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판 관계적 공격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대학생을 대상으로
배라영,최지영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1
Relational aggression is defined as behavior that causes relational harm.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Relational Aggression Scale developed by Morales & Crick (1998). To this aim, 31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examined for construct validity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current validity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Gender related differences were identified using latent mean analysis. The relational aggression scale is comprised of 10 items, categorized into three subscales including three items on proactive relational aggression towards a goal-directed end, four items on reactive relational aggression displayed in response to a perceived threat, and three items on romantic relational aggression. The reliability was .55 to .74. The Relational Aggression Scale fulfilled concurrent validity criteria by show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on, anger and depression,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Female students demonstrated higher relational aggression than male students, especially with reactive and romantic relational agg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Morales와 Crick(1998)이 개발한 관계적 공격성을 한국어로 번안 및 타당화 하는 것이다. 관계적 공격성은 관계손상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공격성이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생 313명(남: 113명, 여: 200명)을 대상으로 구인타당도 및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구인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공인타당도는 공격성, 분노,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관계적 공격성이 남녀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관계적 공격성 척도는 목표성취를 위한 주도적 관계적 공격성 3문항, 지각된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 4문항, 연인관계에서의 애정적 관계적 공격성 3문항의 총 10문항으로 원척도와 같은 3요인으로 구성되었고, 신뢰도는 .55에서 .74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적 공격성 척도는 공격성, 분노, 우울과 유의한 정적상관,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여 공인타당도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적 공격성은 남녀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 보다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 애정적 관계적 공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사회불안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 관계적 적대적 귀인편향과 충동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윤희,장혜인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 Vol.21 No.1
사회불안이 관계적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기제를 확인하기 위해 관계적 적대적 귀인편향과 충 동성을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전국 대학생 278명(남 96명, 여 182명)을 대 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 질문지를 통해 사회불안, 적대적 귀인편향, 관계적 공격성, 충동성, 우울, 신체적 공격성을 측정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를 사용해 분석한 결과, 사회불안은 관계적 공격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사회불안과 관계적 공격성 간 관계에서 관계적 적대적 귀인편향의 매개효과와 관계적 적대적 귀인편향과 관계적 공격성 간 관계에서 충동성의 조절효과가 각각 유의하였다. 그러나 최종 조절된 매개모형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회불안이 높은 일부가 관계적 공격성을 보이게 되는 심리적 기제를 제안, 검증하였 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mechanisms by which social anxiety may become associated with relational aggression in a moderated mediation model that includes relational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impulsivity. Participants were 278 college students (96 males, 182 females) who completed a set of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social anxiety, hostile attribution bias, relational aggression, and impulsivity.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 anxiety significantly predicted relational aggression, and this pathway was partially mediated by relational hostile attribution bias. Moreover, impulsivity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relational aggression. However, final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has implication that it empirically tested the mechanism by which some of socially anxious people act aggressively.
관계적 공격성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여성노인을 중심으로
성윤아,김윤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ealousy and jealousy of elderly women on relational aggression in 382 elderly women over 60 years ol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eater the jealousy and jealousy of the elderly women, the higher the relationship aggress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he impacts of elderly woman's jealousy and envy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based on which to suggest the mediating measures for relational aggression visualized in the elderly woman and the measures to promot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The specific subjects of inquiry are;first, does the jealousy and the envy of elderly woman have impact on the relational aggression? the relation between the jealousy and the envy of elderly woman and the relational aggression? To do that,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85. The major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eneral inclination of the relational aggression, jealousy, envy and anger in the elderly woman, the jealousy received 3.226 points showing the highest degree compared to other variables, the envy received and the trait anger scored 2.454 points in order. The score of the variables having internal inclination of individual similar to the jealousy and the envy was slightly higher or lower than the median value. In the anger toward other people or the relational aggression, since the trait anger was scored but other variables were scored low showing around 1 points, the anger and the aggression of the elderly woman can be considered to be low.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 among the various variables i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not much. There were many cases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compared to other variables. That is,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ctive aggression, proactive aggression, state anger and trait anger was found and the relational aggression and the anger in the elderly women having education level of middle school graduate or higher were lower compared to those in the elderly women who were not educated or graduated the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60세 이상 여성노인 382명을 대상으로 하여 여성노인의 질투, 시기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여성노인의 질투와 시기심이 심할수록 관계적 공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노인의 질투, 시기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여성노인의 가시화 되어지는 관계적 공격성의 조절 방안과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여성노인의 질투 및 시기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여성노인의 질투 및 시기심과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분노는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이다. 주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질투, 시기심 일반적 경향을 분석한 결과, 질투는 다른 변인에 비해 그 정도가 가장 높으며, 시기심 순이다. 질투와 시기심과 같은 개인 내적인 성향이라 할 수 있는 변수의 점수는 중앙값보다 살짝 높거나 살짝 낮은 수준이다. 둘째, 여성노인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제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결과가 많지 않았다. 다른 변수에 비해 여성노인의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 한 경우가 많았다. 즉 교육수준에 따라 반응적 공격성, 주도적 공격 성의 차이가 유의했는데, 중졸이상의 교육수준을 가진 여성노인의 관계적 공격성과 분노가 무학 혹은 초졸인 여성노인에 비해 낮았다. 셋째, 여성노인의 질투와 시기심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회귀분 석을 실시한 결과, 여성노인의 질투가 심할수록 반응적 공격성이 높아지며, 시기심이 심할수록 반응적 공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투가 시기심에 비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노인의 시기심이 심할수록 반응적 공격성이 높아지지만 질투의 영향 력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 노인의 질투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지되었다.
초기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 하위유형의 특성 탐색: 사회평가불안과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을 중심으로
한영경,김은정 한국임상심리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초기청소년기의 관계적 공격성과 그 하위유형(반응적, 주도적)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중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사회평가불안과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이 관계적 공격성의 하위유형에 주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학생의 경우 사회평가불안은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에,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은 주도적 관계적 공격성에 특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사회평가불안은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에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는 경향성이 나타났지만,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관계적 공격성의 하위유형이 서로 다른 세부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성별에 따라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의 향후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과 관련된 개인적, 환경적 특성 고찰: 국내 학술지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박성민(Park Sungmin),임정하(Lim Jungha)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에 관한 국내 학술지 발표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분석대상 논문을 바탕으로 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과 관련된 개인적, 환경적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에 관한 논문 총 47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논문의 발표현황, 연구대상, 연구유형, 관계적 공격성 변인 유형, 측정도구, 관계적 공격성과 함께 분석된 변인들을 살피고, 그 내용을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연구는 최근 10년간 꾸준히 수행되었으며, 초기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관계적 공격성 변인이 종속변인으로 분석된 경우가 많았다. 관계적 공격성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으로는 부정정서, 정서조절능력 등 사회・정서발달 영역의 변인이, 환경적 특성으로는 부모의 양육행동이 포함된 가족특성 변인이 주로 다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추후 연구의 방향과 청소년과 부모를 위한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f studies on relational aggression during adolescence in South Korea. First, a systematic review of methods and findings on relational aggression was conducted. Second,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relevant to relational aggression were extracted from empirical findings of published articles. An electronic search of the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2004 and 2020 identified 47 studies for inclusion. Studies were coded to extract data on participant characteristics, research design, instruments, type of variable and relevant factors. Results indicate that the articles on relational aggression of adolescents have been steadily published over the past 10 years. Participants were mostly in their early adolescence an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method was most frequently used to assess relational aggression. Also, relational aggression was analyzed mainly as a dependent variable in the cross-sectional approach. Findings demonstrate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linked to relational aggression were primarily socio-emotional factors including emotion regulations, rejection sensitivity, and negative emotions. Also, environmental factors linked to relational aggression were mainly parenting style including psychological control and monitoring. Recommendations and consideration are given to future directions in the study of relational aggression during adolescence.
유아의 관계적‧외현적 공격성의 성차 및 성격과 리더십의 영향
최미숙(Mi Sook Choi),전아영(A Young Jeo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2
본 연구는 유아의 관계적 공격성 및 외현적 공격성의 성차와 이에 대한 성격과 리더십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 사립유치원 4곳의 만 5세 유아 16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t-검증, Pearson 적률상관계수,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관계적 공격성 및 외현적 공격성의 성차는 외현적 공격성에서 남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적 공격성 및 외현적 공격성은 성격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성격의 정서적 안정성, 호감성, 외향성, 성실성은 관계적 공격성을, 호감성, 개방성, 정서적 안정성은 외현적 공격성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적 공격성 및 외현적 공격성은 유아의 리더십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리더십 중 타인존중, 도전과 자신감은 관계적 공격성과 외현적 공격성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and the impacts of personality and leadership on the aggressions. The subjects were 166 5-year-old children at four private kindergartens in K city. For data analysi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18.0 WIN progra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al aggression and overt aggression, boys showed higher levels of overt aggression. Second, relational aggression and overt aggress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sonality. In particular, emotional stability, agreeableness, extroversion, and sincerity among personality traits were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relational aggression, whereas agreeableness, openness, and emotional stability were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overt aggression. Third,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young children’s leadership. In particular, respect for others, challenge and self-confidence were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relational aggression and overt aggression.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중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이하연(Lee, Hayeon),박주희(Park, Ju 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중학생의 인지정서조절전략이 관계적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31명의 중학생(남녀 각 258명, 173명)을 대상으로 Marsee, Kimonis and Frick(2004)의 또래 갈등 척도, Barber(1996)의 심리적 통제 척도, 그리고 Garnefski, Kraaij and Spinhoven(2001)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의 수준이 높을수록 중학생이 관계적 공격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중학생이 긍정적 정서조절전략을 덜 사용하고 부정적 정서조절전략을 자주 사용할수록 관계적 공격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정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가 유의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이 높은 경향이 있었는데 이러한 영향은 부정적 정서조절전략을 자주 사용하는 집단에서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긍정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관계적 공격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정서조절전략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relational aggression amongst middle school students and addressed the question as to whether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any moderating effec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relational aggress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31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both mothers and fathers and positive emotion regul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creased the levels of relational aggression, whereas negative emotion regulation decreased the levels of relational aggression. In addition, negative emotion regulation tended to moderate the effect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relational aggression whereas positive emotion regulation did not.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 정서조절, 질투와 시샘의 순차적 매개효과
박우람,홍상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5 초등상담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과 질투와 시샘이 매개 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 575 명에게 거부민감성, 정서조절, 질투, 시샘 그리고 관계적 공격성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 집하였고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거부민감성은 관계적 공격성, 질투와 시 샘과는 정적 상관, 정서조절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연구의 매개변인인 정서조절 및 질투와 시샘도 관계적 공격성과 각각 부적,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매개변인인 정서조절과 질투와 시샘이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과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그리 고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선행모형(거부민감성→ 정서 조절→ 질투와 시샘→ 관계적 공격성)의 순차적 경로는 유의한 반면, 질투와 시샘의 선행모 형(거부민감성→ 질투와 시샘→ 정서조절→ 관계적 공격성)의 순차적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 다. 이는 학교장면에서 아동의 거부민감성에 기인한 관계적 공격성 수준이 높은 학생을 상담 할 때 아동의 정서조절을 먼저 다루고 그 다음 질투와 시샘과 같은 부적 정서의 순서로 개 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 하고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among emotion regulation, jealousy, and env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57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in Gyeongsangnam-do by measuring the scales of rejection sensitivity, emotion regulation, jealousy, envy and relational aggression. The result from the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expresses th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relational aggression, jealousy, and envy, but the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show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 regulation. The emotion regulation as a mediator variable in this study present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relational aggression while jealousy and envy express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elational aggression. Second, emotion regulation, jealousy and envy as mediator variables fully mediate in relationships i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The consecutive order in the preceding model of the emotion regulation (rejection sensitivity → emotion regulation → jealousy and envy → relational aggression) is significant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al agg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consecutive order in the preceding model of jealousy and envy (rejection sensitivity → jealousy and envy → emotion regulation → relational aggression) is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a negative emotion order from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o jealousy and envy when counselling a student who has high relational aggression from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in school. Lastly, the result is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are discussed.
어머니 반응, 유아 내적 표상과 억제성향, 정서조절이 유아의 신체적․관계적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민성혜 한국인간발달학회 2009 인간발달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신체적․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어머니 요인으로는 유아 공격성에 대한 어머니 반응, 그리고 유아 개인 요인으로는 유아 내적 표상과 억제 성향, 정서조절을 선정하여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그 경로가 공격성의 유형 즉 신체적 공격성과 관계적 공격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2개 기관을 임의 선정하고 그 기관에 다니고 있는 만 4, 5세 유아 56명(만 4세 30명, 만5세 26명; 남아 32명, 여아 24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 반응은 Werner, Senich와 Przepsyszny(2006)가 개발한 도구로, 유아의 공격적 행동은 Crick, Casas와 Mosher(1997)의 Preschool Social Behavior Scale-Teacher Form(PSBS)로, 유아의 내적 표상은 Bretherton, Oppenheim, Buchsbaum, Emde와 MacArthur Narrative Group(1990)이 개발하고 Bretherton과 Oppenheim(2003)이 수정한 이야기 완성과제(MacArthur Story Stem Battery: MSSB)로, 억제 성향은 박성연(1998)의 교사용 억제질문지로, 그리고 유아의 자기정서 조절 능력은 이병래(1997)가 제작한 정서 지능 척도 중 자기 조절에 해당되는 문항으로 측정하였으며 Amos 6.0을 사용하여 SEM으로 자료 분석 하였다. 측정결과 신체적․관계적 공격성에 따라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영향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영향이 나타났다. 공통점은 첫째, 유아 공격적 행동에 대한 어머니 반응 중 대화반응이 억제성향과 정서조절을 통해 관계적, 신체적 공격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둘째, 유아 공격적 행동에 대한 어머니 반응 중 종결 반응은 관계적, 신체적 공격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었으며, 차별점은 첫째, 관계적 공격성의 경우 어머니 반응 중 권고가 오히려 관계적 공격성 수준을 높이는 반면, 신체적 공격성의 경우 어머니 반응 중 힘 발휘가 오히려 신체적 공격성 수준을 높인다는 것이었고, 둘째, 유아 내적 표상은 어머니 반응이 관계적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효과를 가지나 신체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는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의 순차매개효과
장희란,윤성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The Medit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Relational Aggression of Office WorkersHeeran Jang & Sungmin Yo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al aggression, along with the double medit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For this purpose, self-reported data of Covert Narcissism Scale, Rejection Sensitivity Scale, Anger Rumination Scale and Relational Aggression Scale were collected from 331 employees and analyzed using SPSS 25.0 and Hayes’s Process macro 4.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orrelations among covert narcissism, relation aggression,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were significant.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al aggression was partially meditated by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This study verified that covert narcissism influenced on relational aggression via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as well as affecting relational aggression direct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not just to understand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overt narcissism but to lower the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 through cognitive intervention in order to reduce the psychosocial problems of office workers caused by relational aggression. Key Words: Covert Narcissism, Relational Aggression, Rejection Sensitivity, Anger Rumination, Meditating Effect 직장인의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의 순차매개효과*장 희 란**ㆍ윤 성 민*** 요약: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 총 331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 거부민감성 척도, 분노반추 척도, 관계적 공격성 척도를 자기 보고식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를 사용하여 변인들 간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고, Hayes(2018)의 Process Macro 4.0을 활용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내현적 자기애, 거부민감성, 분노반추, 관계적 공격성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적 공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를 매개하여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관계적 공격성으로 인해 야기되는 직장인들의 심리·사회적 문제들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내현적 자기애의 성격특성에 대한 이해와 인지적 개입을 통해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의 수준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핵심어: 내현적 자기애, 관계적 공격성, 거부민감성, 분노반추, 매개효과 □ 접수일: 2021년 12월 7일, 수정일: 2022년 1월 13일, 게재화정일: 2022년 2월 20일* 이 논문은 주저자의 학사학위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임. ** 주저자,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재학(First Author, Bachelor, Hanyang Cyber Univ., Email: nareeh70@gmail.com)*** 교신저자,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Hanyang Cyber Univ., Email: ysmpsy@hyc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