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판 관계적 공격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대학생을 대상으로

        배라영,최지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1

        Relational aggression is defined as behavior that causes relational harm.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Relational Aggression Scale developed by Morales & Crick (1998). To this aim, 31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examined for construct validity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current validity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Gender related differences were identified using latent mean analysis. The relational aggression scale is comprised of 10 items, categorized into three subscales including three items on proactive relational aggression towards a goal-directed end, four items on reactive relational aggression displayed in response to a perceived threat, and three items on romantic relational aggression. The reliability was .55 to .74. The Relational Aggression Scale fulfilled concurrent validity criteria by show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on, anger and depression,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Female students demonstrated higher relational aggression than male students, especially with reactive and romantic relational agg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Morales와 Crick(1998)이 개발한 관계적 공격성을 한국어로 번안 및 타당화 하는 것이다. 관계적 공격성은 관계손상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격성이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생 313명(남: 113명, 여: 200명)을 대상으로 구인타당도 및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구인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공인타당도는 공격성, 분노,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관계적 공격성이 남녀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관계적 공격성 척도는 목표성취를 위한 주도적 관계적 공격성 3문항, 지각된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 4문항, 연인관계에서의 애정적 관계적 공격성 3문항의 총 10문항으로 원척도와 같은 3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신뢰도는 .55에서 .74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적 공격성 척도는 공격성, 분노, 우울과 유의한 정적상관,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여 공인타당도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적 공격성은 남녀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 보다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 애정적 관계적 공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불안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 관계적 적대적 귀인편향과 충동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윤희,장혜인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 Vol.21 No.1

        사회불안이 관계적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기제를 확인하기 위해 관계적 적대적 귀인편향과 충 동성을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전국 대학생 278명(남 96명, 여 182명)을 대 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 질문지를 통해 사회불안, 적대적 귀인편향, 관계적 공격성, 충동성, 우울, 신체적 공격성을 측정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를 사용해 분석한 결과, 사회불안은 관계적 공격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사회불안과 관계적 공격성 간 관계에서 관계적 적대적 귀인편향의 매개효과와 관계적 적대적 귀인편향과 관계적 공격성 간 관계에서 충동성의 조절효과가 각각 유의하였다. 그러나 최종 조절된 매개모형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회불안이 높은 일부가 관계적 공격성을 보이게 되는 심리적 기제를 제안, 검증하였 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mechanisms by which social anxiety may become associated with relational aggression in a moderated mediation model that includes relational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impulsivity. Participants were 278 college students (96 males, 182 females) who completed a set of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social anxiety, hostile attribution bias, relational aggression, and impulsivity.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 anxiety significantly predicted relational aggression, and this pathway was partially mediated by relational hostile attribution bias. Moreover, impulsivity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relational aggression. However, final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has implication that it empirically tested the mechanism by which some of socially anxious people act aggressively.

      • KCI등재

        관계적 공격성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여성노인을 중심으로

        성윤아,김윤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ealousy and jealousy of elderly women on relational aggression in 382 elderly women over 60 years ol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eater the jealousy and jealousy of the elderly women, the higher the relationship aggress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he impacts of elderly woman's jealousy and envy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based on which to suggest the mediating measures for relational aggression visualized in the elderly woman and the measures to promot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The specific subjects of inquiry are;first, does the jealousy and the envy of elderly woman have impact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the relation between the jealousy and the envy of elderly woman and the relational aggression? To do that,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85. The major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eneral inclination of the relational aggression, jealousy, envy and anger in the elderly woman, the jealousy received 3.226 points showing the highest degree compared to other variables, the envy received and the trait anger scored 2.454 points in order. The score of the variables having internal inclination of individual similar to the jealousy and the envy was slightly higher or lower than the median value. In the anger toward other people or the relational aggression, since the trait anger was scored but other variables were scored low showing around 1 points, the anger and the aggression of the elderly woman can be considered to be low.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 among the various variables i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not much. There were many cases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compared to other variables. That is,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ctive aggression, proactive aggression, state anger and trait anger was found and the relational aggression and the anger in the elderly women having education level of middle school graduate or higher were lower compared to those in the elderly women who were not educated or graduated the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60세 이상 여성노인 382명을 대상으로 하여 여성노인의 질투, 시기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여성노인의 질투와 시기심이 심할수록 관계적 공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노인의 질투, 시기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여성노인의 가시화 되어지는 관계적 공격성의 조절 방안과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여성노인의 질투 및 시기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여성노인의 질투 및 시기심과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분노는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이다. 주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질투, 시기심 일반적 경향을 분석한 결과, 질투는 다른 변인에 비해 그 정도가 가장 높으며, 시기심 순이다. 질투와 시기심과 같은 개인 내적인 성향이라 할 수 있는 변수의 점수는 중앙값보다 살짝 높거나 살짝 낮은 수준이다. 둘째, 여성노인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제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결과가 많지 않았다. 다른 변수에 비해 여성노인의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 한 경우가 많았다. 즉 교육수준에 따라 반응적 공격성, 주도적 공격 성의 차이가 유의했는데, 중졸이상의 교육수준을 가진 여성노인의 관계적 공격성과 분노가 무학 혹은 초졸인 여성노인에 비해 낮았다. 셋째, 여성노인의 질투와 시기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회귀분 석을 실시한 결과, 여성노인의 질투가 심할수록 반응적 공격성이 높아지며, 시기심이 심할수록 반응적 공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투가 시기심에 비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노인의 시기심이 심할수록 반응적 공격성이 높아지지만 질투의 영향 력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 노인의 질투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지되었다.

      • KCI등재

        초기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 하위유형의 특성 탐색: 사회평가불안과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을 중심으로

        한영경,김은정 한국임상심리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초기청소년기의 관계적 공격성과 그 하위유형(반응적, 주도적)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중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사회평가불안과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이 관계적 공격성의 하위유형에 주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학생의 경우 사회평가불안은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에,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은 주도적 관계적 공격성에 특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사회평가불안은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에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는 경향성이 나타났지만,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관계적 공격성의 하위유형이 서로 다른 세부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성별에 따라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의 향후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관계적‧외현적 공격성의 성차 및 성격과 리더십의 영향

        최미숙(Mi Sook Choi),전아영(A Young Jeo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2

        본 연구는 유아의 관계적 공격성 및 외현적 공격성의 성차와 이에 대한 성격과 리더십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 사립유치원 4곳의 만 5세 유아 16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t-검증, Pearson 적률상관계수,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관계적 공격성 및 외현적 공격성의 성차는 외현적 공격성에서 남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적 공격성 및 외현적 공격성은 성격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성격의 정서적 안정성, 호감성, 외향성, 성실성은 관계적 공격성을, 호감성, 개방성, 정서적 안정성은 외현적 공격성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적 공격성 및 외현적 공격성은 유아의 리더십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리더십 중 타인존중, 도전과 자신감은 관계적 공격성과 외현적 공격성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and the impacts of personality and leadership on the aggressions. The subjects were 166 5-year-old children at four private kindergartens in K city. For data analysi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18.0 WIN progra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al aggression and overt aggression, boys showed higher levels of overt aggression. Second, relational aggression and overt aggress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sonality. In particular, emotional stability, agreeableness, extroversion, and sincerity among personality traits were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relational aggression, whereas agreeableness, openness, and emotional stability were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overt aggression. Third,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young children’s leadership. In particular, respect for others, challenge and self-confidence were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relational aggression and overt aggression.

      • KCI등재

        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과 관련된 개인적, 환경적 특성 고찰: 국내 학술지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박성민(Park Sungmin),임정하(Lim Jungha)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에 관한 국내 학술지 발표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분석대상 논문을 바탕으로 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과 관련된 개인적, 환경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에 관한 논문 총 47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논문의 발표현황, 연구대상, 연구유형, 관계적 공격성 변인 유형, 측정도구, 관계적 공격성과 함께 분석된 변인들을 살피고, 그 내용을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연구는 최근 10년간 꾸준히 수행되었으며, 초기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관계적 공격성 변인이 종속변인으로 분석된 경우가 많았다. 관계적 공격성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으로는 부정정서, 정서조절능력 등 사회・정서발달 영역의 변인이, 환경적 특성으로는 부모의 양육행동이 포함된 가족특성 변인이 주로 다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추후 연구의 방향과 청소년과 부모를 위한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f studies on relational aggression during adolescence in South Korea. First, a systematic review of methods and findings on relational aggression was conducted. Second,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relevant to relational aggression were extracted from empirical findings of published articles. An electronic search of the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2004 and 2020 identified 47 studies for inclusion. Studies were coded to extract data on participant characteristics, research design, instruments, type of variable and relevant factors. Results indicate that the articles on relational aggression of adolescents have been steadily published over the past 10 years. Participants were mostly in their early adolescence an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method was most frequently used to assess relational aggression. Also, relational aggression was analyzed mainly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e cross-sectional approach. Findings demonstrate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linked to relational aggression were primarily socio-emotional factors including emotion regulations, rejection sensitivity, and negative emotions. Also, environmental factors linked to relational aggression were mainly parenting style including psychological control and monitoring. Recommendations and consideration are given to future directions in the study of relational aggression during adolescence.

      • KCI등재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을 예측하는 학생 수준 및 학급 수준 변인의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최준섭 ( Choi Joonsup ),이동훈 ( Lee Donghu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과 학급의 위계적 속성을 고려한 다층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 및 학급 수준의 다양한 변인들이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각각의 영향과 경로를 검증하는 데 있다. 관계적 공격성을 예측하는 학생 수준 변인으로는 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조절능력을, 학급 수준 변인으로는 교사애착, 학급응집성, 교사경력, 학급규모, 교사성별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국내 8개 시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71개 학급의 1,670명의 학생과 71명의 담임교사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 연구를 수행한 결과, 첫째, 학생 수준 모형에서 모의 심리적 통제(+), 정서조절능력(-)은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조절능력은 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 간의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관계적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학급 수준의 변인은 교사애착(-), 학급응집성(-), 교사경력(-), 학급규모(+)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수준이 학급수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관한 교육적,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관계적 공격성과 관련한 변인들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학생 수준과 학급 수준에서 검증하여, 초등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은 개인뿐만 아니라 학급 환경의 밀접한 영향을 받음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and pathways of various variables at the student and class level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applying a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considers the hierarchical attributes of students and classes.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were selected as student-level variables predicting relational aggression, and teacher attachment, class cohesion, teacher career, class size, and teacher gender were selected as class-level variable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of 1,670 students and 71 homeroom teachers from 71 classe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s in 8 cities in Korea was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is study, first, in the student-level model,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relational aggression,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acted as a mediator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relational aggression. Second, the class-level variables that directly affect relational aggression were teacher attachment(-), class cohesion(-), teacher career(-), and class size(+). Third, the effect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be higher at the student level than at the class level. This study verifi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variables related to relational aggress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the student level and class level at the time of increasing education and social interest in relational aggre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mpirically verified that the relational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closely affected not only by the individual but also by the classroom environment.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중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이하연(Lee, Hayeon),박주희(Park, Ju 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중학생의 인지정서조절전략이 관계적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31명의 중학생(남녀 각 258명, 173명)을 대상으로 Marsee, Kimonis and Frick(2004)의 또래 갈등 척도, Barber(1996)의 심리적 통제 척도, 그리고 Garnefski, Kraaij and Spinhoven(2001)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의 수준이 높을수록 중학생이 관계적 공격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중학생이 긍정적 정서조절전략을 덜 사용하고 부정적 정서조절전략을 자주 사용할수록 관계적 공격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정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가 유의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이 높은 경향이 있었는데 이러한 영향은 부정적 정서조절전략을 자주 사용하는 집단에서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긍정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관계적 공격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정서조절전략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relational aggression amongst middle school students and addressed the question as to whether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any moderating effec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relational aggress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31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both mothers and fathers and positive emotion regul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creased the levels of relational aggression, whereas negative emotion regulation decreased the levels of relational aggression. In addition, negative emotion regulation tended to moderate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relational aggression whereas positive emotion regulation did not.

      • KCI등재후보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친구관계의 질의 관계: 적대감,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박우람 ( Woo Ram Park ),홍상황 ( Sang Hwang Ho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2

        본 연구는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친구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아동의 적대감과 관계적 공격성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466명에게 거부민감성, 적대감, 관계적 공격성, 친구관계의 질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거부민감성은 적대감, 관계적 공격성과는 정적 상관, 친구관계의 질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연구의 매개변인인 적대감, 관계적 공격성도 친구관계의 질과 각각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거부민감성이 적대감과 관계적 공격성에 각각 영향을 주어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단순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고, 적대감이 관계적 공격성보다 거부민감성과 친구관계의 질과의 관계를 더 잘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의 거부민감성이 적대감에 영향을 미친 다음 관계적 공격성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다시 친구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의 설정한 모형들 중 연구모형으로 설정한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 적합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부민감성이 친구관계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적대감과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를 통해 친구관계의 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으로 인해 친구관계의 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동의 관계적 공격성을 완화하는 개입을 하기 전에 친구관계에서 순간적인 갈등으로 발생하는 분노 및 적개심과 같은 정서를 완화할 수 있는 적대감 및 분노조절 프로그램과 같은 인지정서적 개입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하고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among hostil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friendship.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46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in Gyeongsangnam-do by measuring the scales of rejection sensitivity, hostility, relational aggression and quality of friendship.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expresses th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hostility, relational aggression but th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show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friendship. also hostil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as a mediator variable in this study present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friendship. Second, by the study of mediating effect,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ffects on the hostil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respectively. So the single mediating effect that has th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friendship becomes more meaningful. It represents that hostility better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friendship. Meanwhil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ffects hostility and then the development of relational aggression. It also represents again significance of dual mediating effect that affects quality of friendship. Especially,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as a research model in this study has more goodness than the full mediating effect. Rejection sensitivity affects directly the quality of friendship, but also indirectly affects the quality of friendship by mediating between hostil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This study represents the need of the cognitive-emotional intervention such as hostility and anger management program that can alleviate emotions like anger and enmity which occur in a moment before the intervention that can alleviate children``s relational aggression in students who can be lowered in friendship from rejection sensitivity.

      • KCI등재후보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 정서조절, 질투와 시샘의 순차적 매개효과

        박우람,홍상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5 초등상담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질투와 시샘이 매개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575 명에게 거부민감성, 정서조절, 질투, 시샘 그리고 관계적 공격성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 집하였고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거부민감성은 관계적 공격성, 질투와 시 샘과는 정적 상관, 정서조절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연구의 매개변인인 정서조절 및 질투와 시샘도 관계적 공격성과 각각 부적,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매개변인인 정서조절과 질투와 시샘이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과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그리 고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선행모형(거부민감성→ 정서 조절→ 질투와 시샘→ 관계적 공격성)의 순차적 경로는 유의한 반면, 질투와 시샘의 선행모 형(거부민감성→ 질투와 시샘→ 정서조절→ 관계적 공격성)의 순차적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 다. 이는 학교장면에서 아동의 거부민감성에 기인한 관계적 공격성 수준이 높은 학생을 상담 할 때 아동의 정서조절을 먼저 다루고 그 다음 질투와 시샘과 같은 부적 정서의 순서로 개 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 하고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among emotion regulation, jealousy, and env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57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in Gyeongsangnam-do by measuring the scales of rejection sensitivity, emotion regulation, jealousy, envy and relational aggression.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expresses th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relational aggression, jealousy, and envy, but th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show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 regulation. The emotion regulation as a mediator variable in this study present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relational aggression while jealousy and envy express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elational aggression. Second, emotion regulation, jealousy and envy as mediator variables fully mediate in relationships i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The consecutive order in the preceding model of the emotion regulation (rejection sensitivity → emotion regulation → jealousy and envy → relational aggression) is significant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consecutive order in the preceding model of jealousy and envy (rejection sensitivity → jealousy and envy → emotion regulation → relational aggression) is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a negative emotion order from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o jealousy and envy when counselling a student who has high relational aggression from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in school. Lastly, the result is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