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 결손을 동반한 견관절 불안정성의 관절경적 재건술

        김양수(Yang-Soo Kim),옥지훈(Ji-Hoon Ok)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4 No.1

        목적: 골성 방카르트 병변의 여러 가지 치료 방법 중 관절경적 재건술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대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의 치료에 있어 관절경적 복원술의 임상결과 향상으로 개방적 수술보다 관절경적 수술을 더욱 선호하게 되었고 점차 표준 치료법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관절와의 골 결손이 있는 경우 골 결손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며 관절경적 복원술의 방법 또한 지속적 발전과 함께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결과: 골 결손의 관절경적 재건술 중 방카르트 병변의 이열 봉합술은 일열 봉합술의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견고한 고정과 해부학적 복원을 위해 최근에 소개되었으나 앞으로 많은 증례와 장기간 추시를 통해 그 결과가 입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관절경을 이용한 오구돌기 이전술, 즉 Bristow-Latarjet 술식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결론: 전방 불안정성 환자의 관절경적 치료 방법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성공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술 전 환자의 골 결손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치료와 연관된 술 중, 술 후 요소들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Purpose: We reviewed arthroscopic reconstruction among the several treatment options for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a bony Bankart lesion. Materials and Methods: Although open Bankart repair has long been considered the optimal surgical management of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advancements in arthroscopic techniques have led to a recent shift to arthroscopic Bankart repair. However, for cases of a glenoid bony defect, several authors have reported various methods to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bony defect. Results: The arthroscopic technique of bony Bankart reconstruction continues to evolve and various methods have follow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ingle fixation of a Bankart lesion, arthroscopic dual fixation (2 point fixation) has recently been tried to anatomically repair and restore the rigid fixation of a bony fragment. The concept of performing the Bristow-Latarjet transfer procedure under arthroscopy has also recently emerged. However, a large series of cases and long term follow up are required to prove the better results. Conclusion: To obtain a successful outcome for patients with anterior instability with a glenoid bony defect, it is imperative that the surgeon be aware of the accurate status of the bony defect and the intraoperative, postoperativ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oper treatment of this unstable pathology.

      • 회전근 개 판분리 파열에 따른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의 결과

        구정회,조형래,박만준,김정철,Ku, Jung Hoei,Cho, Hyung Lae,Park, Man Jun,Kim, Jeong Cheol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목적: 전층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술 시 관찰되는 회전근 개 판분리 현상의 유무에 따른 술 후 임상적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회전근 개 전층 파열로 관절경하 이열 봉합술을 시행한 48예(남자 31, 여자 17, 평균나이 57.6세, 범위 45~68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파열 크기는 2.8 cm(범위: 1.2~3.6 cm) 이었고 판분리 유무에 따라 봉합법을 달리하여 판분리가 있는 경우 점액낭 층과 관절면 층을 각각 구분하여 봉합하였다. 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26개월(범위: 18~33)이었으며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점수와 등속성 근력 평가를 이용하여 기능적 결과를 판정하였고 술 후 평균 8개월(범위: 6~13)에 촬영한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봉합부의 해부학적 연속성을 판정하였다. 관절경하에서 관찰된 판분리 현상의 양상과 나이, 성별, 이환 기간, 파열의 크기, 술 후 만족도, 재 파열 빈도와의 상관 관계를 판정하였다. 결과: 술 후 44예(91.7%)에서 견관절의 기능적 호전을 보였다. 관절경 소견 상 48예 중 15예에서 회전근 개의 판분리(31%)가 관찰되었으며 대부분 내측과 후내방으로 퇴축되어 있었고 분리된 두 층 중 관절면 층이 더 두꺼운 경우가 8예(53%), 점액낭층보다 근위부 및 후내방으로 전위된 경우가 9예(60%)이었다. 최종 추시 상의 기능적 점수는 판분리 현상의 유무와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별, 이환 기간, 술 전 파열의 크기, 술 후 만족도는 판분리 현상과 상관 관계가 없었으나 고령일수록 판분리 현상이 더 많이 관찰되었다(p=0.041). 술 후 촬영한 29예의 자기 공명 영상 소견 상 완전치유가 14예(48%), 부분치유가 9예(31%)이였으며 6예(21%)에서 봉합부의 완전 재파열이 발생하였으나 이 중 50%는 임상적 결과가 양호로 판정되었다. 추시 자기 공명 영상 상 판분리 현상이 없는 경우에서는 79%(15/19), 판분리 현상이 있는 경우는 80%(8/10)에서 봉합부가 치유된 것으로 판정되어 판분리 현상이 있는 경우의 복층 이열봉합술은 판분리 현상이 없는 경우의 단층 이열봉합술과 유사한 봉합부의 해부학적 연속성이 관찰되었다(p=0.165). 결론: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 시 판분리 현상은 본 연구에서 약 31%이였으며 이는 고령에서 더 흔히 관찰되었다. 성별, 이환기간, 술 전 파열의 크기, 기능적 결과 및 술 후 만족도에 있어 판분리 파열의 영향은 없었으며 봉합부의 해부학적 연속성도 판분리 현상이 없는 회전근 개 파열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We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 after arthroscopic repair in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s with and without delamina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6 to October 2008, we included 48 consecutive shoulders (31 males, 17 females; mean age 57.6 years; 45~68) who had arthroscopic double row repair for fullthickness tears of the rotator cuff. Mean rotator cuff tear size was 2.8 cm (range: 1.2~3.6) and the techniques of tendon-to-bone fixation vari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elamination; separate row fixations of bursal and articular layer were used in delaminated tear. The mean follow-up was 26 months (range: 18~33) and functional and structural results were evaluated by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cale, isokinetic strength testing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btained mean 8 months (range:6~13) postoperatively. The patterns of delamination, age, sex, symptom duration, size of tear, satisfaction rate, retear rate ware compared and significance was set at p values < 0.05. Results: Postoperative functional shoulder score improved significantly in 44 shoulders (91.7%). Delamination was observed in 15 shoulders (31%) and it extended proximally and posteriorly in the majority of shoulders, and the articular layer was thicker (8/15, 53%) and more retracted (9/15, 60%) compared with the superficial bursal layer. Final follow up functional shoulder scores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non-delaminated and delaminated tears and the presence of delamination had no correlations with sex, symptom duration, tear size and satisfaction rate, however, older age had more delaminated tears (p=0.041). Follow up MRI in 29 shoulders revealed that fourteen (48%) shoulders had complete healing; nine (31%), partial healing; six (21%), complete retear but the half of the retear group showed favorable clinical results. 79% (15/19) in non-delaminated tear and 80% (8/10) in delaminated tear were judged as healed tendon on MRI and double-layer double row repairs in delaminated tears resulted in nearly same rate of structural integrity of single-layer double row repairs (p=0.165). Conclusion: The incidence of delamination in our series was 31% and older age had more delaminated tears. Sex, symptom duration, preoperative size of the tear, functional results and satisfaction rate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presence of delamination. Nearly the same postoperative structural integrity was noted in both delaminated and non-delaminated t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