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교미교란제 연구 개발 및 상용화 현황

        정충렬,이대원,김용균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04

        살충제 저항성을 경감 및 친환경 방제 수단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교미교란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교미교란제에 대한 연구가 농촌진흥청 산하 연구기관과 몇몇 대학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에서 수도해충인 이화명나방용 교미교란제를 urea-formaldehyde를 이용한 microencapsulation으로 개발하여 후 직접살포 및 vial 설치법으로 효과를 평가하기 시작한 후 채소해충인 파밤나방과 배추좀나방을 대상으로 각각 Yotochon-S와 Konagacon을 이용하여 교미교란 효율을 조사하였다. 온실에서 문제시 되었던 담배거세미나방과 담배나방에 대해서는 고무격막과 polyethylene tube(PE tube)을 사용하여 유인저해율을 조사하였고 고추의 주요해충인 담배나방에 대해서는 controlled-release PVC resin과 PE tube을 사용하여 교미교란 효과를 평가하였다. 사과의 주요해충인 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굴나방, 잎말이나방류 및 사과유리나방을 대상으로 confuser-A, 고무격막, paraffin wax 및 PE tube 등 다양한 제형의 교미교란제를 사용하여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1994년 파밤나방 교미교란제인 Yotohcon-S(상품명: 신호등)가 화학농약으로 처음 등록된 이후 과수해충 위주로 몇몇 교미교란제가 친환경농자재로 등록되었지만 현재는 PE tube와 pad 타입의 교미교란제만 작물충해 및 병해충관리용자재로 등록되어 있다. 상용화의 경우, 2000년부터 과수해충 복합 교미교란제인 confuser-A를 시작으로 confuser-R, NoMate, NO번식 및 Exosex와 같은 PE tube, paraffin wax 및 electrostatic powder 제형의 교미교란제가 판매되었으나 현재는 2종 및 4종의 해충에 대한 복합교미교란제만 판매 중에 있다. 이상의 결과는 오랫동안 국내에서도 여러 종의 해충을 대상으로 한 교미교란제의 연구개발과 함께 상용화 또한 다양한 제형의 제품들이 사용되었거나 사용 중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먹이트랩과 교미교란제 테두리처리를 통한 복숭아순나방 (Grapholita molesta (Busck)) 교미교란 상승효과

        김용균,서삼열,정성채,Kim, Yong-Gyuu,Seo, Sam-Yeoll,Jung, Sung-Chae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1

        사과에 피해를 주는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을 방제하기 위해서 합성 성페로몬을 이용한 교미교란 처리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교적 작은 규모의 사과원들이 인근에 몰려있고 이들의 경영이 독자적인 국내 상황을 고려할 때 이러한 교미교란제 처리에 의존한 복숭아순나방 방제 효율성에 의구심을 갖게 한다. 이는 인근의 교미교란제를 처리하지 않은 지역에서 교미한 복숭아순나방 암컷의 유입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특정 교미교란제 처리 지역에 있어 교미교란 효과의 사각지대를 줄이고 교미한 암컷을 포획할 수 있는 테두리처리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테두리처리 기술은 사과원 가장자리에 10 미터 간격으로 각각 교미교란제와 먹이트랩을 설치하면서 이러한 방제 효과를 거두려하였다. 교미교란제 처리와 더불어 태두리처리는 교미교란제만 처리한 포장에 비해 복숭아순나방에 의한 신초 및 과실에 미치는 피해를 뚜렷하게 줄일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교미교란제 처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연중 처리 횟수를 결정하였다. 사과 재배 전체 기간을 통해 교미교란 효과를 유지하는 데 교미교란제 처리는 테두리처리와 함께 3월 말과 7월 초의 2회 처리가 필요하였다. Mating disruption (MD) using synthetic sex pheromone lures has been used to control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in apple orchards. In Korea, where several small apple orchards are clustered but independently managed, its efficacy has been suspected mainly due to immigration of any mated females from nearby untreated cultivating areas. This study developed an edge treatment technique to decrease any local MD-free zones in a specific MD-treated farm and to trap any immigrating mated females by installing MD lures and food traps around the apple farm with 10 meter intervals. The addition of the edge treatment to the MD significantly prevented leaf and fruit damages induced by G. molesta compared to MD only. Moreover, this study tried to optimize the MD control technique by determining frequency of MD application. It suggests two MD applications with the edge treatment at the end of March and at the early of July to be effective throughout the entire apple growing seasons.

      • KCI등재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교미교란용 왁스형 페로몬방출기와 그 적용 기술 개발

        정성채,박만웅,이순원,최경희,홍용표,배성우,김용균,Jung, Sung-Chae,Park, Man-Woong,Lee, Soon-Won,Choi, Kyung-Hee,Hong, Yong-Pyo,Bae, Sung-Woo,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3

        A wax-typed pheromone dispenser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control outbreak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in apple orchard. To optimize its application technique, this study analyzed effect of different amounts of the pheromone dispenser on mating disruption('MD') of G. molesta. Different pheromone dispenser amount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MD effect assessed by cumulative male adult catches monitored respectively by sticky delta trap and food trap, and resulted in differential damage on host plants. In a field test during entire growing season, a standard amount(120 g per 0.117 ha) of wax-typed pheromone dispenser was proved to be effective to suppress outbreak of G. molesta adults and to prevent host plant damage as much as a current commercial MD product($Isomate^{(R)}$).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an effectiveness of deployment of food trap barriers around MD-treated area to prevent immigration of mated females from outside untreated area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wax-typed pheromone dispenser can be applied to control field G. molesta populations and its co-application with fuod trap barriers would be optimal to maximize MD efficacy. 왁스형 페로몬 방출기를 제작하여 사과원에 발생하는 복숭아순나빙(Grapholita molesta) 밀도를 억제하기 위한 교미교란제로 응용하였다. 아울러 이 왁스형 교미교란제의 방제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처리량에 따른 복숭아순나방의 교미교란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때 교미교란 효과를 모니터링 페로몬 트랩 및 먹이트랩에 유인되는 누적 성충 밀도의 감소 및 기주 식물의 피해로 분석한 결과 왁스형 교미교란제 처리량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개발된 왁스형 교미교란제를 기준량(350평당 120 g)으로 처리한 결과,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교미교란제($Isomate^{(R)}$)와 뚜렷한 차이 없이 복숭아순나방 밀도 억제와 과실피해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또한 교미교란 처리지역 가장 자리에 먹이트랩을 배치할 경우 비처리지역에서 유입되어 오는 교미한 암컷의 이동을 막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뤄 왁스형 페로몬 방출기는 복숭아순나방 교미교란제로 응용될 수 있으며, 과수원 주변에 배치하는 먹이트랩과 혼용하는 경우 교미교란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무농약·유기재배 사과원에서 교미교란제를 이용한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의 방제

        이선영,최경희,도윤수,이순원,윤창만,김길하,Lee, Sun-Young,Choi, Kyung-Hee,Do, Yun-Su,Lee, Soon-Won,Yoon, Changmann,Kim, Gil-Hah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2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의 방제를 위해 교미교란제 MD-IKR (Isomate-KR)과 MD-CR (Confuser-R)의 효과를 무농약 유기재배 사과원에서 평가하였고 관행방제 사과원과 비교하였다. 2011년 칠곡지역의 복숭아순나방에 대한 두 종의 교미교란제에 대한 교미저해율은 99.8%였고, 상대적으로 청송지역의 교미저해율이 각각 99.8과 92.8%로 칠곡지역과 차이가 있었다. 2012년 칠곡지역의 교미저해율은 각각 92.4와 96.7%였다. 청송지역에서 교미저해율은 99.6%로 가장 높은 교미저해율을 보였다. 2011년 2012년의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한 교미저해율은 두 교미교란제 모두 100%로 높게 나타났다. 두 교미교란제는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이 방제효과에 대하여 무방제구 대비 방제효과가 월등하였고, 관행방제와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 없이 방제효과가 대등하였다. 두 종의 교미교란제와 관행재배구의 새순과 과실피해율은 무방제구 대비 유의성있는 방제효과를 보였다. 두 종의 교미교란제 간에는 효력의 차이가 없어 MD-IKR이 MD-CR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efficacy of mating disruptors MD-IKR (Isomate-KR) and MD-CR (Confuser-R) for controlling Grapholita molesta (Busck) and Carposina sasakii (Matsumura) was evaluated in non-chemical or organic apple orchards. For G. molesta, the efficacy of MD-IKR and MD-CR in Chilgok was 99.8 and 99.8% (2011) and 92.4 and 96.7% (2012), respectively, showing different mating reduction values. The efficacy of MD-IKR and MD-CR in Cheongsong was 99.1 and 92.8% (2011) and 99.6 and 99.6% (2012), respectively. For C. sasakii, the efficacy of MD-IKR and MD-CR was 100% at Chilgok and Cheongsong in 2011 and 2012. Evaluation of the shooting and fruit damage rates showed that the efficacy of the mating disruptors in controlling G. molesta and C. sasakii was better than that of the non-contro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ntrol difference between using the mating disruptors and the conventional control. No difference in the efficacy of the two mating disruptors was observed. We believe that MD-IKR could be an alternative to MD-CR.

      • 배에서 Paste형 교미교란제의 방제효과

        조영식,송장훈,황해성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10

        배 친환경 고품질 생산 과원 종합관리 체계 확립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배시험장 배 재배포장에서 기존 교미교란제(Confuser-R; 그린아그로텍)와 Paste형 교미교란제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Comfuser-R은 1000개/ha의 비율로 처리하였으며, 2008년 4월7일에 약 75%, 7월 10일에 약 25%로 2회 나누어 처리하였으며, Paste형 교미교란제는 복숭아순나방과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을 대상으로 (주) 그린아그로텍에 의뢰하여 제작하였는데, 2008년 4월 15일에 배나무 1주당 3~4g씩 도포하였으며, 7월 10일 추가도포하였다. 2종의 교미교란제는 시험구 과원의 가장자리는 배나무 1주당 1개소씩, 과원 내부는 2주당 1개소씩 처리하였다. 교미교란제 처리에 의한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의 포획량은 교미교란제 형태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며, 관행방제시에 4~5월에 무살포 과원보다 발생량은 적었지만, 8월 이후에는 관행방제 과원의 발생량이 많았다. 복숭아순나방에 의한 신초 피해율도 교미교란제 형태간 차이가 없었다. 사과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orana Fisher von Roeslerstamm)의 경우는 Paste형 교미교란제 처리시 6월 하순~7월 상순에 트랩당 수컷포획수가 평균 5.0마리, 8월 상순에 평균 19.5마리가 포획되어 기존의 교미교란제보다 포획량이 많았다.

      • 사과원의 새로운 해충,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발생상황과 교미교란제 Confuser-R에 대한 교미교란 효과

        최경희,이동혁,도윤수,이선영,이순원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0

        2010년에 사과주산지인 경북 군위, 상주, 의성, 청송, 칠곡, 경남 거창, 전북 장 수, 무주, 전남 장성 등 9개 지역 24개 일반사과원에서 복숭아순나방붙이의 발생유 무와 발생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발생예찰용 복숭아순나방붙이 성페로몬 트랩과 복숭아순나방 트랩을 설치하고 4~9월까지 트랩에 유살되는 유살수를 조사하였 다. 또한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 교미교란제로 사용되는 Confuser-R에 대하여 복숭아순나방붙이도 교미교란 효고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복숭아순나방 붙이는 9개지역 24개 사과원 모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복숭아순나 방붙이의 연간발생량은 사과원별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연간발생량은 15~514 마리로, 복숭아순나방의 연간 발생량 140~592마리에 비하여 적었다. 복숭아순나 붙이의 연간 평균발생량은 198마리로 복숭아순나방 379마리에 비하여 약 0.5배 정도 적었다. 복숭아순나방붙이의 연간 발생량은 상주 > 칠곡 > 청송 > 군위 > 의 성 > 장수 > 거창 > 무주 > 장성 순으로 나타나서, 경북지역 사과원이 복숭아순나 방붙이 발생량이 많았으며, 전라도 지역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향이었다. 경북 군 위의 사과시험장에서 심식나방류 교미교란제인 Confuser-R를 처리한 구와 처리 하지 않은 구에서 복숭아순나붙이의 연간 유살량을 조사한 결과, 교미교란제 처리 구에서는 발생예찰용 성페로몬트랩에 전혀 유살되지 않았으며, 교미교란제 미처 리구에서는 연간 245마리가 유살되었다. 따라서, 교미교란제인 Confuser-R이 복 숭아순나방붙이에도 교미교란 효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야외 월동세대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에 대한 교미교란제의 효과

        정성채,박천우,박만웅,이순원,최경희,홍용표,김용균,Jung, Sung-Chae,Park, Chun-Woo,Park, Man-Woong,Lee, Soon-Won,Choi, Kyung-Hee,Hong, Yong-Pyo,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5 No.2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Busck))의 교미교란제인 SPLAT$^{(R)}$와 Isomate$^{(R)}$-ROSSO의 교미교란효과를 각각 영천과 경산 및 청송과 영주에서 조사하였다.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4월 말부터 5월 말까지 야외 집단의 발생정도를 조사한 결과, 네 지역에서 모두 월동세대 개체군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두 가지 형태의 교미교란제는 분석시기 10일 전에 포장에 처리되었으며, 두 교미교란제 모두는 수컷의 성유인물 탐지능력을 억제시켰다. 그러나 이 두 가지 교미교란제를 비교하면 SPLAT 형태가 Isomate 형태보다 교란 효과가 높았다. 이러한 교미교란 효과는 조사기간 동안 복숭아순나방의 피해로 여겨지는 신초 피해를 억제하는 능력과 높은 상관성을 가졌다. Efficacies of two commercial mating distruptor (SPLAT$^{(R)}$ and Isomate$^{(R)}$-ROSSO) were evaluated on field overwintering populations of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in four apple orchards. Based on the monitoring with sex pheromone traps, all the orchards (Youngchun, Kyungsan, Chungsong, and Youngju in Korea) exhibited significant overwintering populations from late April to late May. Both mating disruptors that were applied 10 days before the monitoring period significantly inhibited the male orientation to the monitoring lures, in which SPLAT type was more effective than Isomate type in the disrupting efficacy. The disruption of male orientat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early leaf damage caused mostly by G. molesta.

      • 성페로몬 처리량에 따른 배 가루깍지벌레 방제 효과

        조영식,송장훈,최경희,최진호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4

        배나무에서 가루깍지벌레에 대해 성페로몬을 이용해 교미교란과 방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성페로몬 성분량을 10a당 450, 900, 1,350mg이 되게 설치하여 각각 처리구의 발생소장, 처리량에 따른 교미 저해율과 피해과율을 조사한 결과, 2013년에 8월까지는 무처리구에 비해 현저한 차이로 적게 포획되어 교미교란 효과가 확실한 것으로 판단되나, 9월부터는 교미교란 효과가 불분명하였다. 성페로몬 성분 3mg이 포함한 고무미끼를 이용한 백색과 황색의 예찰용 트랩과 교미교란 처리 유무에 따라 각각 시험구에 포획된 가루깍지벌레의 총수로 교미저해율도 10a 당 900mg 처리시 교미교란 저해율이 65% 이상을 보였다. 2014년에는 전년과 같은 처리와 동일한 성페로몬 성분 사용량을 7:3으로 나누어 5월 상순에 70%, 8월 상순에 나머지 30%의 페로몬 성분량을 처리하여 조사한 결과, 가루깍지벌레 교미교란 저해율은 페로몬 성분 900mg 1회 처리와 945:405mg 2회 처리가 92%, 1,350mg 1회 처리와 630:270mg 2회 처리가 88~89%의 교미교란 저해율을 보여 큰 차이가 없었다. 더욱이 가루깍지벌레에 의한 피해과율 조사결과에서는 945:405mg과 630:270mg 2회 처리에서 방제가 89% 이상을 보여 좋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 복숭아원 복숭아순나방 교미교란제 처리에 의한 방제효과

        김산영,김임수,김대홍,박원홈,이숙희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경북지역의 복숭아 주산지인 청도군, 영천시, 경산시 지역을 대상으로 2008 년~2010년 동안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을 이용하여 예찰하고, 이에 근거하여 복 숭아순나방 피해 과원에 대해 교미교란제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페로몬트랩의 조사는 10일간격으로 하였으며, 설치된 루어의 교체는 약 6주 간 격으로 하였다. 복숭아순나방 방제를 위한 교미교란제의 설치는 도포형을 사용하 였으며 도포량은 120g/10a을 도포하였으며, 과원내부에 비해 가장자리에 20% 정 도를 많게 하였다. 복숭아 과원의 복숭아순나방 1화기 평균 발생최성기는 2010년에 5월상순으 로 2008년보다 10일정도 2009에 비해 20일정도 각각 늦어졌고, 발생밀도도 해에 따라 편차를 보였다. 교미교란제를 활용한 복숭아순나방 방제효과의 경우 성페로몬 예찰을 통한 성충유살수 조사에서는 교미교란제 처리 효과가 뚜렷하였으나, 피해순율과 피 해과율 조사에서는 교미교란제의 처리방식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주위에 복 숭아 및 사과 등 복숭아순나방이 발생하는 과원이 인접해있는 곳에서는 효과 가 떨어졌으며, 독립된 과원이나 교미교란제를 대면적에 처리했을 경우 피해 순률이 3% 정도, 피해과율이 0.4% 정도로 방제효과가 높았다. 살충제 약제살포 횟수에서는 교미교란제 처리구에서 살충제 살포 횟수가 2 회정도 절감되었다.

      • 무농약재배 대추과원에서 복숭아심식나방(Carposina sasakii)에 대한 교미교란제 처리 시기별 유인 효과

        김충우,이성균,이경자,김기식,강보구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보은지역 무농약재배 대추과원의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한 교미교란제 처리에 대한 시기별 방제효과를 간접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교미교란 제 설치시기는 복숭아심식나방 최초 발생 전인 5월 하순과 다발생 시점인 7월 중순 으로, 각각 3농가씩 설치하였으며 성페르몬 트랩을 설치하여 교미교란제를 설치하 지 않은 관행농가와 트랩에 유인 된 개체수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성페로몬트랩은 5월 중순에서 9월 중순까지 15 ~ 20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무농약재배 대추과원의 복숭아심식나방 성충 최초 발생시기는 5월 하 순경으로 확인되었으며 관행재배농가와 발생시기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행 재배농가에서 복숭아심식나방은 5월 하순부터 9월 중순까지 발생하였으며 7월과 8월이 다발생기로 연 2회 발생하는 것으로 보였다. 교미교란제 처리시기별 무농약 재배 대추과원의 성페로몬에 유살된 개체수를 비교하였을 때 최초발생시기인 5월 에 설치한 농가에서는 설치기인 5월에 평균 4마리가 유살되었고, 교미교란제 설치 후부터 9월 중순까지 발생이 없었다. 다발생기인 7월 중순에 설치한 농가에서는 교 미교란제를 설치하기 전 인 7월에 평균 15.7, 15.3마리가 유살되었고, 교미교란제 설치후에는 9월 중순까지 발생을 보이지 않았다. 무농약재배 대추과원의 교미교란제처리가 복숭아심식나방 방제에 효과가 우수 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이는 성페로몬 트랩에 유살된 개체수를 비교하여 교미교 란효과를 간접적으로 평가한 것이므로 추후 피해 신초율, 피해과율 조사 등 추가적 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