and develop their professional competencies. Third, the scope or range of gifted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from its math and science centered programs to include the arts, athletics and even leadership programs. Forth, the in-service basic course for gifted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to teachers in regular schools to help nurture creativity in Korean education. Lastly, to sustain the progress achieved by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in gifted education a set of nation-wide standard of professionalism, curriculum, and assessment should be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