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증적인 교과서 디자인요소 도출 연구 -초등학교 과학ㆍ수학교과서를 중심으로-

        백주연,김재훈,노승완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9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8 No.1

        Background Elementary school science ‧ Mathematics textbooks are converted from the 2022 to the examination format in the format of national administration Elementary school can freely select textbooks and use it. It is expected that various publishers compete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we expect that diversification of textbooks will be done. The diversification of textbooks is important in the ability to write textbooks and planning textbooks, but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design of textbooks. This will gradually increase efforts to develop competitive textbooks by various publishers, and it will be a catalyst to increase the influence of textbook design. Methods In this research, we designed th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for the purpose of deriving substantial design elements of textbooks. We focused on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 mathematics. In the process of research, [Step 1] Define content structure as grasping through the paper page of the textbook. Define the roles of stars constituting the contents of [Step 2] and derive elements of design. [Step 3] It analyzes the derived design elements and is a combination of main design elements. In that order. Result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textbooks consist of 8 contents (including appendix) and 13 design elements.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design elements according to content structure was systemized into 20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ontents composi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arried out the study of design element derivation which is substantial and empirical from the study of the derivation of the existing design element. Through this study, designers' perception of the structure of textbooks enables efficient application of design guidelines, and designers can design consistently in various and complex conditions. 연구배경2022년부터 초등학교 과학‧수학교과서가 국정체제에서 검인정체제로 전환됨으로써 (경향신문, 2019) 초등학교가 자유롭게 교과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출판사가 경쟁적으로 교과서 개발에 참여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교과서의 다양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교과서의 다양화는 교과서 집필, 교과서 기획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교과서디자인에 따라 경쟁력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다양한 출판사가 경쟁력 있는 교과서 개발을 위한 노력을 점차 증대할 것이며 교과서디자인의 영향력이 커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교과서의 실질적이고 실증적인 디자인요소 도출을 목적으로 연구 범위와 방법을 설계하였다. 초등학교 과학‧수학교과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과정은 [1단계] 교과서의 지면을 통해 내용구성을 파악 및 정의한다. [2단계] 내용구성별 역할을 정의하고 디자인요소를 도출한다. [3단계] 도출된 디자인요소를 분석하여 주요 디자인요소를 조합한다.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초등학교 과학·수학교과서는 8개의 내용구성(부록 포함)과 13개의 디자인요소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내용구성별 디자인요소 조합을 내용구성의 목적에 따라 20개로 시스템화하였다. 결론본 연구는 기존의 디자인요소 도출 연구에서 벗어나 실질적이고 실증적인 디자인요소 도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교과서 지면의 구조를 디자이너가 인지하게 됨으로써 디자인가이드라인 적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디자이너들이 다양하고 복잡한 조건에서 일관성 있게 디자인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3, 4학년 미술교과서 편집디자인의 현황 조사 연구

        김문영(Kim, Moonyoung),백진경(Paik, Jinky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9 No.2

        교과서란 교육과정에 따라 교수 학습을 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서, 교육 매체로써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교과서 제작에 있어서 내용전달과 더불어 학습동기를 고취시킬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을 고려해야 하며, 그 중 하나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편집디자인이다. 2007년 개정교육에 따른 교과서가 2009년부터 학년별로 순차적으로 적용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미미하고, 특히 미술교과서는 시각중심 교과라는 특수성 때문에 현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분석을 통한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발전 방향을 모색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 미술교과서인 2007 개정교육과정의 미술교과서를 분석한다. 이를 정책 및 외형의 변천에 따른 변화를 보기 위해 2007 개정교육과정의 이전 교육과정인 제 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과서,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여 적용시키고 있는 초등학교 3학년 차세대 과학교과서, 그리고 우리나라 최초의 초등학교 디자인교과서인 서울시의 초등학교 5학년 디자인교과서를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해외사례의 경우 교과서 편찬 발행과정이 우리나라와 유사한 일본과, 우리나라의 교육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미국의 미술교과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교과서를 외적 편집, 내적 편집으로 나누어 분석, 평가하였다. 초등학교 편집디자인의 현황 및 비교분석 결과 외적체제의 개선으로 현 2007 개정교육과정의 미술교과서는 이전 교육과정인 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비해 판형이 커져 시각자료를 배치하기에 용이하고, 서체의 자율적인 사용이 눈에 띄며, 학생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일러스트사용 등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으나, 이미지의 배열이 복잡하며 일관적이지 못함과 동시에 그리드와 단이 정리되어 있지 못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상의 문제점은 그리드의 복잡성과 시각요소의 지나친 양식의 남용으로 정리된다. 차세대 과학교과서와 서울시의 디자인교과서, 미국 미술교과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좋은 선행사례로 사료된다. Textbooks are basic materials for teaching-learning according to curriculums, and it needs to consider proper methods to deliver contents and inspire learning motivation for the creation of textbooks. In particular, there is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editorial design. Textbooks have been applied step by step since 2009 according to the 2007 revised education, and the precedent study is considered insufficient in terms of the application period so that it needs to seek for the improvement method of textbook editorial design by analyzing editorial design of current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 desirable direction to extract problem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 and develop future textbook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ird and fourth graders’ art textbooks in Korean elementary school that were revised in 2009 and have been applied, elementary school new generation science textbook seeking for a new direction of editorial design, elementary school design textbook in Seoul which is the Korea’s first elementary school design textbook, and editorial design of American art textbooks having a direct effect on Japanese and Korean educational system with the similar editorial publication process as the overseas cas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current art textbook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re easy to arrange visual materials as they have become bigger compared to the previous art textbook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external format. In addition, various fonts were used due to the autonomous use of fonts, and many changes such as the use of illustration that can attract students’ interest were found. As to grid, the current textbook were well aligned compared to previous art textbook, but they had more inefficient and monotonous types in using grid and layout rather than the textbooks to compare so that the screen seemed complex and it was hard to read information.

      • KCI등재

        교과서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편집디자인 분석 연구 - 한글의 조형성을 중심으로 -

        이하림 ( Lee Ha-l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21 No.-

        교과서는 교육과정에 따라 교수·학습을 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서, 교과 영역의 학습 내용을 체계적으로 담은 책자이다. 따라서 교육과정에 따라 선정·조직된 내용을 단순화하여 배우기 쉽고, 읽히기 쉬운 편집을 통하여 제시하는 것을 교과서의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삼아야 한다. 이것은 학습 및 행동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학습동기 유발 등 기본적인 교과서의 가독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의미 한다. 교과서에 있어서 가독성은 학생들이 읽고 이해하기 쉽게 만드는 요소이다. 따라서 문자는 체계적이고 복합적인 타이포그라피로 거듭나야 한다. 타이포그라피는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학생들이 알기 쉽게 기호화하는 과정의 일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교과서의 타이포그라피를 다루는 사람, 즉 교과서 편집디자이너는 타이포그라피 디자인을 함에 있어 한글이 가지는 가독성 외에, 반드시 미학적 속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은 필수적이다. 한글은 정보전달과 의사소통의 문자에서 이미지로, 이미지에서 포괄적 개념의 가독성을 지닌 뛰어난 디자인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한글을 통해 교과서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편집디자인을 아래와 같이 분석·연구 하였다. 교과서의 편집디자인에서는 교과서와 편집디자인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하고 교과서의 성격과 교육과정에 따라 의미를 정리하였다. 편집디자인의 기본적인 기능과 개념도 서술하여 앞으로 교과서에서 전개되어야 할 편집디자인의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필요성과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가독성 및 심미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한글과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상호관계에서는 한글의 조형적 특징을 한글 본연의 형태요소와 구조·공간적요소로 나누어 서술하였으며 교과서의 특징과 규칙에 맞추어 한글의 조형성을 가미한 논자의 실험작을 예로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본문에서 기술한 내용을 정리하고 향후 교과서 편집 디자인의 대란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과서의 본문을 이루는 한글은 본연의 조형성을 바탕으로 더욱 전문적이고 세분화되어 학습자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시키며 학습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교과서 편찬 개발에 이바지 할 수 있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Textbook is a basic resource to teach, depending on the curriculum, which contains systematically sorted contents in that of specific fiel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select and manipulate the chosen material to become simpler, and more attractive depending on, the curriculum. This means that to help study and activity to become more productive, the legibility of textbook is critical in order to encourage the student to study. The legibility in the context of textbook is the key point for student to understand the contents easier. Therefore, text should be reborn as systematic and complex typography. Typography is the initiating stage for student to understand the given information easier. Therefore, the one who conducts typography for the textbook, in other word the editorial designer, should consider the artistic element as well as the readability of Korean language when designing the typography. Moreover, it is critical to redesign Korean letters of native language to become, not only as a language to transfer the meanings but to become more visually artistic. The Korean language, the basic type style, can become text to transfer the meaning to image, image to superior mean with comprehensive concept of readability. As a result, writer has studied and analyzed editing design to increase the readability of textbook in this paper. In editorial design, author studi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a textbook and editorial design and has sorted it ou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textbook and its curriculum. The concept of editorial design is described to suggest the role and concept of editorial design which should be carried out when making the textbook is described. In mutual relation of Korean language and editorial desig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Korean language is described separately as structural element and space element. Author has suggested prototype textbook design in formativ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yet still following the characteristic and rules of textbook.

      • KCI등재

        교과서의 외적 체제 및 편집디자인 개선을 위한 연구

        윤세민(Yun Se Min) 한국출판학회 2015 한국출판학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교과서의 외적 체제 및 편집디자인 관련의 기존 연구 사례들과 이론들을 고찰하는 가운데 현행 교과서의 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교과서의 외적 체제 및 편집디자인의 문제점과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여기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교과서의 외적 체제 및 편집디자인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교과서도 선진 교과서의 장점과 특성 등을 우리 것에 잘 적용시켜야 할 것이다. 교과서의 외적 체제 및 편집디자인이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교과 내용과 형식을 인지하기 쉽게 구성하면서 ‘보기 좋고 읽기 좋은 교과서’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제언을 토대로 우리나라 교과서의 외적 체제 및 편집디자인의 개선이 실제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고대한다. 아울러 본 연구가 앞으로 우리 교과서의 외적 체제 및 편집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질 높은 교과서 편집과 디자인에 실제적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to review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heories relating to external system and editorial design of textbooks and compare the findings with the current textbooks to derive the issues and implications relating to external system and editorial design of textbooks. The author,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external system and editorial design of textbooks. It is desired that Korean textbooks reflect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advanced textbooks and are configured in such a way as to facilitate the recognition of contents and forms while the balance between external system and editorial design is well maintained as a whole, aiming at ‘good-looking and easy-to-read textbook’. The author expect that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w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external system and editorial design of the textbooks of Korea through serving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the external system and editorial design of the textbooks to make quality textbooks.

      • KCI등재후보

        한국 중학교 미술 교과서 표지 디자인 연구

        신세례(Se Rye Sh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7 No.-

        교육과정과 수업실천을 연결해주는 핵심자료인 교과서는 교육 현장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교과서의 내용은 물론 외적 체제나 편집, 그리고 품질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미술교과서는 타 교과서와는 달리 시각 중심 교과서라는 특수성 때문에 교과서의 디자인적인 역할을 더 크게 담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교과서에 대한 외적 체제의 연구가 미흡하였고, 선행연구들 또한 미술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레이아웃의 개선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연구에서 가장 소외되고 있는 미술교과서 표지 디자인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표지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중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분석하여 신선한 감각과 흥미, 창의성 함양을 위한 중등교과서 표지 디자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표지 디자인에 대해서 사용자인 학생들에게 신서한 감각과 흥미, 그리고 창의성을 함께 이끌어 낼 수 있는 미술교과서 표지디자인으로 발전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A textbook that connects a curriculum with its class can greatly influence education. The editing, layout, and external quality, as well as, the content of the cook are undoubtedly important. As opposed to most textbooks, an art book is visually-oriented and this makes its design more unique and important. However, the external designs of art textbooks have not been developed within the sphere of desing. Therefore, designers do not have the proper information or tips on how to improve their layout and design of the books. In this study, the cover design of art books will be discussed, a largely neglected area, and a more elaborate and effective design will be proposed. Preference, responsiveness and aesthetics of the art books’ designs were rated by Gu-II Middle School and Hwi-Kyoung Girls’ High School students. The degree of use was also tested and then rated by the same students. All results will be analyzed precisely. Finally, this study is helpful for students with new perspectives and an interest in art, who do not have the opportunity to choose an art book. This new information will be helpful for creating new cover designs for art books, which could most inspire students’ creativity.

      • KCI등재

        2009년 교육개정 디자인 교과서 분석과 디자인 일반 교육 발전 방향

        신희경 ( Shin Hee K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6

        오늘날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 일반교육에 대한 요청과 실행이 활발해지고,초·중·고 교육과정에서 디자인 일반교육은 점차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2015년 교육과정 개젬]을 바탕으로 2018년부터는 새 교과서에 의한 디자인일반교육이 실시될 예정으로,그 시행에 앞서서,디자인일반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현재 시행되는 디자인 일반교육의 정확한 현황을 [교과과정 분석],그 교과과정이 반영된 [교과서 분석],그 교과서를 매개로 교육과정을 가르치는 [교사 분석]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2016년도 현재 초·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디자인 일반교육은 2009년 개정 후 2011 년 개별 과목 고시에 의해 이루어지며,초·중·고등학교의 디자인관련 교과서는 초등학교 12개, 중학교11 개,고등학교 일반과목12개,선택과목7개로 총 42개가 사용 중이며,각 디자인비중은 초등38%,중학교36%,고등학교(심화교과서제외)25%였다. 이외에도 교과서 내 범주별 분석,7차개정교과서와의 비교 등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디자인의 중요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디자인역량에 대해서는 초등의 담임교사는 교대의 디자인수업 분석,중등 미술교사는 임용시험문제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나,교과서의 디자인 비중과 달리,현저히 낮았다. 임용고시과목은 사범대,교육대학원의 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나,그동안 간과되어온 바가 크며,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이에 대하여 대안을 저시하고자하였다. The request for practice of general education in design for everyone including children is rapidly increasing.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such education is also increasing in the education curriculum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Based on the 2015 Amendment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general education in design is to be conducted starting 2018 using the new textbooks. Preceding the renewed general education in design in 2018, we must first analyze the accurate status quo of the current design education curriculum. Therefore, we conducted the research by analyzing through the scopes of educational curriculum, textbook and instructors. As of now in 2016, general design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s conducted following the 2009 amendments and the 2011 notifications for individual subjects. There are a total of 42 design-related textbooks currently in use in schools; 12 in elementary, 11 in middle school, 12 for high school general subject and 7 for high school elective courses. Within the textbooks, the portion of design is 38% for elementary school, 36% for middle school and 25% for high school (sans advanced textbooks). Furthermore, the ranges of the textbooks and changes from the 7th edition textbooks show a change. Reflecting societal desires, the importance of design has increased in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We used different measures to analyze the design capability of instructors. For the elementary school level, we analyzed the design classes in the teacher`s college curriculums. For the middle school level, we looked into the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for art teachers who teach design. The results turned out to be poorer, compared to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design in textbooks. Although the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has a big influence on the education for both the college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t has been overlooked. This research attempts to present a solution to this issue.

      • KCI등재

        안상수체의 조형적 특징을 활용한 교과서 표지디자인 연구 - 고등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하림 ( Lee Ha-l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

        교과서의 표지 디자인은 시각적인 즐거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정서 발달에 도움을 주고 참고 작품의 역할을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 하므로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교육과정에 따라 선정·조직된 내용을 단순화하여 교과목의 특징을 담아내고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과 가독성을 높이는 것을 교과서 표지디자인의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삼아야 한다. 특히 국어교과서는 민족과 국가의 중추를 이루고 있는 민족어이자 전통문자인 한글을 통한 가르침을 담고 있다. 따라서 여타 과목보다 가장 민족적이며 두드러진 표지 디자인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와 우리나라 고유의 문자 한글의 디자인 요소를 분석 요소로 정하였고 한글을 세계적 디자인 요소로 부각시킨 안상수체를 선정하여 연구 범위를 집약하였으며 아래와 같이 전개하였다. 첫째, 교과서 표지 디자인의 구성요소와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개괄적인 이론배경을 서술하였다. 구성요소를 ①레이아웃 ②타이포그래피 ③일러스트레이션, 사진 ④색채 네가지 요소로 구분하여 기본적인 특징을 바탕으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사항들을 기존 표지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디자인의 흐름과 색상 및 레이아웃을 시각적으로 모색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둘째, 표지디자인의 구성요소로 대입하여 중점적으로 다룰 안상수체의 조형적 특징에 대해 서술하였다. 안상수체의 어문인 한글의 조형적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안상수체의 객관적인 디자인요소와 정체성을 강조하여 국가적 정체성이 높은 표지디자인 안을 마련하였다. 셋째, 언급한 국어교과서의 구성요소와 7차 교육과정까지의 변천과정에서 보여진 표지디자인의 흐름을 바탕으로 안상수체를 응용한 실험디자인을 제시·분석하여 객관적 사항을 바탕으로 새로운 표지디자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본론에서 제시한 실험디자인과 객관적 요소를 결합한 특색있는 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레이아웃과 정체성이 담긴 이미지, 한글의 가독성이 깊이 요구되는 국어 교과서 표지 디자인의 시각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안상수체를 활용하여 제시한 실험 디자인의 적절성을 정리하여 앞으로 새롭게 편찬될 국어 교과서 표지 디자인에 대한 시사점과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cover design of a textbook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education because it plays various roles such as providing visual enjoyment, helping to develop emotion, and being references. So it must be regarded do the simplification the contents to be selected·organized according to education course and catch the feature of curriculums, a study motive induction of students and the thing to make the ability to read as most important function of a textbook cover design. Especially, Korean textbook is putting teachings through the Hangul which are consisting the center of the race and nation which are the race language and are the tradition letter. So Most national and prominent cover design is required than different subject. In this thesis, we decided high school korean textbook and a design factor of our own letter Hangul to an analysis factor, and selected An Sang-soo style that made hangul a global design factor and condensed research range and evolved shown in the below. First, we described general theory background look into the change course with the component of a textbook cover design. We deduced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as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to a layout a typography a illustration, photography and color. We made the opportunity to visual grope the flow of the design, color, layout as presenting the things deduced to existing cover design. Second, we described about a moulding feature of An Sang-soo style substitute to the component of cover design and to be treated minutely. We emphasized a objective design factor of An Sang-soo style and identity, prepared a case of cover design which a national identity high as presenting Hangul`s moulding feature which is the text with the speaking of An Sang-soo style. Third, we preseted the experiment design to apply An Sang-soo style the essence the flow of design seen in a component of Korean textbook and change course of seventh curriculum and proposed new cover design plan to essence the objective thing. At the end, We presented a development direction of specific textbook which combines experiment design with objective factor to present in the main discourse. By mainly analyzing visual component of Korean textbook cover design which layout, image with the identity and the ability to read of Hangul is required deeply. and arranging the suitability of an experimental design using An Sang-soo style. We try to show suggestion and possibility of newly editing Korean textbook cover design.

      • KCI등재

        초등 수학교과서의 스토리텔링 디자인 분석

        김정희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4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5 No.40

        교육과학기술부는 2012년1월 수학교육선진화방안을 발표하고 사고력과 창의력중심의 수학교육으로 개혁하였다. 이는 함축된 설명과 공식으로 외우기만하면 수학문제 해결이 되는 암기 수학교육에서 벗어나 선진국에서 사용 중인 스토리텔링 방식을 도입하여 이해도와 흥미도를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본 연구목적은 디자인이 수학 교육이라는 기본 전제를 잃지 않고 스토리텔링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스토리텔링 콘텐츠 디자인분석과 국외 교과서 비교 분석, FGI을 실시하며 디자인 세부 요소 분석은 군터크레스의 시각디자인 문법의 조형요소 (Kress's grammar of visual design) (김정희, 2012, p81)에 의한 분석요소를 중심으로 한다. 분석 범위는 스토리텔링을 처음 도입해 개정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중 스토리텔링이 가미된 챕터를 중심으로 디자인 분석을 한다. 타겟은 언어의 미숙함으로 스토리텔링법에 영향을 받지 않는 4학년을 중심으로 하며 교육특구로 지정된 노원구의 4학년 공립 초등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교과서 만족도 FGI를 실시한다. 분석 결과 국외 교과서는 1차 목적인 수학 교육의 전달과 현실과의 연계성에 중점을 두었으나 국내 교과서는 디자인의 다양성과 재미요소에 집중하여 스토리텔링의 효과적인 전달역할에 충실하지 않고 있다. 아이들의 흥미가 개정의 목적인 창의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는 이어지지 못하였으며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 또한 낮았다. 본 논문은 스토리텔링디자인으로 최초로 개정된 4학년 수학교과서디자인의 현황 파악과 선진국 사례 비교로 이후 교과서 디자인 기초 자료로 활용 되고자 한다. Math Education Enhancement Plan announced in January, 2012 by Korea government for education of thinking and creativity. Moving away from memory method to a storytelling method was adopted which had been using in the UK, USE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This method will help to learn independent learning and real life via a math meaning, context and real life examples. Analysis a fourth-grade textbook that is not affected by language skill. Using research, FGI as analysis method. research target is fourth-grade students and parents of public elementary school at Nowongu which place is the special education zone by government. Also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reign math textbooks of developed countries desig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eign textbooks ar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delivery of education and reality. Typography, icon, colors, decoration are minimized but information. However analysis target textbooks use more then 4 typography, a variety characters in every chapter and icons, lay out design without empty space up and down area. Focused on fun module not a educational communication design. Content is boring, students and parents ' satisfaction was low. And doesn't help to thinking and creativity at study. This paper hope to using as basic research document for math textbook design plan.

      • KCI등재

        창의력 항샹을 위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디자인 비교 연구

        이창욱,정홍철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8 No.-

        The revised education in 2015 goes through various basic processes, and the design of the textbooks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in the primary language to grasp the learner's level and symbols,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in the language arts education I designed the elements of textbook design so that I could understand and learn the characteristics correctly and easily. By comparing textbooks of revision education in 2009 and revised textbooks in 2015 and analyzing them according to design elements of textbooks, it analyzes the elements of textbook design and editing design, and analyzes layout, visual And the color and tampon used in dating. The comparison of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editing design used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was compared and analyzed. ased on the editorial design factors derived from verification of their suitability, it was analyzed whether a textbook design could be made that could improve the creativity of learners in the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groups. The use of bright and soft colors of the visual image elements through their visual image enhancement and various interpretations is a variety of changes in the composition and layout that utilize the plasticity of the typographic system. 2015년 개정교육은 다양한 기초과정을 통해 초등학교 1~2 학년군 국어 교과서 디자인은 학습자의 수준과 기호를 파악하고 2015년 개정교육과정의 국어과 교육 특성을 정확하고 쉽게 이해하며 학습할 수 있도록 교과서 디자인의 요소를 기획 하였다. 2009년 개정 교육과 2015년 개정된 국어교육 교과서 비교 및 교과서 디자인 요소별로 비교 분석하여 교과서 디자인이 가지고 있는 체제와 편집 디자인으로서 요소를 분석 레이아웃, 시각적 이미지 가지고 있는 정보전달의 내용과 교제에서 사용되는 색상 및 타이포그래피로 분류 2015년 개정교육과정에서 사용된 편집 디자인 현황을 비교분석 하였다. 그 적합성을 검증하고 도출된 편집디자인 인자를 기초로 초등학교 1~2 학년군 학습자의 창의력 향상을 유발할 수 있는 교과서 디자인이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였다. 시각이미지를 강조하는 그래픽요소와 다양한 삽화를 통해 시각적 이미지요소를 밝고 부드러운 색상 사용은 조형적 원리를 이용한 구성과 레이아웃의 다양한 변화는 타이포그래픽 사용 가독성을 높이며 국어교과서 교육 과정을 자연스럽게 창의력을 향상을 위한 교과서를 제작 되어야 한다.

      • KCI등재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교과서 편집디자인 연구 : 초등학교 4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장창식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5 No.-

        국제 정세가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국가 간 경쟁은 날로 치열해지는 현시점에서 교육을 통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 다는 사회적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의 필수 도구로서 교수, 학습을 매개하는 교과서의 역할 은 갈수록 중요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교과서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초등학교 4학년 국어 교과서의 편집디자 인 요소를 분석하여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편집디자인의 선행연구 사례를 분석하여 구성요소를 정 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 국어 교과서의 현황 및 편집디자인의 요소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학생들을 지도하는 초등학교 교사 87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첫째, 국어 교과서 의 디자인 형태 및 단원별로 적용된 디자인 요소, 일관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서체에 대 한 질문에는 긍정적인 응답이 많은 반면 부정적인 의견도 있어 부분적으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각이미 지에 관한 질문에는 일러스트레이션 및 사진 이미지 사용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이 많은 반면 그래픽 요소의 사용에 대해 부적절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응답이 다소 있어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설문사례 분석을 종합하면 전반적인 편집디자인 구 성요소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이 있었으나 예체능 계열 검인정 교과서에 비해 아직도 미흡한 면이 많아 개정 교과서에서는 좀 더 과감한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향후 이러한 현업에 있는 교사들의 실질적인 의사를 반영한 교과서 편집디자인 분석 연구들이 보편화 되어 개정 교과서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t a time whe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s rapidly changing day by day and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is becoming more intense, the social need to secure future competitiveness through education is becoming more urgent. As an essential educational tool for nurturing talent, the role of textbooks in mediating teaching and learning is expected to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ditorial design elemen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uggest improvements for effective learning from textbooks. To this end, the components were organized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cases of editorial design. Based on this, the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Korean textbooks and the analysis of elements of editorial design were conducted.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on 87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ctually teach studen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design form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design elements applied to each unit, and consistency. Second, there were many positive responses to the question about the font, but there were also negative opinions, so it was found that it would need to be partially supplemented. Third, in the question about visual images, there were many positive opinions about the use of illustrations and photographic images, but there were some responses about the use of graphic elements that said they were being used inappropriately, so improvement appears to be necessary. Summarizing the survey case analysis, there were positive responses to the overall editorial design components, but there are still many shortcomings compared to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pproved textbooks, so it seems that more drastic changes are needed in the revised textbook.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extbook editing design analysis studies that reflect the practical intentions of teachers in the field will become common an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revised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