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짓모형을 이용한 노후준비의 결정요인 분석 : 노후생활에 대한 기대를 중심으로

        이윤경 ( Lee Yoonkyung ) 한국행정연구원 2019 韓國行政硏究 Vol.28 No.1

        고령사회 진입, 가족구조 변화, 돌봄기능 약화, 조기퇴직, 노인기준연령 인상 등 일련의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로 인해 연장된 노후생활에 대한 우려와 두려움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후준비를 공적 노후준비와 사적 노후준비로 구분하고, 노후생활 기대를 취미·자아개발 활동, 자원봉사·종교 활동, 경제활동의 세 가지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기대 유형별 영향요인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취미·자아개발 활동 기대 집단에서는 여성, 서비스판매직 및 농어업직 종사자, 주택자산 미소유자의 경우, 그리고 주관적 계층의식이 낮을수록 공적 노후준비를 선택하며, 사무직종사자의 경우에, 균등화소득과 소비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연령과 고용불안정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관계망이 강할수록 사적 노후준비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종교 활동기대 집단에서는 여성의 주관적 계층의식이 낮을수록 공적 노후준비를 선택하며, 봉급생활자 및 고용주 종사지위의 경우에, 그리고 고용불안정성이 높을수록 사적 노후준비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제활동 기대 집단에서는 여성의 경우 공적 노후준비를 선택하며, 사별한 경우에, 그리고 주관적 만족감과 고용불안정성이 높을수록 사적 노후준비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봉급생활자 종사지위의 경우, 그리고 소비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관계망이 강할수록 사적 노후준비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개인의 귀속지위와 성취지위에 중점을 두어 연구해 온 기존 연구의 범위를 확장해 개인적, 심리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관점을 보완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을 통해 미래에 대한 기대별 주요 결정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에서 성공적인 노후준비를 위한 맞춤형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들 수 있다. There is a series of social and economic changes such as entry into aged society, change of family structure, weakening of care functions, early retirement, and raising the elderly age standard. Therefore, worries and fears about the longer old age period are increasing than ever. This study distinguishes the ‘preparations for old age’ into two main sorts: public and private preparations. And ‘expectations for old age’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ose for hobby & self-development activities, volunteering & religious activities, and economic activities. Then,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in influencing factors among the expectation groups. Regarding to the first group, ‘female’, ‘service sales occupants’, ‘agriculture occupants’, ‘a person without house’, ‘a person with lower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variables had positive relations with ‘public preparation for old age’. Regarding to the second group, ‘female’ and ‘a person with lower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variables had positive relations with ‘public preparation for old age’. Regarding to the third group, only ‘female’ chose ‘public preparation for old age’. This study complements the existing viewpoints about preparations for old age, that did not consider the personal, psychological, economic and social factors. This empirical study also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customized policy development.

      • KCI등재

        The Effect of Old Age Preparedness on Elderly Life Satisfaction among Army NCO’s

        Jin Kyoung Jeoung,Hyo Jin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8 Crisisonomy Vol.14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lderly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preparation of old age of soldiers. First, we examine the effect of old age preparednes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old soldier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at directly affects these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economic aging preparation, psychological aging preparation, physical aging preparation and social aging preparation have negative effects on aging life satisfaction.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prepara-tion and old - age life satisfaction was controlled by former support. Therefore, the former support for the veterans of the army will be improved by the policy for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old,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veterans will be higher in advanced social services. 본 연구의 목적은 제대군인들의 노후준비도를 통한 노후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이들 변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서 노후준비도가 제대군인들의 노후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노후준비도의 향상을 통한 제대군인 복지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공적 복지로서 노후준비도의 직접적인 향상이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는 전직지원의 조절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부족한 노후준비도 부분을 전직지원의 증진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제대군인들의 노후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노후준비도의 하위구성요인인 경제적 노후준비도, 심리적 노후준비도, 신체적 노후준비도, 사회적 노후준비도은 모두 노후생활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노후준비도와 노후생활만족도간의 관계는 전직지원에 의해 조절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따라서 제대군인들을 위한 국가의 전직지원은 노후생활만족도 향상에 대한 정책마련으로 선진화된 사회서비스 속에서 제대군인들의 노후생활만족도는 보다 높아 질 것이다.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특성분석

        이용재(Yong-Jae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는 베이비붐세대의 노후준비 특성을 다층구조의 틀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베이비붐세대의 공적연금가입율 59%, 개인연금가입률 11.5%, 퇴직연금가입률 1.5%로 노후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수준이 낮고, 여성 베이비부머일수록 노후준비를 하지 못하고 있어서 교육수준이 낮은 여성들의 노후빈곤 가능성이 컸다. 셋째, 건강상태가 좋지 않아서 의료비 지출이 염려되는 베이비부머가 노후준비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어서, 이들이 노후에 질병과 경제적 어려움을 동시에 겪을 가능성이 컸다. 넷째, 경제수준이 낮은 베이비부머일수록 노후준비를 잘하지 못해서 빈곤노인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았다. 따라서 불완전 근로와 조기퇴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베이비붐세대를 위한 노후준비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교육과 경제수준이 낮은 계층, 여성,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베이비부머를 위한 공적연금 가입지원제도를 실시하고, 보편적인 노령수당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최저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eparation characteristics for old age of the baby boomers by the framework of the multi-pillar pension system.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lti-pillar pension systems subscription rates of baby boomers was public pension 59%, private pension 11.5% and retirement pension 1.5%. The baby boomers isnt ready for old age life. Second, women and people with the low level of education are less prepared for old age. Third, people in a bad health state are less prepared for old age. Forth, low-income people are less prepared for old age. We must support baby boomers preparations for old age by establishing income security system for old age. We must establish public pension support policy for the people of the low level of education and economic hierarchy, women, bad health status people, and must introduce universal old-age allowance policy for guaranteeing the minimum income of baby boomers.

      • KCI등재

        임금근로 고령 장애인의 공적 연금과 노후준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기태(Kim Gi Tae),김해성(Kim Hae Seong),송진영(Song Jin Yeong),정종화(Jeong Jong Hwa)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3

        연구는 임금근로를 하는 고령 장애인들의 공적 연금과 노후준비가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KEAD)의 2016년도 제8차년도의 ‘장애인고용패널’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대상자는 임금근로를 하는 60세 이상의 고령 장애인 5,092명 중 본 연구에 적합한 296명을 추출하여 SPSS 20.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공적 연금은 임금근로 고령 장애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여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노후준비가 잘된 임금근로 고령 장애인일수록 생활만족도에 높은 영향관계를 입증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공적연금과 생활만족도 간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노후준비와 생활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적 연금과 노후준비의 미비로 인해 낮아질 수 있는 고령 장애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여주기 위한 일환으로 공적 연금과 노후준비를 활성화하는 것과 자아존중감과 같은 매개요인을 찾아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ublic pension and the old-age prepara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who have paid jobs, focusing on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The data of “the 8th year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of 2016 survey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was used. Among the 5,092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are 60 or older and who are employed for paid jobs, only 296 cases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by using SPSS 20.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ublic pension i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opulation.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who have paid jobs and well prepared for the old-age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life satisfaction. Second, self-esteem did not seem to mediate between public pension and life satisfaction. Third, self-esteem have proven to mediate between old-age preparation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finding mediating factors such as public pension, revitalization of old-age preparation and self-esteem as part of raising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고령자 공적연금 수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참여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오유라 ( Oh You Ra ),이진이 ( Lee Jin Yi ),김서휘 ( Kim Seo Hui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8 No.2

        본 논문의 목적은 고령자 공적연금 수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정함으로써 공적연금이 가지는 다차원적 노후준비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모형의 분석을 위해 고령화연구패널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55세 이상 고령자의 공적연금 수급자와 공적연금에 한 번도 가입한 적이 없는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공식적, 비공식적 사회참여를 포함한 매개변수로 연구모형을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적연금 수급이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공적연금 수급이 사회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공적연금 수급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사회참여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사회참여 매개변인의 유의미성이 검정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공적연금이 가지는 다차원적인 노후준비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dimensional of preparations for retirement in the context of public pension programs by exam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the relationship life satisfaction and the receipt of public pensions. We used the data from the 7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The sample consisted of elderly persons aged 55 and over who were the recipients of public pension programs, as well as those who had never registered for public pensions. After analyzing the research model with mediating variables that included formal and informal social particip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ceipt of public pensions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receipt of public pensio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creased social participation. Third, social participation showed a fu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pensions and life satisfaction. The study presents basic data to recognize the multi-dimensional meaning of retirement preparation implied in public pension program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proposed policy recommendations.

      •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명아 ( Park Myeong A ),조시울 ( Cho Si Wool ),신혜리 ( Shin Hyeri ),박설우 ( Park Seol Woo ),김영선 ( Kim Young Sun ) 한국연금학회 2017 연금연구 Vol.7 No.1

        최근 우리나라의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인 은퇴를 시작하면서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삶의 질이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노후보장패널 5차 자료(2013년)를 이용하여 베이비붐 세대의 경제적 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고 독립변수를 공적 경제적 준비 요인과 사적 경제적 준비 요인으로 나누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행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적 경제적 준비요인 중 개인연금에 가입했을수록, 금융소득이 있을수록, 가계 총소득이 많을수록, 근로소득이 있을 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표적 공적 경제적 준비 요인인 공적연금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 향상에 필요한 경제적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복지 패러다임을 위한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함의가 있다. Preparation for old age and the quality of life are receiving major attention as baby boomers of Korea recently start to reti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inancial preparation of baby boomers on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using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s fifth data(2013). For this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eparating the independent variable into public economic preparation and personal economic preparation, and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factors are as follows. Regarding to personal factors, satisfaction with life appeared to be higher when one was affiliated with private pension and had an earned income or financial income.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public pension which was a public factor was not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with life. The study suggests concrete basic data for new welfare paradigm by analyzing economic factors necessary to improve satisfaction of baby boomers with their life.

      • KCI등재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자산보유 및 공적연금

        황순기 ( Soonki Hwa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3 유라시아연구 Vol.10 No.1

        한국의 베이비붐 세대는 한국전쟁이 끝난 뒤인 1955년부터 1963년까지의 9년간에 걸쳐 출생한 세대가 이에 해당되는데 그 규모는 약 713만명으로 총인구의 14.6%에 이르고 있다. 이들은 그 동안 우리 사회에서 소비와 생산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사람들이다. 베이비붐 세대 중 취업자는 약 532만명 정도이며 이 중에서 자영업자와 무급종사자를 제외한 임금근로자는 약 312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이들 임금근로자들이 2010년부터 55년생이 은퇴하기 시작해서 2018년까지 9년에 걸쳐 대부분 은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07년에 시작된 일본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충격이 총인구 5%에 의한 것임을 감안하면 단순히 현재 일본이 겪고 있는 것과 비교해도 약3배 정도의 충격이 우리 사회에 가해질 것이라는 것이 예상된 된다는 점에서 베이비붐 세대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베이비붐 세대에 대해서 제대로 된 은퇴설계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게 우리 현실이다. 특히, 이들 세대는 부모 및 자녀부양 책임의식이 강하여 상대적으로 자신의 노후준비를 소홀히 한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빈곤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사회의 주축이 되고 또한 곧 노인에 편입될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이들의 자산상태 및 노후준비 상태와 공적연금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80%는 노후준비를 하고 있으며, 이중 38.5%를 국민연금과 같은 공적연금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예금 및 적금(24.3%), 사적연금(19.5%), 기타(7.1%)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래의 자신의 소득이 증가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보다 감소하거나 동일할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으로 10년의 기간 동안 경제성장 등으로 인해 개인측면에서도 절대적인 부의 증가는 있었지만, 축적된 자산이 은퇴 후 상당히 빠른 속도로 감소할 수 있고, 동산 자산에 의존하는 경우 유동성 문제로 인해 노후 빈곤에 처할 우려가 있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가 고령화를 이끄는 주요세대인 점을 고려한다면, 베이비붐 세대의 보유 자산에 대한 생애주기적 관리가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는 국민연금 도입 초기세대 이므로 제도 초기의 특징이 높은 소득대체율에 대한 이익은 향유하고 있지만, 제도 도입 시점에 이미 40대 전후 인 점을 감안하면 가입기간 효과로 인해 발생하는 이익은 적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제도 도입시점에서 대부분 낮은 소득수준으로 신청한 경향이 있기 때문에 급여수준의 적절성 측면에서는 다소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베이비붐 세대를 위해 공적연금은 일하는 은퇴자에 연금혜택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정년 및 납부기간 연장을 통한 사각지대 완화와 급여수준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저소득층 보험료지원 제도 도입 및 베이비 붐 세대에 대한 한시적 특별 지원방안고려와 임의가입 및 추납 활성화를 통해수급권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외에 부부가입기간합산제도(가칭)를 도입함으로써 연금수급권을 확대 보장하고 선진국형 다층소득보장체계를 내실화가 필요하며, 기초노령연금제도와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재정비를 통한 노인세대에 대한 실질적인 노후대비마련이 필요하다. 그리고 현재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희망키움통장 적용대상을 연금수급권을 획득하지 못할 우려가 있는 베이비붐 세대에게 까지 확대적용함으로써 이를 통해 축적된 금융자산을 연금보험료로 납부할 기회를 보장할 수 있도록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The Baby Boomer in Korea is the generation known to be born 1955-1963, 46-54 years old, and they will reach the age limit between the years of 2012 and 2020 assuming they retire at the age of 57. The number of Baby Boomer Generation amounts to 7.13 million, 14.7% of 48.45 million, the total population (estimated in 2009) very large in number. The Baby Boomer Generation play a pivotal role in consumption and production in Korean society until now.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of Baby Boomer Generation is about 5.32 million people and wage workers except both self-employed and unpaid workers are about 3.12 million people. This wage workers are expected to retire from 2010 to 2018. It is expected to the Korean society will be taken about three times shock than that of Japan, compared to the Japanese society got the very big shock as the Baby Boomer Generation who has a 5% share in Japanese population is retired in the Japanese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Baby Boomer Generation is and will be influencing on so much aspects of social life such as economic demand and supply, consumption, leisure, culture, and social welfare. So, The Korean Baby Boomer Generation will soon leave from their workforce as they reach the retirement age and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the Baby Boomer Generation retirement. Meanwhile, fertility rate is decreasing rapidly as a result of change of social environment, such as women``s high educational level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late marriage in life and transformation of women``s life style. Since the mid-1990s, Korea has recorded low population growth rate. Based on the data provided by the Statistical Korea, Korea may be even confronted with decreasing trends in the total population at the end of 2010s. In addition, Korea may experience the hyper-aged society in the mid-2020s and Korean society is becoming the most rapidly aging society in the world. This coupled with the low fertility rate, many cause a serious social problem as well as the social welfare issues among the Korean population. In the future, Korean population will be rapidly aging while producing population declines. As a result, lots of unpredicted events would take place, and it is too sure that this changing of population structure may affect our economy and asset market. Especially the Baby Boomer Generation is facing the limitation of preparation for old age. Generally the generation of parent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believed that devotion to family was the greatest value. They also generally believed that they can be dependent upon their children when they are old. However, the Baby Boomer Generation cannot take it for granted that their children will support them, due to the changed attitude toward supporting. They need to prepare for their aged life themselves, and the preparation should start as early as possible. But retirement planning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is long way to go in Korea society until now. This paper explore provision and asset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for later life for elderly and role of public pension for later life around the Baby Boomer Generation who incorporated into elderly and played a key role in ageing society of Korea. The findings in this paper indicate that first, 80%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is preparing for elderly and 38.5%among them is the most using public pension like National Pension, followed by deposits (24.3%), private pension (19.5%), others (7.1%). The number that person who think their income will be increase in future is more than twice the number that person who think their income will be decrease or same in future. The property will continue to decline in future and there are worries it won``t be able to provide for retirement. Especially, the Baby Boomer Generation needs life cycle management for their assets, considering the Baby Boomer Generation leads the ageing society. Second, the Baby Boomer Generation joined the national pension early has been enjoyed the benefit of high profit from high retiree income replacement rate due to feature of early national pension system. But actually the benefit is not big because when the age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is about 40 years old, they joined the national pension system. Also, I think that as they fixed the low salary level when they had joined the national pension system, they will get the problem in respect of the cash flow. Third, public pension like nation pension system needs to change system for benefit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 ease blind spots, improve salary level, secure pension rights, invigorate people in voluntary national pension, consider special assistance and introduce a system of premium assistance for low-income communities of subscribers. It is important that enlarge pension rights through pension period subject to permit(tentatively named). Public pension needs to build multilayer retirement income security system and raise a substantial retirement fund for household of old age through basic old-age pension system and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re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guarantee for opportunity to pay premiums in the form of financial assets from ``Cultivating Hope Hooper`` low-income subjects applied to low-income groups who worry about pension r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